편의점 주휴수당 조건 - pyeon-uijeom juhyusudang jogeon

보통 월급 근로자의 경우에는 주휴수당이 월급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시간제의 근로자의 경우 1주일에 15시간 이상 근무 여부와 다음주 근로가 예정되어 있어야 합니다. 5인 미만 사업장 근로자들과 편의점 등 아르바이트 모두 주휴수당 역시 주휴수당 지급 대상입니다.  

단, 이번 주 금요일에 관두게 되는 아르바이트의 경우, 이번주 5일을 모두 근무를 했음에도 불구하고 다음 주 근로가 예정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주휴수당이 인정되지 않습니다. 당연히 5일 근무 기간 중 중간에 병가 등의 결근을 할 경우에도 주휴 수당은 나오지 않습니다. 기각, 조퇴, 외출은 결근에 포함되지 않기 때문에 주휴 수당을 받을 수 있습니다. 또한 주휴수당은 8시간 기준으로 지급합니다. 

 

 

2주일 아르바이트 시 급여 및 주휴수당 지급의 예

 

내가 2주일 동안 편의점에서 시급 8,720원, 월요일부터 금요일까지 10시간 근무, 토·일요일 휴무 조건으로 아르바이트를 했다면, 

 

 - 2주일 급여는 8,720원 * 10시간*10일 = 872,000원

 - 주휴수당은  8,720원*8시간*1일 = 69,760원

     → 첫 번째 주의 주휴수당은 받을 수 있지만 두 번째 주휴수당은 다음 주 근로가 예정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받을 수 없음

 

2주일 총급여는 941,760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사업주가 주휴수당을 주지 않는 경우, 노동청에 신고하세요

 

14일 이내에 주휴수당을 받지 못했다면 근로자는 노동청을 통해 신고 접수하시면 됩니다. 조사를 통해 임금체불 사실이 확인되면 사업주에게 날짜를 지정하여 임금을 지급하도록 시정 지시를 하게 되고, 그 날짜까지 임금을 지급하지 않는 경우에는 근로기준법 제110조 벌칙에 따라 사업주는 2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 원 이하의 벌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참고로 주휴수당은 "지속적으로 일하되, 주말을 포함한 1주일의 근무"를 바탕으로 지급 되는 것입니다. 그래서 퇴사 전 근무한 마지막 주는 주휴수당을 못 받을 수도 있습니다. 퇴사를 하게 되면 지속적으로 근무하는 게 아니기 때문입니다. 

 

2021년 주휴수당 계산법 

주휴수당 계산은 일을 시작한 첫 번째 주도 포함 합니다. 1주일에 최소 15시간 근무를 해야 주휴수당을 받을 수 있습니다. 그런데 계산법은 40시간 미만일 경우와 이상일 경우로 2가지가 있습니다. 

  • 위의 주휴수당 받는 조건에서 말했듯이, 퇴사할 경우 마지막으로 근무한 주는 주휴수당이 지급 되지 않습니다. 

 

계산법 1) 1주일 근로시간이 40시간 미만일 때

  • (1주일 총 근로시간 / 40시간) x 8시간 x시급

<예시 1>

2021년 최저시급(8,720원)으로 1주일에 20시간 근무한다면? (요일 상관 없음)

(20시간/40시간) x 8시간 x 8,720 = 34,880원의 주휴수당을 받을 수 있습니다. 

 

 

계산법 2) 1주일 근로시간이 40시간 이상일 때

  • 8시간 x 시급

<예시 2>

20201년 최저시급(8,720원)으로 1주일에 40시간 근무하다면? (요일 상관 없음)

8 x 8,720 = 69,760원의 주휴수당을 받을 수 있습니다. 

 

 

<참고사항 : 그럼 최저 월급은?>

근로기준법에 의해 1주일에 40시간을 일한다면, 근로 시간은 48시간으로 인정 받습니다. 그러나 1개월의 근로시간은 48x4주 = 192시간이 아니라 209시간으로 인정 받습니다. 이유는 아래와 같습니다. 

 

  • 365일을 7일로 나누면, 1년은 약 52.1428주입니다. 
  • 52.1428주를 12개월로 나누면, 1개월은 약 4.3452주입니다. 
  • 1주일의 근로시간은 48시간을 인정 받고, 1개월은 4.3452주입니다. 
  • 1개월 48x4.3452 = 208.5696 = 209시간

이런 이유로 주 5일, 총 40시간을 일하게 되면 1개월은 209시간 근로시간을 인정 받습니다. 

즉 1개월의 최저 월급은, 209시간x8720원 = 182만 2480원입니다. 

 

주휴수당은 지급하지 않으면 2년 이하의 징역이나 2천만원 이하의 벌금이 부과 됩니다. 1주일에 15시간 이상 일하면 법적으로 반드시 지급해야 하는 것이므로 사용자와 근로자 사이에 원만하게 해결 되길 바랍니다. 

�������ͳݻ��

100�� �̳��� �����ϰ� �ܼ��� ���׿� ���� �����ϰ� ���� �亯�� ���� �� �ֽ��ϴ�.
����� ����� '�ο�Ȯ�� > ���ǹο�'���� �亯�� Ȯ���Ͻ� �� �ֽ��ϴ�.
�̿� ���ɽð� : 09:00 ~ 18:00 �� / �䡤�ϡ������� ����
���ɡ����� ���� ������ ���ο���û �� ���ǹο����ڳʸ� �̿��� �ֽñ� �ٶ��ϴ�.
������� ��ȸ���Ǿ��޿� ���� Ȯ�� �� ������ �������� Ȯ���� �ʿ��� �ο��� �� ������� ������ �����Ͽ� �ֽñ� �ٶ��ϴ�.

����/���� �����ϴ� ���� - ����, �亯 ���� ���� ��������11�������� ���������� ���ߴµ� ���޼����� ���༭ ����û�մϴ�.�亯1. �˼��մϴ�. ���ͳݻ���� ������ ��ȭ����� �ϰ� ���� ������ ���غ�Ź�帳�ϴ�. ��ȭ����� ���ϴ� ��� 1350�� �Ǵ� �ش� ������ ó���ϴ� ���� �뵿��û(�Ǵ� ���뼾��)�� �����Ͽ� �ֽñ� �ٶ��ϴ�. 1350�� ��ȭ���� ���� ������ ���� ��찡 �����Ƿ� ���� �뵿��û���� ���� �����Ͻô� ���� ���� �� �ֽ��ϴ�. ����뵿�� Ȩ������>����Ұ�>�����ȳ�>�Ҽӱ��> ���� ��û Ŭ��>����,����ó ���� ��������� �� ����ó Ȯ���� �� �ֽ��ϴ�.

2. ���޼����� ��ٷα��ع��� �ٷ��ڷμ�, ��4�� ����Ͽ� 1�� �����ٷνð�(�ٷΰ�� ��� �����ٷνð� ������ 1�ְ� ���� �ϱ�� ó������ ���(���)�� �ð�)�� 15�ð� �̻��̰�, ��1�ְ��� �����ٷ���(�ٷΰ�� ��� 1�ְ� ���� �ϱ�� ó������ ���(���)�� ��)�� �����Ͽ��� �� �߻��ϰ� �˴ϴ�.

3. ���޼��� ������ �� �ٷα��ع� ���� ���׿� ���Ͽ� ���� �Ǵ� ������ �ʿ��� ��쿡�� ����� �������� �����ϴ� �������뵿������ �������� ���� ���Ͽ� ���� �����ñ� �ٶ��ϴ�.
�����ٷ����� ��� �ӱ����������� ����, �����ٷ��ڴ� �����Ϸκ��� 14�� �̳� ���޹��� ���� ��� �ٹ��� ���� �뵿û���� ������ ���Ⱑ����

�� ������ ���� ���(����뵿û�� �湮 ��û�ϰų� ���ͳ����� ����)
�� ����� ���� �������뵿û�� �湮�Ͽ� �Ű�
<����뵿�� Ȩ������(www.moel.go.kr) �� ����� ������Ұ��� �� ��ã�ƿ��ô� �桯 ���� �� �����޴� �������ȳ��� �� ���Ҽӱ���� ����>
�� ���ͳ��� ���� ���� ����
<����뵿�� Ȩ������(www.moel.go.kr) �� ���ʻ���� �ο����� Ŭ�� �� �ο���û Ŭ�� �� ���Ĺο����� '��Ÿ �����Ű���' ���� ��û��ư�� Ŭ���Ͽ� �ۼ� �� ȸ�� ���� ��
�ۼ��Ͻðų� ������������ �α��� �� �ۼ�>

���

  • ������ �������Ϳ� �Ի��Ϸ��� ����13�� ������ �ް� �Ի縦
  • ������ ���� �ٹ��ϴ� �ָ� �ٹ����Դϴ�. 10/9 �ѱ۳�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