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의점 교통카드 구매 - pyeon-uijeom gyotongkadeu gumae

오늘은 티머니 교통카드 구입 및 등록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요즘은 청소년도 체크카드를 사용하기 때문에 체크카드에 교통카드 기능을 넣을수도 있고 스마트폰 모바일칩에 티머니를 충전하여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티머니 교통카드 구입은 주변 편의점에서 구매하거나 수도권은 지하철 역사에서 구매할 수도 있는데요. 그럼 어디에서 구매할 수 있는지 세부적으로 확인해보겠습니다. 

전국 편의점 GS25, CU, 미니스톰에서 구입할 수 있고 수도권(서울, 경기, 인천)은 세븐일레븐, 바이더웨이, 씨스페이스, 스토리웨이에서도 구매할 수도 있습니다. 지하철은 수도권 지하철 역사내 무인카드 자판기에서만 구매할 수 있다고 합니다.

티머니 교통카드 등록은 편의점인 GS25, 세븐일레븐, 미니스톱), 수도권 지하철 역사내 1~8호선, 인천지하철 1~2호선에서 구입시 생년월일로 등록할 수 있고, 티머니 어린이/청소년용 권종 구분카드는 최초 사용일 기준 10일 이내 홈페이지에서 생년월일을 등록하여야 할인 요금이 적용됩니다. 

티머니 교통카드 등록을 위해서는 홈페이지에서 회원으로 등록 후 나의 티머니>등록된 카드현황>더보기를 클릭하신 후 티머니 카드번호를 입력한 후 어린이/청소년 요금할인에 체크하시면 됩니다.

티머니 환불은 2만원~3만원 이하는 편의점, 수도권 지하철 역사내 티머니 서비스센터에서는 5만원까지 환불 받을 수 있고 환불수수료는 500원입니다. 티머니 잔액 환불 기능이 있는 카드인 경우에는 은행ATM에서 주민번호 기준 50만원 이하까지 환불 받을 수 있습니다.

부분환불 서비스는 ㈜한국스마트카드 본사, 지하철 역사 내 티머니서비스센터에서만 가능하고, 부분환불 금액도 환불요청금액 1만원이상 ~ 5만원 이하로 제한됩니다.

지금까지 티머니 교통카드 구입 및 티머니 교통카드 등록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참고로 모바일 티머니 환불은 해당통신사 직영점에 유심칩을 가지고 가서 신청하면 개인 통장으로 입급됩니다.

※ 티머니 제휴 사용 지역에서의 구입, 충전 및 잔액 환불은 GS25, CU, 미니스톱 편의점과 우체국, 신한은행, 제주은행, KEB하나은행, 우리은행, NH농협은행, 신협, KB국민은행 ATM에서만 할 수 있다. 단 NH농협은행, 신협, KB국민은행 ATM은 당행 계좌가 있어야 충전이 가능한 구조이므로, 가까운 신한은행, 제주은행, KEB하나은행, 우리은행, 우체국을 이용하자. 일부 신한은행, 우리은행, NH농협은행(중앙회) 지점에서 티머니 기능이 포함된 IC현금카드를 발급하기도 하는데, 재고 여부는 미리 문의해야 할 듯. 똑같은 스마트 티머니라도 2008년 이후에 발행된 것들이 타 호환 지역에서 잘 인식되며, 2004년에 나온 초기형 스마트 티머니는 인식이 잘 안 되거나 아예 인식하지 못할 수 있다. 단, 티머니 미호환지역에서는 편의점에서 충전이 불가능하며[9], 티머니 제휴 사용 지역 중 인천, 경기, 부산, 창원, 목포, 여수, 천안, 아산, 원주, 횡성, 강릉 지역은 은행, GS25, CU, 미니스톱 외에 세븐일레븐, 바이더웨이, 일반 가판대에서도 구입 및 충전이 가능하다.[10] 경상남도 시외버스의 교통카드 사업권을 이비카드에서 인수하면서, 2018년 1월 17일부로 경상남도의 시외버스도 교통카드로 탑승이 가능해졌다.

  • 수도권 전철 정기승차권 카드

    • 수도권(수도권 전철)

※ 2005년 4월 15일부터 발매된 수도권 전철 통합 정기권 카드다. 가격은 역시 2,500원. 정기승차권 카드를 구입한 후, 각각 '서울전용'과 '거리비례제' 방식으로 충전한 후, 30일 이내/60회 이내 탑승이 가능하다. 역무실에서 구입할 수 있으며, 탑승가능 횟수와 기타 사항들을 구입시 안내해 준다.

3. 캐시비(로카모빌리티)[편집]

  • 수도권 (서울특별시, 인천광역시, 경기도)

  • 부산광역시

  • 대구광역시

  • 울산광역시

  • 광주광역시

  • 대전광역시[11]

  • 세종특별자치시

  • 강원도

  • 경상북도(군위군, 영양군, 청송군[미시행]을 제외한 전 지역)

  • 경상남도(거제시, 김해시, 고성군, 밀양시, 사천시, 양산시, 진주시, 창원시, 통영시, 의령군, 함안군)

  • 호남권

  • 충청권

  • 제주특별자치도

  • 전국 시외버스

  • 전국 철도역[13]

※ 캐시비의 전신인 이비카드(티모아와 제주시에서 발행한 이비 티머니 등도 포함)도 캐시비와 카드번호 체계가 같으므로 위와 같으나, 티모아의 전신인 구형 eB카드[14]는 캐시비 출범 이후 호환된 일부 지역(원주, 횡성, 대구, 경산, 영천, 울릉, 문경, 상주, 안동, 영주, 봉화, 예천, 김해, 거제, 통영, 속초, 고성, 양양, 영월, 평창, 정선, 홍천, 철원, 양구, 화천, 인제, 세종, 광주, 강진, 구례, 제주)에서의 사용은 불가능하다.[15] 구형 eB카드의 전신인 이베스트카드[16]는 경기도 및 경상남도 버스에서만 사용이 가능하다.

3.1. 마이비[편집]

마이비의 경우 기본적으로 같은 계열의 카드를 사용하는 다른 지역에 가도 인식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ex.디지털경남카드로 광주 도시철도에서 사용이 가능하며, 환승도 가능) 단, 지역별로 특정 지역의 카드를 사용할 경우 인식이 되지 않거나, 환승이 되지 않는 등의 일도 있다. 이러한 카드(지역)은 분리해 표기하였다. 2014년 8월 부로 편의점 등에서의 결제가 되지 않으니 유의하자. 한때 부산 도시철도에서는 오직 디지털부산카드만 충전이 가능하기도 했다.

  • 타 지역 호환 가능 기종

    • 디지털부산카드: 부산광역시

    • 빛고을카드[17]: 광주광역시[18]

    • 디지털울산카드: 울산광역시

    • 봄내카드: 강원도 (춘천시)

    • 원주카드: 강원도 (원주시, 횡성군)

    • 신나리카드: 경상북도(경주시, 구미시, 김천시)

    • 디지털경남카드: 경상남도(밀양시, 사천시, 양산시, 진주시, 창원시, 의령군, 함안군)

    • 신명이카드: 전라북도

    • 디지털예향전남카드: 전라남도

    • 으뜸e카드: 충청북도[19]

    • 디지털충남카드: 충청남도

  • 지역 제한 기종

    • 김해포유카드: 경상남도 (김해시)[20]

  • 호환 사용 가능 지역

    • 수도권 (서울특별시, 인천광역시, 경기도)

    • 강원도 (강릉시, 동해시, 삼척시, 태백시, 속초시, 양구군, 영월군, 인제군, 정선군, 철원군, 평창군, 홍천군, 화천군, 고성군, 양양군)

    • 경상북도(포항시)

    • 경상남도(거제시, 통영시)

    • 제주특별자치도

※ 호환 사용 단계에 있는 지역에서는 사실상 구입과 충전이 불가능하다. 충전은 부산은행 서울영업부(시청 옆), 여의도지점, 강남지점, 구로디지털지점, 인천남동공단지점, 롯데슈퍼, 인천국제공항철도 일부역 안내소, 코레일멤버십 회원가입창구(서울역, 용산역, 영등포역, 광명역, 대전역, 동대구역, 부산역, 광주역)에서만 가능. 롯데ATM에서는 2014년 11월 MIFARE 마이비카드의 충전이 전면 중단됐다. 그나마 인접 지역이 마이비 사용지역인 전남권은 좀 낫지만...
※ 세종특별자치시의 경우 교통카드를 티머니로 갈아 엎으면서 구형 MIFARE 마이비카드의 사용을 전면 금지시켰다.
※ 2012년 4월부터 발매되는 신 마이비카드[21]는 캐시비의 사용 권역에 준하여 이용 가능하다.

3.2. 하나로카드[편집]

  • 수도권(서울특별시, 인천광역시, 경기도)

  • 부산광역시

  • 울산광역시

  • 강원도(원주시, 춘천시, 횡성군을 제외한 전 지역)

  • 경상북도(경주시, 구미시, 김천시, 포항시)

  • 경상남도(김해시, 밀양시, 사천시, 양산시, 진주시, 창원시, 의령군, 함안군)

  • 전라북도

  • 전라남도(강진군, 구례군, 완도군, 진도군을 제외한 전 지역)

  • 충청북도

  • 제주특별자치도[22]

※ 부산을 제외한, 호환 사용단계에 있는 다른 지역에서는 구입이 힘들다. 충전은 롯데ATM(세븐일레븐, 롯데백화점, 롯데마트 등에 있음)에서 가능했으나 삭제됐다. 부산은행 지점에서도 가능하다.
※ 2012년 4월부터 발매되는 신 하나로카드[23]는 캐시비의 사용 권역에 준하여 이용 가능하다.

4. 원패스/탑패스 (DGB유페이)[편집]

각 카드 종별로 상세한 사용 가능 여부는 원패스 항목에 예쁘게 정리되어 있다.

  • 수도권(서울특별시, 인천광역시, 경기도)

  • 대구광역시

  • 대전광역시

  • 광주광역시(이마트 24에만 충전가능)

  • 울산광역시

  • 부산광역시

  • 경상북도(군위군, 영양군, 청송군[미시행]을 제외한 전 지역)

  • 경상남도(김해시)

  • 제주특별자치도(사용은 가능하나, 대구은행과 이마트 24가 없는 관계로 충전, 구입 불가)

  • 전라남도(강진군, 구례군, 함평군) (이마트 24에만 충전가능)

※ 광주광역시와 경주시에서는 신형 원패스만 사용되고 구형 탑패스를 사용할 수 없으며, 경주시 이후 개방한 나머지 경상북도 내 교통카드 사용 지역에서는 둘 다 호환이 가능하다.
※ 제주특별자치도, 강진군, 구례군, 함평군에서는 구형과 신형 모두 호환이 가능하다.
※ 구입과 충전은 대구은행, 대경권 GS25, 전국 이마트24에서 가능하다.
※ 구미시, 김천시는 주변 지역 대중교통 의존도가 높은 칠곡군의 편의를 위해 임시로 개방한 것이며, 정식 호환 협정은 아니지만 탑패스와 원패스의 이용이 가능하다.
※ 성주군, 청도군 면허 버스에서는 해당 지역의 터미널에서 사용할 수 없다.
※ 수도권에서는 서울특별시에 위치한 대구은행 3곳(을지로2가 서울영업부, 여의도지점, 강남지점), 경기도 안산시 반월산단지점에서만 충전할 수 있다. 대신 모두 점내 ATM이므로 충전하고 싶다면 오후 4시가 되기 전에 이용할 것. 자동충전카드와 모바일카드는 쓸 수 없다.

5. 한페이[편집]

  • 수도권(서울특별시, 인천광역시, 경기도)

  • 광주광역시

  • 대구광역시

  • 대전광역시

  • 부산광역시

  • 울산광역시

  • 세종특별자치시

  • 강원도

  • 경상남도(밀양시, 사천시, 양산시, 진주시, 창원시, 함안군)

  • 경상북도(경산시, 경주시, 구미시, 김천시, 문경시, 상주시, 영주시, 포항시, 봉화군[A], 예천군, 울진군, 의성군)

  • 호남권

  • 충청권

  • 제주특별자치도

6. 레일플러스 (한국철도공사)[편집]

2014년 10월 25일에 정식으로 출시되었다.

  • 수도권(서울특별시, 인천광역시, 경기도)

  • 부산광역시

  • 대구광역시

  • 광주광역시

  • 대전광역시

  • 울산광역시

  • 세종특별자치시

  • 강원도

  • 충청도

  • 전라북도

  • 전라남도(진도군, 화순군, 완도군, 구례군, 함평군, 해남군, 강진군 제외)

  • 경상북도(군위군, 영양군, 청송군[미시행] 제외)

  • 경상남도(거제시, 거창군, 고성군, 남해군, 산청군, 의령군, 창녕군, 통영시, 하동군, 함양군, 합천군, 함안군 제외)

  • 제주특별자치도(이마트24가 없는 지역은 농협(농협고객한정)및 CU에서 충전, 사용 가능)

카드 충전 여건이 나쁘다는 게 큰 단점. 레일머니 앱으로 NFC 충전을 하는 것 외에는 철도역 및 수도권 전철역, 스토리웨이, 이마트24, 씨유, 우리은행 ATM, 롯데ATM을 이용해야 한다. NH농협은행은 계좌이체 충전만 가능하므로 논외. 2018년 4월 17일에 출시한 대중교통안심카드는 스토리웨이, 이마트24에서 충전 및 사용 할 수 없다. 오직 CU, 철도역 및 수도권 전철역에서만 충전이 가능하다.

  • 동해선 정기승차권 카드

    • 동해선 광역전철

동해선 광역전철 전용 정기권 카드다. 가격은 2,000원. 정기승차권 카드를 구입한 후 충전하면, 30일 이내/60회 이내 탑승이 가능하다. 승하차역을 지정해야 하며, 지정역 이외의 역에서는 승하차 불가. 역무실에서 구입할 수 있으며, 탑승가능 횟수와 기타 사항들을 구입시 안내해 준다.

6.1. 코레일멤버십카드/KTX패밀리카드 (코레일네트웍스)[편집]

이 카드도 선불제 교통카드로 사용할 수 있다. 발급처는 한국철도공사가 아니라 자회사인 코레일네트웍스. 기반 시스템은 마이비이며, 티머니와 마이비를 쓸 수 있는 곳이면 어디든지 쓸 수 있다.(단 경기도, 인천, 대구, 경산, 세종, 대전, 포항, 안동, 영주, 문경, 상주, 봉화, 예천, 울진, 의성, 강진, 구례, 통영, 거제, 거창, 고성, 남해, 산청, 창녕, 하동, 함양, 합천, 제주특별자치도 소속의 모든 버스는 인식이 아예 안 된다.)

발매 초창기에는 수도권에서는 코레일멤버십카드를 발급하는 서울, 용산, 영등포, 광명, 수원역(현재 철수) 외에는 충전소가 없었기 때문에 사용에 애로사항이 있었으나, 현재는 코레일 전 구간 수도권 전철역에 설치되어 있는 1회용 교통카드발매 충전기에서 충전을 쉽게 할 수 있게 되었다. 그리고 전국에 철도역 매표창구에서도 모든 코레일멤버십카드를 충전할 수 있게 되었다.

그리고 마이비카드를 쓰는 모든 지역에서도, 교통카드 기능이 있는 코레일멤버십카드를 충전할 수 있게 되었다.

모든 티머니 충전기에서는 이 카드로 충전이 불가능하다.

2010년부터 발급처인 코레일네트웍스에서는 교통카드 기능을 제외한 버전으로 공급했다. 교통카드 기능이 있는 카드의 고장률과 인식불량률이 상당히 심각해서 2009년을 마지막으로 삭제됐다.[27] 다만 교통카드 기능을 제외했음에도 코레일 멤버십 카드 뒷면에 찍혀 있는 카드 번호는 현재 발행 중인 레일플러스 일반형처럼 2099로 시작한다는 특징이 있다. 2013년에 코레일 멤버십 카드의 발행도 전면 폐지되어 현재 코레일 멤버십 카드는 한국철도공사의 네임드급 철도역 내 라운지 출입용 카드 정도로 이용할 수 있다.

한국철도공사가 2014년 개통을 목표로 교통카드 정산센터를 구축하고, 여기에 맞춰서 전국호환 교통카드를 출시한다는 야심찬 계획을 세우고 있다. 이름은 예전에 코레일 멤버십 마일리지 이름으로 쓴 적이 있었던 레일플러스로 결정됐다. 다만 두 사업 모두 감사원으로부터 태클을 한 차례 먹은 상태인데 언론 보도가 많지 않아 실제로 사업이 진행되고 있는지 미지수였으나 2014년 10월 25일에 정식으로 출시됐다.

7. 공통 제약 사항[편집]

한국철도공사의 철도 승차권 구입시 무조건 매표창구에서만 사용이 가능하며, 티켓자판기에서는 사용할 수 없다. 명절 특별수송 기간에는 매표창구에 가더라도 선불교통카드로 결제할 수 없다. 코레일톡 어플에서도 선불 교통카드 사용이 안 된다.[28]

대중교통안심카드의 경우, 오직 버스나 도시철도에서만 이용이 가능하며 유통결제용으로는 사용이 안 된다.

[1] 790번, 영흥도 공영버스는 가능[2] 호환은 되지만 이 지역에서 구입과 충전이 가능한 곳은 없다.[3] 편의점 충전은 전국적으로 가능하나, 광주 도시철도 1호선과 대구 도시철도 역사 내에서는 티머니 충전이 불가능하다.[4] 청송사과 자판기는 교통카드 결제가 가능하다.[5] 경기 프리미엄버스는 애초에 예약제이고, 예약자가 등록한 교통카드를 통해서만 승차가 가능하기 때문에 현금승차가 물리적으로 불가능하다.[6] 인천국제공항철도 영종도 구간이나 광역전철의 강원도, 충청남도 구간[7] 카드번호가 16자리 숫자 표준형이 아닌 중간에 영문자가 들어간 비표준형이다. One Card All Pass 규격 티머니 발매 이후로 완전히 단종되었다.[8] 경상북도 군위군, 영양군, 청송군, 전라남도 진도군[9] GS25에서 결제나 홈플러스에서 짱플러스 구입이나 은행 ATM으로 충전은 가능. 예전에는 티머니 호환지역에서도 충전이 불가능한 지역이 있었으나, 대구는 2015년 4월부터 GS25에서 티머니의 구입 및 충전이 가능하며 2016년 7월부터 T-마일리지 충전이 가능하다. 광주는 2016년 4월부터 GS25에서 티머니의 구입 및 충전이 가능하다.[10] GS25에서 충전, 결제가 가능한 지역 #[11] 구형 마이비/이비카드 사용 불가능.[미시행] 12.1 12.2 12.3 [13] 전국호환 교통카드 기종이 아닌 기존 일반 캐시비 카드도 전국의 철도역에서 사용할 수 있다.[14] 카드번호가 16자리가 아닌 1,500원짜리 카드로, 카드번호 중간에 EBA(일반용), EBS(청소년용), 혹은 EBC(어린이용)라고 적힌 카드로, 인천/경기도에서 발행한 이비 티머니와 이비 유패스도 여기에 속한다. 이비 유패스는 수도권에서 인천광역시 및 경기도 버스, 서울 9호선, 신분당선, 인천국제공항철도, 의정부 경전철, 용인 경전철에서는 사용이 가능하지만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수도권 전철(상기 노선 제외)에서의 사용이 불가능하다. 그리고 EBA/EBS/EBC로 시작하는 구형 카드들은 2012년에 캐시비로 교환해 주는 행사를 열기도 했다.[15] 원주, 횡성의 경우 캐시비 신형 카드가 안되는 경우가 있었으나, 에러가 개선된 듯하다.[16] 2004년 7월 서울시내버스 노선 개편 전에 경기도와 인천광역시에서 발매된 카드로, 카드번호 중간에 EA(일반용) 혹은 ES(학생용)라고 적힌 카드[17] 빛고을카드는 수도권에서 인천광역시 및 경기도 시내버스, 서울 9호선, 신분당선, 인천국제공항철도, 의정부 경전철, 용인 경전철에서는 사용이 가능하지만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수도권 전철(상기 노선 제외)에서의 사용이 불가능하며, 충전은 부산은행에서만 불가능하다.[18] 광주 도시철도는 대학생에게도 할인 운임을 적용하기 때문에, 전국에서 유일하게 대학생용 카드를 별도로 발매한다. 단, 2016년 8월 1일 광주광역시 대중교통 요금 인상과 함께 대학생 요금제가 폐지되어 대학생 교통카드는 단종되었다. 광주광역시는 2011년 말에 마이비와 계약이 끝나고 한페이시스와 새로 계약했다.(단, 마이비는 한페이시스의 주식을 갖고 있다) 2014년 현재도 마이비 역시 정상적으로 사용 가능.

티머니 카드는 어디에서 살 수 있나요?

티머니카드는 티머니 마크가 부착된 곳이라면 어디서나 구매하실 있습니다.

교통카드로 문상살수있나요?

티머니 교통카드 충전 결제, 문화상품권도 쓸 수 있는 부비NFC.

관련 게시물

Toplist

최신 우편물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