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암 4 기 생존 기간 - pyeam 4 gi saengjon gigan

폐암, 4기 환자 5년 생존율도 높아져…기존 항암제+면역항암제 병용 효과 경희대병원 이승현 교수 “절망 말고 치료 적극 나서야” 2021-08-16
김영신

과거 폐암은 완치가 어려운 암으로 인식됐으며, 말기인 4기 환자들은 마땅한 치료법이 없어 조용히 여생을 준비하는 질환으로 여겨졌었다.
그러나 최근 표적치료제나 면역항암제 등 혁신 신약의 등장으로 말기 폐암 환자의 5년 생존율이 높아지고 있어 환자들에게 새로운 희망이 되고 있다.


◆초기 폐암 증상 전혀 없어…조기 검진 중요
폐암 1~2기 등 초기에는 증상이 전혀 없다. 일반적으로 기침, 가래, 호흡곤란 등 호흡기 증상이 가장 흔한 증상이지만. 이러한 증상으로 병원에 방문했을 때에는 이미 폐암 3~4기로 진행된 상태가 대부분이다.
조기검진이 매우 중요한 이유다. 또 뼈로 전이된 경우 이들 부위의 통증으로 정형외과를 방문하거나, 뇌 전이 시 어눌한 말, 편마비 증상으로 신경외과에서 진료를 받다가 폐암으로 진단되는 경우도 많다.


◆가장 기본 검사는 흉부CT…뇌 전이 많아 ‘뇌 MRI’ 필수
폐암이 의심될 경우 가장 먼저 흉부CT를 촬영한다. 
영상 소견에서 폐암이 의심되면 조직검사를 시행, 폐암을 확진한다. 조직검사는 외부에서 바늘로 찔러 조직을 얻는 방법과 기관지 내시경을 통해 조직을 얻는 방법이 대표적이다.
조직검사를 통해 폐암이 실제로 진단되면 병기 설정 및 전이 여부 판단을 위해 뇌 MRI 및 PET(양전자 단층촬영)를 시행한다.
폐암은 뇌로 전이되는 경우가 많아 뇌 MRI 검사는 필수이며, 뇌 이외 다른 장기로의 전이 확인을 위해서는 양전자 방출 단층촬영(PET)로 검사한다. 폐암 환자에게 뇌 전이는 치료가 매우 까다로운데, 일반적으로 전신 항암치료와 함께 감마나이프수술 또는 방사선 수술로 전이된 뇌 병변을 치료하면 치료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치료법은…초기 환자는 수술로 완치
치료는 여러 가지 방법이 있지만 크게 약물치료, 방사선치료, 수술로 구분된다.
▲수술
주로  초기 환자에서 완치를 목적으로 시행된다. 1-2기 또는 3기 중 일부 환자에서 수술 치료가 가능하다. 1기의 경우 수술로 치료가 끝나지만 2~3기는 수술 후 재발률이 높아, 수술 후 몸에 남아있는 암세포를 제거하는 보조항암요법이 추가된다.
▲방사선 치료
두 가지 목적으로 시행된다. 1~2기 초기 폐암으로 수술이 가능하나 환자의 전신 상태가 좋지 않거나 기저질환으로 인해 수술이 불가한 경우에는 방사선 수술로 암을 제거한다.
또 뼈나 뇌 등 다른 장기로 전이돼 통증이나 기타 증상을 유발할 경우 증상완화 목적으로 시행되기도 한다.
▲약물치료
세포독성항암제, 표적치료제, 면역항암제로 구분된다.
△세포독성항암제=지난 수십 년간 사용해 온 전통적인 항암제로 여전히 폐암치료에 널리 사용되지만 탈모, 구토, 울렁거림 등의 부작용을 유발할 수 있다.
△표적치료제=특정 돌연변이가 있는 암세포를 선택적으로 파괴하는 약제로서 돌연변이 검사에서 양성으로 나온 환자들에게 우수한 효과를 보인다. 면역항암제는 면역관문억제제가 대표적이며 기존 항암제와는 달리 암세포를 공격하는 것이 아니라 면역세포의 일종인 T세포를 활성화시켜 암세포를 사멸시키는 약제이다.
△면역관문억제제=단독으로도 항암효과가 입증되었지만 세포독성항암제와 병용하였을 때에도 우수한 치료 효과를 보인다. 이러한 면역항암제와 기존 항암제의 적절한 병용은 폐암 4기 환자에서 완치의 희망이 되고 있다.

폐암 4 기 생존 기간 - pyeam 4 gi saengjon gigan

경희대병원·후마니타스암병원 호흡기알레르기내과 이승현 교수는 “일반적으로 암 완치 판정은 5년 생존율을 기준으로 한다. 5년 생존율이란 암 진단을 받은 환자 중 5년간 생존하는 환자들의 비율이다”며, “초기 폐암은 수술로 완전히 암을 제거함으로써 완치 가능하고, 말기라도 새로운 신약, 방사선, 감마나이프 등 적극적인 치료로 생존율을 높일 수 있다. 따라서 환자들은 절망하지 말고 적극적으로 치료에 나서 최적의 치료를 받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메디컬월드뉴스 김영신 기자]

4기 폐암은 말기암이 아닙니다

이상철 기자

폐암 4 기 생존 기간 - pyeam 4 gi saengjon gigan
| 입력 : 2022/04/27 [10:17]

폐암 4 기 생존 기간 - pyeam 4 gi saengjon gigan

▲ 임정욱 교수

<여의도성모병원호흡기내과>

【후생신보】  진료현장에서 폐암 진단 받은 지 얼마 안 된 환자와 보호자들에게 설명을 하면 꼭 하는 질문이 있다. 바로 폐암이 많이 진행되었는지, 그리고 몇 기인지다.

전이 병소가 있거나, 악성 흉수 등이 동반되어 4기라고 말씀드리면 대부분 크게 실망하신다. 숫자 1부터 4 중 가장 큰 수가 가져오는 심리적 장벽 때문일 것이다. 그리고 향후 치료 계획에 대해서 주저 하시는 분도 많다.

폐암에서 4기란 주로 비소세포폐암의 기수를 얘기하는 것으로 1~4기 중 가장 진행된 기수를 말한다.

상대적으로 진행이 덜된 1~3기에 비해서 쉽지 않은 예후를 갖는 것은 사실이다. 주로 폐 외에 다른 장기에 전이된 소견이 있거나 다른 장기에 전이되지 않는 다 하더라도 악성흉수, 반대편 폐에 암병소 등이 있을 때 4기로 분류된다.

이전 비소세포폐암 항암치료의 유일한 치료수단인 백금 항암제는 진단 후 생존기간이 1년을 넘기 쉽지 않았고 그마저도 치료 중간에 많은 분들이 포기했다. 여러 가지 이유 때문에 4기 폐암을 ‘말기폐암’으로 생각하고 아예 치료를 받지 않는 환자들도 다수다.

그러나 폐암, 특히 비소세포폐암은 최근 눈부실 정도로 많은 치료법이 개발되었다.

비소세포폐암 진단시 표적항암치료제 사용 대상이 될 유전자 돌연변이 검사를 동시에 진행한다. 검사 소견 상 EGFR, ALK, ROS1 등의 유전자 돌연변이 동반된 것으로 나올 경우, 이에 맞춰 혈압약 처럼 매일 먹으면서 치료하는 항암제를 처방 받을 수도 있다.

경구로 복용하는 표적치료제를 사용할 경우 치료 반응률이 좋을 때는 4기 폐암이더라도 좋은 예후를 동반하는 경우가 많다.

실제로 진료중인 환자들 중에서도 2년 이상 치료 받으면서 잘 지내는 분들도 있다.

또한 환자 본연의 항암 면역작용을 항진 시키는 면역항암제 사용도 더 활발해지고 있다.

전술했던 표적항암치료제 대상이 아니더라도 적응증이 된다면 백금항암제와 면역항암제를 동시에 사용하는 치료도 가능해 좀 더 나은 치료 반응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아직 보험이 되지 않았지만, 새로운 유전자 돌연변이에 대한 표적치료제 및 더 나은 치료 반응을 위한 면역항암제 치료법도 개발 중이다.

뿐만 아니라 같은 4기 폐암이라도 전이 병소의 숫자와 위치에 따라 그 예후가 달라진다. 뇌, 뼈, 간 등에 전이가 된 암 병소에 대해서 국소적인 치료를 할 때, 하지 않을 때에 비해 그 예후가 더 좋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전이 병소에 대한 방사선 치료, 수술적 절제 등 적극적인 치료로 생존기간을 연장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4기 폐암은 말기 폐암이 아니다. 최근 10년간 폐암 치료는 발전을 거듭해왔다. 차세대 표적치료제, 면역 항암제는 등 다양한 치료 수단을 사용할 수 있게 된 현실에서 쉽게 절망할 필요가 없으며 최선의 치료 성적을 얻기 위해 의료진과 긴밀하게 협조해볼 필요가 있다.

폐암 4 기 생존 기간 - pyeam 4 gi saengjon gigan
기사 내용과 관련이 없는 글, 욕설을 사용하는 등 타인의 명예를 훼손하는 글은 관리자에 의해 예고 없이 임의 삭제될 수 있으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ġ�� ����' ������ ��ϡ� 4��� ���� �Ⱓ 5��

�̱ݼ� �コ���� ����

  • �� -
  • �� +

2019/10/15 09:12

[�� �غ�, ������ �Գ�] [2] ���� �� ����� 1�� '���' 2003�� ǥ��ġ���� '�̷���' ���ԡ� 4�� ��ϵ� 3~4�� ���� 2�� ���� �鿪�׾���, ��Ҽ������ ȯ�ڰ� �ֿ� ġ�� ��� ���� ��� ���� ȯ�ڴ� ��缱 ġ�ᡦ ���� �߰� ���� ����

���� �� ����� 1���� ����� 5�� �������� 1993~1995�� 11.3%���� 2012~ 2016�� 28.2%�� 20�� �� �� 2.5��� ��������. �������� 30%�� �ȵǴ� ���� ��������, �ֱ� �������� ũ�� ���ǰ� �ִ�. ���������� ǥ���׾��� ġ�ᰡ ��� ������ ��� ū ������ �ߴٰ� ���Ѵ�. �����Ϻ��� ��ϼ��� ����ö �������� "����� ȯ���� ������ 4�⿡ ������ �ޱ� ������ '��� ����'�� �������� �ϴ� �׾����� ��븦 �� ���ۿ� ����"�� ���ߴ�.

��ǥ���׾��� ���� �� 4�⵵ ��� ����

����� ������ ��������, 2000��� �ʹݺ��� ǥ���׾����� ���� ���ߵ� 4�⿡�� 3�� �̻� �����ϴ� ȯ�ڵ��� ����. ǥ���׾����� �ϼ������� ���� �����Ǵ� Ư�� �ܹ��� ���� ǥ������ ��� �ϼ����� ��� ���̴� �׾����̴�. ���� �ڶ�� ������ ������������ ���̴� ���� ���� �׾����ʹ� �޸� ���ۿ��� ���� ġ�� ȿ���� ����.

���� ��� 2003�� ���� ���Ե� '�̷���'�� ��� ��Ͽ� EGFR(���Ǽ��� �������� ����ü) ������ ���̰� �߰ߵ� ȯ�ڰ� �� �� �ִ�. EGFR ������ ���̰� �ִ� ����� Ư�� ȿ��(Ƽ�ν�Ű����)�� ���� ���� �����ϴµ�, �̷���� �� ȿ���� �ۿ��� ���������� ������ �� ������ ���´�. �Ѹ��뼺�ɺ��� ���� ����� ������ "�̷��� ���� �� ��� ġ���� �з������� �ٲ����"�� ���ߴ�. ���� ���� ���� �׾����� ��� 4�� ��� ������ ������ ��� 8���� ���� �������, �̷��� ������ �ϸ� ��� 3~4���� �����Ѵ�. ����ö �������� "��� 4�� ������ ������ ���� �״´ٰ� ����������, ǥ��ġ���� �������� ġ�Ḧ �غ����� ������ ���Ⱑ ���� ���̴�"�� ���ߴ�.

폐암 4 기 생존 기간 - pyeam 4 gi saengjon gigan

�� /��Ƽ�̹�����ũ

�� �� 'Ÿ����' '����Ʈ��' 'Ÿ�׸���' ���� ǥ��ġ������ ���ߵǰ�, EGFR �̿ܿ� ALK, ROS1 �� �ٸ� ǥ���� ������� ���� ġ������ ���Դ١�ǥ��. �׷��� ǥ��ġ������ 10���� ���� ���� ������ �����. �� �� �ٸ� ǥ��ġ������ �ٲ� ��� �Ѵ�. ����ö �������� "������Ƽ��, ����Ʈ��Ƽ�� ���� ��� �ž� �ӻ���赵 Ȱ���� ���� ���̹Ƿ� ���� ȯ�ڴ� �ž��� ������ �����ϴ� ġ�� ������ ¥�� ��� ������ �� �� �ִ�"�� ���ߴ�.

����� �鿪�׾��� ġ�� ȿ���� ���� ���̴�. �鿪�׾����� ��ü�� �鿪 ü�踦 ��ȭ�� �� ������ ���ִ� ������, ����� 2�� ������ ���ǰ� �ִ�. ��� �������� PD-L1 �ܹ����� 50% �̻� �����Ǵ� ��Ҽ������ ȯ�ڰ� �ֿ� ����̴�. ����� ������ "���༺ ��Ҽ������ ȯ���� 4�� �������� 14%��, ���� ���� ���� �׾��� 5%�� ���� ȿ���� �����ϴ�"�� ���ߴ�. �鿪�׾����� ȿ���� ���ؼ��� �̰��� ������, 14~20%�� ȯ�ڿ��� ���� ������ ������, ġ�ᱺ ������ ������ ���� �ִ�.

�޼��� ����� ���� ȯ��, '��缱 ����'

����� 70�� �̻� ȯ�ڰ� 51.8%�� �ȴ�(���������ȸ). �����̶� ��� ������ �ߵ�� ����� ������ �ǴܵǴ� ��� ���� ���� ��缱 ġ�ᰡ Ȱ���� �̷����� �ִ�. '��缱 ����'�̶�� �˷��� ������ ��缱 ġ��(SBRT)�� ��ǥ���̴�. ������ ��缱 ġ��� �Ͽ� �������� ��缱�� ������ ��ġ ����ó�� ������ ���� �ð� ���� �����Ѵ�. �Z���ﺴ�� ��缱�����а� ǥȫ�� ������ "�� ���� ���� ���� ��缱�� �����ϱ� ������ 1�� ��Ͽ��� ġ������ 90% �̻����� �˷��� �ִ�"�� "���� ���� 4ȸ ���� ġ���ϸ� ���� ���ŵDZ� ������ ȯ�� �������� ����"�� ���ߴ�. �ٸ� �� �ֺ����� ū ����, �����, �ĵ� ���� ��缱�� ����� ���������� ����� �Ѵ�. �Ϲ������� 5�� �̸��� ���� ��Ͽ� ������ �� �ִ�. ���� 3�� ���� ��� �����ϰ� �ϸ� Ÿ���ϴ� ����������缱ġ��(IMRT)�� �׾����� ���ÿ� �Ἥ ġ������ ����ϴ� �õ��� Ȱ���ϴ�. ǥ ������ "COPD(������⼺����ȯ)�� ����ȭ������ ������ ũ�� ������ ����� �� �ջ� ���ۿ� ������ �Ϲ����� ��缱 ġ�ᳪ ������ �� �޴´�"�� "�缺�� ġ�ᵵ �õ��غ� �� �ִ�"�� ���ߴ�.

����ϵ� '�ּ�ħ��' ���������� ��ġ�� ���ؼ��� �ᱹ ������ �ؾ� �Ѵ�. �׷����� ����� ���� �߰��� �� �� ���� ȯ�ڰ� ����. �Ϲ������� 3�� �ʱ����� ������ �õ��غ� �� �ִ�. �̴뼭�ﺴ�� ��οܰ� ����ȯ ������ "���ſ��� ���� ȯ�ڰ� 20%�� �Ұ�������, ����߰��� �ø鼭 �ֱٿ��� ���� ȯ�ڰ� 30~40%�� ũ�� �þ���"�� ���ߴ�. ������ '�ּ�ħ��'������ �����ϰ� �ִ�. ���ſ��� �ܵ���� �Ʒ����� 20~30�� ũ�� ������ ȯ�� ȸ���� ���� �ð��� �ɷȴ�. ���򿡴� ���� �䰭���̶�� ������ ����ϴ� ��찡 �� ����. �ܵ���� �Ʒ� 0.5~1�� ũ���� ���� ���� 2~3���� ���� �� ������ ������ ������ ���� 3~5�� ũ���� ����â�� ����� ���ð� ī�޶�� ������ ������ �ְ� ������ �Ѵ�. ����ȯ ������ "���� �� ������ ���ϰ� ȸ���Ⱓ�� ����� ���ɿ����� ��� ������ �����ϴ�"�� ���ߴ�.

����, ���� ȯ�ڸ� �ø��� ���ؼ��� ���� �߰� ȯ�ڰ� �þ�� �Ѵ�. ���� 7������ �����ϰ����� ����� ���Ե� �� 54~ 74���� 30����(���� �� ���� 30�� �ǿ�) �̻� ��踦 �ǿ� �����ڵ��� ������ ��� CT�� ���� �� �ִ�. �׷��� �Ƿ�� �Ϻο����� ���������� ����ϰ� �ִ�. ����� ������ "��� ������ ���� ���� ���� �߰��ϰ� ������� ���ߴ� ȿ���� ��Ը� ������ ���� ��������"�� "��� ��� ȿ���� ���ؼ��� ������ �����Ƿ� ���� �� �����ϰ� ���� ����ڸ� �������� �� ��"�̶�� ���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