빨래 쉰내 구연산 - ppallae swinnae guyeonsan

안녕하세요.
깨끗한 집은 만들어 가고 싶어하는 비비 공주입니다.

빨래가 많이 신경쓰이는 여름 철이 되었습니다.
깨끗히 세탁한 다고 해도 냄새가 나는 것 같고, 빨래가 잘 마르지 않아서 냄새가 나기도 합니다.
여름철은 정말 빨래 말리는데 정말 신경이 많이 쓰이는 계절이지요.
이번 에는 냄새 걱정 없는 세탁 방법에 대해서 소개해 들리겠습니다.

비만 오면 빨래가 마를지 않을까봐 고민 많이 되셨죠?
제습기 사용도 한계가 있더라고요.
저 처럼 출근 하는데 바쁜 사람은 제습기를 틀어놓고 출근을 할 수 없기 때문에 퇴근하고 나고 빨래 마른 상태를 보고 냄새를 없애기위해 2차적인 방법을 다시 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습니다.

이젠 고민 끝~~~~

빨래 냄새는 크게 볼때 잘 마르지 않아서 난는 빨래 냄새와, 섬유에서 나는 냄새로 구분 지을 수 있는데 이 두가지를 모두 잡는 방법을 공개 하겠습니다.

일단 이 두가지 방법을 출발이 같아야 합니다.
바로 !!!
세탁하는 방법입니다.

과탄산소다와 구연산


과탄산 소다가 섬유속의 눌어 붙은 떄를 잡아주고 살균 소독 작용을 하게 되어서 냄세까지 잡아주는 원리로

세탁기에 빨래가 들어간 사진

검은 빨래만 모아서 하려다가 하루 이상 세탁기 안에거 문닫혀서 지낸 빨래들입니다.
여름이다 보니 냄새가~~~~~~ㅠㅠ

일부러 그런건 아닌데 여름철에는 세탁기 자체 적으로도 세균이 많이 만들어 지나 봅니다.
평상시 세탁기 문을 좀 열어 둬야겠어요..ㅠㅠ

빨래에 과탄산 소다를 바로 넣어준 사진

일단 세탁을 하기위해 세탁기를 기본 세탁기 코스로 맞춰둡니다. 그리고 가장 중요한 천연세제가 필요하지요
과탄산 소다입니다.

저는 세탁할 때 과탄산 소다를 자주 서용해는 편인데요 특히 흰빨래 할때는 반드시 사용하고요.

색깔옷이나 검은색 빨래를 할 경우는 가끔씩 사용합니다.

그리고 과탄산이 빨래에 들어갈 경우 이염될 걱정이 없다면 세탁온도는 60도로 맞춥니다.

냄새가 많이 나던 세탁기와 빨래들이 살균 소독되는 과탄산 덕분에
쉐킷, 쉐킷~~~
냄새 사라지는 소리 인가요?...ㅎㅎ

섬유유연제 칸에 구연산을 넣어준 사진

이번에는 섬유 유연제 투입구에 구연산을 넣습니다.
마지막 행굼물에 사용되는 구연산은 과탄산 소다 처럼 살균 ,소독, 탈취기능을 하는 세제이지요
구연산의 사용량은 1스푼이면 충분하고 구연산의 양은 빨래의 양에 따라 20g ~ 50g이 적당하답니다.

일단 베이킹소다처럼 과탄산 소다가 냄새를 잡아 준다는 것은 다들 잘 알고 계시죠?
과탄산 소다는 악취의 원인이 되는 물질과 반응을 해서 냄새를 없애기로 유명합니다.
또한 세탁물의 때를 제거하는데오 한몫을 단단히 다하보니 세탁할 때 사용하면 냄새도 잡고 때도 없애는 1석2조의 효과를 보게 됩니다.

구연산은 섬유 린스 대신에 사용할 수 있는데요. 구연산을 세탁물에 사용할 때는 구연산이 세탁물의 일부 세균잡는 것을 도와주기 때문에 빨래의 쉰 냄세를 효과적으로 잡아 준답니다. 또 섬유린스처럼 빨래를 부드럽게 만들어주기도 합니다.

우리가 빨래를 할 때 행굼을 아주 잘 해준다 하더라도 세제에 의한 알칼리 성분이 남아있기 마련인데요.
이렇게 옷에 남아 있는 알칼리 성분이 옷을 서서히 상하게 한다고 합니다. 그래서 옷의 색을 탁하게 변색된다던지 뻣뻣한 옷이 된다던지 하는 경우가 남아 있는 세제의 잔류성분 때문이라고 합니다. 그래서 이런 알칼리 상태의 옷을 중화시키기 위해 행굼단계에서 구연산 처리를 해주는게 습관이 되는게 중요하다는 시실을 저도 이번에 공부하게 되었습니다.
이렇게 했을 때 알칼리 성분으로 제거가 안되던 산성 오염도 일부 자연적으로 제거 할 수 있다고 하니 행굼단계에서 구연산을 사용한는 습관을 저부터 들여가 겠습니다.

방금 나온 빨래들입니다.
냄세가 정말 사라졌네요.

냄새 없이 깨끗하게 세탁된 옷 사진

어기 이 티셔츠 카라부분은 잘 말려지지 않거나 빨래 냄세가 잘 없어지지 않았을 때 마르고 나서도 냄새가

안없어지더라고요. .
그래서 옷에다 뭔가를 뿌려야지만 냄세를 조금 죽일 수 있었답니다.
세탁하기전 세탁기 안에 갖처서 냄새가 심했던 빨래들인데

감쪽같이 냄새가 사라졌습니다.

다시 한번 정리해 드릴게요
첫째, 세탁기안 세탁물과 함께 과탄산 소다르 반컵을 넣어주고 세제와 함께 세탁기를 돌린다.
둘째, 세탁기의 섬유유연제 투입구에 구연산 1스푼을 넣어 주여 구연산 행굼이 되도록 해준다.

장마가 길어지면서 쾌쾌한 쉰내가 나는 옷들이 하나둘씩 늘어나기 시작했다. 더 이상은 안 되겠다 싶어, 여러 가지 정보들을 찾아보고 실행한 몇 가지 방법들을 기록. 효과도 꽤 좋았던 방법들이므로 주기적으로 해야겠다.  

ⓒpixabay

세탁조 청소

쉰내가 나는 원인은 악취를 일으키는 곰팡이나 세균이 번식했기 때문이므로 간단한 세척만으로는 제거가 안된다고 한다. 특히 세탁조에 생긴 곰팡이는 빨래의 쉰내를 유발하는 가장 흔한 원인이므로, 쉰내가 난다면 세탁조 청소를 가장 먼저 실행해보자.

내가 선택한 방법은 과탄산소다와 구연산을 이용한 방법. 시중에 판매되는 세탁조 청소제는 세탁기 내 부품을 노후시킨다고 하여 천연 세제를 활용한 방법을 선택했다. 

  1. 온수로 물 최대로 채우고 과탄산소드 500그램 넣기
  2. 세탁코스 30분을 돌리고 멈춤
  3. 그대로 4~5시간 이상 불린다 (저녁때 불려두고 자기)
  4. 떠다니는 부유물 제거 (옷걸이에 스타킹을 잘라서 세 겹 겹쳐서 건져내면 효과적)
  5. 구연산 넣고 헹굼+탈수 3~4번
  6. 먼지망, 세제통도 분리하여 뜨거운물에 과탄산소다 풀어서 불렸다가 칫솔로 닦기

잠들기 전 불려놓고 아침에 일어나 보니 먼지들이 둥둥 떠 있었다. 냄새를 유발하는 곰팡이와 세균들이 모두 나온 것 같아 개운하면서도 한편으로 그동안의 나를 반성하게 되었다. 부유물을 모두 거둬내고 마무리까지 완료! 깨끗한 세탁조로 탈바꿈하였다.

흰 옷은 과탄산소다, 색깔 옷은 탄산소다(워싱소다)

쉰내가 많이 나는 옷들은 따로 빼내어 애벌빨래를 하였다. 간단한 손빨래 후, 따뜻한 물에 과탄산을 넣고 불려두었다가 세탁기에 넣고 세탁하였다. 이때 중요한 것은 옷의 옷감을 확인하여 가능한지를 판단해야 한다. 우리 집은 주로 쉰내가 나는 옷들이 면티셔츠들이라 전부 이렇게 세탁하였다.

그리고 물 빠짐 걱정이 없는 흰 옷의 경우 과탄산소다가 가능하지만, 색깔 옷의 경우 탄산소다(워싱 소다)를 이용하고 불리는 시간은 최소한으로 하는 것이 좋을 것 같다.

섬유유연제 대신 식초

섬유유연제의 경우 물을 머금고 있는 특성이 있어 장마철 같이 빨래가 잘 마르지 않을 경우, 오히려 쉰내를 일으키는 원인이 된다고 한다. 마지막 헹굼 단계에서 섬유유연제 대신 식초를 반 컵 넣어보았다. 빨래가 다 마르고 난 후 우려와 달리 식초 냄새도 나지 않고 쉰내도 나지 않았다. 그리고 섬유유연제를 사용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옷들도 뻣뻣하지 않았다. 만족스러운 결과였기에 종종 섬유유연제 대신 식초를 활용해야겠다.

세 가지 방법으로 빨래를 하고 옷에서 나는 쉰내는 모두 잡혔다. 세가지 중 어느 방법이 가장 효과적이었는지는 알 수 없으나, 쉰내를 잡았으니 세탁조 청소도 주기적으로 해주고, 섬유유연제와 식초를 번갈아 사용해야겠다.  

Toplist

최신 우편물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