냉장고 소비전력 차이 - naengjang-go sobijeonlyeog chai

냉장고는 식재료의 보관을 위해 한번 전원을 연결하면 특별한 일이 있지 않는 이상, 365일 24시간 내내 켜놓게 됩니다. 때문에 새 냉장고 구입 시에는 전기 요금을 미리 계산하여 비교하게 되는데 ‘에너지소비효율등급’으로 쉽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냉장고 1등급, 2등급, 3등급 차이와 전기 요금을 비교해보겠습니다.

  에너지소비효율등급 의미

냉장고, 김치냉장고, 에어컨, TV, 세탁기, 건조기, 청소기, 제습기, 전기밥솥, 냉온수기 등 에너지를 사용하는 33가지 품목은 한국에너지공단에 에너지 비용과 사용량, 이산화탄소 배출량 등의 정보를 제출하여 1~5등급 중 하나의 등급을 부여받게 됩니다.

등급이 높을수록 에너지 사용 비용은 낮고, 사용량은 많다고 보면 됩니다. 즉 효율이 높고 성능이 우수하다는 것입니다.

  냉장고 에너지효율등급 기준

효율등급은 해당 제품의 월소비전력량을 최대소비전력량으로 나눈 R값이 어느 범위에 포함되어 있는지를 기준으로 결정됩니다. 2021년 10월을 기준으로 소비효율등급 기준이 상향 조절되기 때문에, 출시 때에는 1등급이었던 제품이 추후 2등급이나 3등급이 되기도 하는데 이에 따라 효율 1등급 가전은 전체의 10% 미만이 될 것이라고 합니다.

  냉장고 1등급, 2등급, 3등급 차이

구분 1등급 2등급 3등급
연간소비전력량 310.8kWh 354.6kWh 379.1kWh
연간에너지비용 50,000원 56,800원 61,000원
연간CO2배출량 132.1kg 150.7kg 161.1kg

※ (출처) 한국소비자원 보고서

//www.kca.go.kr/

한국소비자원에서는 가전제품의 등급에 따른 실제 사용에서의 차이를 파악하기 위한 조사를 진행하였습니다. 이를 통해 냉장고의 등급별 차이부터 살펴보겠습니다. 소형냉장고 제외, 800L 용량의 전기냉장고 대상이며 전기 요금을 1kWh당 160원의 단가를 곱하여 계산, 이산화탄소 배출량은 1Wh당 0.425g을 곱하여 계산한 값입니다.

그 결과, 1등급 냉장고의 연간 소비전력량은 약 310.8kWh, 2등급 354.6KWH, 3등급 379.1kWh이며 최저인 5등급은 570.4kWh라고 합니다(전기 요금을 1kWh당 160원의 단가를 곱하여 계산, 이산화탄소 배출량은 1Wh당 0.425g을 곱하여 계산).

연간 사용 요금은 1등급 냉장고가 5만원, 2등급 냉장고가 56,800원, 3등급 냉장고가 61,000원 그리고 5등급은 91,000원입니다. 냉장고 1등급, 2등급은 연간 전기 요금이 6,800원 가량 차이 나고 1등급과 3등급은 11,000원 그리고 1등급과 5등급은 무려 41,000원이나 차이 나는 것입니다.

연간 이산화탄소 배출량은 1등급 132.1kg, 2등급 150.7kg, 3등급 161.1kg, 5등급 242.4kg으로 많게는 110.3kg만큼 다르다고 계산되었습니다.

  김치냉장고 1등급, 2등급, 3등급 차이

구분 1등급 2등급 3등급
연간소비전력량 136.8kWh 147.6kWh 156.0kWh
연간에너지비용 22,000원 24,000원 25,000원
연간CO2배출량 58.1kg 62.7kg 66.3kg

이번에는 김치냉장고입니다. 많이 이용되는 300L~400L 용량의 제품들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입니다.

1등급 김치냉장고는 연간 136.8kWh를 소비하여 월 22,000원 정도의 전기 요금이 지출됩니다. 2등급 김치냉장고는 1년에 147.6kWh의 전력을 소비하여 연 24,000원의 전기 요금이 계산됩니다. 3등급 김치냉장고는 연간소비전력량 156kWh로 연 25,000원의 비용을 내야 합니다. 1등급과 3등급의 김치냉장고 연간 사용 요금은 3천원인 셈입니다.

이 외에 이산화탄소 배출량의 차이도 있습니다. 등급별 배출량은 각각 58.1kg, 62.7kg, 66.3kg 정도이므로 자세한 내용 표를 통해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구매 가격 비교

살펴본 것처럼 1등급 효율 제품을 구매하면 직접 사용하면서 지불해야 하는 월 전기 요금이 최소화된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그리고 이 외에도 환급제도를 통해 제품 구매 시 지출한 금액 중 일정 비율(10%)을 다시 돌려받을 수 있어, 보다 경제적입니다.

에너지효율 1등급 가전제품 환급제도는 매년 시행되고 있는데 정해진 예산이 소진되기 전까지만 지급 가능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연관 포스팅을 통해 확인해 보시기를 추천합니다.

[관련 포스팅] 으뜸효율가전 환급 신청 및 기간

으뜸효율가전 환급 신청 및 기간

가전제품에는 각 기기의 효율성을 알려주는 에너지효율등급이 스티커로 표시되어 있습니다. 효율이 높은 가전을 이용하면 소비자 입장에서는 전기세가 절약되고 기기를 오래 사용할 수 있어

52gram.tistory.com

냉장고 효율등급 차이 비교

성능이 좋은 1등급 가전을 구매하면 구매 비용을 일부 환급받을 수 있고 실제 지출되는 월 비용이 저렴한 것 외에도, 고장이 적고 내구성과 안전성이 확인되어 오랫동안 문제 없이 사용할 수 있습니다. 냉장고 외에 집 안의 가전제품을 모두 1등급으로 바꾸면 보다 큰 폭의 절약도 가능하니 고효율 제품을 선택하시기 바라겠습니다.

  • TV
  • 전기세탁기
  • 드럼세탁기
  • 에어컨
  • 전기진공청소기
  • 가정용가스보일러
  • 전열기
  • 에너지절약 효과 비교

에너지소비효율등급표시제도

에너지소비효율 1등급 제품은 다른 제품에 비해 에너지절약 효과가 월등하여 상당한 에너지절약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전기냉장고, 전기냉방기, 전기밥솥 등 주요 가전에 대해 연간 소비전력량과 에너지비용을 비교한 자료는 아래와 같습니다. 신고제품 현황이 변화하고 효율등급별 시장 점유율 등에 따라 지속적으로 기준강화를 시행하므로 에너지절약 효과는 다소 달라질 수 있습니다 (2017년 하반기 기준)

품목별 주요용량별 소비전력량 및 전기요금 비교(1:3:5등급)

1등급3등급5등급품목 및 규격연간소비전력량
(kWh)연간에너지비용
(원)연간소비전력량
(kWh)연간에너지비용
(원)연간소비전력량
(kWh)연간에너지비용
(원)
전기냉장고(830L) 369.8 59000 449 72000 588.4 94000
전기세탁기 일반(15kg) 10.3 2000 31.9 5000 50.4 8000
드럼(17kg) 119.1 19000 151.9 24000 206.3 33000
텔레비전수상기(80cm) 63.5 10000 122 20000 321.9 52000
전기냉방기(6500W) 247.6 96000 350.4 136000 653.2 252000
전기밥솥(10인용) 196.3 31000 224.9 36000 270.9 43000

고효율에너지기자재인증제도

주요 고효율인증 대상품목인 LED의 경우, 에너지효율이 기존 조명에 비해 매우 우수함은 물론 다양한 경제적, 환경적 효과가 커서 현재 활발한 제품 인증 및 보급지원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대표적인 저효율조명기기인 백열전구와 고효율조명기기인 안정기내장형램프와 LED램프를 비교한 자료는 아래와 같습니다. (2010년 12월 기준)

구분백열전구안정기내장형램프컨버터내장형 LED램프
소비전력 30~100W(60W) 12~20W(15W) 5~15W(10W)
광효율 10~15 lm/W 45~80 lm/W 50~60 lm/W
수명 1,000시간 6,000시간 50,000시간
가격(60W형 기준 추정 가격) 500~800원(700원) 2,200~6,600원(6,000원) 15,000~160,000원(50,000원)

일반조명 대비 LED조명의 특징

  • 광변환 효율이 높아 소비전력이 매우 적다.(90%까지 절감 가능)
  • 최대 10만시간까지 사용이 가능하다.(백열전등의 100배)
  • 점등 및 소등 속도가 매우 빠르다.
  • 가스필라멘트가 없기 때문에 충격에 강하고 안전하다.
  • 수은을 사용하지 않아 환경친화적이다(백열등, 형광등은 수은을 사용)

대상제품오프모드(W)슬립모드(W)수동대기모드(W)능동대기모드(W)저감기준저감기준저감기준저감기준
컴퓨터 데스크탑 모니터 일체형 ≤1 ≤5    
노트북 ≤1 ≤3    
모니터 ≤0.5 ≤2    
프린터 ≤0.5      
팩시밀리 ≤2 W      
복사기
(팩시밀리 기능 있는 제품)
≤2 W      
스캐너
(오프모드 있는 제품)
≤0.5 ≤12 W    
복합기
(팩시밀리 기능 있는 제품)
≤1      
절전 제어장치 ≤0.5      
오디오 ≤1 W   0.5 W 8 W
DVD 플레이어 ≤1 W      
라디오 ≤1 W      
전자레인지 1 W      
도어폰(단순기능) 1 W      
유무선 전화기(휴대) 1.3 W      
비데
(자동누전차단기 있는 제품)
≤2 W      
모뎀
(xDSL)
≤0.75 W    
홈게이트 웨이   ≤10 W 6.10  

* 저감기준(대기전력저감기준) : 제품유형에 따라 상이한 기준을 적용하는 경우 주력 제품유형을 기준으로 하고, 추가허용치 등을 고려하지 않은 기본 값을 적용하였음

Toplist

최신 우편물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