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명6 건설자 사용법 - munmyeong6 geonseolja sayongbeob

0. 잡설

지금 까지 우리가 생산한 유닛을 돌이켜 보자.

정찰병 2개 뽑았다. 끝이네? 이것 저것 설명하느라 늦어졌다.

이번 편은 건설자 편이다. 난 보통 정찰병 2개 뽑으면 '장인 정신' 사회 제도 개발을 위해 건설자를 뽑는다.

이게 정답인건 아니지만 무작정 따라하기니까 일단 따라해보자.

읽기 귀찮으면 건설자 하나 뽑아서 아무 타일이나 3개 개발해라.

+ 골드가 모이면 투석병사랑 상인을 사라.

1. 일단 건설자를 뽑자.

정찰병 누르던 때 처럼 생산버튼 누르고 정찰병 위의 건설자 버튼을 누르자.

2. 건설자는 시설을 건설할 수 있다.

자 이게 건설자다.

건설자는 기본적으로 3회의 시설 건설 기회를 가진다. (추가할 수 있는 방법이 있지만 여기선 패스)

또 파괴된 시설을 수리할 수 있는데 수리는 건설이 아니라서 무제한 가능하다.

3회의 건설 기회를 모두 소모하면 사라진다.

위 스샷을 보자. 농장을 지을 수 있다고 표시되어 있다.

아무 자원이 없는 평지나, 쌀, 밀 등이 있는 타일에서는 농장을 건설할 수 있다.

이 경우 기존의 타일 생산량에서 식량이 1추가로 생산되는걸 확인할 수 있다.

시설에는 여러가지 종류가 있다. 위 스샷의 농장, 재배지, 채석장, 광산, 어선, 제재소 등이 있다.

농장에서는 식량이 1추가로 주지만 다른 곳은 다른 재화를 추가로 부여하는 경우도 있다.

이 모든걸 여기서 설명하기는 무리라고 생각한다.

다만 건설자는 타일을 개발할 수 있고 (일부 타일 제외 : 산, 호수, 바다 등등)

타일을 개발하면 산출량이 높아진다는 것만 알고 넘어가자.

3. 건설자는 시설을 수리할 수 있다.

스샷이 없어서 미안하다. 아직 게임을 여기까지 진행을 못했다. 말로만 하겠음.

일단 시설이 파괴되는 경우를 알아야 하는데

1) 전쟁으로 약탈당한다.

2) 자연재해로 파괴된다.

정도가 있다. 이 경우 타일의 산출량은 개발하기 전으로 돌아가며

건설자의 시설 건설 기회를 소모하지 않고 스패너 모양 아이콘의 수리기능을 통해 다시 시설을 복구할 수 있다.

(위 스샷에는 스패너 모양 아이콘이 활성화되지 않아서 안 보인다. 파괴된 시설 위해서만 스패너 아이콘이 활성화 되서 볼 수 있다.)

주의) 나중에 배우게 될 특수지구는 파괴되더라도 건설자로는 수리할 수 없다. 건설자로 건설한 시설이 파괴된 경우에만 건설자로 수리할 수 있다는 것을 알자.

4. 건설자는 지형특성을 제거할 수 있다.

자 여기 건설자가 숲위에 있다.

숲은 제거할 수 있는 지형 특성이다.

하단 버튼에 지형 특성 제거를 누르면 생산력을 19얻을 수 있다고 되어 있다.

그러면 공중정원의 생산 완료까지 걸리는 턴 수가 4턴에서 3턴으로 줄어든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생산력 19를 얻었기 때문이다.

지형 제거를 통해 생산에 걸리는 시간을 줄일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대신 지형제거도 시설 건설과 마찬가지로 건설 횟수 1회를 소모한다. 이건 유의하자.

이걸 감안하더라도 굉장히 유용한 기능이다.

대신 기존에 숲이 있어서 생산력 2와 식량 2를 제공했던 타일이

생산력 1과 식량 2를 부여하는 타일로 너프가 됐다.

쉽게 말해서 산출량을 땡겨쓴다는 개념이라고 보면 된다.

그리고 숲이 있어서 못 짓고 있던 광산을 이제 지을 수 있게 되었다.

광산을 지으면 생산력 +1을 도로 주는 모양이다.

제거할 수 있는 특성으로 숲, 습지, 열대우림 등이 있다.

제거할 수 없는 특성으로 산, 언덕, 전략자원과 사치 자원 등이 있다.

다만 70~80년대 대한민국 군대의 사단장이라면 산과 언덕을 제거할 수 있을지도 모른다.

건설자로 타일을 3개 개발하면 앞서 말했듯이 장인 정신의 영감 조건을 충족시킬 수 있다.

다만 지형특성 제거는 이에 해당하지 않으니 첫 건설자는 가능한 시설 건설에 투자하도록 하자.

그리고 제일 위에 큰 글씨로 적었는데 투석병사랑 상인은 골드로 사두자.

얘네는 따로 안 다룰 거라서 여기에만 가볍게 적고 넘어감.

타일 시설을 건설하거나 숲 또는 열대우림 같은 지형 특성을 제거하거나, 자원을 수확할 수 있습니다. 건설자는 3회의 건설 횟수를 가질 수 있습니다. 이 건설 횟수는 정책 또는 피라미드와 같은 불가사의를 통해 증가할 수 있습니다.

어떤 시대가 됐든 항상 농장, 울타리, 광산, 도로, 교각과 배수로를 비롯한 '문명'의 각종 기반을 건설하는 데 동원되는 노동자들이 있습니다. 노예, 임금 노동자, 도급업자나 개인을 비롯한 이 '건설자'들은 황무지로 흩어져 땅을 일구어 생산성과 수익성을 높입니다. 또한, 이들은 이렇게 일군 시설이 제대로 운영될 수 있도록 관리하고 보수합니다. 이러한 남성들과 여성들이 없었다면 문명은 생존하지 못했을 것이며 20세기 초까지는 어린이도 여기에 포함되었습니다. 비록 기술과 기계가 확실히 도움은 되었지만, 국가의 수많은 공공시설을 건설하고 관리하는 일은 매우 고되고 지저분하며 위험합니다. 2013년에는 미국의 건설업계에서 828명의 사망자가 발생했고 영국에서는 46명이 목숨을 잃었습니다.

요구사항

기본 비용: 50

문명6 건설자 사용법 - munmyeong6 geonseolja sayongbeob
생산력

기본 비용: 200

문명6 건설자 사용법 - munmyeong6 geonseolja sayongbeob

타일 시설을 건설하거나 숲 또는 열대우림 같은 지형 특성을 제거하거나, 자원을 수확할 수 있습니다. 건설자는 3회의 건설 횟수를 가질 수 있습니다. 이 건설 횟수는 정책 또는 피라미드와 같은 불가사의를 통해 증가할 수 있습니다.

어떤 시대가 됐든 항상 농장, 울타리, 광산, 도로, 교각과 배수로를 비롯한 '문명'의 각종 기반을 건설하는 데 동원되는 노동자들이 있습니다. 노예, 임금 노동자, 도급업자나 개인을 비롯한 이 '건설자'들은 황무지로 흩어져 땅을 일구어 생산성과 수익성을 높입니다. 또한, 이들은 이렇게 일군 시설이 제대로 운영될 수 있도록 관리하고 보수합니다. 이러한 남성들과 여성들이 없었다면 문명은 생존하지 못했을 것이며 20세기 초까지는 어린이도 여기에 포함되었습니다. 비록 기술과 기계가 확실히 도움은 되었지만, 국가의 수많은 공공시설을 건설하고 관리하는 일은 매우 고되고 지저분하며 위험합니다. 2013년에는 미국의 건설업계에서 828명의 사망자가 발생했고 영국에서는 46명이 목숨을 잃었습니다.

요구사항

기본 비용: 50

문명6 건설자 사용법 - munmyeong6 geonseolja sayongbeob
생산력

기본 비용: 200

문명6 건설자 사용법 - munmyeong6 geonseolja sayongbeo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