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류 센터 종류 - mullyu senteo jonglyu

물류센터에는 여러 종류가 있습니다.

일반적인 물류센터 이외에도 가공센터, 반품센터, 재활용센터, 보세창고 등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각각의 물류센터의 특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일반적인 물류센터


일반물류센터에서는 기능 면에서 크게 DC(Distribution Center)TC(Transfer Center)로 구분됩니다.

DC센터와 TC센터의 구분은 쉽게 말하면 재고를 보유하고 있느냐 없느냐에 따라 결정 됩니다.

(1) DC센터(재고형 물류센터)

DC센터는 재고형 물류센터로 물류센터에 기본적으로 안전재고를 확보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출하처에 대하여 결품의 방지와 리드타임의 단축이 가능합니다.

상온물류센터와 냉동물류센터가 DC센터의 유형을 많이 가져가게 됩니다.

- 리드타임 : 고객의 주문에서 배송이 완료될 때까지 소요되는 시간

물류 센터 종류 - mullyu senteo jonglyu

(2) TC센터(통과형 물류센터)

TC센터는 재고를 갖지 않는 통과형 센터라고 합니다.

입하처로부터 납품된 제품이 센터에 입하되어 당일 전체 제품이 분류되어 출하되는 형태의 물류센터입니다.

점포별로 분류되어서 배송되는 점포별 납품 형태가 있고, 차량별 총량을 분류하여 납품하는 총량 납품의 형태가 있습니다.

TC센터의 장점은 물량 증가에 대해서 유연하게 대응 가능하며 운영비용이 저렴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단점으로는 안전재고를 확보하고 있지 않으므로 결품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통과형 물류센터를 운영하기 위한 시스템 구축에 비용이 많이 듭니다.

일반적으로 자동분류시스템, 혹은 디지털어소팅 시스템과 같은 시스템을 구축해 놓고 입하된 상품을 곧바로 분류해서 출하시키는 업무를 진행하게 됩니다.

일반적으로 택배형 물류센터와 냉장물류센터가 TC센터의 유형을 많이 가져가게 됩니다.

2. 가공센터


공장 관련 제품의 가공처리를 진행하는 가공센터는 대체로 공장 가까운 곳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물류센터에 대해서 유통가공센터라고도 합니다.

점포에서의 작업부담을 줄이기 위해서 물류센터에서 가공작업을 진행하게 됩니다.

작업 내용으로 가격표부착, 묶음포장, 식품조리, 식품포장, 분류 등을 진행하게 됩니다.

물류 센터 종류 - mullyu senteo jonglyu

3. 반품센터


출하처인 점포로부터 넘어온 제품을 처리하는 장소를 반품센터라고 합니다.

통신판매 혹은 출판물류 등과 같이 반품이 집중적으로 많은 곳에 설치됩니다.

제품의 분류 및 재포장업무를 통하여 재출하를 준비하게 되고 재출하의 유형에는 신상품으로 재출하, 할인상품으로 재출하, 폐기를 위한 출하 등으로 나뉘게 됩니다.

4. 재활용센터


사용이 종료된 박스, 플라스틱, 음식물쓰레기 등을 재생 자원화하는 장소를 말합니다.

5. 보세창고


수출입에 있어서 관세 신고를 진행하기 위해서 보관하는 장소입니다.

물리적으로는 국내에 있으면서도 상대 국가인 국외로 취급되어 행정절차가 진행됩니다.

IT/물류 / / 2021. 12. 24. 13:45

물류 센터 종류 - mullyu senteo jonglyu
@notepad_jj2

츄르사려고 코딩하는집사입니다.


물류 센터는 크게 TC(Transport Center)와 DC(Distribution Center)로 나뉩니다. 이 TC(Transport Center)와 DC(Distribution Center)의 차이는 SKU(Stock Keeping Unit) 또는 재고를 물류 센터에 보관을 하냐 마냐 보관의 유무에 따라 물류 센터 분류가 달라집니다.

1. TC(Transport Center)

TC(Transport Center)는 통과형 물류 센터로, 재고를 물류 센터에 보관하지 않고, 매장별 또는 지역별, 권역별 등으로 분류하여 출하하는 형태의 특징을 가진 물류센터입니다. 국내의 택배같은 경우에는 택배를 실은 차가 센터별로 이동을 하면서 지역별로 나누고, 지역별로 나뉜 차량이 다시 해당하는 지역으로 가서 권역별로 나누고 있습니다.

이 TC(Transport Center)의 장점은 물량이 증가를 해도 유연하게 대응을 할 수 있으며, 물류 센터에 재고를 보관하지 않기 때문에 DC(Distribution Center)에 비해 비용이 저렴하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 TC(Transport Center)의 운영을 위한 시스템을 구축하는데 많은 비용이 발생하고, 매장별에 재고가 없으면 부족한 재고를 받기까지 시간이 오래걸린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TC(Transport Center)는 국내에서 택배, 신선도가 중요하고 유통기한이 짧아 관리해야 하는 식료품, 냉동식품 등을 배송하는 곳에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2. DC(Distribution Center)

DC(Distribution Center)는 재고보유형 물류 센터로, 재고를 물류 센터에 보관하여 물류센터에서 재고들을 분류하여 출하하는 형태를 말합니다. 따라서, 주문에 따라 결품이 나지 않는 차원으로 최소한의 관리를 통해 DC(Distribution Center)를 관리해야 합니다. 이 경우에, 사용하는 시스템이 WMS(WareHouse Management System)입니다. 그래서, 유통기한이 긴 상온이나 냉장 식품, 잡화 물품 등을 이 DC(Distribution Center)에서 관리를 하게 됩니다.

3. PC(Process Center)

PC(Process Center)는 가공센터로, 원료들을 가지고 와서 가공센터에서 가공 작업을 한 후에 다른 곳에 공급하는 것을 하는 곳입니다. 예를 들어, 이 PC(Process Center)에서는 채소, 육류, 과일 등을 가져와서, 요리를 한 뒤에 요리한 제품을 공급하는 것도 이 PC(Process Center)에서 합니다. 뿐만 아니라, 가공되지 않은 상태의 재료를 받아와서, 이 PC(Process Center)에서 가공을 한 후 분류하여 보내기도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