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가디슈 전투 시체 - mogadisyu jeontu siche

�ο�, ��ڸ���, �����ȳ� | ���� �̿��� | ��������ó����ħ | û�ҳ⺸ȣ��å | �̸����ּ� ���ܼ����ź� | ȸ��Ż��

모가디슈 전투 시체 - mogadisyu jeontu siche

(��)���������� | ����ڵ�Ϲ�ȣ 107-81-76979 | ����� ���ı� ��η� 66, ������-2123ȣ (������, �������̺������) | Fax 02-6280-9094
��ǥ�̻� ������ | �������� ��ȣå���� ������ | �ο�, ��ڸ���, �����ȳ� | ����Ǹž��Ű� �� 2010-���ﰭ��-01011ȣ
Since 1998.8.24, Copyright (c) 2022 humoruniv.com All right reserved.

▲ 스캇 감독이 의도적으로 감춘 진실을 모르면 블랙 호크에 달려드는 소말리아인들이 악령처럼 보일 수밖에 없다.[사진=더스쿠프 포토]

블랙 호크를 향해 달려드는 소말리아 민병대원들과 민간인들은 미군 최정예 부대원들의 조준 사격에 속절없이 죽어나간다. 인디언들이 서부개척길에 나선 백인들의 포장마차를 포위하고, 괴성을 지르며 도끼를 휘두르다 미국 기병대에게 떼죽음당하는 서부영화의 한 장면과 흡사하다. 모가디슈 전투에서 소말리아인의 사망자 수는 집계조차 되지 못한다. 기록에 따라 500명에서 1000명까지 천차만별이지만 아무도 신경 쓰지 않는다.

영화는 미군병사 하나하나의 생명은 의미 있게 연출하지만 소말리아인의 생명은 아무런 가치 없는 소모품쯤으로 그린다. 영화에서는 작전에 임하는 부대원들에게 ‘민간인들에게 발포하지 말라’는 엄격한 지시가 내려지고, 시가전의 절박한 상황에서도 미군 병사들은 소말리아 부녀자와 어린아이들을 철저히 보호하는 것처럼 묘사된다.

그러나 실제 15시간에 걸친 처절한 전투가 끝난 뒤, 모가디슈 바카라 시장에는 부녀자와 어린아이를 포함한 수백구의 소말리아인 시체가 나뒹굴었다. 미군 사령부의 대변인 격이었던 데이브 스턱웰(Dave Stockwell) 대위는 이를 두고 ‘사소한(regrettable) 일’이라고 발표했다가 물의를 일으켰다. 이후 그는 사망한 부녀자와 어린아이가 모두 ‘UN군의 차량을 포위한 전투원’이라고 고쳐 발표했다.

서부영화에서는 인디언들이 왜 백인들을 죽이려 하는지에 관심이 없다. 마찬가지로 스캇 감독은 소말리아인들이 미군의 블랙 호크 헬리콥터에 보인 적개심의 이유를 설명하지 않는다. 미군 사령부 대변인도 부녀자와 어린이까지 미군차량을 저지하고 나서야 했던 배경을 함구한다. 그 이유가 생략되면 소말리아인들은 인간이 아닌 ‘악령’으로 보일 수밖에 없다. 반면 부상당한 몸으로 의연하게 정교한 사격을 가해 악령들을 하나씩 거꾸러뜨리는 레인저 부대원의 모습은 영웅적이다.

하지만 미군과 스캇 감독이 감추고 싶었던 진실을 알면 모든 게 달라진다. 사실 소말리아인들은 처음부터 미군을 미워하지 않았다. 오히려 미군의 개입 초기에 소말리아인들은 미군을 자신들을 도와주러 온 ‘친구’로 여기고 환영했다.

하지만 미군의 정책들은 일방적이었다. 소말리아인은 자신들의 의사가 무시당하자 미군에 반발했고, 미군은 무력으로 대응했다. 영화 ‘블랙 호크 다운’은 1993년 10월 3일 어떤 상황을 배경으로 시작한다. 하지만 그 사건의 원인은 3개월 전인 7월 12일 발생했다. ‘피의 월요일(Bloody Monday)’ 사건이라 불리는 그날, 소말리아 각 파벌의 원로대표들이 한 건물에 모여 회의를 진행했다. 소말리아 내전의 평화적 해결을 위해서였다.

그런데 이 건물을 미군의 블랙 호크가 공격했다. 벙커파괴용 토우 미사일을 발사하고, 기관포 사격을 퍼부었다. 순식간에 소말리아인 54명이 죽었고, 수백명의 부상자가 발생한다. 격분한 소말리아 민병대는 9월 9일 미군 주둔지를 공격한다. 미군 블랙 호크는 그 보복으로 다시 소말리아 민병대의 진지를 초토화한다. 이게 바로 소말리아인들이 미군과 블랙 호크에 보인 적개심의 원인, 영화 ‘블랙 호크 다운’이 어쩌면 고의적으로 누락한 진실이다.    
김상회 육영교육문화 연구원장

모가디슈 전투 시체 - mogadisyu jeontu siche
모가디슈 전투 - 영화 블랙 호크 다운 실화와 뜻 정보 / ⓒ Black hawk down

모가디슈 전투

블랙 호크 다운 실화

​생각 못 한 공격에 피해를 입고, 구하러 들어가면 더 많은 사상자가 발생하며 곤욕을 치러야 하는... 그런 전투가 바로 '모가디슈 전투'였습니다.

​그 상황은 영화 블랙 호크 다운의 실화로 잘 알려져 있습니다. (블랙 호크 다운)의 뜻은 "헬리콥터의 추락"이라는 의미입니다.

​이 글에서는 모가디슈 전투의 역사적 실화를 다룹니다. 영화 블랙 호크 다운의 줄거리는 아래 링크를 통해 자세히 볼 수 있습니다.

이 블로그는 "심심할 때 잡지처럼 읽는 지식"이라는 목적으로 운영됩니다. 즐겨찾기(북마크) 해 놓으면 심심할 때 좋습니다. 

모가디슈 전투 시체 - mogadisyu jeontu siche

 추 천 글 

블랙 호크 다운 결말, 줄거리, 실화, 뜻, 원작, 배경

블랙 호크 다운 결말, 줄거리, 실화, 뜻, 원작, 배경

[블랙 호크 다운 결말, 줄거리, 실화, 뜻, 원작, 배경] 특수부대 델타포스, 레인저, 네이비 실 등 미국의 최정예 부대들이 혼쭐난 전투를 소재로 제작된 것이 영화 <블랙 호크 다운> 줄거리입니다.

kiss7.tistory.com

모가디슈 전투 시체 - mogadisyu jeontu siche


[모가디슈 전투 - 영화 블랙 호크 다운 실화와 뜻 정보]

소말리아의 전쟁 배경

'(Mogadishu)모가디슈 전투'는 1993년에 이틀간 벌어진 전투입니다. 1차와 2차가 있었는데, 1차 전투는 특히 세계 여러 분쟁지역까지 영향을 미쳤습니다. 모가디슈는 소말리아의 수도인데, 소말리아 위치는 아프리카 동쪽 끝입니다.

​문제가 불거진 인물은 '아이디드'라는 사람이었습니다. 민병대를 이끌고 반란을 일으킨 그는 1991년 모가디슈를 공격해서 정권을 차지했습니다. 그런데 이번에는 반란군끼리 권력 다툼이 벌어지며 혼란 속으로 빠져들었습니다.

모가디슈 전투 시체 - mogadisyu jeontu siche
[소말리아 모가디슈 지도(위치)]&nbsp;모가디슈 전투 - 영화 블랙 호크 다운 실화와 뜻 정보

​소말리아에서 내전이 발생하고, 최악의 가뭄까지 덮치자 국민들은 생지옥 속에 살아야 했습니다. 급기야 사망자가 500만 명에 이르자, 1992년에는 UN 평화유지군이 파견돼야 했습니다. 문제는 여기에 미국이 끼어든 것인데...

소말리아는 아프리카 국가지만, 중동의 사우디아라비아 바로 아래에 있습니다. 이것은 엄청난 양의 석유가 수출되는 호르무즈 해협에 영향을 끼칠 수 있다는 말입니다. 이곳의 패권을 거머쥐기 위해 미군이 평화유지군에 참여한 것입니다.


블랙 호크 다운 실화

​영화 블랙 호크 다운의 실화는 이때를 배경으로 하고 있습니다. 당시 미국 대통령은 보수주의 전쟁광인 부시였습니다. 미군은 바로 직전에 걸프전에서 대승 거두었기에 소말리아를 얕보고 있었습니다.

미국은 3주 안에 상황을 끝낸다는 목표를 세우고, 중요인물 제거 작전을 위주로 밀어붙였습니다. 초기에는 '아토'를 체포하는 등의 성과를 올렸으나, 이는 오히려 민병대가 극렬하게 저장하게 만드는 원인이 되었습니다.

모가디슈 전투 시체 - mogadisyu jeontu siche
[헬기 잔해 위의 소말리아 아이들]&nbsp;모가디슈 전투 - 영화 블랙 호크 다운 실화와 뜻 정보

드디어, 운명의 그 날인 1993년 10월 3일... 미국은 아이디드의 고급 참모진이 회의한다는 정보를 입수하고, 체포 작전에 들어갑니다. 그러나 무리하게 대낮에 시작된 이 작전은 수렁의 첫발이 되고 맙니다.

미군은 델타 포스, 레인저, 네이비 실 대원들을 투입하고, 제160 특수작전항공연대와 태스크포스 레인저에게 항공 지원을 하도록 했습니다. 이것은 항공기 19대, 차량 20대, 병력 120명이 동원된 작전입니다.


모가디슈 전투란?​

모가디슈 전투란, 아이디드의 참모들을 체포하다가 벌어진 사건입니다. 초기엔 체포 작전이 순조롭게 보였지만, 대공사격과 민병대의 RPG-7 로켓에 맞은 UH-60 블랙 호크 헬기가 추락하면서 일이 커졌습니다.

추락한 헬기의 이름은 슈퍼 61이었는데, 체포 작전 부대의 일부가 조종사를 구출하기 위해 이동하게 됩니다. 이것은 치고 빠지는 작전이 아닌 예기치 못한 상황이 되었고, 인근 민병대가 몰려드는 도가니가 되었습니다.

모가디슈 전투 시체 - mogadisyu jeontu siche
[블랙 호크 다운의 뜻은 헬기의 추락이다] 모가디슈 전투 - 영화 블랙 호크 다운 실화와 뜻 정보 / ⓒ Unknown

더구나 이동하던 델타 포스는 길마저 잃어버리고, 이들이 지원하기 위해 슈퍼 64 헬기가 날아갔습니다. 그러나, 이 헬기마저 또 로켓을 맞고 추락하고 맙니다. 첫 번째 추락 위치에는 99명의 병력은 완전히 발이 묶이고 말았습니다.

설상가상, 엎친 데 덮친 격이라고... 구하려고 할수록 더 큰 피해가 발생하니 미군 지휘부에도 비상이 걸렸습니다. 날은 어두워지고, 심지어 지역 주민들까지 포위망에 가세하자 더욱 절망적으로 되어 갑니다.


큰코 다친 미국

완전히 고립된 병력은 탄약이 떨어지도록 밀려드는 민병대와 지역 주민들을 막아내야 했습니다. 모가디슈 전투​ 과정에서 많은 미군들이 죽었지만, 민병대와 지역주민의 사망자는 셀 수도 없을 정도가 되었습니다.

밤새도록 전투는 계속되고, 탄약이 떨어지자 슈퍼 66 헬기를 동원하여 탄약 지원까지 하게 되었습니다. 그러나 이 헬기도 또 피격당하고... 다행히 추락은 하지 않고 살아 돌아와서 그나마 일이 더 커지지는 않았습니다.

모가디슈 전투 시체 - mogadisyu jeontu siche
[영화 블랙 호크 다운의 실화] 모가디슈 전투 - 영화 블랙 호크 다운 실화와 뜻 정보 / ⓒ black hawk down

영화에서는 미군이 자력으로 탈출하는 것 같지만, 블랙 호크 다운의 실화에서는 다국적군의 도움을 받게 됩니다. 미군도 평화유지군 소속이기에 파키스탄 군과 말레이시아 군이 구출에 참여한 것입니다.

그 후, 장갑차 100대가 동원되고 A/MH-6 리틀버드, MH-60 블랙호크까지 나선 구출작전이 계속됩니다. 어디에서 튀어나올지 모르는 건물 사이로 들어가는 것은 무시무시한 긴장감이 계속되는 것이었습니다.


영화 블랙 호크 다운의 실제 역사

모가디슈 전투에서 파키스탄 군의 M48 전차가 큰 역할을 해내고, 결국 포위된 도시를 뚫고 들어가서 갇힌 병력과 만나는 것에 성공하게 됩니다. 수거된 시체와 잔해 장비들을 꽉 채운 그들은 급히 도망을 시작했습니다.

영화 블랙 호크 다운의 결말에서 장갑차들 사이에 병사들이 뛰어서 돌아오는 장면은 실제로 더 이상 탈 공간이 없었기 때문에 나온 장면입니다. 이 과정에서 미군 19명, 말레이시아 군 1명, 파키스탄 군 24명이 사망하고 총 90여 명이 다쳤습니다.

모가디슈 전투 시체 - mogadisyu jeontu siche
[모가디슈 전쟁] 모가디슈 전투 - 영화 블랙 호크 다운 실화와 뜻 정보 / ⓒ Unknown

이후, 소말리아 모가디슈 전투에서큰코를 다친 미국은 여기에서 완전히 손을 떼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한동안 다른 분쟁에도 소극적인 모습으로 급변하게 되었습니다. [저작권법 표시] 이 글의 원본: 키스세븐(www.kiss7.kr) 

그로 인해, 1994년 아프리카 중부의 르완다에서 벌어진 르완다 집단학살 사건 때는 오히려 방관하고 있는 국제적 영향까지 받게 됩니다. 그리고, 소말리아의 아이디드는 1996년 내전 중에 죽게 됩니다.​


함께 볼 심심풀이 지식거리

블랙 호크 다운 결말, 줄거리, 실화, 뜻, 원작, 배경

블랙 호크 다운 결말, 줄거리, 실화, 뜻, 원작, 배경

[블랙 호크 다운 결말, 줄거리, 실화, 뜻, 원작, 배경] 특수부대 델타포스, 레인저, 네이비 실 등 미국의 최정예 부대들이 혼쭐난 전투를 소재로 제작된 것이 영화 <블랙 호크 다운> 줄거리입니다.

kiss7.tistory.com

모가디슈 전투 시체 - mogadisyu jeontu siche

피의 다이아몬드 - 시에라리온, 콩고민주공화국의 내전

피의 다이아몬드 - 시에라리온, 콩고민주공화국의 내전

[피의 다이아몬드 - 시에라리온, 콩고민주공화국의 내전] 축복받은 다이아몬드와 콜탄의 나라 대표적인 자원 내전의 두 가지 사례를 꼽아 보고자 합니다. 바로 시에라리온과 콩고민주공화국입

kiss7.tistory.com

모가디슈 전투 시체 - mogadisyu jeontu siche

북한은 왜 한미연합훈련에 민감한가 - 한미합동군사훈련

북한은 왜 한미연합훈련에 민감한가 - 한미합동군사훈련

[북한은 왜 한미연합훈련에 민감한가 - 한미합동군사훈련] 과거의 남북회담, 북미회담은 항상 한미 합동 군사훈련이 걸림돌이었습니다. 북한은 회담 중에도 이 훈련을 트집 잡고 여차하면 회담

kiss7.tistory.com

모가디슈 전투 시체 - mogadisyu jeontu siche

[모가디슈 전투 - 영화 블랙 호크 다운 실화와 뜻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