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dodrine 기전 - Midodrine gijeon

Midodrine 기전 - Midodrine gijeon

1. 기전

미도드린은 섭취시에 활성 대사산물인 desglymidodrine으로 대사되어 직접 알파1 아드레날린 수용체(alpha 1 adrenoreceptor)를 활성화하게 되며, 이는 말초 혈관저항성을 높여 하지, 복부 정맥으로 혈류를 줄이고 혈압을 유지한다.

2. 용량

처음 2.5–5 mg 하루 2–3차례 복용하는 것으로 시작할 수 있으며 최대 10 mg 하루 3차례까지 사용할 수 있다. 최소 효능 용량은 5 mg이지만 이전 연구에 따르면 10 mg에서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미도드린의 효능은 30분–1시간 사이 나타나며 4시간까지 지속되며 작용시간이 길지 않다.

3. 부작용

대표적인 부작용은 누운자세고혈압이다.

* 자율신경장애 환자에서는 압력반사작용이 손상되어 혈 압변동이 크기 때문에 바로 누운 자세에서 고혈압이 흔히 동반된다. 또한 기립저혈압에 대한 치료제는 혈압을 높이는 작용을 하기 때문에 모든 신경성기립저혈압 환자에서 누운자세고 혈압 여부를 평가하여야 한다. 일반적으로 누운 자세고혈압은 바로 누운 자세에서 수축기 혈압 150 mm Hg 이상 또는 이완기 혈압 90 mm Hg 이상으로 정의한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고혈압은 장기적으로 건강에 영향을 주지만, 기립저혈압의 경우 즉각적인 영향을 주기 때문에 기립저 혈압 치료를 우선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전문가들은 기 립저혈압 환자에서 증상 호전이 있을 경우 수축기혈압 160 mmHg까지는 치료없이 보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아침에 일어나서, 점심 전, 그리고 늦은 오후(늦어도 취침 4시간 전)에 복용해야 한다. 또한, 혈압이 180/110 mm Hg 이상으로 측정되면 약을 일시적으로 중단해야 한다. 다른 부작용으로는 저림과 소름끼침, 가려움과 복부불편감이 있으며, 심부전, 요폐쇄, 갑상선기능항진증, 급성심부전이 있는 경우 금기로 되어 있다. 또한, 베타차단제와 칼슘길항제 와 병용할 때는 느린맥이나 부정맥이 악화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관련 영상은 유튜브 채널

건또리104에 올려놨습니다.

*생활습관은 영상은 참고해주세요*

플루드로코르티손(fludrocortisone, Florinef)

1. 기전

합성 광물코르티코이드(mineralocorticoid)로 신장에서 나트륨 재흡수를 촉진시켜 혈장량을 증가시키고 알파 아드레날린수용체의 민감도를 증가시켜 혈관수축제에 보완적인 역할을 할 수 있다.

2. 용량

처음 하루 0.1 mg 하루 1회부터 하루 0.3 mg까지 증량할 수 있다. 최고 용량은 하루 1 mg으로 알려져 있으나 0.3 mg 이상의 용량은 부작용이 심하여 추천하지 않는다.

3. 부작용

플루드로코티손 또한누운자세고혈압이 나타날 수 있으며 특히 저칼륨혈증이 높은 용량에서 흔히 나타난다. 또한 체중증가, 부종이 나타날 수 있으며 심부전, 신부전, 고혈압 환자에서 사용할 때 주의가 필요.

미도드린

Midodrine 기전 - Midodrine gijeon
체계적 명칭 (IUPAC 명명법)
(RS)- N-[2-(2,5-Dimethoxyphenyl)-2-hydroxyethyl]glycinamide
식별 정보
CAS 등록번호 42794-76-3
ATC 코드 C01CA17
PubChem 4195
드러그뱅크 DB00211
ChemSpider 4050
화학적 성질
화학식 C12H18N2O
분자량 ?
유의어 2-amino-N-[2-(2,5-dimethoxyphenyl)-2-hydroxy-ethyl]-acetamide
약동학 정보
생체적합성 ?
동등생물의약품 ?
약물 대사 ?
생물학적 반감기 ?
배출 ?
처방 주의사항
허가 정보

US Daily Med:바로가기

임부투여안전성 C(오스트레일리아)
법적 상태 처방전 필요 (S4) (오스트레일리아) ℞-only (미국)
투여 방법 경구 투여

미도드린(midodrine)은 혈압을 높이는 승압제, 항저혈압제이다. 미도드린은 1996년 미국 식품의약국(FDA)에서 자율신경실조증과 기립성 저혈압 치료제로 승인되었다. 2010년 8월 FDA는 제조업체인 Shire plc가 약물이 시장에 출시된 후 필요한 시판후조사를 완료하지 못했기 때문에 이 승인을 철회할 것을 제안했다.[1][2] 2010년 9월 FDA는 시장에서 미도드린을 제거하기로 한 결정을 번복하고 환자가 계속 사용할 수 있도록 허용했으며, Shire plc는 약물의 효능과 안전성에 관한 추가 데이터를 수집했다.[3] Shire는 2011년 9월 22일에 미도드린 공급을 완전히 중단하고 약물의 공급은 여러 카피약에 맡긴다고 발표했다.[4]

의료 목적 사용[편집]

미도드린은 증상이 나타난 기립성 저혈압의 치료에 사용된다. 어지럼증과 실신을 약 1/3 정도 감소시킬 수 있지만 문제가 되는 닭살, 가려움, 위장 장애, 오한, 누웠을 때의 혈압 상승, 요폐로 인해 사용이 제한될 수 있다.[5] 저혈압 환자를 대상으로 한 미도드린이나 드록시도파의 임상 시험에 대한 메타분석에 따르면 미도드린은 드록시도파보다 서 있을 때 혈압을 증가시켰지만, 미도드린은 드록시도파와 다르게 누워 있을 때 고혈압의 위험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6] 소규모 연구에서도 미도드린을 사용하여 투석이 필요한 사람들의 혈압이 과도하게 내려가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고 밝혀졌다.[7]

미도드린은 간경화증의 합병증에 사용되었다. 또한 간콩팥증후군에 옥트레오티드와 함께 사용된다. 추정되는 기전은 내장 혈관의 수축과 콩팥 혈관계의 확장이다. 연구는 미도드린의 명확한 작용을 보여주기에 충분히 잘 수행되지는 못했다.[8]

금기 사항[편집]

미도드린은 심각한 기질성 심장 질환, 급성 콩팥 질환, 요폐, 크롬친화세포종, 갑상선 중독증이 있는 환자에게 사용해서는 안된다. 또한 앙와위(supine, 바로 누운 자세)에서 지속적이고 과도한 고혈압이 있는 환자에게 사용해서는 안된다.

부작용[편집]

두통, 머리에 드는 압박감과 꽉 찬 느낌, 혈관 확장과 얼굴 홍조, 두피 저림, 착란, 사고 이상, 구강 건조, 신경질, 불안, 발진 등이 있다.[9]

약리학[편집]

작용 기전[편집]

미도드린은 활성 대사물질인 데스글리도미도드린을 형성하는 전구약물로서, 알파1 아드레날린 작용제이며 세동맥과 정맥 혈관계의 알파 아드레날린 수용체를 활성화시켜 혈관 긴장도를 증가시키고 혈압을 올린다. 데스글리미도드린은 심장의 베타 아드레날린 수용체를 자극하지 않는다. 또한 혈액뇌장벽을 통해 잘 확산되지 않으므로 중추신경계에 대한 영향도 없다.

Midodrine 기전 - Midodrine gijeon

약동학[편집]

경구 투여 후 미도드린은 빠르게 흡수된다. 전구약물의 혈장 농도는 약 30분 후에 최고조에 달하고 약 25분의 반감기로 감소하지만 대사산물은 미도드린 투여 후 약 1-2시간 후에 최고 혈중 농도에 도달하고 반감기는 약 3~4시간이다. 미도드린의 절대 생체이용률(데스글리미도드린으로 측정)은 93%이다.

화학[편집]

미도드린은 무취의 백색 결정성 분말로 물에 용해되고 메탄올에는 거의 용해되지 않는다.

입체화학[편집]

미도드린은 입체중심이 있으며 두 개의 광학 이성질체로 구성되어 ( R )-형태와 ( S )-형태가 1:1로 존재하는 혼합물인 라세미 혼합물을 만든다.[10]

미도드린의 광학 이성질체
Midodrine 기전 - Midodrine gijeon

( R )-미도드린

CAS 번호: 133163-25-4

Midodrine 기전 - Midodrine gijeon

( S )-미도드린

CAS 번호: 133267-39-7

합성[편집]

1,4-다이메톡시벤젠을 클로로아세틸 클로라이드로 아실화하면 클로로케톤(2)이 생성된다. 그런 다음 할로겐은 일련의 표준 과정에 의해 아민(3)으로 전환되고, 케톤은 수소화붕소(4)를 사용하여 알코올로 환원된다. 클로로아세틸 클로라이드를 사용한 이 마지막 중간체의 아미노 그룹의 아실화는 아마이드 5를 낸다. 그 다음 할로겐은 아자이드로 대체되고, 생성된 생성물 6은 촉매적으로 글리신아미드, 미도드린(7)으로 환원된다.

Midodrine 기전 - Midodrine gijeon

참고 문헌[편집]

  1. U.S. proposes withdrawal of Shire hypotension drug, 16 August 2010.
  2. O'Riordan, Michael. “FDA recommends withdrawal of midodrine”.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FDA proposes withdrawal of low blood pressure drug [press release]. August 16, 2010.》. TheHeart.org. 2011년 4월 1일에 확인함.
  3. Midodrine (ProAmatine, generic) Proposed Market Withdrawal – Update 10 September 2010.
  4. plc, Shire. “Shire Provides Update on ProAmatine® (midodrine HCl)”. 《www.prnewswire.com》.
  5. Izcovich, A.; Gonzalez Malla, C.; Manzotti, M.; Catalano, H. N.; Guyatt, G. (2014년 8월 22일). “Midodrine for orthostatic hypotension and recurrent reflex syncope: A systematic review”. 《Neurology》 83 (13): 1170–1177. doi:10.1212/WNL.0000000000000815. PMID 25150287.
  6. “Standing and Supine Blood Pressure Outcomes Associated With Droxidopa and Midodrine in Patients With Neurogenic Orthostatic Hypotension: A Bayesian Meta-analysis and Mixed Treatment Comparison of Randomized Trials”. 《Ann Pharmacother》 52 (12): 1182–1194. July 2018. doi:10.1177/1060028018786954. PMID 29972032.
  7. Prakash, S; Garg, AX; Heidenheim, AP; House, AA (Oct 2004). “Midodrine appears to be safe and effective for dialysis-induced hypotension: a systematic review.”. 《Nephrology, Dialysis, Transplantation》 19 (10): 2553–8. doi:10.1093/ndt/gfh420. PMID 15280522.
  8. Karwa, R.; Woodis, C B. (2009년 3월 31일). “Midodrine and Octreotide in Treatment of Cirrhosis-Related Hemodynamic Complications”. 《Annals of Pharmacotherapy》 43 (4): 692–699. doi:10.1345/aph.1L373. PMID 19299324.
  9. “Midodrine (Oral Route) Side Effects - Mayo Clinic”. 《www.mayoclinic.org》.
  10. Rote Liste Service GmbH (Hrsg.
  11. “Espacenet – search results”. 2022년 4월 8일에 확인함.
  12. “US3340298A”. 《Google Patents》.
  13. “Espacenet – search results”. 2022년 4월 8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