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dnafen 사용법 - Mednafen sayongbeob

광고

Mednafen은 수많은 콘솔과 플랫폼을 에뮬레이트하는 멀티 시스템 에뮬레이터입니다. 지원되는 시스템으로는 Apple II/II+, Atari Lynx, Neo Geo Pocket (Color), WonderSwan, GameBoy and GameBoy Color, GameBoy Advance, Nintendo Entertainment System, Super Nintendo Entertainment System/Super Famicom, Virtual Boy , PC Engine/TurboGrafx 16 (CD), SuperGrafx, PC-FX, Sega Game Gear, Sega Genesis/Megadrive, Sega Master System, Sega Saturn, Sony PlayStation이 있습니다.

매우 중요하게 명심하고 있어야 할 점은 Mednafen 자체에는 인터페이스가 없다는 겁니다. 이 에뮬레이터는 커맨드 라인을 통해 실행되기 때문에, 전통적인 에뮬레이터에 익숙한 이용자 입장에서는 처음 봤을 때 다소 낯설게 보일 수도 있습니다. 그렇지만, 사용법은 엄청나게 간단합니다. 그저 플레이하고 싶은 게임 ROM을 (기본 설정 상 mednafen.exe라고 불리는) 실행 파일로 끌어서 옮기기만 하면 되니까요. 그게 전부입니다! 유일한 예외로는 PSX 게임밖에 없는데, 이 게임의 경우, 먼저 BIOS를 펌웨어 폴더에 저장해야 합니다.

게임을 시작하면, 'Alt+Shift+1'을 눌러서 컨트롤을 설정하며, 컨트롤은 마음대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Xbox나 PlayStation 컨트롤러를 이용할 때는 컨트롤 설정 프로세스가 다소 복잡해집니다. 다행히 Mednafen의 공식 웹사이트에서 올바르게 설정하는 데 필요한 정보와 튜토리얼을 찾아볼 수 있습니다.

Mednafen은 탁월한 에뮬레이터입니다. 용량은 6MB에 불과하지만, 많고 다양한 시스템을 에뮬레이트하여, 수천 개의 게임을 플레이하는 게 가능하다는 점은 중요한 강점입니다. 게다가, 여러 가지 다양한 '프론트 엔드'가 있어, 각자의 필요에 맞춰 조정된 인터페이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Andrés López 님이 확인하였습니다 Uptodown Localization Team 님이 번역하였습니다

광고

(PCFX) PC용 PC-FX 에뮬레이터 mednafen

  • 에뮬레이터 (Emulator)
  • 2016. 8. 1. 16:11

반응형

Mednafen 사용법 - Mednafen sayongbeob
Mednafen 사용법 - Mednafen sayongbeob



PC-FX 에뮬레이터는 안드로이드용은 아직 없고, PC에만 mednafen이 있습니다.


에뮬레이터의 다운로드와 사용법은 본 링크(고전게임사랑 카페)를 이용하세요.




반응형

그리드형

공유하기

게시글 관리

구독하기JRPG by JKim

저작자표시 변경금지

  • 카카오스토리
  • 트위터
  • 페이스북

'에뮬레이터 (Emulator)' 카테고리의 다른 글

(3DO) PC/안드로이드 용 3DO 에뮬레이터  (1)2016.11.23(NGC/Wii) PC용 게임큐브/위 에뮬레이터  (0)2016.08.01(DC) PC/안드로이드용 드림캐스트 에뮬레이터  (0)2016.06.28(PCE) PC용 PC엔진 에뮬레이터 모음  (5)2016.04.07(PS2) PC용 PS2 에뮬레이터  (0)2016.02.29

TAGS. PC-FX, 에뮬레이터, 허드슨

Comments 0

비밀글

여러 예전 게임기나 컴퓨터에서 플레이했던 과거의 게임들을 현재의 PC나 스마트폰 등에서 구동할 수 있게 도와주는 '에뮬레이터'를 다룹니다. PC나 스마트폰 뿐 아니라 에뮬레이터를 구동할 수 있는 다른 기기들도 다뤄요.

매니저

없음

부매니저

폭풍디스(winfriga…)

개설일

2017-02-06

갤러리 관리 내역

매니저 (ariaotp)님은 부재중입니다. 매니저 부재중 안내

매니저가 장기간(최소 10일 이상) 부재 시 부재중으로 표시되며, 다른 이용자에게 매니저의 책임과 권한이 위임될 수 있습니다.

매니저 위임 절차

매니저의 부재로 인해 운영에 지장이 있다고 판단될 경우, 다른 회원이 권한을 위임받아 마이너 갤러리를 운영할 수 있습니다.

위임 절차는 신고 게시판 > 분류 선택에 [매니저 위임]으로 위임받을 회원이 직접 신청하면 진행됩니다. 검토 결과 운영에 적합하다고 판단되는 회원에게 매니저 권한을 위임하게 됩니다.

닫기

안흥한갤

순위권 밖

흥한갤이란

전체 마이너 갤러리 순위 중 300위 이내는 흥한갤이 됩니다.

(20위 이내는 대흥갤)

흥한갤은 순위 갱신 시 변동될 수 있습니다.

닫기

흥한갤 전체 순위

흥한갤 전체 순위 전체 마이너 갤러리 순위 중 300위 이내는 흥한갤이 됩니다. (20위 이내는 대흥갤)

이전

1 /3

다음

갤러리 전체보기 레이어 닫기

Mednafen 사용법 - Mednafen sayongbeob
2018.02.11 02:41:49

조회 4095 추천 0 댓글 0

Mednafen이란?


My Emulator Doesn't Need A Frickin' Excellent Name의 약자로, 


과거 FCE Ultra를 만들었던 제작자가 만든 오픈소스 다기종 에뮬레이터로서, 윈도우, 리눅스, OpenBSD, 플스3, Wii 버전이 존재한다.


주로 사용되는 용도로는 PC엔진, PC-FX, 그리고 세가새턴 에뮬레이터로서인데.


그외에도 지원하는 기종들은 꽤 많지만, 그 외 기종들의 경우는 다른 에뮬레이터에서 소스를 가져와서 사용이 그렇게 권장되지는 않는다.


CUI 방식의 에뮬레이터이기 때문에(커맨드라인에서 파일명을 직접 입력하는 방식으로 실행) 그냥 Mednafen만 있으면 실행이 불편한데, 대신 여러 프론트엔드들이 존재하기 때문에 (개인적으로는 Mednaffe를 추천. Medlaunch도 쓸만하다) 프론트엔드랑 같이 쓰면 그나마 좀 편하게 실행할 수 있다.


나름대로 goat 쉐이더같은 것도 먹일 수 있고 hqx 같은것도 먹일 수 있고 화면 효과도 있을 건 나름대로 있는데


여러 장의 CD를 쓰는 게임의 경우 m3u 플레이리스트로 실행을 해야만 CD를 갈아끼울 수 있다.


그 외에 네오지오 포켓, 원더스완, 아타리 링스, 닌텐도 버추얼 보이, 플스1, 메가드라이브, 패미컴, 마스터시스템, 슈퍼패미컴, 게임보이 어드밴스를 지원하는데


네오지오 포켓, 원더스완, 아타리 링스의 경우 다른 에뮬레이터의 소스를 쓰긴 했지만 원 출처 에뮬레이터들이 버전업을 거의 안하기 때문에 Mednafen에서의 구동도 나쁘진 않고


GBA의 경우 한때 '입력렉 없이 MOTHER 3를 플레이할 수 있는 에뮬레이터' 로서 쓰이긴 했다. 국내에서 널리 쓰였던 VBA 원판이 입력렉이 있었기 때문에. (지금 시점에서 GBA 게임들은 mGBA를 추천)


패미컴은 FCE Ultra 베이스이긴 한데 FCE Ultra의 후신인 FCEUX쪽이 훨씬 기능이 많고 Mednafen쪽의 상위호환격이고


슈퍼패미컴의 경우 bsnes 베이스이긴 한데 꽤 옛날버전(0.59) 기반이기 때문에 정확성이 그렇게 높진 않아서(특히 사운드쪽), 여기서 돌릴 바에는 차라리 Snes9x를 쓰는게 훨씬 좋다.


메가드라이브와 마스터시스템은 Genesis Plus GX가 되기 전 Genesis Plus 기반. 역시 Genesis Plus GX를 쓰는 에뮬레이터(RetroArch나 BizHawk)를 쓰는것을 추천.


플레이스테이션1의 경우는 소프트웨어 랜더링이긴 하지만 버스트 어 무브와 DDR, 파라파 더 랩퍼같은 리듬게임들에서 박자가 어긋나지 않게 돌려준다. 게다가 옵션에서 DDR 장판 입력까지 지원한다.



CD 오디오 트랙을 쓰는 게임 타이틀의 경우 iso+ogg+cue 형태의 CD이미지도 지원해서 용량절약을 할 수 있다



사실 이 Mednafen이 SSF나 Ootake 같은 것의 점유율을 치고 올라올 수 있었던 건


"가상CD 안띄워도 PC엔진이나 새턴 게임을 잘 돌려주기 때문"


물론 그대신 새턴게임 요구사양은 좀 심하게 높긴 하지만


PC-FX는 구동되는 다른 에뮬레이터가 아예 없고




그리고 혹시라도 RetroArch를 쓴다면, RetroArch의 몇몇 코어들이 Mednafen 베이스이기 때문에 (앞에 beetle이 붙는 것들) RetroArch에서 돌리는것도 나름 추천된다


다만 Mednafen 본체와 버전업 시간차는 조금 있는 편



또한 바이오스 필요한 기종의 경우 그 바이오스 파일의 CRC까지 체크하기 때문에 정확히 구하지 않으면 실행을 거부하는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전에 플스판 DDR 구동했을때 북미판과 일본판은 잘 되는데 유럽판만 실행 안되길래 뭔가 했더니 내가 가지고 있는 유럽판 바이오스만 CRC가 틀려 있었음)



뭐 결론적으로는 특정 기종(먼저 언급했듯 PC엔진, PC-FX, 새턴)에 한해서는 쓸만한 에뮬레이터이며, '다기종 에뮬레이터는 무조건 단일기종 에뮬레이터에 비해서 개개의 기종 구동성능이 안좋다' 라는 편견을 처음으로 깬 에뮬레이터가 아닐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