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레이시아 공용어 - malleisia gong-yong-eo

양국 간 국민감정 들끓는 이유는?
말레이 "아세안 8개국 말레이어 영향권"  
인니 "실제 사용도, 인니어가 더 우수"  
같은 뿌리 언어지만… 물러서지 않을 듯

말레이시아 공용어 - malleisia gong-yong-eo

이스마일 사브리 야콥 말레이시아 총리가 지난 2월 캄보디아를 국빈 방문하고 있다. 프놈펜=EPA 연합뉴스

인도네시아와 말레이시아가 동남아시아국가연합(ASEANㆍ아세안) 공식 회의에서 사용하게 될지 모를 '제2공용어' 선정 문제로 충돌하고 있다. 외국인이 두 언어의 차이를 식별하긴 어렵지만 두 나라 간 국민 감정은 들끓고 있다. 인도네시아와 말레이시아는 역사적으로 영토 분쟁, 문화적으로 원조 논쟁을 이어온 ‘동남아의 한일 관계’로 불릴만 하다.

7일 홍콩 일간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 등 현지매체에 따르면, 아세안 제2공용어 선정 문제의 포문은 말레이시아가 열었다. 이스마일 사브리 야콥 말레이시아 총리는 지난 2월 태국 방문 시 동남아 외교무대의 공용어인 영어 대신 말레이시아어로 연설을 하며 파란을 예고했다. 이후 그는 지난달 23일 자국 의회 상원에서 "아세안 10개국 중 8개국에 말레이시아어 원어민이 거주하고 있다"며 "아세안이 제2공용어로 말레이시아어를 채택할 충분한 조건이 갖춰진 만큼, 다음 아세안 회의에서 이 부분을 정식 안건으로 제기하겠다"고 선언했다. 특정 언어를 제2공용어로 지정하자고 화두를 던진 것이다.

인도네시아 정부는 즉각 반발했다. 나딤 마카림 교육문화부 장관은 앞서 4일 공식 성명을 통해 "아세안 제2공용어로 더 적합한 언어는 인도네시아어"라며 "우리는 인도네시아어가 제2공용어가 되도록 모든 노력을 기울일 것"이라고 밝혔다. 승차공유업체 '고젝'의 공동창업자 겸 최고경영자이기도 한 나딤 장관은 자사의 시장조사 결과를 근거로 제시했다. 그는 "동남아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언어는 인도네시아어로 확인됐다"며 "인도네시아어는 전 세계 47개국에서 통용되고 있다"고 강조했다. 글로벌 파급력에서 말레이시아어와 비교가 되지 않는다는 주장이다.

양국의 언어는 넓게 말레이폴리네시아어족에 속하며, 그 기원도 같다. 다만 말레이시아와 인도네시아가 각각 영국과 네덜란드의 지배를 받으며 일부 표현과 어휘는 달라진 상태다. 양국 국민들의 논쟁도 한창이다. 인도네시아인들은 "말레이 반도 지역이 인도네시아어를 흡수해 사용하고 있다"며 범용성을 강조하는 반면, 말레이시아인들은 "어찌 됐건 인도네시아어는 범 말레이시아어일 뿐"이라고 평가절하하고 있다.

'언어 전쟁'이 폭발한 것은 그동안 사사건건 쌓여온 양국 갈등이 배경이다. 1962년 영토분쟁 발생 후 현재까지 불법 이주노동자 거주, 동남아 이슬람 종주국 문제 등으로 계속 부딪치고 있다. 동남아시안게임(SEA)이나 아세안축구연맹 스즈키컵 등 축구 국가대표팀 경기장에선 양국 응원단이 패싸움을 벌이기도 했다.

말레이시아 공용어 - malleisia gong-yong-eo

지난 4일 나디엠 마카림 인도네시아 교육문화연구기술부 장관이 화상을 통해 인도네시아어의 아세안 제2공용어 설정 필요성에 대해 말하고 있다. 베트남뉴스 캡처

하노이= 정재호 특파원

수상이 영어 필요성 선도
수학·과학을 영어로 교육

말레이시아는 말레이계(47%)와 중국계(25%), 인도계(7%), 기타 토착 인종(11%) 등 53개 인종으로 구성돼 있다. 말레이계, 중국계, 인도계 등 같은 인종내에서도 출신 지역에 따라 서로 말이 통하지 않는 등 75개의 언어가 사용되는 복잡한 인종, 언어를 가지고 있는 나라다.

이렇다보니 과거 영국 식민지 시절부터 사용돼 왔던 영어가 상용어로 말레이시아에서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것은 자연스러운 현상이었고 앞으로도 영어는 상용어로서의 위치를 확보할 것으로 전망된다.

1786년부터 말레이 반도를 점령한 영국과의 회담을 통해 1957년 8월 31일 독립한 말레이시아는 독립 직후부터 말레이어 교육을 강화했다. 제1공용어로 말레이어를, 제2공용어로 영어를 사용했다.

하지만 20여년 전 교육부에 의해 주체성과 민족성 확립을 이유로 말레이어만 공용어로 하고 영어 제2공용어 정책을 공식적으로 폐기했다.
이후 국민들의 영어 구사 능력이 떨어지면서 국제적인 경쟁력 저하에 대한 심각한 우려와 영어사용의 필요성을 정부에서 심각하게 우려해 다시 영어를 공용어로 사용하는 등 영어교육 강화 정책을 실시했다.

특히 마하티르 수상 등 정치 지도자들이 영어 사용의 국제 경쟁력을 인식하고 올해부터 공립학교의 수학과 과학 과목을 영어로 교육토록 했다. 과거 말레이어 강조 정책에서 영어교육 강화 정책으로 교육정책을 변화시키고 있는 것이다. 앞으로 말레이시아에서의 영어 상용화는 계속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이처럼 정부가 주도하는 최근의 영어교육 강화 방침의 이면에는 말레이시아 국민들의 영어교육 중요성에 대한 인식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
이 때문에 말레이시아에서는 영어교육이 강화된 국제학교와 기독교 계통 등의 사립학교에 자녀들을 진학시키는 부모들이 많다.

영어를 제대로 사용하지 않으면 시험을 통해 상급반으로 진학하지 못하도록 하는 등 국가 정책이 영어를 상용화하도록 하고 있다.
또 대학들도 외국대학과의 학사과정 등의 연계를 통해 국내에서 대학을 다니던 학생들을 자연스럽게 영어권 외국대학으로 유학을 보내는 시스템을 도입해 운영하고 있다.

    • 가나다라마바사
    • 가나다라마바사
    • 가나다라마바사
    • 가나다라마바사
    • 가나다라마바사
    • 가나다라마바사

저작권자 © 제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말레이시아는 다민족국가입니다. 말레이인이 약 55%를 차지하며 그들은 말레이어를 사용하지만 국민중 약 30%을 차지하는 중국인들은 당연히 중국어를 사용하며 그리고 인도인들은 인도말을 사용하는가 하면 그밖에도 소수 원주민들이 많아서 저마다 자기네 언어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모든 민족이 서로 의사소통을 위한 언어가 필요한 바 영어를 공용어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모든 국민들이 다 영어를 할줄 아는 것은 아니지만 최소한도 중학교정도의 교육을 받은 사람들은 대부분 영어를 할줄 안다고 보시면 됩니다.

'여행지식 > 동남아·아시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필리핀도 고유 언어와 고유 문자가 있습니다.  (0)2007.08.25
필리핀 마닐라는 공항터미널이 3개이다.  (0)2006.03.21
포이펫-파타야간 교통편 안내  (0)2006.03.21
필리핀 갈 땐 달러로 갖고 가는 것이 유리하다.  (0)2006.03.21
인도갈 때 챙겨가야 할 것  (0)2006.03.21

국가/지역 검색

영사·국가/지역

  • 여행·해외체류정보
    1. 해외안전여행
    2. 영사조력 법령정보
    3. 영사민원24
    4. 영사관련민원안내
    5. 영사관련이용방법
    6. 영사관련서식
    7. 여권
    8. 해외입국 안내(비자)
    9. 아포스티유·영사확인
    10. 해외이주
    11. 재외국민등록
    12. 재외동포 정의 및 현황
    13. 재외동포 정책
    14. 해외진출 우리국민 편익증진
    15. 재외국민보호정책
  • 국가/지역 정보
    1. 국가/지역 검색
    2. 동북아시아
    3. 동남아시아
    4. 서남아시아태평양
    5. 북미
    6. 중남미
    7. 러시아·중앙아시아
    8. 유럽
    9. 중동·북아프리카
    10.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 해외안전여행 공지

  1. 홈으로 이동
    말레이시아 공용어 - malleisia gong-yong-eo
  2. 영사·국가/지역
  3. 국가/지역 정보
  4. 국가/지역 검색

    • 동북아시아
    • 동남아시아
    • 서남아시아태평양
    • 북미
    • 중남미
    • 러시아·중앙아시아
    • 유럽
    • 중동
    • 아프리카

    • 기본정보

      • 일반사항

        • 국명 : 말레이시아 (Malaysia)
        • 수도 : 쿠알라룸푸르(Kuala Lumpur, 약 173만 명)
        • 인구 : 3285만명 (2021, IMF 추정)
        • 면적 : 33만 252㎢ (한반도의 1.5배)
        • 언어 : 말레이어(공용어), 영어, 중국어
        • 종교 : 이슬람교(국교), 불교, 힌두교 (종교의 자유를 헌법으로 보장)
        • 민족 : 말레이계(70%), 중국계(23%), 인도계(7%)
        • -  시차 : 우리보다 1시간 늦음
    • 정치현황

      • 정부형태 : 의원내각제(양원제, 하원 우위)
      • 주요인사
        • 국왕 : 압둘라(His Excellency The Yang di-Pertuan Agong XVI Al-Sultan Abdullah Ri’ayatuddin Al-Mustafa Billah Shah ibni Almarhum Sultan Haji Ahmad Shah Al-Musta’in Billah)
        • 총리 : 안와르 이브라힘(Anwar Ibrahim)
        • 하원의장 : 아즈하(Datuk Azhar Azizan Harun)
        • 상원의장 : 라이스(Tan Sri Dato’ Seri Utama Dr. Rais Yatim)
        • 외교장관 : 사이푸딘(Dato' Saifuddin Abdullah)
      • 국가형태 : 선임제 입헌군주제

      경제현황

      • GDP : 3730억$ (2021, IMF)
      • 1인당GDP : 1만 1408$ (2021, IMF 추정)
      • 경제성장률 : 3.1% (2021, IMF)
      • 화폐단위 : 링깃(1달러 = 4.2링깃, 2021년 평균, 세계은행)
      • 교역 : 총 교역액 : 5,383억 $
        • 수출액 : 2990억$
        • 수입액 : 2392억$
      • 물가상승률 : 2.5% (2021, IMF)
      • 실업률 : 4.7% (2021, IMF 추정)

      우리나라와의 관계

      • 외교관계
        • 1960.02.23.   외교관계 수립
        • 1962.05.   주말레이시아 대사관 설치
        • 1964.04.   주한 말레이시아대사관 설치
      • 공관현황 :
           - 여승배 주말레이시아대사(2022.10. 부임)
           - 림쉐이진(Lim Juay Jin) 주한말레이시아대사(2022.8. 부임)
      • 투자현황 :
          (2021, 신고기준)
           - 대 말레이시아 : 9.1억 $, 115건 (한국수출입은행)
           - 대 한국 : 4.1억 $, 12건 (산업통상자원부)
      • 교역 : 교역: 206억 $(2021, 한국무역협회)
        • 수출액 : 101억$
        • 수입액 : 105억$
        • 수출품목 : 선박, 집적회로반도체, 경유 등
        • 수입품목 : 천연가스, 집적회로반도체, 중유 등
      • 교민현황 :
          - 말레이시아 내 한국인: 13,632명(외교부, 2021)
          - 한국 내 말레이시아인 : 3,442명(법무부, 2021)
      • ODA현황 : - 무상원조 303만 $(2020년 총지출기준, OECD)
      • 인적교류 현황
          -  한국→말레이시아 : 673,065명(2019), 3,028(2021)(말레이시아 관광국)
          -  말레이시아→한국 : 409,254명(2019), 4,596(2021)(출입국.외국인정책본부)

      주요인사 교류현황

      • 방한
        • 2005.11.   압둘라 총리(APEC 참석)
        • 2009.06.   나집 총리(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
        • 2011.04.   나집 총리 공식방한
        • 2011.07.   미잔 국왕 국빈방한
        • 2014.12.   나집 총리 공식방한(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 계기)
        • 2019.11.   마하티르 총리 공식방한(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 계기)
      • 방문
        • 2005.12.   노무현 대통령 국빈방문
        • 2009.05.   송광호 대통령 특사
        • 2010.12.   이명박 대통령 국빈방문
        • 2011.09.   박희태 국회의장
        • 2015.11.   박근혜 대통령(아세안 관련 정상회의)
        • 2017.03.   정세균 국회의장
        • 2019.03.   문재인 대통령 국빈방문
        • 2022.03.   박병석 국회의장

      북한과의 관계

      • 수교현황 :
          1973.06. 수교
          2021.03. 단교
      • 공관현황 :
          1973.12. 주말레이시아 북한대사관 개설
          2004.03. 주북한 말레이시아대사관 개설
          2017.03. 김정남 암살사건 계기, Mohamad Nizan 주북한 말레이시아대사 소환 및 강철 주말레이시아 북한대사 추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