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취 안되는 이유 - machwi andoeneun iyu

마취는 항상 한번 이상은 해야 마취가되는데 ..

방금 치과도 다녀와서 ..몇번하고 항상 출혈이 오래가요 ..

한번은 밤새 지혈이 안되어 단대응급실을 갔다왔는데

이번에도 그러는거 같아요 선천적일까요

총 3개의 답변이 있어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전성화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마취가 잘 안되는 이유에 대해서 궁금하시군요.

마취제는 염기성이기 때문에 염증에 의해 조직의 pH가 산성일 경우 마취효과가 떨어질 수 있습니다.

또한 사람마다 마취제에 대한 반응이 다르기 때문에 마취의 심도가 다를 수 있습니다.

지혈도 사람마다 차이가 있을 수 있으며 압박지혈을 정확히 해주면 어느정도 잘 됩니다.

신고사유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이정현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체질에 따라서, 마취가 잘 안될 순 있습니다.

    또한, 치과의 경우, 염증이 심한 부위는 마취가 잘 안됩니다.

    출혈이 오래가는것은, 염증이 심한경우엔 그럴 수 있고, 또는 혈소판이 부족하거나, 혈액순환제 복용시 그럴 수 있습니다.

    정확한것은 구강내과 치과나, 출혈관련된 부분은 내과에서 검사를 받아보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2021. 04. 17. 22:06

    신고사유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서민석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마취 약제에 대한 효과는 개인별로 차이가 약간 날 수 있습니다. 질문자의 경우는 아마 마취약에 별 효과가 없는 경우라고 할 수 있지요. 특별히 건강에 문제가 있다 보이지는 않습니다. 지혈의 문제는 마취의 문제와는 다소 다릅니다. 지혈이 잘 안되는 경우 지혈 작용에 문제가 있는지 혈액 검사로 확인을 해보시는 것이 필요하다 판단됩니다.

      서민석 드림

      2021. 04. 17. 21:15

      신고사유 :

      안녕하세요
      치과의사 유민우입니다. 

      치과에 갔을때 
      염증이 심해서 또는 통증이 심해서 가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럴때 염증이 심해서 마취주사를 여러번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염증이 심하면 왜 마취가 잘 안될까요?~ 

      치과에서 사용되는 대부분의 마취제는 
      위와같이 마취 약물과 혈관수축제가 혼합되어 앰플에 들어있습니다.

      염증을 가지고 있는 치아 치료시
      마취가 필요할 경우 이 앰플을 가지고
      해당치아 신경주행부 조직내에 주입하게됩니다.  

      하지만 마취제가 조직으로 들어간다고 해서 모두 기능을 하지않습니다.
      조직내에 있는 신경세포내로 마취제가 침투되어야 비로서 마취가 되는것입니다.
      즉 얼만큼 신경세포내로 마취제가 들어가는냐가 마취 정도를 결정하는 것입니다.

      그렇다면 어떤 형태의 마취제가 신경세포내로 잘 들어갈까요?
      신경세포 바깥주변에는 신경세포막이라는 장벽이 있습니다.
      마취제가 이를 뚫고 들어가야 신경세포에 도달할수 있어요. 
      신경세포막은 이온화된 분자형은 들어가기 어렵고, 이온화되지 않은 분자형은 상대적으로 들어가기 쉽습니다.
      따라서 조직내에 마취제가 들어갈때 이온화되지 않은 분자형이 많을수록 신경세포로 마취제가 많이 침투할수 있고
      이 말은 곧 '이온화되지 않은 분자형이 많을수록 마취가 잘되는 것'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그럼 정상조직과 염증조직을 비교해보겠습니다
      정상조직은 pH 7.4 정도이며, 염증조직은 pH 6.0 정도입니다
      염증조직이 pH가 낮은이유는 염증반응의 분해산물로 인해 조직이 산성화되기 때문입니다. 
      (pH가 낮을수록 산성입니다)


      정상조직과 염증조직에 마취제를 1000씩 주입했다고 가정했을때 
      이온화되지않은 마취제가 정상조직에서는 250, 염증조직에서는 10입니다.
      (산-염기 평형개념에 의해 이렇게됩니다)
      결과적으로 염증조직에서, 신경세포내로 도달하는 마취제가 적으므로 마취가 잘 안되는 경우가 생기는 것입니다.


      그렇다고 '염증이 심해서 마취가 안되면 어떡하지?' 라고 걱정하시지 않아도 됩니다. 
      염증주위 신경이 아닌 
      이 신경이 출발하는 부위에 마취를 하거나 
      염증소견을 확인해서 그에맞게 마취제 용량을 조절하면 됩니다.

      이 때 주사자입시 통증을 도포마취를 통해 상쇄시킬수 있고 
      시간을 조절하여 자입해서
      마취로 인한 통증을 최소화할수 있습니다. 

      이렇게 마취하면 심지어 마취를 한지 모르는 분도 계시더라구요.^^

      매일 맛집 포스팅만 하는 것같아서 
      본연의 블로그 시작취지를 잊어버린 것같아
      치과 및 건강포스팅 다시 열심히하려고 합니다~

      궁금하신 점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달아주세요.

      Toplist

      최신 우편물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