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아 프레임 설정 - loa peuleim seoljeong

('21. 12월 최신화) 엔비디아 이미지 스케일링 기능 업데이트 (497.29 버전~)

목차

1-1. 지포스 사용자

1-2. 암드 사용자

2. 인게임 설정

3. 가상메모리 설정

4. 레지스트리 (엔비디아, 전체창모드 유저만 해당)

(출처 https://www.inven.co.kr/board/lostark/4821/84921?my=chuchu)

1-1. 엔비디아 제어판 설정

3D 설정관리

: 현재 로아의 선명도 뭉개짐을 보완 하는 방법은 크게 4가지가 있습니다.

1. 더 높은 해상도로 설정하기

2. 계단 현상 방지 '높음'으로 하기

3. NVIDIA 익스피리언스 게임 필터의 선명화 기능 사용하

4. NVIDIA 제어판의 이미지 스케일링 기능에 포함된 선명화 기능 사용하기

이 네 가지 방법은 위로 갈수록 더 많은 GPU 리소스를 잡아먹습니다.

다시 말해 가장 아래에 있는 이미지 스케일링의 선명화 기능이 가장 적은 리소스를 먹습니다.

선명도는 0~30% 내외로 취향껏 사용하면 되고 설정 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로아 프레임 설정 - loa peuleim seoljeong

로아 프레임 설정 - loa peuleim seoljeong

로아 프레임 설정 - loa peuleim seoljeong

로아는 쿼터뷰 고정 시점 게임이고, 이런 시점의 게임은 화면 테어링(찢어짐)이 거의 일어나지 않아서

수직동기화, G싱크, 프리싱크, 패스트싱크 등등 테어링을 잡기 위한 모든 싱크기술이 애초에 필요가 없습니다.

같은 쿼터뷰 시점인 롤같은 경우에는 화면 스크롤이 가능해서 이때 어링이 발생할 수 있으나,

로아는 화면 스크롤 조차도 캐릭터 중심으로 고정되어있어 어링이 발생할 부분이 아예 없다고 봐도 무방합니다.

따라서 위 스샷의 세팅으로 수직 동기 사용으로 인한 일말의 리소스 저하, 인풋렉 증가를 완전히 제거 할 수 있습니다.

(* 전체창모드, 창모드 사용자는 수직동기화가 강제로 설정 되어 있기 때문에 이 부분에선 꺼도 효과는 없습니다.)

하지만 수직동기화를 비활성화 하게 되면 모니터 주사율만큼 프레임 제한 되던게 풀려버립니다.

그래픽카드는 한도 없이 일을 하게 되고 GPU점유율 99%를 찍어 발열, 프레임 저하 등의 부작용을 불러옵니다.

따라서 수직동기화를 풀었다면 직접 적절한 프레임으로 제한을 걸어주어야 합니다.

이때 적절한 프레임이란 본인의 모니터 최대주사율로 제한하라는 말이 절대 아님.

적절한 프레임이란 인게임 플레이시 평균적으로 유지되는 프레임을 말하는데,

본인 모니터의 주사율이 144hz라 하더라도

실제 인게임에서 144프레임을 유지하는 경우는 정말 하이엔트 스펙의 컴퓨터가 아닌 이상

캐릭터 선택창이나 프리시온에 혼자 있을때 빼고는 거의 없을 겁니다.

인게임 플레이시 저 사양이면 50~, 중사양은 90~, 고사양은 120~ 프레임 정도까지 최저로 왔다갔다 하게 될텐데

최저 프레임에 맞춰주는 게 좋습니다. (최소 60 / 90 / 120 이런식으로요)

이렇게 하면 화면 프레임의 출렁임이 사라져 균일한 인풋 딜레이 값이 유지되고, 

훨씬 쾌적한 조작감을 느낄 수 있습니다.

로아 프레임 설정 - loa peuleim seoljeong

3D 설정 관리가 끝났으면 밑에

PhysX 구성 -> 프로세서 본인그래픽카드로 설정

결과

로아 프레임 설정 - loa peuleim seoljeong

1-2. 암드

 스톰튜브

3:45부터

2. 인게임 설정

텍스쳐품질

상 ~ 최상 추천. 하 설정과 프레임 차이 미미

(GPU점유율에 영향)

그림자 품질

프레임을 잡아먹는 3대 요인 중 하나

사람이 많을수록 프레임이 기하급수적으로 떨어짐. 상~하 추천

캐릭터 품질

상 ~ 최상 추천. 하 설정과 프레임 차이 미미

(CPU점유율에 영향)

파티클 품질

프레임을 잡아먹는 3대 요인 중 하나

배그 144프레임 방어 가능한 사양이면 최상. 아니면 상~하 추천

계단 현상 방지 : 낮음 or 켜기

지포스 사용자는 낮음으로 가고 엔비디아 제어판에서 이미지스케일링 켜는 것이 GPU 자원을 최소화 시키는 방법

라데온 사용자도 마찬가지로 이미지샤프닝을 켜기 (영상에선 비활성화를 추천하지만..)

아웃 포커싱 품질 향상

켜기. 고화질 스크린샷 찍을 때도 좋고 차이는 미미하지만 켜는 게 끈 것보다 성능 향상

간접그림자: 끄기

배그로치면 포스트프로세싱

후처리효과 4종: 체크 해제

프레임을 잡아먹는 3대 요인 중 하나

모션블러, 광원효과 등인데 일단 켜보면 알겠지만 눈이 아픔 (초고화질 스크린샷 찍을 때나 쓸법)

또, 필드보스에서 프레임을 높이고 싶다면

[환경설정 - 게임플레이 - 네임표태그 - 다른유저 네임태그나 펫 안보이기 등 설정이 도움 됨]

출처 https://www.inven.co.kr/board/lostark/4821/72075

3. 가상메모리 설정 (프레임드랍 현상 발생 시) 

SSD 사용하는 경우만 참고 바랍니다.

1. 인터넷 속도 측정


- 제 경우 500M 사용 하는데 실제 측정 결과 최대 다운 270 / 업로드 7~17 이 측정 되어 고객센터 문의하여
 재수신(리셋?) 을 하여 500/500 으로 다시 측정되는것을 확인
(대칭/비대칭에 따라 다운,업로드 속도 다를수있습니다)

2. 윈도우10 가상 메모리 설정


- 가상메모리란 ?
  -> 컴퓨터에는 기본적으로 RAM과 가상메모리의 두 가지 유형의 메모리가 있습니다.
그리고 가상메모리는 RAM 공간이 부족할때 Windows에서 사용하는 파일 입니다. 가상메모리는 SSD나 HDD를 RAM처럼 사용하는

처음크기 / 최대크기 설정 방법
- 예시 현재 램 16기가 사용중이라면 1024MB*16GB = 16,384MB
  처음크기 : 16,384MB * 1.5배 = 24576
  최대크기 : 16,384MB * 3배 = 49152

처음크기, 최대크기 입력 -> 설정 클릭 -> 확인

짤은 예시입니다 본인 램 크기에 맞게 수치를 입력하지 않으면 게임 중 간헐적으로

ran out of video memory 오류에 의해 종료될 수 있습니다.

출처 https://www.inven.co.kr/board/lostark/4821/83039?p=2&my=chuchu

4. (엔비디아) 레지스트리 설정 (전체창모드 유저)

전체화면은 알트탭 시 화면전환 딜레이가 심해서 전체창 쓰시는분들 많으실텐데
저도 갑자기 창모드만 쓰면 프레임 드랍이 엄청심해서(5프레임나옴 ::) 이 방법으로 암이 해결됨

(들어 가서 위에꺼 하나만 받으세요) 레지스트 파일 다운 후 클릭 적용 -> 재부팅

https://nvidia.custhelp.com/app/answers/detail/a_id/5157/~/after-updating-to-nvidia-game-ready-driver-461.09-or-newer%2C-some-desktop-app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