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튬이온 배터리 방전 - lityum-ion baeteoli bangjeon

리튬이온 배터리 방전 - lityum-ion baeteoli bangjeon

스마트폰의 쓰지 않는 기능이나 앱을 삭제하면 배터리 소모를 막을 수 있다.

[전기신문 윤병효 기자] 일상생활에서 배터리가 들어간 전자제품이 늘어나고 있다. 스마트폰부터 청소기, 노트북, 파워뱅크, 자전거, 자동차까지 기존에 코드롤 꽂아 사용하던 전자제품들이 이제는 배터리를 장착하고 코드리스 형태로 출시되고 있다.

배터리 오랫동안 안전하게 사용하기 위해서는 배터리 특성을 잘 이해할 필요가 있다. 국내 리튬이온배터리 제조업체인 삼성SDI가 알려주는 배터리의 기본상식을 통해 특성을 이해해보자.

1. 배터리 0%까지 방전해야 오래 사용한다? 잘못된 상식

배터리를 0%까지 완전히 방전시켜야 오래 사용할 수 있다는 얘기는 완전히 잘못된 상식이다.

리튬이온배터리는 굳이 완전 방전 후 충전을 하지 않아도 오래 사용할 수 있다. 과거에 사용하던 납축전지나 니켈-카드뮴(Ni-Cd)전지의 경우에는 완전 방전되지 않은 채 충전을 하면 배터리의 실제 용량이 줄어드는 ‘메모리효과’가 발생했다. 그 사용경험이 남아있어 배터리에 대한 잘못된 상식으로 자리잡게 된 것으로 보인다.

리튬이온배터리는 메모리효과가 없어 자유롭게 수시로 충전을 해도 아무런 문제가 없다. 오히려 리튬이온배터리는 100% 완전 충전과 0% 완전 방전 시 내부 소재가 열악해지는 특성이 있어 10~90%, 20~80% 등의 안전마진(SOC)을 두고 사용하는 것이 더 효과적이다.

2. 전원을 끄거나 비행모드, 절전모드로 하면 충전이 더 빨라진다!

휴대폰의 경우 통신과 디스플레이에 가장 많은 전력을 사용한다. 그렇기 때문에 비행기 탑승 모드로 통신을 차단하거나, 초절전 모드를 실행하거나 전원을 끄면 디스플레이에 소요되는 전력이 차단돼 충전 속도가 빨리질 수 있다.

3. USB보다 어댑터 충전이 더 빠르다!

USB 충전 방식보다 어댑터를 이용하는 것이 더 빨리 충전할 수 있다. USB보다 어댑터에 흐르는 전류의 양이 많게는 4배 정도 많아 충전이 더 빨라지는 원리이다.

리튬이온 배터리 방전 - lityum-ion baeteoli bangjeon

기온이 내려갈 수록 리튬이온 이동속도가 느려져 배터리 성능이 떨어진다. 겨울철 전기차 주행거리가 짧아지는 것도 비슷한 이유이다.

4. 추운곳 보다는 따뜻한 곳에서 충전하기!

배터리는 양극, 음극, 분리막, 전해질과 같은 4대 요소로 구성돼 있다. 이들은 대부분 화학물질로 만들어 진다.

리튬이온이 전해질을 통해 양극, 음극을 이동하며 충전, 방전되는 원리로 배터리의 충방전이 이뤄진다. 화학물질은 온도가 낮아질 수록 반응 속도가 느려지는 특성이 있다. 리튬이온배터리도 온도가 낮아지면 내부 리튬이온의 이동속도가 감소해 충전이 다소 느려질 수 있다. 온도가 일정 수준까지 오르면 배터리 안에 있는 리튬이온의 움직임이 많아져 충전에 속도가 붙는다. 겨울철 전기차 배터리 성능이 떨어지는 것도 비슷한 이유이다. 배터리 성능 저하를 막기 위해 배터리팩에 히팅이 되는데 이로 인해 배터리가 더 빨리 닳게 되는 것이다.

5. 충전 케이블의 굵기가 굵을수록 충전이 빠르다!

충전 케이블 굵기가 얇으면 전류의 저항이 커져 전류 손실이 상대적으로 많아진다. 충전 케이블이 굵으면 전류 저항이 적어 충전 속도를 조금이나마 높일 수 있다.

6. 스마트폰 배터리 오래 사용하는 법!

스마트폰에서 배터리 사용량을 가장 크게 차지하는 분야가 디스플레이이다. 디스플레이의 밝기를 어둡게 할 수록 배터리 소모가 줄어든다. 화면의 밝기를 ‘자동밝기’로 하지 말고 수동으로 어둡게 조절하면 배터리를 조금이라도 오래 사용할 수 있다.

사용하지 않는 기능이나 앱은 꺼두는 게 좋다. 스마트폰에 GPS, 와이파이, 블루투스 등의 기능은 잘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나도 모르게 켜두는 경우가 많은데 이로 인해 지속적으로 배터리 소모가 발생한다. 또한 스마트폰을 사용하다 보면 여러 앱들을 설치하게 되는데 이 중에서 실제로 사용하는 앱은 몇 개 되지 않는다. 불필요한 앱을 삭제하면 배터리 절약에 도움이 된다.

나도 모르는 사이 자동 업데이트가 실행되면 배터리 소모를 촉진할 수 있기 때문에 수동으로 전환하는 것이 낫다.

여러분은 전자기기를 몇 개나 사용하고 계신가요? 스마트폰, 태블릿PC, 노트북, 무선 이어폰 등 많은 전자기기를 휴대하며 사용하고 있는 요즘입니다. 백이면 백 그 안에는 리튬이온배터리가 들어있을 텐데요. 현재 배터리의 주류로 자리 잡고 있는 리튬이온배터리. 과연 어떤 구조와 원리로 작동하는 걸까요?

리튬이온 배터리 방전 - lityum-ion baeteoli bangjeon

리튬이온배터리는 리튬 이온이 양극재와 음극재 사이를 이동하는 화학적 반응을 통해 전기를 만들어냅니다. 양극의 리튬 이온이 음극으로 이동하며 배터리가 충전되고 음극의 리튬 이온이 양극으로 돌아가며 에너지를 방출, 방전되는 것이죠. 이때 양극과 음극 사이에서 리튬 이온의 이동통로 역할을 해주는 전해질과 양극과 음극이 서로 닿지 않게 해주는 분리막이 필요한데요. 일반적으로 리튬이온배터리의 4가지 구성 요소라고 하면 이 양극재, 음극재, 전해질, 분리막을 말합니다.

리튬이온 배터리 방전 - lityum-ion baeteoli bangjeon

양극재

리튬이온배터리에서 리튬이 들어가는 공간이 바로 양극재입니다. 리튬 이온이 사는 집에 비유할 수 있죠. 리튬은 전자를 잃고 양이온이 되려는 경향이 강해서 양극 소재로 적합합니다. 단, 원소 상태의 리튬은 불안정하기 때문에 리튬과 산소를 결합한 리튬 산화물 형태로 양극에 사용됩니다.

리튬이온 배터리 방전 - lityum-ion baeteoli bangjeon

양극재는 배터리의 성능에서 중요한 ‘용량’과 ‘전압’과 관련된 소재인데요. 양극재의 리튬 비중이 높을수록 배터리 용량이 커지며, 배터리 전압은 양극의 전위차에 의해 결정되므로 양극의 구조에 따른 전위값이 전압에 큰 영향을 줍니다. 최근에는 고성능 양극재의 수요가 늘면서 NCA(니켈·코발트·알루미늄), NCMA(니켈·코발트·망간·알루미늄) 등 다양한 양극재가 개발되고 있습니다.

음극재

음극재는 양극에서 나온 리튬 이온을 저장 및 방출하며 외부 회로를 통해 전류가 흐르게 하는 역할을 합니다. 배터리가 충전 상태일 때 리튬 이온은 음극에 존재하는데, 이때 양극과 음극을 도선으로 이어주면 리튬 이온은 전해질을 통해 양극으로 이동하고, 리튬 이온과 분리된 전자는 도선을 따라 이동하며 전기를 발생시킵니다. 집에서 나온 리튬 이온이 일을 하며 만든 전기라고 생각할 수 있겠네요.

리튬이온 배터리 방전 - lityum-ion baeteoli bangjeon

음극재는 많은 이온을 안정적으로 저장할 수 있는 흑연이 주로 사용됩니다. 하지만 리튬 이온을 저장하고 방출되는 과정이 반복될수록 흑연의 구조가 변화하며 저장할 수 있는 이온의 양이 줄어들게 되는데, 이로 인해 배터리 수명이 줄어들게 됩니다. 음극재 역시 용량이 크고 충전 속도를 빠르게 할 수 있는 실리콘 음극재 등 차세대 음극재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습니다.

전해질

전해질은 배터리 내부의 양극과 음극 사이에서 리튬 이온이 원활하게 이동하도록 돕는 매개체입니다. 리튬 이온이 출퇴근하기 위한 이동 수단인 것이죠. 전해질은 리튬 이온의 원활한 이동을 위해 이온 전도도가 높은 물질이어야 하며, 안전을 위해 전기화학적 안정성, 발화점이 높아야 합니다. 또한 전자의 경우 출입을 막아 외부 도선으로만 이동하도록 만들어야 하죠.

리튬이온 배터리 방전 - lityum-ion baeteoli bangjeon

현재로서는 이러한 역할을 할 수 있는 최선의 선택으로 액체 전해질이 널리 사용되고 있는데요. 안전성과 성능이 더 뛰어난 고체나 젤 형태 전해질에 대한 연구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습니다.

분리막

워라밸을 위해 집에서의 휴식과 회사에서의 일은 확실히 분리해야 하듯, 분리막은 양극과 음극의 물리적 접촉을 차단하는 역할을 합니다. 분리막에는 미세한 구멍이 있어 리튬 이온이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데요. 즉, 양극과 음극 간의 접촉은 막고 이온은 이동이 가능해야 하는 것이죠.

리튬이온 배터리 방전 - lityum-ion baeteoli bangjeon

분리막은 안전을 위해 높은 전기절연성과 열 안정성이 요구되며, 일정 이상의 온도에서는 자동으로 이온의 이동을 막는 기능도 갖춰야 합니다. 현재 분리막에는 폴리에틸렌(PE)과 폴리프로필렌(PP)이 널리 쓰이고 있는데요. 배터리 소형화를 위해 분리막을 얇게 만들기 위한 연구 또한 이뤄지고 있습니다.

리튬이온 배터리 방전 - lityum-ion baeteoli bangjeon

지금까지 리튬이온배터리의 4대 구성 요소와 작동 원리를 살펴보았는데요. 우리 삶을 편리하게 만들어준 리튬이온배터리지만 지금 이 순간에도 여러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다양한 연구가 이뤄지고 있습니다. LG에너지솔루션 역시 업계를 선도하며 차세대 배터리 개발에 앞장서고 있는데요. 지난 4월 열린 <배터리 데이 2021> 행사에서 LG에너지솔루션은 2025년부터 리튬황배터리를, 2025년~2027년 전고체 배터리를 상용화할 계획을 밝힌 바 있습니다.

또 지난 9월에는 미국 샌디에이고대학교(UCSD)와의 공동연구를 통해 기존의 60℃ 이상에서만 충전이 가능했던 전고체 배터리의 기술적 한계를 극복했다고 밝히기도 했는데요. 통상 25℃의 상온에서도 빠른 속도로 충전이 가능한 장수명 전고체 배터리 기술을 개발했고 관련 논문이 세계적인 과학 저널인 ‘사이언스(Science)’지에도 게재되며 그 성과를 인정받은 것이죠. 지금 이 시간에도 차세대 배터리 상용화를 위한 노력은 계속되고 있으며, 우리는 우리도 모르는 새에 미래에 한 발짝씩 다가서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