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데온 전원 튜닝 - lade-on jeon-won tyuning

[컴퓨터&인터넷] - 채굴 중고 RX580 4GB 그래픽카드 구입

채굴 중고 RX580 4GB 그래픽카드 구입

기존에 메인으로 사용하던 GTX770을 거실에 있는 PC에 물려주고 메인PC에 꼽아서 쓸 새로운 그래픽카드를 물색해 보았다. 자연스레 가성비가 뛰어난 채굴 중고 그래픽카드들에게 눈이 갔다. 채굴

deneb21.tistory.com

라데온 전원 튜닝 - lade-on jeon-won tyuning

[컴퓨터&인터넷] - 채굴 중고 RX580 4GB 그래픽카드 쿨링팬 교체

채굴 중고 RX580 4GB 그래픽카드 쿨링팬 교체

지난번 글에서 채굴 중고 RX580 그래픽카드를 7만원에 구입했다고 사용기를 올렸었다. 그런데 이게 좀 문제가 있는 것이 조금 고사양 게임을 할려치면 GPU 온도가 80도 넘어서 까지 올라가고 소음

deneb21.tistory.com

라데온 전원 튜닝 - lade-on jeon-won tyuning

위의 글들에서 리뷰했던 RX580 광부 에디션을 아직까지도 잘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고사양 게임은 별로 하지 않다가 요즘 게임을 플레이하니 그래픽카드가 뻗어버리는 증상이 일어났다. 플레이 중 갑자기 화면이 꺼지고 재부팅해도 그래픽카드 드라이버가 잡히지 않고 두어 번 재부팅을 해야 정상으로 돌아오는 현상이다. 

왜 그런가 싶어 HWMonitor 프로그램으로 게임을 하면서 GPU 온도를 살펴보니 거의 90도 까지 올라가는 온도. 그래픽카드 온도가 너무 높아 꺼지는 것으로 추정이 된다.  위의 쿨링팬 교체 글에서 보다시피 쿨링팬 교체 이후에도 별다른 효과를 보지 못했었다.

원인을 찾기 위해 게임을 하면서 HWMonitor를 다시 한 번 관찰해 보았다. 그 결과 GPU의 온도는 쑥쑥 올라가는데 교체한 쿨링팬의 RPM이 따라서 올라가지 않는 현상이 나타났다. 온도가 높이 올라가도 1300 RPM 언저리에서 왔다 갔다 했다. 이 팬의 최대속도가 1800 RPM인데 풀로드 시 너무 낮은 RPM으로 충분한 풍량이 발생하지 않으니 GPU가 뜨거워져 컴퓨터가 다운됐던 것으로 생각이 되었다.

방법을 찾아보니 와트맨이라는 것이 있었다. 라데온 그래픽카드 쿨링팬의 속도를 임의대로 조절할 수 있는 기능인데 라데온 드라이버를 설치하면 트레이에 생기는 아이콘을 클릭하면 나오는 기능이다. 그런데 요즘 드라이버에서는 와트맨이란 명칭이 없어지고 라데온 소프트웨어 실행 후 다른 경로로 들어가면 아직도 같은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

라데온 전원 튜닝 - lade-on jeon-won tyuning

성능 -> 튜닝 -> 수동튜닝 (사용자 정의)를 클릭하면 위와 같이 나오는데 조절하는 방법은 와트맨과 같다. XY 그래프로 되어 있는데 가로축이 GPU 온도, 세로축이 팬 속도(%)로 되어 있어 그래프를 드래그하여 마음대로 팬 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기능이다. 위의 그림은 수정 후의 팬 속도인데 원래 60도 부근에서 쿨링팬 회전 속도가 60% 정도에서 그냥 끝까지 평행하게 되어 있었다. 그러니 온도가 올라도 팬 회전 속도가 오르지 않고 일정하게 유지되니 GPU 온도만 계속 올랐던 것이다. 

위와 같이 팬속도를 수정하고 다시 게임을 플레이해 보았다. 결과 60~70도 사이를 왔다 갔다 하면서 안정적으로 게임을 플레이할 수 있었다. 자꾸 다운되길래 광부 출신이라 드디어 고장나버린걸까? 생각했는데 이런 해결방법을 알게 되어 기쁘다. 7만 원에 구입해서 고장도 안 나고 참 잘 사용하고 있는 기특한 그래픽카드이다.

 최근 AMD 라데온 RX6600XT 그래픽카드를 구매하였습니다. 게임용으로 사용하고 있지만 이더리움 채굴하면 얼마나 나올까 싶어서 테스트 해보았습니다.

 RX6600XT는 기본 상태에서 이더리움 채굴을 시도하면 28~29해시 값이 나오고 105W 정도 전력을 소모합니다. 하지만 수동으로 오버클럭을 조절하면 60W에서 31해시 값이 나오게 할 수 있습니다. 적은 전력 소모로 채굴량을 소량이지만 더 늘릴 수 있습니다.

라데온 전원 튜닝 - lade-on jeon-won tyuning

 저는 AMD 라데온에서 제공하는 기본 소프트웨어로 그래픽카드 오버클럭을 설정했습니다. 라데온 소프트웨어는 그래픽드라이버와 함께 자체적으로 게임, 저전력, 기본, 수동으로 튜닝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소프트웨어입니다.

 현재 그래픽 상태도 상세히 확인할 수 있고 초보자도 쉽게 조작할 수 있도록 한국어로 되어 있어서 유용합니다. 저는 이더리움 채굴을 위해서 RX 6600XT 그래픽카드 설정을 아래 값으로 변경했습니다.

 우선 라데온 소프트웨어를 실행하면 왼쪽 상단 메뉴에 성능이 있습니다. 성능 탭을 선택하면 CPU, GPU 메뉴가 보입니다. 이더리움을 채굴하기 위해 그래픽카드 설정을 변경해야 되므로 GPU 메뉴를 확인합니다.

 튜닝 제어에 보면 오른쪽에 수동 튜닝이 있으며 사용자 정의 메뉴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선택 후 재부팅이 필요할 수 있다는 알림이 보이면 확인을 누르시면 됩니다. 재부팅이 되면 다시 라데온 소프트웨어를 실행해서 성능 메뉴로 진입해주세요.

 GPU 튜닝을 위해서 비활성화 되어 있는 기능들을 활성화로 변경합니다. GPU 튜닝, VRAM 튜닝, 팬 튜닝, 전력 튜닝 모두 활성화합니다.

 기능이 활성화되면 아래 값으로 변경하시면 됩니다. 

 GPU 튜닝

 최소 주파수(MHz) 500

 최대 주파수(MHz) 1000

 전압(mV) 1150

 VRAM 튜닝

 최대 주파수(MHz) 2100 or 2200

 팬 튜닝

 62도 이상부터는 팬 가동률 70% 이상으로 변경

 전원 튜닝

전력 제한(%) -6%

 구 버전의 경우 전력 제한 값을 -30%로 설정 가능합니다. 전력 제한을 낮추면 50W 전력 소모로 31해시 값으로 채굴이 가능해서 전성비가 더 좋습니다. 저는 60W에 온도 44도 해시값 31 정도로 전성비가 괜찮고 발열도 심하지 않아서 좋았습니다.

 확실히 라데온 RX 6600XT 그래픽카드가 RDNA2 칩셋으로 업그레이드되면서 발열도 적고 전력 소모도 줄었습니다. 게이밍 성능은 RTX 3060 보다 높아서 가성비 좋은 그래픽카드입니다. 

라데온 전원 튜닝 - lade-on jeon-won tyuning

 다만 전성비가 좋더라도 RX 6600XT 해시값이 높지 않기 때문에 채굴용으로 가성비는 썩 좋지는 않습니다. 특히 초기 값이었던 60만 원대에 구매했으면 몰라도 최근에는 거의 90만 원에 판매되고 있기 때문에 채산성은 떨어집니다.

 게임용으로는 가성비 좋은 그래픽카드이지만 아쉽게도 이더리움이나 레이븐 코인 채굴용으로 돌려봤자 시간당 약 93원, 하루 2,236원, 1주일에 1만 5천 700원, 한 달 동안 6만 7천 500원, 1년에 약 82만 원 벌 수 있습니다.

 이더리움 시세가 1개당 500만 원일때 채산성 계산 결과이기 때문에 확실히 6600XT로 채굴을 한다는 것은 비효율적입니다. 괜히 채굴업자들이 RTX 3070, 3070Ti, 3080 시리즈를 구매하는 것이 아닙니다. 내년에 이더리움 채굴 난이도가 올라가서 생산량이 줄어든다면 기존 그래픽카드들의 채산성은 더 떨어질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