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X-산천 좌석 창문 - KTX-sancheon jwaseog changmun

철로 : 기차

KTX-산천 좌석배치도 : A형, B형(보라색) & SRT. 원리간단. 산천특실(三호차) 포함, 창가ㆍ콘센트 (그림 6장)

작성 19.01.31

최신 21.12.07 : 맨밑 수정내역 참고

앱 등 예매화면을 우선시하고, 이 글은 보조적으로만 쓸 것. 앱에 가서보면 바로 보이는 경우가 많다.

원래는 SRT 전용이었는데, 생각해보니 산천B형(와인산천. 서울-강릉선에 주로 배차됨.)과 동일한 객차를 쓰기 때문에 수정해서 같이 적었다.

SRT야 눈에 확 띄는데, 산천은 가끔 헷갈려서 구분법 적었고 더 깔끔하게 표로 올린다.

 산천 AB 구분법

 A

 B

 PC WEB

  산천A 빨강색바탕

 산천B 보라색바탕

 모바일 앱

 KTX-산천 (검정색글자)

 KTX-산천 (보라색글자)

목차

1. 창가

2. 선반

3. 맨뒷자리 공간

4. 콘센트 등

1. 창가 전망 : 공통

KTX-1 에 비하면 애들 장난이다. 창문1개=좌석2열로 고정시켜 놨기 때문이다.

<전망좋은 좌석>

이게 정말 미묘한 차이라, 신경안써도 되긴하는데 그래도 넓게 보고싶다 하는사람은 아래 원리를 따라서 예매하도록.

상행 (서울 종점) : 짝수 행 (2k) 

하행(서울 출발) : 홀수(2k+1)

재어보니 통유리 뒤쪽 행은 유리가 계속 보이고, 통유리 앞쪽 행은 창틀 때문에 약 25~40cm 정도가 가려진다.

예외 : 좌석이 홀수 열로 끝나는 경우(3호차-특실-11행, 8호차-일반실-15행)에는

1 행용 작은창으로 항상 고정됨.

사실 창가원리도 규칙이 있는데, 그냥 1번 열부터 2개 열씩 큰창문으로 묶어낸다음 만약에 1개 열이 남으면 개는 개별창인 식.

아래에 통합본 그림을 하나 던져놓았다. 스프레드시트가 하도 안열려서...

중련이면 호차번호에서 10 빼고 보면 똑같다.

특실은 일반실 B열 자리가 완전히 사라지고, 나머지를 순서대로 abc로 표기하더라. a열이 1인석이다.

코레일 스알 공통.

근데 이거 앱이나 웹에서 예매화면 띄우면 바로나옴...

산천A형

4호차는 개조칸이라 역방향이 있다. 자리 넓다는건 장점이라카더라.

8호차의 9행은, 창문이 없다. 예매화면에도 안뜬다.[5]

2. 선반

참고. 캐리어 짐칸은 전객차 사이에 있으니 아무데나 예매해도 ㄱㅊ.

산천A는 못 재봤다.

2-1. 산천B

파랑 : 산천B 천장

빨강 : 실제 선반

회색 : 높이를 표시하기 위한, 가상의 수직선. 실제로는 비어있다.

2-2. SRT

파랑 : SRT 천장 

빨강 : 실제 선반

회색 : 높이를 표시하기 위한, 가상의 수직선. 실제로는 비어있다.

3. 맨뒷자리 공간

심심해서 조사해 봤다. 짐칸이 꽉찼을때 캐리어 둘곳없으면 둘수 있을수도 모른다고 생각해서.

산천A형 조사하지 않음.

3-1. 산천B : 50cm

3-2. SRT : 35cm

4. 콘센트 등

어지간하면 70cm 이상 되는 충전선을 가지고 타자.

4-1. 산천A

선길이가 1미터는 되어야 쓸만하다.

예전에 한 70cm 짜리로 꽂았는데 묘하게 짧았던 것으로 기억한다.

콘센트 1구*2가 아니라, KTX-I 방식인 USB-2개+1구 형태가 앞좌석 등받이 아래에 있다.[6]

4-2. 산천B, SRT 

산천b형은 내가 타본적이 없어서 모르겠다. SRT 경험담과 비슷할 것이다. 어차피 차체는 둘다 산천신형계열이므로.

콘센트 사용시, 필요한 선의 최소길이는 아래와 같다.

잘 안보이는 콘센트 (좌석 사이 아래쪽) : 30cm 면 충분하다.

잘 보이는 콘센트 (앞좌석뒤편 사이 아래쪽) : 30cm면 좀 많이짧고 50cm 이상이 되는게 좋다.

바닥 높이차 : 

창측 가까운 곳에 발 위치가 3cm 더 높다. 미묘한 느낌차이가 있다. 발 올려보면 안다.

맨 앞좌석은 콘센트가 1개뿐인지 2개있는지 물어보는 사람 있는데, 나도 몰라서 확인해보니 1개뿐이다. 해법은 양해를 구하고 교대로 쓰거나, 2충전선 이상 나오는 충전기나 T자형 멀티탭을 들고 타라.

근거자료

ㄱ. 국토교통부 공식블로그 게시물에 명시함.

ㄴ. 실제 맨앞좌석 사진. 확실히 앞 벽쪽에 콘센트 없다.

*******

참고자료

[1]  KTX 산천 차내시설 안내도 : 내가 개량한 버전. 좀 더 SRT 스타일이다. 

[2] SRT 차내시설 안내도 : [1] 만들때 영감을 얻은 자료라서, 여러자료중에 얘 공유함.

[3] KTX 산천 차내시설 안내도 : 코레일 원본

[4] 통합본 : 굳이 볼필요는 없으나, 통합본이 필요한 경우 ㄱㄱ. PC나 드라이브 추천

데이터 폭발 주의. 용량이 너무 커서 모바일에서 제대로 안 열리더라. 몇분 걸리는듯.

[5] AB형 구분법 인증

[5] 산천A형 8호차 창문없는 9행 영상

[6] 예전에 조사하던 산천A형 자료.

ㄴㄳ, ㄴㄱㅅ

*******

수정내역

19.04.03 : AB형 구분법 앱에서 하는법 추가.

19.04.07 : AB형 구분법 표로 변환하고, 차내시설안내도 좀더 좋은것 추가.

19.04.08 : AB형 구분법 인증사진 링크에 추가

19.04.11 : 와인산천 서울-포항 다니는데 경부선은 아니지만 헷갈리기 좋아서 지웠다.

19.07.15 : 예전에 써둔 자료를 추가로 적어 옮겼다.

2020

01.15 : 제목에 좌석 이란 단어를 붙이고, 콘센트 이야기 명확히 해놓고, 창가원리 적어둠.

01.26 : 좌석배치도 원본(드라이브 스프레드시트)이 모바일에서 하도 안열려서 따로 그림한장 빼옴.

01.30 : 맨앞자리 콘센트 개수가 1개인지 2개인지 온라인 조사.

01.31 : 그림제목밑에는 일반실만 되는것처럼 해놓고, 열에는 특실도 된다고 표시해놔서, 혼동 없애려고 일반실만 된다는 부분 삭제.

02.01 : 국토교통부 글보고 맨앞자리 콘센트 개수가 1개임을 확인후 내용정정

02.08 : 잘 검색하는 요령 사진1장 추가. 핵심사진 열길이가 아니라 행길이라서 그냥 길이로 표기(엑셀 기준으로 행은 번호, 열은 알파벳을 붙이니까.)

08.05 : 특실 좌석배열 확인후 내용추가.

09.09 : 산천A형 자료 같이넣어도 무방하겠다 싶어서 등록. 인용6번 추가.

2021.12.09 : srt 앱 예매시 창가위치 보여준다. 웹 예매시 보여주는진 모르겠다.

2022.11.15 : srt 2행에 걸친 통유리 앞쪽에 앉았을때 얼마나 가리는지 조사.

Toplist

최신 우편물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