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크리트 바닥 패널 - konkeuliteu badag paeneol

백화점 바닥에 설치하기 위해 제작된 콘크리트 패널입니다.

예전부터 익히 봐오던, 흔히 말하는 '도끼다시'바닥이 바로 테라조 입니다.

구조체에 사용하는 건설용 콘크리트와 막골재를 갈아 만든 것이 이전의 테라조라면,

이번 콘크리트 스킨의 테라조는 패널 색상에서부터 골재의 크기, 색상과 간격까지 협의하여 제작한  맞춤형 패널이었습니다.

미콘과는 이전부터 몇차례 프로젝트를 진행했던 영국의 브랜드 P사의 프로젝트를 위해 특별히 제작된 패턴입니다.

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02Load-carrying floor structures formed substantially of prefabricated units
  • E04B5/04Load-carrying floor structures formed substantially of prefabricated units with beams or slabs of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e.g. asbestos c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43Floor structures of extraordinary design; Features relating to the elastic stability; Floor structures specially designed for resting on columns only, e.g. mushroom fl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22Resiliently-mounted floors, e.g. sprung floors
  •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의 바닥 시공용 콘크리트 패널, 그 제조방법 및 그를 포함하는 바닥 시공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소음과 진동을 효과적으로 흡수, 소진(분산)하여 층간 방음성 및 방진성 등이 우수하고, 건축물의 바닥을 견고하고 간단하게 시공할 수 있는 건축물의 바닥 시공용 콘크리트 패널, 그 제조방법 및 그를 포함하는 바닥 시공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건축물의 바닥 시공용 콘크리트 패널, 그 제조방법 및 그를 포함하는 바닥 시공구조 {CONCRETE PANEL FOR CONSTRUCTING FLOOR OF BUILDING,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FLOOR CONSTRUCTION STRUCTURE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건축물의 바닥 시공용 콘크리트 패널, 그 제조방법 및 그를 포함하는 바닥 시공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소음과 진동을 효과적으로 흡수, 소진(분산)하여 층간 방음성 및 방진성 등이 우수하고, 건축물의 바닥을 견고하고 간단하게 시공할 수 있는 건축물의 바닥 시공용 콘크리트 패널, 그 제조방법 및 그를 포함하는 바닥 시공구조에 관한 것이다.

    다세대 주택(빌라 등)이나 아파트 등의 다층 건축물을 건축함에 있어서는 시공 현장에서 거의 모든 작업이 이루어지는 것이 보편적이다. 그리고 제한적이기는 하나 아파트 등의 경우에는 프리캐스트 공법(PC 공법)을 이용한 조립식 방법이 이루어지기도 한다.

    일반적인 다층 건축물의 건축방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토공이나 지반 다짐 등의 기초공사가 진행된다. 이후, 지반 위에 H형 빔, I형 빔 등의 철골 프레임을 이용하여 건축물의 골격구조를 형성시킨다. 구체적으로, 다수의 철골 프레임을 수직 및 수평 방향으로 설치한 다음, 철골 프레임 상호간을 용접 또는 브라켓 등으로 체결하여 건축물의 골격구조를 형성한다.

    다음으로, 수직으로 설치된 철골 프레임의 사이에는 벽돌을 조적하거나, 또는 거푸집을 설치하여 내부에 철근을 결선한 다음, 콘크리트를 타설, 양생하여 벽체를 구축한다. 그리고 수평으로 설치된 철골 프레임에는 거푸집(통상, '유로폼')을 깔고, 그 위에 철근을 결선한 다음, 콘크리트를 타설, 양생하여 슬래브(slab)를 시공한다. 이와 같이, 콘크리트를 타설, 양생한 후, 일정기간이 지나면 거푸집을 해체하면 한 층이 구축된다. 그리고 계속적으로 거푸집의 설치 및 콘크리트 타설, 양생 작업을 수회 반복함으로써 여러 층을 구축한다. 이와 같이 구축된 건축물은, 여러 세대가 거주할 수 있도록 벽체와 슬래브에 의해 구획되어 다층을 가짐과 동시에 하나의 층에는 여러 곳의 거주 공간으로 구획된다.

    이때, 건축물의 슬래브 바닥을 시공함에 있어서, 층간(아래층과 위층)의 소음과 진동의 차단은 중요하다. 상층에서 가해지는 충격, 특히 아파트 등에서 어린이들의 심한 요동으로 인한 충격은 아래층에 거주하는 입주자에게 심한 피해를 준다. 이에 따라, 충격 흡수를 위한 완충재, 그리고 소음을 소진하기 위한 차음재의 설치는 건축물의 바닥 시공공사에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층간의 소음과 진동을 방지하기 위해 슬래브 바닥에는 일반적으로 고무재, 합성수지 폼 등의 차음/완충재가 설치되고 있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166993호(특허문헌 1)에는 바닥기초 슬래브 위에 고무재를 깔고, 그 위에 폴리에틸렌(PE) 발포 스폰지를 깔아 차단층을 형성한 다음, 상기 차단층인 PE발포스폰지 위에 바닥층(바닥재)을 접착 형성한 바닥충격음 방지 바닥구조 시공방법이 제시되어 있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6-0038862호(특허문헌 2)에는 건축물의 층간 소음 방지재(흡음재)로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서, 5 내지 200배의 발포 배율을 가지며, 10 내지 3,000㎛ 직경의 발포 셀을 가지는 열가소성 난연성 발포체가 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1 및 2에 제시된 종래 기술에 따른 바닥 시공구조는 상기와 같은 차음/완충재를 설치한다 하여도 그 효과가 미미하여 상층에서 가해지는 소음과 진동을 효과적으로 차단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아래층에 거주하는 입주자는 소음과 진동으로 심한 피해를 입고 있다.

    또한, 본 발명자가 제시한 것으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57011호(특허문헌 3) 및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54827호(특허문헌 4)에는 중공부를 통해 방음성 및 방진성을 도모한 바닥 시공구조가 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는 중공부에 의해 방음성 및 방진성을 갖기는 하나, 설치 작업이 다소 복잡한 문제점이 지적된다.

    한편, 종래 기술에 따른 바닥 시공구조는 난방을 도모에 있어, 마감 모르타르에 난방 배관을 매입하여 도모하고 있다. 그러나 이는 열전도율이 떨어져 에너지 소비량이 많은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166993호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6-0038862호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57011호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54827호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소음과 진동을 효과적으로 흡수, 소진(분산)하여 층간 방음성 및 방진성 등이 우수하고, 건축물의 바닥을 견고하고 간단하게 시공할 수 있는 건축물의 바닥 시공용 콘크리트 패널, 그 제조방법 및 그를 포함하는 바닥 시공구조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난방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우수한 열전도율을 가져 에너지 소비를 절감할 수 있는 바닥 시공구조를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베이스 판;

    상기 베이스 판의 상부에 돌출 형성되되, 격자 구조 또는 벌집 구조로 돌출 형성된 격리벽;

    상기 격리벽에 의해 형성되고, 기공 구조의 충전물이 매입되는 충전 셀; 및

    내부에 매입된 보강 심재를 포함하는 건축물의 바닥 시공용 콘크리트 패널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콘크리트 패널에는 가로 방향 및 세로 방향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방향으로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관통홀에는 인접하는 콘크리트 패널과 체결하기 위한 인장선이 삽입된다. 또한, 상기 격리벽은 베이스 판의 길이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복수의 가로 벽과, 베이스 판의 폭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복수의 세로 벽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가로 벽의 내부에는 보강 심재로서 트러스 거더가 매입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콘크리트 패널의 제조방법으로서,

    몰드의 내부에 보강 심재를 설치하는 단계;

    콘크리트 패널에 관통홀이 형성되도록, 상기 몰드의 내부에 중공관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보강 심재 상에 충전 셀을 형성하기 위한 성형틀을 설치하는 단계; 및

    상기 몰드의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 양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건축물의 바닥 시공용 콘크리트 패널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 콘크리트 패널의 제조방법으로서,

    몰드의 바닥판에 성형틀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성형틀 상에 보강 심재를 설치하는 단계;

    콘크리트 패널에 관통홀이 형성되도록, 상기 몰드의 내부에 중공관을 설치하는 단계; 및

    상기 몰드의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 양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패널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콘크리트 패널;

    상기 콘크리트 패널 상에 설치된 복수의 지지 유닛;

    상기 지지 유닛 상에 설치된 열전도성 금속 플레이트;

    상기 지지 유닛 주위의 콘크리트 패널 상에 설치된 단열재; 및

    상기 단열재와 열전도성 금속 플레이트의 사이에 설치된 난방 배관을 포함하는 건축물의 바닥 시공구조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콘크리트 패널은 복수의 충전 셀을 포함하되, 상기 충전 셀에는 기공 구조의 충전물이 매입되어 있다.

    또한, 상기 지지 유닛과 열전도성 금속 플레이트의 접촉 계면에는 완충 패드가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소음과 진동을 효과적으로 흡수, 소진(분산)하여 층간 방음성 및 방진성 등이 우수하고, 건축물의 바닥을 견고하고 간단하게 시공할 수 있다. 또한, 개선된 난방 구조에 의해, 열전도성이 우수하여 에너지 소비량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형태에 따른 건축물의 바닥 시공용 콘크리트 패널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 형태에 따른 건축물의 바닥 시공용 콘크리트 패널의 단면도로서, 도 1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 형태에 따른 건축물의 바닥 시공용 콘크리트 패널의 단면도로서, 도 1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 형태에 따른 건축물의 바닥 시공용 콘크리트 패널의 사시도이다.
    도 5a 내지 도 5e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트러스 거더의 다양한 구현예들을 보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의 바닥 시공용 콘크리트 패널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를 보인 것이다.
    도 7은 충전 셀을 형성하기 위한 성형틀의 구현예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8은 몰드의 다른 실시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의 바닥 시공용 콘크리트 패널의 설치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 형태에 따른 바닥 시공구조의 단면 구성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완충 유닛의 실시 형태를 보인 분리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완충 유닛을 구성하는 접시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완충 유닛을 구성하는 접시 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완충 유닛의 다른 실시 형태를 보인 단면 구성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완충 유닛을 구성하는 지지판의 배면 사시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은 전후에 나열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제3", "일측" 및 "타측"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각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상에 형성", "상부(상측)에 형성", 및 "하부(하측)에 형성" 등은, 당해 구성요소들이 직접 접하여 적층 형성되는 것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고, 당해 구성요소들 간의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가 더 형성되어 있는 의미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에 형성된다"라는 것은, 제1구성요소 위에 제2구성요소가 직접 접하여 형성되는 의미는 물론, 상기 제1구성요소와 제2구성요소의 사이에 제3구성요소가 더 형성될 수 있는 의미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연결', '설치', '결합' 및 '체결' 등은, 두 개의 부재가 착탈(결합과 분리)이 가능하게 결합된 것은 물론, 일체 구조의 의미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연결', '설치', '결합' 및 '체결' 등은, 예를 들어 강제 끼움 방식(억지 끼움 방식); 홈과 돌기를 이용한 끼움 방식; 및 나사, 볼트, 피스, 리벳 등의 체결 부재를 이용한 체결 방식 등을 통하여, 두 개의 부재가 결합과 분리가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은 물론, 용접이나 접착제, 시멘트나 모르타르의 타설, 또는 일체적 성형 등을 통하여 두 개의 부재가 결합된 후, 분리가 불가능하게 구성된 의미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설치'의 경우에는 별도의 결합력 없이 두 개의 부재가 적층(안착)되어 있는 의미도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 형태를 도시한 것으로, 이는 단지 본 발명의 이해를 돕도록 하기 위해 제공된다. 첨부된 도면에서, 각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해 두께는 확대하여 나타낸 것일 수 있고, 도면에 표시된 두께, 크기 및 비율 등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의 범용적인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3에는 본 발명의 제1실시 형태에 따른 건축물의 바닥 시공용 콘크리트 패널(이하, '콘크리트 패널'로 약칭한다.)이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4에는 본 발명의 제2실시 형태에 따른 건축물의 바닥 시공용 콘크리트 패널이 도시되어 있다.

    콘크리트 패널(100)은 건축물의 바닥을 형성한다. 본 발명에서, 콘크리트 패널(100)의 크기(길이, 폭, 두께 등)는 제한되지 않는다. 콘크리트 패널(100)은, 건축물의 크기(규모) 및/또는 콘크리트 패널(100) 자체의 크기에 따라 1개 또는 2개 이상의 복수개가 체결 조립되어 건축물의 바닥을 형성할 수 있다. 콘크리트 패널(100)은, 하나의 구현예에 따라서 운반 및 설치 작업 등을 고려하여, 2개 이상 복수 개의 체결에 의해 바닥을 형성하는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콘크리트 패널(100)은, 예를 들어 직육면체로서 판상의 형상을 갖는다. 콘크리트 패널(100)은 베이스 판(10)과, 상기 베이스 판(10)의 상부에 돌출 형성된 격리벽(20)과, 상기 격리벽(20)에 의해 형성된 복수의 충전 셀(cell)(30)을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 판(10)은, 예를 들어 직육면체 형상의 판상이다. 베이스 판(10)의 상부에는 격리벽(20)이 일체로 연장하여 돌출 형성되어 있다. 격리벽(20)은 격자 구조 또는 벌집 구조(허니콤 구조)를 갖는다. 본 발명에서, 격자 구조는, 격리벽(20)이 길이 방향(가로 방향)과 폭 방향(세로 방향)으로 형성되어 사각형 형상으로 배열된 그리드(grid) 구조는 물론, 격리벽(20)이 대각선 방향으로 형성되어 마름모형(또는 평행사변형) 등으로 배열된 와플(waffle) 구조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벌집 구조(허니콤 구조)는 벌집 모양으로서 오각형, 육각형 또는 팔각형 등의 모양을 포함한다. 도면에서는 격리벽(20)이 격자 구조로 형성된 모습을 예시하였다. 구체적으로, 격리벽(20)은, 도면에 보인 바와 같이 베이스 판(10)의 길이 방향(가로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복수의 가로 벽(22)과, 베이스 판(10)의 폭 방향(세로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복수의 세로 벽(24)을 포함하되, 상기 가로 벽(22)과 세로 벽(24)이 직각을 이루어 사각형 형상의 격자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충전 셀(30)은, 도면에 보인 바와 같이 베이스 판(10) 상에 형성된 홈 형상을 가지는 것으로서, 이는 상기 격리벽(20)에 의해 형성된다. 충전 셀(30)은 복수개로서, 이는 구체적으로 상기 복수의 가로 벽(22)과 상기 복수의 세로 벽(24)에 의해 구획된 공간이다. 충전 셀(30)에는 기공 구조의 충전물(150, 도 10 참조)이 매입 설치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기공 구조의 충전물(150)은 다수의 기공(pore)을 가지는 것이면 제한되지 않는다. 기공 구조의 충전물(150)은, 예를 들어 기포 콘크리트 및/또는 합성수지 발포 폼(foam) 등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기공 구조의 충전물(150)은, 콘크리트 반죽물(모래와 시멘트의 반죽물)이 물리적인 조작(예를 들어, 공기의 주입)에 의해 기포가 형성되도록 타설, 양생된 경량 기포 콘크리트이거나, 합성수지 조성물(합성수지와 발포제의 혼합)이 발포되어 형성된 합성수지 발포 폼 등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합성수지 발포 폼은, 예를 들어 폴리스티렌 폼, 폴리우레탄 폼, 폴리에틸렌 폼, 폴리프로필렌 폼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기공 구조의 충전물(150)에 의해, 상층에 가해지는 소음과 진동이 흡수, 차단되면서 경량성이 부여될 수 있다. 또한, 기공 구조의 충전물(150)은 글라스 울, 미네랄 울, 락 울, 섬유 집합체(솜 등) 등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합성수지 발포 칩(chip), 모래(규사), 토분, 석분, 진주암, 발포 진주암, 질석, 발포 질석, 목분(톱밥 등),왕겨 및 볏짚 분쇄물(잘게 분쇄한 것) 등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충전 셀(30)의 개수는 제한되지 않는다. 충전 셀(30)은, 예를 들어 가로 방향(길이 방향)으로 3열 내지 20열, 세로 방향(폭 방향)으로 2열 내지 15열로 배열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충전 셀(30)이 가로 방향(길이 방향)으로 8열, 세로 방향(폭 방향)으로 4열로 배열되어, 총 32개가 형성된 모습을 예시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 형태에 따라서, 상기 콘크리트 패널(100)은 관통홀(40)을 포함하는 것이 좋다. 상기 관통홀(40)은 콘크리트 패널(100)의 가로 방향(길이 방향) 및 세로 방향(폭 방향)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방향으로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관통홀(40)은, 콘크리트 패널(100)의 적어도 세로 방향(폭 방향)에는 형성되어 있는 것이 좋다. 도면에서는, 관통홀(40)이 콘크리트 패널(100)의 세로 방향(폭 방향)으로 형성되되, 베이스 판(10)에 형성된 모습을 예시하였다. 바닥을 시공함에 있어서, 복수 개의 콘크리트 패널(100)을 체결하는 경우에 상기 관통홀(40)은 유용하게 사용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관통홀(40)에는 인접하는 콘크리트 패널과 체결하기 위한 인장선(181, 도 9 참조)이 삽입된다.

    도 4에는 본 발명의 제2실시 형태에 따른 콘크리트 패널(100)이 도시되어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 형태에 따라서, 상기 콘크리트 패널(100)은 인서트(5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인서트(50)의 일측은 콘크리트 패널(100)의 측면에 매설되고, 타측은 외부로 노출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시적인 실시 형태에 따라서, 상기 콘크리트 패널(100)은 고리 부재(60)를 포함할 수 있다. 고리 부재(60)의 일측은 콘크리트 패널(100)의 측면에 매설되고, 타측은 외부로 노출된다.

    상기 인서트(50)는 건축물의 벽체(W, 도 9 참조)에 내설된 철근(F)과 연결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러한 인서트(40)에 의해, 콘크리트 패널(100)이 건축물의 벽체(W)와 견고한 결합력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인서트(50)의 일측은 콘크리트 패널(100)의 측면에 매설되고, 타측은 외부로 노출된다. 또한, 상기 고리 부재(60)는 콘크리트 패널(100)의 운반이나 설치 시에 사용된다. 구체적으로, 콘크리트 패널(100)의 운반이나 설치 시에, 상기 고리 부재(60)를 잡거나, 상기 고리 부재(60)에 기중기 등의 운반 장치를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고리 부재(60)는 콘크리트 패널(100)의 운반이나 설치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콘크리트 패널(100)은 보강 심재를 포함한다. 보강 심재는 콘크리트 패널(100)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면 좋으며, 이는 콘크리트 패널(100)의 내부에 매입된다. 보강 심재는, 예를 들어 금속 메쉬(mesh), 금속 다공판, 철근, 트러스 거더 및/또는 섬유 시트 등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이러한 보강 심재는 콘크리트 패널(100)의 베이스 판(10) 및/또는 격리벽(20)에 매입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을 보인 것이고, 도 3은 도 1의 B-B선 단면을 보인 것이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구현예에 따라서, 도 2 및 도 3에 보인 바와 같이 베이스 판(10)의 내부에는 보강 심재로서 금속 메쉬(70) 및 금속 다공판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이 매입될 수 있다.

    또한, 도 2 및 도 3에 보인 바와 같이, 상기 격리벽(20)의 내부에는 철근(80) 및 트러스 거더(90)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이 매입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격리벽(20) 중에서 세로 벽(24)의 내부에는 철근(80, 도 2)이 매입되고, 가로 벽(22)의 내부에는 트러스 거더(90)가 매입될 수 있다. 상기 트러스 거더(90)는 3개 이상의 메인바가 결선된 입체 구조를 가지는 것으로서, 이는 강도 보강에 유리하다.

    도 5a 내지 도 5e는 보강 심재로서 본 발명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트러스 거더(90)의 다양한 구현예들을 도시한 것이다. 도 5a 내지 도 5e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트러스 거더(90)는 적어도 3개 이상의 메인바(92)와, 상기 메인바(92)를 연결하는 강선(94)을 포함한 입체적 구조를 갖는다. 이때, 상기 메인바(92)와 강선(94)은 철재 파이프, 철근 및 와이어(wire)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강선(94)은 메인바(92)보다 직경이 작은 것이 사용된다. 그리고 메인바(92)의 개수 및 위치 배열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입체적 구조를 갖는다. 도 5a 및 도 5b는 3개의 메인바(92)를 가지는 삼각형 형태의 트러스 거더(90)를 보인 것이고, 도 5c는 4개의 메인바(92)를 가지되, 강선(94)이 X자 형태로 연결된 구조를 보인 것이다. 그리고 도 5d는 사각형 형태, 도 5e는 사다리꼴 형태의 단면 모습을 가지는 트러스 거더(90)를 예시한 것이다. 이와 같은 입체적 구조의 트러스 거더(90)는 콘크리트 패널(100)의 지지 강도와 인장 강도 등의 보강에 효과적이다.

    바람직한 형태에 따라서, 상기 트러스 거더(90)는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은 삼각형 구조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트러스 거더(90)는 복수의 메인바(92)와, 상기 복수의 메인바(92)를 연결하는 강선(94)을 포함하되, 상기 강선(94)은 연속된 구조로서 굴곡되면서 복수의 메인바(92)를 연결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구조의 트러스 거더(90)는 콘크리트 패널(100)의 지지 강도와 인장 강도 등의 보강에 매우 효과적이다. 이때, 도 5a에서는 3개의 메인바(92)와 2개의 강선(94)으로 구성된 트러스 거더(90)를 예시하였다.

    이상에서 설명한 콘크리트 패널(100)은 건축물의 바닥을 견고한 구조로 간단하게 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콘크리트 패널(100)은, 그 구조적 측면에서 견고하다. 즉, 베이스 판(10)을 포함하되, 상기 베이스 판(10) 상에 돌출 형성된 격자 구조 또는 벌집 구조의 격리벽(20)에 의해 견고한 지지력을 갖는다. 또한, 방음성 및 방진성을 도모하면서 경량이다. 즉, 격리벽(20) 간의 사이에 복수의 충전 셀(30)이 형성되어 경량성을 확보하면서, 상기 충전 셀(30)의 내부에는 소음과 진동을 흡수, 소진(분산)하는 기공 구조의 충전물(150)이 매입될 수 있어 방음성 및 방진성을 도모한다. 그리고 충전물(150)은 기공 구조에 의해 밀도가 낮아 경량성을 갖는다. 또한, 건축물의 바닥을 시공함에 있어, 종래와 같이 거푸집의 설치 및 콘크리트의 타설 등의 작업에 의하지 않고, 인장선(181)을 통한 콘크리트 패널(100)의 체결에 의해 바닥이 시공되어 작업이 간편하다.

    한편, 상기 콘크리트 패널(100)은, 다양한 방법으로 제조(성형)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패널(100)의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패널(100)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를 보인 것이다. 그리고 도 7은 충전 셀(30)을 형성하기 위한 성형틀(120)을 예시한 것이다.

    먼저,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패널(100)의 제조방법은, 몰드(110)의 내부에 보강 심재를 설치하는 제1단계; 상기 보강 심재 상에 충전 셀(30)을 형성하기 위한 성형틀(120)을 설치하는 제2단계; 및 상기 몰드(110)의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 양생하는 제3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보강 심재를 설치하는 제1단계는, 전술한 바와 같은 금속 메쉬(mesh), 금속 다공판, 철근, 트러스 거더 및 섬유 시트 등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보강 심재를 설치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구현예에 따라서, 먼저 몰드(110)의 내부에 금속 메쉬(70)를 설치하고, 금속 메쉬(70)의 상부에 철근(80)과 트러스 거더(90)를 설치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철근(80)은 세로 벽(24)에 매입될 수 있도록 세로 방향(폭 방향)으로 설치하고, 상기 트러스 거더(90)는 가로 벽(22)에 매입될 수 있도록 가로 방향(길이 방향)으로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강 심재들은, 즉 금속 메쉬(70), 철근(80) 및 트러스 거더(90)는 서로 결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콘크리트 패널(100)의 제조방법은 몰드(110)의 내부에 중공관(140)을 설치하는 제4단계를 더 포함한다. 중공관(140)은 관통홀(40)을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는 콘크리트 양생 후 제거된다. 중공관(140)은, 속이 빈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이는 예를 들어 금속재 관이나 합성수지재 관 등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이러한 중공관(140)을 설치하는 제4단계는 상기 제1단계와 제2단계의 사이, 또는 상기 제2단계와 제3단계의 사이에 진행될 수 있다.

    상기 몰드(110)는 바닥판(112)과, 상기 바닥판(112)의 측면에 형성된 4개의 벽체부(113)를 포함한다. 이때, 4개의 벽체부(113) 중에서 적어도 1개 이상은, 콘크리트 패널(100)의 탈거가 용이하도록 분리될 수 있는 것이 좋다. 또한, 몰드(110)의 벽체부(113)에는 상기 중공관(140)이 관통되는 관통공(114)이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몰드(110)의 벽체부(113)에는 상기한 바와 같은 인서트(50)와 고리 부재(60)를 매입하기 위하기 삽입공(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성형틀(120)은 충전 셀(30)을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는 적어도 충전 셀(30)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셀 형성틀(123)을 포함한다. 이때, 셀 형성틀(123)은 충전 셀(30)과 대응되는 형상으로서,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셀 형성틀(123)은, 예를 들어 삼각형, 사각형, 오각형, 육각형 및 마름모형 등의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셀 형성틀(123)의 설치에 의해, 충전 셀(30)이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한 바와 같은 격자 구조 또는 벌집 구조의 격리벽(20)이 형성된다.

    상기 성형틀(120)은, 하나의 구현예에 따라서 충전 셀(30)과 대응되는 형상으로서, 충전 셀(30)을 형성하는 복수의 셀 형성틀(123)과; 상기 복수의 셀 형성틀(123)을 연결하는 연결 프레임(125)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연결 프레임(125)의 양쪽 말단에는 볼트 등의 체결구를 끼우기 위한 체결공(125a)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성형틀(120)을 몰드(110)에 설치함에 있어서, 연결 프레임(125)의 양쪽 말단을 몰드(110)의 벽체부(113) 상에 안착시킨 다음, 상기 체결공(125a)을 통해 볼트 등의 체결구로 몰드(110)와 체결함으로써, 성형틀(120)을 몰드(110)에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도 8은 상기 몰드(110)의 다른 실시 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콘크리트 패널(100)의 제조방법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라서, 몰드(110)의 바닥판(112)에 성형틀(120)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성형틀(120) 상에 보강 심재를 설치하는 단계; 및 상기 몰드(110)의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 양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도 1에 보인 콘크리트 패널(100)을 뒤집어진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성형틀(120)은 적어도 충전 셀(30)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복수의 셀 형성틀(123)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몰드(110)의 바닥판(112) 상에 성형틀(120)로서 복수의 셀 형성틀(123)을 소정 간격으로 배치한 다음, 보강 심재의 설치와 콘크리트의 타설, 양생을 진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닥 시공구조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바닥 시공구조는 상기한 바와 같이 콘크리트 패널(100)을 1개 또는 2개 이상을 포함한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바닥 시공구조를 예시한 것으로서, 도 9는 콘크리트 패널(100)의 설치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 형태에 따른 바닥 시공구조의 단면 구성도를 보인 것이다.

    먼저, 도 9를 참조하면, 건축물의 벽체(W)는 통상과 같이 거푸집(C)을 통해 축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벽체(W)의 시공을 위해, 내측 거푸집(C)과 외측 거푸집(C)을 설치한다. 내측 거푸집(C)과 외측 거푸집(C)의 사이에는 복수의 철근(F)이 결선되어 있다. 내외측 거푸집(C)의 사이에 콘크리트를 타설, 양생하면 벽체(W)가 시공된다. 이때, 좌측 벽체(W)와 우측 벽체(W)의 사이에는 바닥을 시공하기 위한 콘크리트 패널(100)이 설치된다. 예를 들어, 2개 이상의 콘크리트 패널(100)이 수평을 이루도록 복수 개 설치된다. 경우에 따라서, 복수의 콘크리트 패널(100)이 수평을 이루도록 지지하는 수평 유지판(191)과 지지 프레임(192)이 설치될 수 있다. 이때,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수평 유지판(191)은 콘크리트 패널(100)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지지 프레임(192)은 수평 유지판(191)의 하측에 설치되어 지지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콘크리트 패널(100)은 인장선(181)을 통해 체결된다. 구체적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콘크리트 패널(100)에는 관통홀(40)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러한 관통홀(40)에 인장선(181)을 삽입한 다음, 어느 한쪽에서 텐션(tension)을 가하여 체결한다. 즉,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측 콘크리트 패널(100)의 일측(도면의 왼쪽)에는 인장콘 등의 고정부재(182)로 인장선(181)의 일단을 고정하여 마감한다. 그리고 우측 콘크리트 패널(100)의 일측(도면의 오른쪽)에서 인장기(185)를 이용하여 인장선(181)의 타단을 인장하여 강한 텐션을 가한 다음, 철근(F)에 고정하게 되면, 복수의 콘크리트 패널(100)은 견고하게 체결될 수 있다. 이때, 인장기(185)에는 유압기가 연결되어 강한 텐션이 가해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인장선(181)은 적절한 강도를 가지는 것이면 제한되지 않으며, 이는 예를 들어 철근을 사용하거나,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강선이 꼬아진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인장선(181)의 말단은, 벽체(W)의 내부에 매입되는 철근(F)과 용접 등을 통해 견고히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위와 같이 인장선(181)을 통해 복수의 콘크리트 패널(100)을 체결한 다음에는, 콘크리트 패널(100)의 측면에 설치된 상기 인서트(50)를 벽체(W)의 철근(F)에 용접하거나 별도의 체결구로 체결하여, 보다 견고한 결합력을 갖게 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콘크리트 패널(100)의 설치 과정은 건축물의 2층이나 3층 이상의 바닥을 시공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 것이다. 건축물의 맨 아래층(예를 들어, 지면 접촉되는 1층)의 경우에는, 상기에서 수평 유지판(191)과 지지 프레임(192)의 설치 구조는 생략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바닥 시공구조는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로 설치된 콘크리트 패널(100)과, 상기 콘크리트 패널(100) 상에 이격 설치된 열전도성 금속 플레이트(500)를 포함한다. 이때, 콘크리트 패널(100)과 열전도성 금속 플레이트(500)는 복수의 지지 유닛(200)(support unit)에 의해 이격된다. 그리고 콘크리트 패널(100)과 열전도성 금속 플레이트(500)의 사이에는 아래에서부터 차례로 단열재(300)와 난방 배관(400)이 설치된 구조를 갖는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바닥 시공구조는 콘크리트 패널(100)과, 상기 콘크리트 패널(100) 상에 설치된 복수의 지지 유닛(200)과, 상기 지지 유닛(200) 상에 설치된 열전도성 금속 플레이트(500)와, 상기 지지 유닛(200) 주위의 콘크리트 패널(100) 상에 설치된 단열재(300)와, 상기 단열재(300)와 열전도성 금속 플레이트(500)의 사이에 설치된 난방 배관(400)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콘크리트 패널(100)은 충전 셀(30)이 형성되어 있는데, 충전 셀(30)에는 전술한 바와 같은 기공 구조의 충전물(150)이 매입되어 있다. 이러한 기공 구조의 충전물(150)은 적어도 충전 셀(30)에는 매입되어 있으며,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라서는 격리벽(20)과 단열재(300)의 사이에도 소정의 두께로 상기 기공 구조의 충전물(150)이 층을 이루며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 유닛(200)은 콘크리트 패널(100)과 열전도성 금속 플레이트(500)의 사이에 설치되어, 이들(100)(500)을 소정 공간으로 이격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이는 구체적으로 콘크리트 패널(100)의 격리벽(20) 상에 고정된다. 지지 유닛(200)은, 바람직하게는 지지력과 함께 완충성을 가지는 완충 유닛(200)(shock-absorbing unit)으로 구성되는 것이 좋다.

    도 11 내지 도 15는 완충 유닛(200)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보인 것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완충 유닛(200)은 콘크리트 패널(100) 상에 고정되는 포스트(post)(210)와, 상기 포스트(210)에 삽입 설치된 탄력성의 완충 부재(220)와, 상기 완충 부재(220) 상에 설치된 지지판(230)을 포함한다.

    상기 포스트(210)는, 예를 들어 봉 형상을 갖는다. 상기 포스트(210)의 일측(도면에서 하측)은 콘크리트 패널(100)의 격리벽(20)에 매입된 구조로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포스트(210)의 타측(도면에서 상측)은 외부로 노출되어 있으며, 여기에는 완충 부재(220)가 삽입, 설치된다.

    상기 완충 부재(220)는 탄력성을 가지는 것으로서, 이는 포스트(210)에 삽입되어 완충력을 제공한다. 완충 부재(220)는 탄력성을 가지는 것이면 제한되지 않는다. 완충 부재(220)는, 예를 들어 코일형의 스프링(통상의 용수철 구조)을 사용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따라서 접시 스프링(disc spring)으로부터 선택된다. 도면에는 완충 부재(220)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로서 접시 스프링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완충 부재(220)는, 구체적으로 복수의 접시 부재(222)가 적층된 접시 스프링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시 부재(222)는 탄성의 금속재로서, 이는 예를 들어 탄소강, 스테인리스 스틸(SUS), 알루미늄 합금강, 및 강철 등의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접시 부재(222)의 중앙에는 완충공(220a)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완충공(220a)에는 포스트(210)가 삽입된다. 도 11을 참조하면, 2개의 접시 부재(222)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적층되어 하나의 스프링 세트를 이루며, 이러한 스프링 세트가 1개 또는 2개 이상 적층되어 구성될 수 있다.

    도 11은, 상기 완충 부재(220)로서, 3개의 스프링 세트로 구성된 모습을 예시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도 11은 총 6개의 접시 부재(222)가 사용되어, 서로 반대 방향으로 적층된 2개의 접시 부재(222)가 1개의 스프링 세트를 이루되, 이러한 스프링 세트가 3개 적층된 모습을 보인 것이다.

    또한, 도 12 및 도 13은 1개의 접시 부재(222)를 보인 것이다. 도 12 및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시 부재(222)는, 그의 중앙에 완충공(220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완충공(220a)을 기준으로 원주 방향으로 갓 모양의 접시(222a)가 소정 각도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 등의 외력을 받으면, 갓 모양의 접시(222a)가 소정의 각도로 벌어지면서 외력을 완충시키며, 이는 또한 안정감을 갖는다. 그리고 이러한 접시 부재(222)의 2개가 1개의 스프링 세트로 하여, 서로 반대 방향으로 적층되어, 효과적인 완충력을 갖는다. 즉, 이러한 접시 스프링은 코일형의 스프링보다 보다 안정감 있는 완충력을 구현하며, 이는 또한 구조적으로 견고하여 본 발명의 바닥 시공구조에 바람직하다. 도 14는, 상기 완충 유닛(200)의 결합 단면도를 보인 것이다. 도 14에는 완충 부재(220)로서 2개의 접시 부재(222)가 반대 방향으로 적층되어 있는 모습, 즉 1개의 스프링 세트로 구성된 접시 스프링을 예시한 것이다.

    상기 지지판(230)은, 위와 같은 완충 부재(220) 상에 설치되어, 열전도성 금속 플레이트(500)를 지지한다. 이때, 지지판(230)은 포스트(210)의 상부 말단(210a)이 삽입되는 삽입공(230a)이 형성되어 있다. 도 15는 지지판(230)의 배면 사시도를 보인 것이다.

    도 15에 보인 바와 같이, 지지판(230)의 배면에는 가이드부(232)가 설치될 수 있다. 가이드부(232)는 지지판(230)과 일체로 성형되어 설치되거나, 별도의 부재로서 지지판(230)에 용접 등을 통해 설치될 수 있다. 가이드부(232)는, 포스트(210)의 상부 말단(210a)이 지지판(230)의 삽입공(230a)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가이드한다. 따라서 지지판(230)의 삽입공(230a)은 가이드부(232)까지 연장되며, 이를 위해 가이드부(232)는 원통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포스트(210)의 상부 말단(210a)은 지지판(230)의 삽입공(230a)에 삽입되어 있되, 단차(d)를 갖도록 삽입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포스트(210)의 상부 말단(210a)은 삽입공(230a)의 말단(230a-1)으로부터 소정 거리의 단차(d)를 두고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지지판(230)의 상부에서 강한 충격이 가해지면, 완충 부재(220)의 수축에 의해 포스트(210)의 상부 말단(210a)이 삽입공(230a)을 이탈하여, 상부의 열전도성 금속 플레이트(500)에 압착될 수 있다. 상기 단차(d)는 이러한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상기 단차(d)는 지지판(230)에 강한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말단(210a)의 여분 출입로를 형성하여 포스트(210)의 상부 말단(210a)과 열전도성 금속 플레이트(500) 간의 압착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단차(d)는, 예를 들어 0.2 ~ 3mm의 거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단차(d)는, 다른 예를 들어 0.5 ~ 2mm의 거리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포스트(210)의 상부 말단(210a)은 삽입공(230a))의 내부에서 0.2 ~ 3mm의 범위(또는 0.5 ~ 2mm의 범위)로 유동될 수 있다.

    아울러,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포스트(210)에는 스토퍼(240)가 형성될 수 있다. 스토퍼(240)는,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포스트(210)로부터 직각으로 돌출 설치되되, 완충 부재(220)의 하단에 밀착 설치된다. 스토퍼(240)는 완충 부재(220)를 지지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단열재(300)는 단열성을 갖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이는 당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단열재(300)는 단열성은 물론 차음성을 가질 수 있다. 단열재(300)는, 예를 들어 합성수지 폼(폴리스틸렌 폼, 폴리우레탄 폼, 폴리에틸렌 폼, 폴리프로필렌 폼 등), 아이소핑크(압축 합성수지 폼으로서, 본 발명에서 아이소핑크는 압축 스티로폼은 물론 압축 폴리에틸렌 폼, 압축 폴리프로필렌 등을 포함한다), 석고보드, 글라스 울, 미네랄 울, 락 울 및 섬유 집합체(솜 등) 등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나, 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열전도성 금속 플레이트(500)는 열전도성을 갖는 금속 판(plate)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열전도성 금속 플레이트(500)는, 예를 들어 철(Fe), 구리(Cu) 및 알루미늄(Al) 등으로부터 선택된 단일 금속 또는 이들의 합금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열전도성 금속 플레이트(500)는, 가격을 고려하여 철판으로 선택되거나, 중량과 함께 열전도성을 고려하여 알루미늄 판 또는 철-알루미늄 합금 판 등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아울러,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서 난방 배관(400)은 단열재(300)와 열전도성 금속 플레이트(500)의 사이에 설치된다. 이때, 난방 배관(400)은 열전도성 금속 플레이트(500)의 하측면에 최대한 밀착 설치될 수 있다. 난방 배관(400)으로부터 발생된 열기는 상승하여 열전도성 금속 플레이트(500)에 전도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와 대비하여, 효과적인 난방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즉, 종래와 같이, 마감 모르타르에 난방 배관을 설치하는 경우, 마감 모르타르는 열전도율이 낮아 에너지 소비량에 비해 난방 효과가 낮으나, 위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서 열전도성 금속 플레이트(500)를 설치하고, 상기 열전도성 금속 플레이트(500)의 하측에 난방 배관(400)을 설치하는 경우, 열전도성이 효과적으로 개선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종래의 마감 모르타르에 비해 열전도율이 매우 높은 금속 플레이트(500)가 열을 효과적으로 전도 및 방출하여 낮은 에너지 소비량으로도 높은 난방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난방 배관(400)의 하측에는 단열재(300)가 설치되어 난방 배관(400)의 열기는 단열에 의해 거의 상부로만 전달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바닥 시공구조는 완충 패드(4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완충 유닛(200)과 열전도성 금속 플레이트(500)의 접촉 계면에는 완충 패드(450)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완충 패드(450)는 완충 유닛(200)과 열전도성 금속 플레이트(500) 간의 완충을 위한 것으로서, 이는 예를 들어 고무재, 합성수지재, 섬유재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바닥 시공구조는,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요소 이외에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열전도성 금속 플레이트(500)의 상부에는 마감재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마감재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바닥 마감재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마감재는, 예를 들어 인쇄 장식시트, 장판, 타일, 천연 석판(대리석 등), 인조 대리석(대리석 무늬의 합성수지 시트 등) 및/또는 황토판 등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바닥 시공구조는, 상기 마감재 이외에 다양한 기능성 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황토층, 탈취층, 살균층, 원적외선 방사층 및/또는 별도의 차음재층 등이 선택적으로 더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바닥 시공구조는, 예를 들어 다세대 주택이나 연립 주택식의 빌라형 건축물; 내부에 많은 임대 사무실을 가지는 빌딩형 건축물; 그리고 아파트, 학교, 병원, 기숙사 등의 공동 집합형; 등의 다층 건축물을 신축하는 데에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으며, 또한 위와 같은 기존 건축물을 리모델링함에서도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건축물은 아파트 등의 경우에 적용되는 프리캐스트 공법(PC공법)으로 구축된 조립식 건축물을 포함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전술한 바와 같이 소음과 진동을 효과적으로 흡수, 소진(분산)하여 층간 방음성 및 방진성 등이 우수하고, 건축물의 바닥을 견고하고 간단하게 시공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개선된 난방 구조에 의해 열전도성이 우수하여 에너지 소비를 절감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