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없이 와이파이 설치 - keompyuteoeobs-i waipai seolchi

가전, 그리고 IT

컴퓨터없이 공유기 설치, 와이파이 설정 하는법

요즘 스마트폰으로 할게 참 많습니다.

인터넷을 볼수도 있고 게임도 할 수 있고 음악이나 동영상도 시청할 수 있게 되었지요

그야말로 인터넷을 통해 손안에서 모든 것을 ​할수 있게 되었습니다.

그러다보니 항상 말일이 가까워지면 모자란 데이터에 허덕이게 되고

와이파이가 터지는 카페를 전전하게 되며 공유기에 대한 갈증에 시달리게 됩니다.​

역시 가장 좋은 것은 집에 있을 때만이라도 와이파이 설정을 통해 데이터의 소비를 줄이는 것이 좋겠지요?​

일반적으로 인터넷라인을 공유기에 연결하여 다시 컴퓨터에 꼽는 일반적인 방법은 많이들 쓰셨고 잘 알고 있더라구요

그래서 오늘은 방에 <인터넷선은 들어오는데 컴퓨터가 없는 경우, 컴퓨터없이 와이파이 설정 하는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예전에 연결법을 썼는데 댓글로 이러한 문의를 하는 경우가 많아서 <테스트 겸 시도> 해보려고 합니다.


 

테스트에 사용하게 될 기기입니다.

예전에 후기를 한번 쓴 적이 있는데 기억을 하실라나 모르겠습니다 ㅎㅎ

기존에 사용하던 것이 10년 가까이 되는 골동품이라 이걸로 바꿔서 사용을 하기 위해서 샀었습니다.

그런데...

사용하던 라인을 광라인으로 ​업그레이드를 했더니 이러한 장비도 제공을 해주더라구요

한마디로 대신 할 것이 있는데 굳이 장착을 할 필요가 없어지게 된 셈이지요

그래도 문제가 없는 것은 아닙니다.


 

2.4G를 사용하면 그나마 좀 나은데 5G를 연결하면 문때문에 안테나가 급격히 떨어진다는 것!

아무래도 훨씬 더 빠른 5G를 사용하는 것이 효율성이 높은데 그 효율이 떨어진다는 것은 아쉬운 일이거든요

그래서 생각을 한 것이 <방에 연결되어 있는 인터넷라인에 곧바로 공유기만 설치하는 것으로와이파이설정되지 않을까?>

그래서 시도를 해보게 된 것이기도 합니다.

사실 인터넷라인은 한곳에만 연결되는게 보통입니다.

(그런데 어떤 집(아마 아파트가 아닐까...)에서는 각 방마다 라인이 연결된 곳도 있다고 하더군요)

라인은 있는데 컴퓨터를 설치할 수 없는 곳 또는 보이지않는 힘​(엄마파워)에 의해 설치를 못하는 곳에서

스마트폰을 통해 무선연결을 하고 인터넷을 사용하는 방법에 대한 것입니다.


 

<일단 인터넷선이 있어야 한다>

이건 기본적으로 필요한 것입니다.

인터넷라인이 없는데 연결할 수는 없는 것이거든요

전원을 연결하고 인터넷선을 후면에 위치한 WAN 단자에 연결합니다.

그리고 잘 연결이 되어 있는지 전면에 위치한 LED 정보창을 확인해 봅니다.

전원 OK, 2.4G/5G에 모든 램프가 들어오고 가장 오른쪽의 WAN에도 램프가 들어와 있습니다.

일단 라인이 살아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따로 설명서를 보더라도 딱히 설명되어 있는 것은 없습니다.​

그래도 그나마 참고할만한 것은 바로 이 <관리도구 접속>방법입니다.

스마트폰에서 인터넷 익스플로러를 실행합니다.

그리고 <주소>에 <192.168.0.1>을 입력합니다.

그러면 로그인 화면이 뜨게 되니 로그인 하시구요


 

로그인을 완료하면 스마트폰의 화면에 이렇게 3개의 옵션창이 뜨게 될 것입니다.​

화면 크기가 작게 나올건데 그냥 양 손가락으로 벌려서 확대하면 됩니다.

우리가 공유기설치를 위해서 사용해야 할 옵션은 바로 <관리도구>

톱니모양의 아이콘을 터치하여 해당 옵션으로 들어갑니다.


 

<관리도구>에서는 기본세팅과 고급세팅이 나타날 것입니다.

우리는 기본세팅을 통해 연결을 할 것입니다.

위의 네모친 붉은색 박스를 보면 연결할 수 있는 주파수를 볼 수 있습니다.

싱글이면 하나가 나올 것이고 이것처럼 듀얼이면 위와 같이 2개의 주파수가 나타날 것입니다.

먼저 2.4G를 터치해보면 우측에 설정 및 보안에 대한 창이 나타납니다.

먼저 자신만이 알 수 있는 네트워크 이름​ (SSID)를 입력합니다.


 

그리고 사생활 보호를 위해서 그리고 해킹을 방지하기 위해서 <인증 및 암호화>를 사용합니다.​

해당탭을 누르면 여러가지 옵션이 등장하게 될텐데 <WPA2PSK + AES>를 선택합니다.

현재 가장 안전한 인증&암호화 방식으로 <권장>하고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가장 밑에 자신만의 암호를 넣은 뒤에 우측 아래의 <적용>을 누르면 끝!​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듀얼밴드를 사용하시는 분들이라면 5G도 연결을 해줍니다.

SSID를 정하고 ​채널을 검색하여 적용 (요건 보통 처음에 자동으로 되어 있슴)

마찬가지로 인증&암호화 옵션을 고른 뒤에 암호를 넣는 것으로 마무리!

그리고 <적용> 하면 끝!


 

그리 어렵지 않지요? 그럼 제대로 연결되었는지 봐야겠지요?

두개의 SSID 이름이 네트워크에 잡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두개의 주파수 모두 빈칸없이 빵빵하게 가득 차 있군요~​


 

시스템요약정보를 보고 <인터넷 연결 상태>를 확인하여 연결이 되어 있는지 보면 됩니다.

그리고 나머지 무선정보들은 아래쪽에 ​나타나 있으니 확인을 하시면 됩니다.

* 혹시라도 안되시는 분들은 펌웨어 업데이트를 해보시길...


 

역시 방안에서 연결이 되니 안테나가 빵빵하게 뜹니다!

벽이나 문에 막히는 것이 없으니 인터넷신호가 어디로 도망갈 수가 없으니 그렇겠지요

테스트로 네이버창을 오픈했는데 오우~ 빠르네요!​


 

이 정도쯤 되면​ 속도테스트를 안해볼 수 없겠지요?

이런건 해줘야 인지상정! ㅋㅋ

먼저 5G의 속도테스트입니다.

다운로드 90Mbps / 업로드 87Mbps

캬~ 와이파이에 연결된 속도가 기가 막히는군요

옛날 구석기물건이 20~30정도 속였으니 일단 3~4배의 빠른 속도를 보여줍니다.​


 

이번에는 2.4G의 속도를 테스트 해본 것입니다.

다운로드 48Mbps / 업로드 51.4Mbps 의 수치를 보여주는군요

역시 마찬가지로 기존에 사용하는 것보다 빠른 속도를 ​보여줍니다.

그래도 역시 5G가 더 빠르긴 빠르군요 ㅎㅎ​

이렇게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컴퓨터없이 공유기 설치 완료>


인터넷라인만 들어온다면 스마트폰만으로 와이파이 설정하는 것은 그리 어렵지 않습니다.

라인은 살아있는데 컴퓨터가 없는 분들이나 사정에 의해 사용을 못하는 분들은

이렇게 스마트폰으로 연결하여 사용을 할 수 있습니다.

예전에 궁금하셔서 댓글을 다셨던 분들은 이제 속시원하게 해결이 되셨나요?

덕분에 저도 이번에 된다는 것을 알게 되었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