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사 지방 PDF - jesa jibang PDF

지방쓰는 법.hwp

다운로드

지방쓰는 법(한글).hwp

다운로드

한자를 많이 쓰지 않는 요즘 지방쓰는법은 매우 어렵습니다.

위에 지방을 한글파일로 첨부하니 상황에 맞게 수정해서 사용하시면 됩니다.

사이즈는 지방사이즈(6㎝×22㎝) 입니다.

한번만 만들어 놓으면 따로 수정할 일은 없습니다.

제사를 지낼 때 부모 한쪽이 생존해 있을 경우는 단독으로 지내니 지방에도 한 분만 써서 사용합니다.

하지만, 두 분 다 돌아가시면 같이 지내므로 지방에 부모를 같이 씁니다. 오른쪽에 어머니의 신위를 쓰고 왼쪽에 아버지의 신위를 쓰면 됩니다.

부모 지방쓰는법(첨부 파일 어머니 성씨만 수정해서 사용하시면 됩니다.)

제사 지방 PDF - jesa jibang PDF
부모 지방쓰는법입니다.

조부모 지방쓰는법(첨부 파일 할머니 성씨만 수정해서 사용하시면 됩니다.)

증조부모 지방쓰는법(첨부 파일 증조할머니 성씨만 수정해서 사용하시면 됩니다.)

남편, 아내 지방쓰는법(첨부 파일 아내 성씨만 수정해서 사용하시면 됩니다.)

그리고 요즘은 꼭 한자로 써야하는 것은 아니라고 하네요, 한글로 써서 사용해도 무방하다고 하네요.

한글버전도 같이 올려놓으니 편하신걸 사용하셔도 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원본크기로 보실수 있습니다.

한글로 지방쓰는 방법. 반드시 한자만 사용하는 것은 아닙니다.

지방쓰는 법.hwp

다운로드

지방쓰는 법(한글).hwp

다운로드

"관련글" 입니다.

- 설 차례상 차림 집집마다 다르지만 이렇게 차려보세요.

많은 분들이 알수 있도록 공감 눌러주세요.

지방은 명절이나 제사를 지낼 때 제사를 지내는 대상자를 상징합니다.

신주 등을 사용하여야 하나, 요새는 사용하지 않는 경우도 많이 있습니다. 신주 대신 종이로 써서 대신 하는데요. 이것을 지방이라고 합니다. 즉, 종이로 쓴 신주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지방에는 고인과 제사를 지내는 사람의 관계를 적고, 고인의 직위, 고위의 이름 그리고 마지막에 신위라고 적습니다. 따라서, 지방을 쓰는 법은 대상자가 누구냐에 따라 달라지게 됩니다.

오늘은 부모, 아버지, 어머니, 남편, 아내, 형제, 자식 등의 지방 쓰는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그리고 파일도 하단에 있습니다. 다운 받아서 사용하시면 됩니다.

제사 지방 PDF - jesa jibang PDF
지방 쓰는 법

1. 지방 쓰는 방법

지방을 쓰는 법을 알아두면 생각보다 간단합니다. 지방은 쓰는 법이 정해져 있기 때문입니다. 순서대로 작성하면 됩니다.

먼저, 고인과의 관계를 적습니다.

예를 들어, 아버지의 지방을 쓴다면 현고라고 적습니다. 어머니는 현비입니다.

아버지는 현고(顯考), 어머니는 현비(顯妣), 조부는 현조고(顯祖考), 조모는 현조비(顯祖妣), 증조부는 현증조고(顯曾祖考), 증조모는 현증조비(顯曾祖妣), 고조부는 顯高祖考(현고조고), 고조모는 顯高祖妣(현고조비)입니다.

남편은 현벽(顯辟), 아내는 망실(亡室) 또는 고실(故室), 형은 현형(顯兄), 동생은 망제(亡弟) 또는 고제(故弟), 자식은 망자(亡子), 고자(故子)라고 적으면 됩니다.

제사 지방 PDF - jesa jibang PDF
고인과의 관계

▼ 두번째, 고인의 직위를 적습니다.

관계를 적은 후에는 고인의 직위를 적습니다.

남자 조상이 벼슬을 한 경우에는 벼슬의 이름을 써주고, 벼슬을 안 한 경우에는 학생(學生) 이라고 씁니다. 그 다음에는 부군(府君) 이라고 적습니다.

여자 조상은 남편의 벼슬 급에 따라 나라로부터 부여 받은 정경부인(貞敬夫人), 정부인(貞夫人), 숙부인(淑夫人) 등의 호칭을 쓰면 됩니다. 남편의 벼슬 급이 없었다면 유인(孺人)이라고 적으면 됩니다.

제사 지방 PDF - jesa jibang PDF
위패

▼  세번째, 고인의 이름을 적습니다.

그리고 고인의 이름을 적으면 됩니다. 고인의 이름을 쓰는 부분에는 본관과 성씨를 적습니다. 예를 들어, 김씨는 김해 김씨, 이씨의 경우 전주 이씨 등으로 적으면 됩니다.

마지막으로, 신위(神位)라고 적습니다.

지방의 맨끝에는 공통적으로 신위(神位)라고 적습니다. 신위는 제사를 지내는 주인공이 위치하는 곳이라는 뜻입니다. 즉 지방에 위치한 곳이 고인이 있다는 뜻입니다.

2. 부모 지방 쓰는 법

아버지와 어머지, 부모님을 동시에 지방을 작성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아버지를 왼쪽에 쓰고, 어머니를 오른쪽에 쓰면 됩니다. 한 분만 작성하는 경우에는 가운데에 적으면 됩니다.

제사 지방 PDF - jesa jibang PDF
부모 지방쓰는 법

3. 지방 다운로드 받기

지방은 한자로 쓸 필요는 없습니다. 한글로 작성을 해도 괜찮습니다. 작성하기 어려운 분들은 지방 양식을 다운로드 받아서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지방 양식 다운로드>

제사 지방 PDF - jesa jibang PDF
지방쓰는법

제사와 명절 등에 사용하는 지방쓰기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잘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제사 지방 PDF - jesa jibang PDF
공무원닷컴

이 글의 단축 URL 입니다. 카카오톡, 페이스북트위터, 네이버 등으로 공유해보세요.

https://0muwon.com/1608

공감클릭

이 글이 도움이 되었다면,  공감을 () 클릭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