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처리기사 실기 하루 - jeongbocheoligisa silgi halu

2022년 6월 17일에 정보처리기사 1회 실기 시험 결과가 발표됐다.

정보처리기사 실기 하루 - jeongbocheoligisa silgi halu

정보처리기사 실기 하루 - jeongbocheoligisa silgi halu

결과는 합격!..

가채점 점수보다 더 높은 점수로 합격했다.

이번 실기 준비 할때 작년에 3회 실기시험을 졸업작품 준비에 바빠서 응시하지 못 해 개념 공백이 심했지만.. 🤣

그럼에도 불구하고 필기, 실기 모두 1트에 합격할 수 있었다... 운도 조금 따랐다

앞으로 시험 준비하는 사람들에게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기 위해 시험 후기 및 공부방법 그리고 공부 팁들을 같이 공유해보고자 한다 😊

글쓰기에 앞서

필자는 대학교 4년제 SW 관련 전공자로써 네트워크, 운영체제, 데이터베이스, 알고리즘 등을 수강하여 기본 CS 지식이 있었다.

하지만 정보처리기사 시험을 준비하면서 몰랐던 개념이 더 많아서 꽤나 공부를 열심히 했다.

특히나 2022년 1회 실기 문제들을 보면 관련 과목들을 수강한 전공자들도 향후 시험을 준비 할 때 지엽적으로 공부해야 할 것 같다..

시험 준비수단

  • 시나공 정보처리기사책 📚 (필기,실기 공통)
    처음에 이 책 보고 공부 어떻게 하지? 싶을 정도로 두꺼웠지만 시험에 나오는 것들은 다 수록된 것 같다. 과목마다 시험에 나오는 중요도에 따라 A,B,C,D로 나누어지고 2020년 개정된 시험 기출문제집이 제공되어 시험을 완벽하게 커버할 수 있다고 판단하여 선택했다.
  • 시나공IT 유튜브 채널 (실기) 📺
    실기시험을 준비하면서 책만 봐서 이해가 안 되는 내용들이 있었는데, 시나공 실기 유튜브 강의에서 이런 내용을 잘 설명해주셔서 이해하고 넘어갈 수 있었다.
  • 시나공 불합격 방지용 기억상자 (필기, 실기 공통) 📦
    앱으로 운전면허 필기시험을 공부했던 사람들은 알겠지만, 개념확인용으로 구성된 문제들이다. 시험 준비하면서 어디 이동 할 때나, 시간 날 때 봤는데 많은 도움이 되었다.
  • 전자문제집 CBT 💻
    문제풀 때 실전 시험처럼 응시해보기 위해서 사용했다. 시나공 기출문제까지 풀고나서 개정 전 문제까지 풀어보고 싶다면 추천한다.

공부 방법


필기

필자는 대학교 방학 때 2021년도 제 3회 기사시험 을 준비했는데 , 시험일정이 졸업작품 준비 시기와 맞물려서 선택과 집중 이 중요했다.

  • 준비 기간은 약 한 달 하루 평균 6시간 공부했다.
  • 3주동안 중요하다고 생각된 내용인 A,B 는 완벽한 이해 이후 내용들을 암기했고 C,D 부분은 빈출 정도가 적어서 읽어보고 이해하는 것에 만족했다. 완벽한 이해 후 암기를 하려고 했던 이유는 실기시험의 범위가 필기시험의 범위와 상당 부분 겹치는 부분이 많기 때문이다.

필기 시험을 치루고 나서 바로 그 기수 실기시험을 준비하는 사람들은 꼭 필기시험 준비 시 내용을 꼼꼼하게 공부하길 바란다.

  • 남은 일주일 동안은 기출문제를 풀어보고, 틀린 문제들만 계속보고 다시 풀어봤다. 2020년 개정 이후 기출문제가 적어서 모두 풀어볼 수 있다.
  • 마지막으로 남는 시간엔 시나공 모의고사 (3회분) 를 풀고 시나공 카페에서 제공해주는 정리집을 보면서 개념을 계속 짚으면서 시험에 대한 감을 살렸다.

정보처리기사 실기 하루 - jeongbocheoligisa silgi halu

결과는 5과목 과락 없이 평균 81점을 맞아서 합격했다!

실기

정보처리기사 실기 하루 - jeongbocheoligisa silgi halu

시험 공부하다 졸리다 싶을 때 표지봐서 잠깼다

필기 시험 합격 후 약 7개월 정도 시간이 지나고 나서 2022년도 1회 기사 시험 을 준비했다. 필기시험 준비 때 단순암기를 하였는지, 실기 책을 보는데 기억이 나지 않는 내용이 많아서 공부기간이 길어졌다..

기사 시험을 준비하는 사람들은 해당 기수에 맞는 실기시험을 바로 준비하도록 하자

  • 공부 기간은 40일 하루 평균 8시간정도 준비했다. 아무래도 필기 시험 보다 범위가 더 많고, 외워야할 내용도 많아서 시간이 많이 걸렸던 것 같다.
  • 실기 시험은 주관식•서술형 20문제가 출제되기 때문에 필기 때 보다 더 정확하게 개념을 이해하고 암기하려고 했다. 예를 들어 결합도 내공외제스자 이렇게 외우는거 보다 제어 결합도스탬프 결합도의 차이가 뭔지 키워드를 따서 암기했다.

+ 팁으로 필자는 관련된 개념이 왜 생겨났는지에 대한 스토리텔링을 하면서 내용을 암기했는데 더 잘 외워졌다.

  • 35일 동안 개념만 공부했던 것 같다. 잘 알고 있던 부분은 시나공 책을 보면서 밑줄을 그어가며 공부했고, 잘 모르고 암기가 필요했던 중요한 부분 (시나공 A,B)은 노트에 적어가면서 공부했다.
  • 책으로만 공부하면 이해가 안 되는 내용이 나올 수 있다. 이런 부분은 시나공 유튜브 토막강의를 활용하여 강의를 듣고나서 책을 통해 한 번 더 학습하면 이해가 될 것이다.

정보처리기사 실기 하루 - jeongbocheoligisa silgi halu

다시보니 악필이 따로 없다

  • 실기에 나오는 SQL 응용프로그래밍 언어 활용 부분은 내용을 외우기 보다 직접 본인만의 SQL문을 작성해보거나, 예제를 타이핑해서 결과를 직접 확인해보고 자기만의 방법으로 응용해보는걸 추천한다. SQL SELECT 부분이 약했던 필자는 이렇게 공부하여 빠르게 모든 명령어를 익힐 수 있었다.
  • 나머지 5일 동안은 기출문제를 풀었다. 문제풀이 시간에 시간을 많이 할애하지 않았던 건 시나공 책으로 공부하면서 관련 내용에 대한 기출문제를 다 풀어봤기 때문이다..

+ 부수적으로 2022년 1회 실기시험에 대해 말하자면 지엽적인 문제들이 (RAID level, TKIP, ISMS, watering hole) 4문제 가량 나왔다. 문제를 영어로 직역하여 영문약자를 맞추는 문제였다 이 부분들은 컴퓨터구조(개정 후 빠짐), 보안 신기술 파트였는데, 시중에 판매하는 도서들에 이런 내용들이 나오지 않았다.

즉, 20문제 중 12문제를 맞춰야 합격하는 시험에서 4문제를 까먹고 들어가야 한다는 것이다.

계속해서 이런 추세로 문제가 출제된다면, 앞으로 시험을 준비하는 사람들은 나머지 문제는 모두 맞춘다는 마음가짐으로 시험준비를해야 안정적으로 합격할 것으로 예상된다. 영어 직역하는 능력 키우면 맞추기 가능합니다

후기


정보처리기사 실기 하루 - jeongbocheoligisa silgi halu

"공부할 양이 생각보다 많지만 공부하면 합격하는 시험"

이 시험을 준비하게 된 계기는 학부 때 배웠던 CS지식 중 부족한 지식을 채우면서 동시에 자격증을 취득하는 것이었다. 그리하여 필자는 기존에 알고 있던 CS지식과 연관시키면서 공부를 하였고, 이 때문에 공부기간이 길어진것 같다. 순수하게 자격증을 취득할 목적으로 공부를 한다면 더 적은 공부 시간으로 자격증을 취득할 수 있을 것이다.

이 글을 읽는 사람은 아마 공부를 시작하면서 책도 구매하고 인터넷에 정보처리기사 시험 대비법을 검색하면서 여러 후기 글을 보고 있을 것이다. 필자도 그랬다. 공부하면서 모든 내용을 다 보려면 생각보다 양이 많고 책 두께에 압도당할 수 있지만, 시작이 반이라고. 난이도가 있는 문제를 출제하는 시험이 아니기에 매일 공부할 할당량을 정하고 끈기있게 임한다면 누구나 합격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