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항의 직 병렬 연결 빵판 - jeohang-ui jig byeonglyeol yeongyeol ppangpan

저항의 직 병렬 연결 빵판 - jeohang-ui jig byeonglyeol yeongyeol ppangpan


안녕하세요!

거의 일주일만에 돌아온 솔다입니다ㅜㅜ


날씨가 추웠다 더웠다 습했다 건조했다

변덕이 매우 심한데요


덕분에 몇일 몸져 누워있다가 부활했습니다


오늘은 브레드보드의 연결방법에 대해 배워보도록 하겠습니다~


-


우선 기본중의 기본 LED 켜는 회로!


저항의 직 병렬 연결 빵판 - jeohang-ui jig byeonglyeol yeongyeol ppangpan


배터리, 330Ω 저항, LED로 구성된

가장 간단한 LED 구동 회로입니다


배터리의 +극을 따라가면 전원부에 도달하게 되는데요

색상으로 극성표시가 되어있지 않아

편의상 윗줄을 +극으로 연결했습니다


그대로 따라가보면 연결부의 저항으로 연결됩니다

저항은 연결부의 중앙선을 넘어 반대쪽 연결부로 꽂히고

LED의 애노드(+극)에 도달하게 됩니다


LED 애노드의 반대쪽 캐소드(-극)은 이웃한 선에 꽂힙니다


캐소드가 꽂힌 선을 따라가다보면

점퍼와이어를 통해 연결부의 중앙선을넘고


계속 선을 따라 내려가보면 전원부의 아랫줄

즉 -극에 연결됩니다


다시 전원부를 따라 쭉~ 왼쪽으로 가보면

드디어 배터리의 -극에 도달합니다


간단한 회로지만 글로 표현하니까 장황해졌네요^^;


회로가 완벽히 폐쇄되었고 단선도 없으니

LED는 켜지게 됩니다


-


그렇다면 직렬 회로는 어떻게 연결할까요??


저항을 통해 직렬 회로를 구성해봅시다


저항의 직 병렬 연결 빵판 - jeohang-ui jig byeonglyeol yeongyeol ppangpan


LED 회로에서 크게 바뀐점은 없습니다


눈에띄게 바뀐점이라면 저항이 3개로 늘었습니다


아까는 330Ω 저항을 사용했다면

이번에는 110Ω저항 3개를 직렬로 연결해서

아까와 같은 330Ω으로 사용했는데요


아까와 같은 요령으로 배터리의 +극부터 쫒아가보면


첫번째 저항에 연결되고

그 저항을 통해 나온 선이 다음 저항에 연결되고

그 저항을 통해 나온 선이 다음 저항에 연결되고

그 저항을 통해 나온 선이 LED의 애노드에 연결됩니다


리을자로 연결된다고 생각하시면 간단합니다


-


병렬회로는 직렬회로보다도 간단합니다


저항의 직 병렬 연결 빵판 - jeohang-ui jig byeonglyeol yeongyeol ppangpan


짠~!


저항이랑 배치가 좀 바뀌었는데요

우선 330Ω을 얻기 위해 1kΩ 3개를 병렬연결했습니다

(정확히는 333.3333…Ω입니다)


배터리의 +극부터 손을 짚어 다시 쫒아가봅시다


점퍼선을 만나 저항을 만나는데

저항 3개가 나란히 1열에 연결되어있구요

저항을 건너서도 나란히 1열에 연결되어있습니다


저항을 건넌 후 LED의 애노드핀으로 연결되는데요


실제로 회로를 구성해보면 위에서 구성했던

두 회로들과 비슷한 밝기로 켜집니다


-


자~ 아주아주 급속으로 브레드보드 회로 구성하는법을 배워봤는데요


최대한 간단하게 설명드리려고 노력했는데

잘 전달 되었을지 모르겠습니다ㅎㅎ


다음에는 더욱 쉽고 유익한 정보로 만나뵙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저항의 직 병렬 연결 빵판 - jeohang-ui jig byeonglyeol yeongyeol ppangpan


이 부분을 어느 분야에 넣을까 고민을 많이 했습니다.

전자회로 뿐아니라 디지털과 임베디드 분야에서도 Test를 위해 많이 사용하기 때문입니다.

학기 초에 실험관련 과목을 강의하게되면, 가장 먼저 설명하는 부분이죠.

원리만 알면 회로의 동작을 이해 못해도, 회로도를 보고 브레드보드 상에 다 구성할 수 있습니다.

시작해 봅시다.

먼저 기억할 것은

"동일한 회로라도 브레도보드에 구현하는 방법은 한 가지가 아니라 매우 다양한 방법으로

 구현할 수 있다." 는 것입니다.

브레드보드의 구조부터 살펴봅시다.

위 사진은 우리가 사용하는 브레드보드의 윗면이고

아래 사진은 브레드보드의 내부 구조를 보여줍니다.

아래 사진을 보면 길고 짧은 노란선들이 보입니다.

이 선들은 실제로는 전기가 통하는 금속선입니다.

두 개의 사진을 좀 자세히 살펴보면,

브레드보드의 적색선이 있는 부분과 청색선이 있는 부분 아래가 모두 연결되어 있습니다.

회로적 관점에서 보면 모두 같은 점입니다.

아래 설명용 사진을 참고하세요.

브레드보드의 크기에 따라 청색선과 적색선이 여러 개 있을 수 있는데...

적색선이 여러 개 있다고 해서 적색선 모두의 아래 부분이 연결되어 있다는 의미는 아닙니다.

각 선 하나씩만 연결되어 있습니다.

사진을 보면 세로로 5개의 홀(Hole)을 가지는 부분이 가로로 여러 개 나열되어 있습니다.

브레드보드의 내부 구조를 보면 알겠지만

세로로 5개의 홀들은 서로 연결되어 있습니다. 이웃한 5개의 세로 홀들과는 연결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개념만 이해하면 브레드보드의 사용법은 끝입니다.

나머지는 내부 연결을 고려하면서 회로를 연결하면됩니다.

회로로 몇 가지 예를 들어보죠.

1. 저항의 직렬연결

저항 R1, R2 가 직렬로 연결되어 있습니다. 

브레드보드에 구성한 회로는 아래와 같습니다.

"+" 와 "-" 부분에 12V 전원을 연결하면 됩니다. 

2. 저항의 병렬연결

3. 저항의 직, 병렬 연결

4. 연산증폭기(741)을 이용한 반전증폭기 회로

위 4가지 예를 잘 이해하시면 어떤 회로도 브레드보드에 다 구성할 수 있습니다.

사실 그 전에 극성이 있는 부품의 극성판별이나 chip (IC)의 번호가 어떻게 부여되는 지 등

사전 지식이 필요합니다.

브레드보드에 회로를 구성하는 방법은 수 없이 많다고 했는데....

마지막으로 나중에 Debug가 쉽도록 좀 더 체계적으로 브레드보드에 회로를 구성하는

몇 가지 Tip을 알아 보겠습니다.

1. Power supply connection을 위해 side-line을 사용하라.
   (side-lines에서 IC에 power를 공급하라.  Power supply에 직접 연결하지 말 것)

2. Ground 연결을 위해 검정색 Wire를 Power 연결을 위해 빨간색 Wire를 사용하라.

3. Board 위에 jumper wire를 수평으로 연결하라.

4. IC의 교체가 필요할 경우, 교체가 용이하도록 IC 위로 jumper wire를 돌리지말고
     IC 둘레로 연결하라.

아래 사진은 브레드보드에 회로를 잘 구현한 예입니다.

어떤 사람들은 대기업에서는 브레드보드를 사용하지 않을 것으로 생각하는데...

대기업의 연구원들도 개발과정에서 브레드보드를 많이 사용합니다. 

이번 기회에 확실히 알아두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