접촉저항 줄이는 방법 - jeobchogjeohang jul-ineun bangbeob

  • 리소스
  • 온도 제어 기술
  • 접촉 열저항 감소

접촉 열저항 감소

표면간 열 전달과 전반적인 열 성능 향상

전자기기 패키징 산업은 더 작고 강력한 장치를 선호하는 추세입니다. 그러나 이러한 소형의 고전력 부품을 사용하면 열유속이 높아집니다. 따라서 엔지니어들은 전자 장치 접합부에서 주변 공기로의 열 저항을 최소화하는 방법을 찾아야 합니다.

이 열 저항은 Rja로 표현 될 수있다, 여기서:

Rja = Rjc + Rcs + Rsa

  • Rja - 장치 접합에서 주변 공기 또는 물에 대한 열 저항
  • Rjc - 전자 장치 제조업체에 의해 결정된 장치 접합부에서 패키지 케이스에 대한 열 저항(설계자는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 Rcs - 포장 케이스에서 방열판 또는 콜드 플레이트에 대한 열 저항, 전자 장치와 방열판 또는 냉판 사이의 접목 영역의 크기와 품질, 사용되는 재료 및 접촉 압력에 의해 결정
  • Rsa - 방열판 또는 냉판에서 주변 공기 또는 물에 열 저항, 방열판 또는 냉판 설계에 의해 결정 (재료 및 기하학)

따라서, Rja를 줄이는 한 방법은 전자 장치와 케이스와 주변 냉각식 핀 히트 싱크 또는 액체 냉각식 냉각판 사이의 접촉 저항인 Rcs를 감소하는 것입니다. Rcs에 여향을 주는 인자에는 표면 평탄도, 표면 거칠기, 접촉력 또는 클램핑 압력, 표면 청결도 및 인터페이스 재료 등이 있습니다.

표면 평탄도 및 표면 거칠기

표면 평탄도는 넓게 이격된 표면 불규칙성 또는 표면의 '구불거림'으로 이해될 수 있습니다. 표면 거칠기는 초미세한 표면의 요철도로서 일반적으로 기계 가공, 사용, 또는 마모의 결과로 나타납니다.

두 개의 불완전한 표면이 서로 접촉하면 사이에 에어갭이 발생합니다. (그림 1 참조) 대부분의 접촉 영역은 90% 이상의 공기 간극으로 구성되며, 공기는 그다지 효과적인 열 전도체가 아니기 때문에 열전달에 상당한 저항이 나타납니다. 표 1은 다양한 제조 공정에서 나타나는 전형적인 표면 거칠기 값을 보여줍니다.

표 1:

공정

단위 µm

단위 µin

연마

0.1 - 0.4

4 - 16

연삭

0.1 - 1.6

4 - 64

레이저 절단

0.8 - 6.3

32 - 252

다이캐스팅

0.8 - 1.6

32 - 64

기계 가공

0.8 - 1.6

32 - 64

압출

0.8 -3.2

32 - 128

드릴링

1.6 - 6.3

64 - 252

접촉저항 줄이는 방법 - jeobchogjeohang jul-ineun bangbeob

일반적으로 전자 장치와 히트 싱크나 냉각판 사이의 충분한 접촉에 필요한 마운팅 표면 평탄도는 0.001 입니다. 표면 거칠기는 전자 장치의 거칠기와 같아야 하며, 일반적으로 32-64µin 정도가 적절합니다. 세밀한 마무리는 열 성능을 거의 또는 전혀 개선하지 않으면서 불필요한 비용을 추가합니다. 일반적으로 우수한 방열 계면을 얻는데 있어 표면 마감보다 표면 평탄도가 훨씬 중요합니다.

접촉력

접촉 열 저항을 최소화하는 또 다른 매우 중요한 요소는 접촉 력, 또는 전자 장치가 방열판 또는 냉판에 대해 밀려있는 힘입니다. 전자 장치와 방열판 표면은 결코 완벽하게 평평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항상 사이에 공기 간격이있을 것입니다. 그러나 두 표면을 함께 밀어내는 접촉력이 증가함에 따라 두 표면 사이의 접점 수가 증가하여 접면간 열 저항이 낮아집니다. 힘과 열 저항 사이의 이러한 관계는 선형 곡선을 따르지 않습니다. 접촉력이 증가함에 따라, 접촉 열 저항은 열 저항 감소와 패키지가 처리할 수 있는 최대 힘이 접근할 때까지 감소합니다. 전자 장치 제조업체는 권장 접촉 력에 대해 문의해야 합니다.

표면 청결도

접점 열 저항을 최소화하는 데도 표면 청결을 장착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장착 표면은 먼지, 오일, 산화물 및 필름과 같은 모든 이물질에서 무료로 보관해야 합니다. 대부분의 방열판과 냉판은 가공 후 저장되므로 장치를 장착하기 전에 청소 작업을 권장합니다. 만족스러운 세척 기술은 3M 스카치 브리트® 000번 미세 스틸 울로 장착 표면을 가볍게 연마하고 반도체 클리닝 용매 닦아냅니다.

방열 계면 물질

마지막으로, Rcs를 더욱 개선하기 위해 적절한 열 인터페이스 재료 (TIM)를 사용하여 두 표면 사이의 공기 간격을 채우어야합니다. 열 그리스및 열전도성 화합물, 엘라스토머, 접착제 테이프 등 다양한 기술을 사용할 수 있으며, 각각 고유한 특성(작동 온도, 적용 용이성, 경화 시간, 압력 요구 사항 등)을 적용에 따라 다소 바람직하게 만들 수 있습니다. Boyd에 문의하여 응용 프로그램에 적합한 TIM을 선택하는 방법에 대해 문의하십시오. 표 2은 이러한 TiM에 대한 일반적인 열 저항 및 열 전도도 값을 보여 주어 있습니다.

표 2:

인터페이스

두께(inch)

열 전도율, k(W/m-K)

Rcs(°C/W)

드라이 조인트

N/A

N/A

2.9

열전달 그리스

0.003

0.7

0.9

열 화합물

0.005

1.2

0.8

엘라스토머

0.010

5.0

1.8

접착 테이프

0.009

0.7

2.7

접촉 열 저항 계수 검토

접촉 조건은 표면 평탄도, 표면 거칠기, 표면 청결도, 접촉 압력 및 계면 소재를 포함한 여러 영역을 포함합니다. 전자 장치 접합부에서 히트 싱크까지 열 경로를 최적화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기술과 기법이 있습니다. 전자 기기 온도를 최대 정격값 미만으로 유지하고 최종 제품 신뢰성을 높이려면 열 저항을 최소화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KR100712487B1 - 접촉 저항을 줄일 수 있는 비아홀 플러그 및 그 형성 방법 - Google Patents

접촉 저항을 줄일 수 있는 비아홀 플러그 및 그 형성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KR100712487B1 KR100712487B1 KR1020000057342A KR20000057342A KR100712487B1 KR 100712487 B1 KR100712487 B1 KR 100712487B1 KR 1020000057342 A KR1020000057342 A KR 1020000057342A KR 20000057342 A KR20000057342 A KR 20000057342A KR 100712487 B1 KR100712487 B1 KR 100712487B1AuthorityKRSouth KoreaPrior art keywordsopeninglayerconductive layervia holeetch stopPrior art date2000-09-29Application numberKR1020000057342A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25486A (koInventor박종호김준Original Assignee삼성전자주식회사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2000-09-29Filing date2000-09-29Publication date2007-04-27 2000-09-29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2000-09-29 Priority to KR10200000573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2487B1/ko 2002-04-04 Publication of KR200200254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5486A/ko 2007-04-27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2007-04-27 Publication of KR1007124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2487B1/ko

Links

  • Espacenet
  • Global Dossier
  • Discuss
  • 230000002829 reduced Effects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4
  • NRTOMJZYCJJWKI-UHFFFAOYSA-N titanium nitride Chemical compound [Ti]#N NRTOMJZYCJJWKI-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4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
  • 238000005530 etch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
  • 239000010410 lay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02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0000000875 correspond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9000011229 interlay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WFKWXMTUELFFGS-UHFFFAOYSA-N tungsten Chemical compound [W] WFKWXMTUELFFGS-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5
  • 229910052721 tungsten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10937 tungste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10936 titanium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RTAQQCXQSZGOHL-UHFFFAOYSA-N titanium Chemical compound [Ti] RTAQQCXQSZGOHL-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4
  • 229910052719 tita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29910019044 CoSix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10004166 TaN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10008486 TiSix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5000020127 ayran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PNEYBMLMFCGWSK-UHFFFAOYSA-N al2o3 Chemical compound [O-2].[O-2].[O-2].[Al+3].[Al+3] PNEYBMLMFCGWS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5
  • VYPSYNLAJGMNEJ-UHFFFAOYSA-N silicium dioxide Chemical compound O=[Si]=O VYPSYNLAJGMNE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5
  • 229910052814 silicon 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5
  • RYGMFSIKBFXOCR-UHFFFAOYSA-N copper Chemical compound [Cu] RYGMFSIKBFXOC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29910052802 copp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0949 copp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229 chemical vapour depos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9792 diffusion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755 form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1065 in-situ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3647 oxi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254 oxid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2120 photoresistant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498 poli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27756 respiratory electron transport chai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544 sputter depos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109 cont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312 dry etc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01 inhibi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629 sup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BASIC 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1Manufacture of specific parts of devices defined in group H01L21/70
    • H01L21/76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 H01L21/76897Formation of self-aligned vias or contact plugs, i.e. involving a lithographically uncritical step
    • HELECTRICITY
    • H01BASIC 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1Manufacture of specific parts of devices defined in group H01L21/70
    • H01L21/76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 H01L21/7683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formation and the after-treatment of the conductors
    • H01L21/76841Barrier, adhesion or liner layers
    • H01L21/76843Barrier, adhesion or liner layers formed in openings in a dielectric
    • HELECTRICITY
    • H01BASIC 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1Manufacture of specific parts of devices defined in group H01L21/70
    • H01L21/76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 H01L21/7683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formation and the after-treatment of the conductors
    • H01L21/76877Filling of holes, grooves or trenches, e.g. vias, with conductive material

Abstract

접촉 저항을 줄일 수 있는 플러그 및 그 형성 방법이 개시된다. 하부 금속층인 알루미늄 막 사이에 식각 저지막인 티타늄 질화막을 삽입하여 비아홀의 깊이 방향으로는 티타늄 질화막에서 식각이 정지되고 비아홀의 폭 방향으로는 식각을 진행하여 비아홀 플러그와 하부 금속층의 접촉 면적을 넓혀서 하부 접촉 저항을 감소시킬수 있다.

Description

접촉 저항을 줄일 수 있는 비아홀 플러그 및 그 형성 방법{Via hole plug with reduced contact resistance and method thereof}

도 1a 내지 도 1c는 종래 기술에 따른 비아홀 플러그 형성 방법을 나타내는 공정 단면도들이다.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에 따른 비아홀 플러그 형성 방법을 나타내는 공정 단면도들이다.

본 발명은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접촉저항을 줄일 수 있는 비아홀 플러그 및 그 형성 방법에 관한 것이다.

중앙처리장치와 같은 논리 소자나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동작 속도는 점점 빨라지고 있다. 비아홀 플러그의 저항 증가는 소자의 초고속 동작에 매우 큰 영향을 미친다. 중앙 처리 장치와 같은 논리소자에서 비아홀 플러그는 구리 다마신 기술을 적용하여 저항 감소에 효과를 보고 있다. 그러나 디램에서는 구리의 오염 문제로 비아홀 플러그 형성에 구리 다마신 기술을 적용하지 못하고 있다. 구리 다마신을 적용할 수 없는 반도체 소자에서, 0.2 mu m이하 비아홀에는 알루미늄 화 학 기상증착 기술을 적용함으로써, 플러그의 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으나, 비아홀 크기에 좌우되는 하부 금속층과 비아홀 플러그와의 접촉 저항은 감소시키지 못하고 있다.

도 1a 내지 도 1c는 종래 기술에 의한 비아홀 플러그 형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a에서 반도체 기판(100)상에 확산 방지막(110),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진 하부 금속층(120), 버퍼층(130) 및 층간 절연막(140)인 실리콘 산화막이 순차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절연막(140) 상부에 포토 레지스트 마스크(미도시)를 형성하고, 이를 이용하여 하부 금속층(120)이 노출될 때까지 절연막(140)과 버퍼층(130)을 건식식각하여 제1 개구부(150)를 형성한다.

도 1b 및 도 1c에서 알루미늄만을 선택적으로 식각할 수 있는 습식 케미칼을 이용하여 하부 금속층(120)을 식각하여 제2 개구부(170)를 형성한다. 제2 개구부(170)에 의해 노출된 알루미늄 막 표면은 산화되어 산화 알루미늄 막이 형성되어 식각 전의 접촉 저항보다 높은 접촉 저항을 나타낸다. 제1 개구부(150)에 대응되는 산화 알루미늄막(160)을 인 시튜(In-situ) 공정으로 스퍼터링 식각하여 제3 개구부(180)를 형성하고 절연막(140) 상부 및 측벽, 제3 개구부 내(180)에 배리어 금속층(190)을 증착한다. 다음, 절연막(140) 상부, 제1 개구부, 제2 개구부 및 제3 개구부 내에 텅스텐 막 또는 알루미늄 막을 증착하고 화학적 기계적 연마(CMP: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또는 에치백하여 비아홀 플러그(200)를 형성한다.

그러데,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비아홀 플러그 형성 방법은 하부 금속층 표면에 산화막이 형성되어 산화막을 제거하는 공정이 요구된다.산화 막의 제거 공정에 있어서, 제거되는 산화막의 폭이 제1 개구부 폭에 의해 결정되므로, 하부 금속층과 플러그의 접촉면의 폭(A)이 제1 개구부의 폭에 의해 결정된다. 그리고, 비아홀 하부 측면에는 산화 알루미늄 막이 잔존하게 된다. 따라서, 비아홀 플러그는 높은 저항을 나타낸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비아홀 플러그와 하부 금속층과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켜 하부 접촉 저항을 줄일 수 있는 비아홀 플러그 및 그 형성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비아홀 플러그를 갖는 반도체 소자는 반도체 기판상에 형성된 제1 도전층, 제1 도전층 상에 형성되어 제1 도전층의 상면 일부를 노출시키는 제1 개구부를 구비하는 식각 저지막, 제1 개구부를 포함한 식각 저지막 상에 형성된 제2 도전층을 포함한다. 또한, 반도체 소자는 제2 도전층 상에 형성되고 제1 개구부에 대응하는 제2 개구부를 구비하는 층간 절연막과 제2 도전층을 구성하는 물질과 동일한 물질에 의해 상기 층간 절연막내에 구비된 상기 제2 개구부를 채우는 제3 도전층을 더 구비한다. 여기서, 제2 도전층 및 제3 도전층에 의해 비아홀 플러그가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반도체 기판상 에 제1 도전층, 식각 저지막, 제2 도전층, 버퍼층 및 절연층을 순차적으로 형성한다. 절연층과 버퍼층의 일부분을 식각하여 제2 도전층의 상면 일부를 노출시키는 제1 개구부를 형성한다. 제2 도전층을 식각 저지막이 노출될 때까지 선택 식각하여 제2 도전층 내에 제1 개구부의 폭보다 넓은 제2 개구부를 형성한다. 제1 개구부에 대응되는 식각 저지막을 식각하여 식각 저지막 내에 제3 개구부를 형성한다. 제1 개구부, 제2 개구부 및 제3 개구부를 도전 물질로 채워 플러그를 형성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다음에 상술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해지도록 하며,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도면 상에서 동일한 부호로 표시된 요소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의미한다. 또한, 어떤 막이 다른 막 또는 반도체 기판의 '상'에 있다라고 기재되는 경우에 상기 어떤 막은 상기 다른 막 또는 반도체 기판에 직접 접촉하여 존재할수 있고, 또는 그 사이에 제3의 막이 개재되어질 수도 있다.

이하 도 2a 내지 도 2c를 참고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a에서 반도체 기판(300)상에 티타늄과 티타늄 질화막으로 이루어진 확산 방지막(310), 제1 도전층인 알루미늄 막(320), 티타늄 질화막(330), 제2 도전층인 알루미늄 막(340), 버퍼층인 티타늄 질화막(350) 및 층간 절연막인 실리콘 산화막(360)이 순차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티타늄 질화막(330)은 알루미늄의 선택 식각 시 제1 도전층(320)이 드러나지 않게 식각 깊이를 조절하는 식각 저지막이다. 식각 저지막 물질은 TaN, WN, TiSix, CoSix 또는 WSix이다. 식각 저지막의 위치는 비아홀의 크기에 좌우되나, 보통 제1 도전층의 두께와 제2 도전층의 두께의 비가 3:7 내지 7:3인 위치에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리콘 산화막(360)상부에 포토 레지스트 마스크(미도시)를 형성하고 제2 도전층(340)이 노출될 때까지 실리콘 산화막(360)과 티타늄 질화막(350)을 식각하여 제1 개구부(370)를 형성한다.

도 2b 및 도 2c에서 제1 도전층(340)인 알루미늄막만을 선택 식각하여 제2 개구부(380)를 형성한다. 식각 방법은 예를 들면, 습식 케미칼을 이용한다. 이 때, 제1 도전층(320)과 제2 도전층(340) 사이의 티타늄 질화막(330)에 의해 비아홀의 깊이 방향으로는 티타늄 질화막(330)에서 식각이 정지되고 비아홀의 폭 방향으로는 식각이 진행된다. 따라서, 제2 개구부(380)의 폭이 제1 개구부(370)의 폭보다 넓게 식각이 진행된다. 또한, 티타늄 질화막(330)이 산화를 억제하여 티타늄 질화막(330) 위에는 산화 알루미늄 막(390)이 형성되지 않고, 티타늄 질화막이 형성되지 않는 제2 개구부(380)의 측벽에만 형성된다. 다음, 제1개구부(370)에 대응되는 티타늄 질화막(330)의 일부를 인 시튜(In-situ) 공정으로 스퍼터링 식각하여 제3 개구부(400)를 형성하고 절연막(360) 상부 및 측벽, 제3 개구부(400)의 바닥 및 측벽에 배리어 금속층으로 티타늄과 티타늄 질화막으로 이루어진 이중막(410)을 증착한다. 티타늄 질화막(330)이 산화막의 형성을 억제하므로 상기의 스퍼터링 식각을 생략할 수도 있다. 실리콘 산화막(360) 상부, 제1 개구부(370), 제2 개구부(380) 및 제3 개구부(400)에 화학 기상 증착 기술로 금속 예를 들면, 텅스텐 막 또는 알루미늄 막을 증착하고 CMP(Chemical Mechanical Polishing)방법 또는 에치백하여 플러그(420)를 형성한다. 티타늄 질화막(330)에 의해 알루미늄 산화막의 형성이 억제되므로 상기의 플러그를 형성하는 금속의 증착시 증착 특성이 개선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비아홀 플러그(420)와 제1 도전층(320)사이의 접촉면의 폭은 도 1c에 표시된 제1 개구부의 폭에 해당하는 A외에 티타늄 질화막(330)에 의해 식각 깊이와 폭을 조절하여 형성된 2B만큼 증가된다. 한편, 티타늄 질화막(330)의 삽입으로 제2 도전층과 기판사이에 이중의 확산 방지막이 형성되어 전자이동에 있어서 향상된 특성을 나타낸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비아홀 플러그 및 그 형성 방법에서는 하부 금속층인 알루미늄 막 사이에 식각 저지막인 티타늄 질화막을 삽입하여 비아홀의 깊이 방향으로는 식각이 정지되고 비아홀의 폭 방향으로는 식각을 진행하여 비아홀 플러그와 하부 금속층의 접촉 면적을 넓혀서 하부 접촉 저항을 감소시킬수 있다. 한편, 티타늄 질화막의 산화 억제 효과로 인 시튜(In-situ) 스퍼터링 식각을 생략할수 있어 공정 단순화 측면에서 효과적이다. 또한, 화학 기상 증착법에 의한 알루미늄 또는 텅스텐 증착시의 증착특성과 전자이동에 있어서 향상된 특성을 얻을 수 있다.

Claims (12)

  1. 반도체 기판;

    상기 반도체 기판상에 형성된 제1 도전층;

    상기 제1 도전층 상에 형성되고 상기 제1 도전층의 상면 일부를 노출시키는 제1 개구부를 구비하는 식각 저지막;

    상기 제1 개구부의 내측벽 및 바닥의 배리어 금속층;

    상기 제1 개구부를 포함한 상기 식각 저지막 상에 형성된 제2 도전층;

    상기 제 2 도전층 상에 형성되고 상기 제1 개구부에 대응하는 제2 개구부를 구비하는 층간 절연막; 및

    상기 제2 도전층을 구성하는 물질과 동일한 물질에 의해 상기 층간 절연막내에 구비된 상기 제2 개구부가 채워져 형성된 제3 도전층을 포함하는 반도체 소자의 비아홀 플러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리어 금속층은 티타늄과 티타늄 질화막으로 이루어진 이중막인 반도체 소자의 비아홀 플러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각 저지막은 티타늄 질화막, TaN, WN, TiSix, CoSix 및 WSix 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하나인 것인 반도체 소자의 비아홀 플러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전층과 상기 제2 도전층의 두께의 비가 3:7∼7:3으로 형성되는 반도체 소자의 비아홀 플러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도전층 및 제3 도전층은 알루미늄 또는 텅스텐으로 이루어진 반도체 소자의 비아홀 플러그.

  6. 반도체 기판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반도체 기판상에 제1 도전층, 식각 저지막, 제2 도전층, 버퍼층 및 절연층을 순차적으로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절연층과 상기 버퍼층의 일부분을 식각하여 제2 도전층의 상면 일부를 노출시키는 제1 개구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2 도전층을 상기 식각 저지막이 노출될 때까지 선택 식각하여 상기 상기 제2 도전층 내에 제1 개구부의 폭보다 넓은 제2 개구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개구부에 대응되는 상기 식각 저지막을 식각하여 상기 상기 식각 저지막 내에 제3 개구부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개구부, 상기 제2 개구부 및 상기 제3 개구부를 도전 물질로 채워 플러그를 형성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접촉 저항을 줄일 수 있는 비아홀 플러그의 형성 방법.

  7.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개구부를 형성하는 단계와 플러그를 형성하는 단 계 사이에 상기 제1 개구부의 내벽, 상기 제2 개구부의 바닥, 상기 제3 개구부의 바닥 및 내측벽에 배리어 금속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는 비아홀 플러그 형성 방법.

  8.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배리어 금속층은 티타늄과 티타늄 질화막으로 이루어진 이중막으로 형성하는 비아홀 플러그 형성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식각 저지막은 티타늄 질화막, TaN, WN, TiSix, CoSix 및 WSix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하나인 것인 비아홀 플러그 형성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전층과 상기 제2 도전층의 두께의 비가 3:7∼7:3으로 형성되는 비아홀 플러그 형성 방법.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는 알루미늄 또는 텅스텐으로 이루어진비아홀 플러그의 형성 방법.

KR1020000057342A 2000-09-29 2000-09-29 접촉 저항을 줄일 수 있는 비아홀 플러그 및 그 형성 방법 KR1007124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Priority DateFiling DateTitle
KR1020000057342A KR100712487B1 (ko) 2000-09-29 2000-09-29 접촉 저항을 줄일 수 있는 비아홀 플러그 및 그 형성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Priority DateFiling DateTitle
KR1020000057342A KR100712487B1 (ko) 2000-09-29 2000-09-29 접촉 저항을 줄일 수 있는 비아홀 플러그 및 그 형성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Publication Date
KR20020025486A KR20020025486A (ko) 2002-04-04
KR100712487B1 true KR100712487B1 (ko) 2007-04-27

Family

ID=196910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TitlePriority DateFiling Date
KR1020000057342A KR100712487B1 (ko) 2000-09-29 2000-09-29 접촉 저항을 줄일 수 있는 비아홀 플러그 및 그 형성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Link
KR (1) KR10071248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JPS59208748A (en) * 1983-05-12 1984-11-27 Matsushita Electronics Corp Manufacture of semiconductor device
KR20000013552A (ko) * 1998-08-10 2000-03-06 윤종용 반도체 장치의 콘택 형성 방법
KR20000031019A (ko) * 1998-11-02 2000-06-05 윤종용 반도체 소자의 제조공정에서의 비아 콘택홀 형성방법
KR20000056181A (ko) * 1999-02-13 2000-09-15 윤종용 반도체 장치의 비아 및 그 제조 방법
KR20010068782A (ko) * 2000-01-10 2001-07-23 윤종용 반도체 소자의 컨택 형성 방법
  • 2000
    • 2000-09-29 KR KR1020000057342A patent/KR100712487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JPS59208748A (en) * 1983-05-12 1984-11-27 Matsushita Electronics Corp Manufacture of semiconductor device
KR20000013552A (ko) * 1998-08-10 2000-03-06 윤종용 반도체 장치의 콘택 형성 방법
KR20000031019A (ko) * 1998-11-02 2000-06-05 윤종용 반도체 소자의 제조공정에서의 비아 콘택홀 형성방법
KR20000056181A (ko) * 1999-02-13 2000-09-15 윤종용 반도체 장치의 비아 및 그 제조 방법
KR20010068782A (ko) * 2000-01-10 2001-07-23 윤종용 반도체 소자의 컨택 형성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Publication date
KR20020025486A (ko) 2002-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Publication DateTitle
JP4094073B2 (ja) 2008-06-04 半導体装置を製作する方法
JP4953740B2 (ja) 2012-06-13 半導体素子のストレージノードコンタクトプラグの形成方法
US20040253813A1 (en) 2004-12-16 Method for filling a hole with a metal
(ko)
EP1292969B1 (en) 2004-05-19 Patterning method using a removable inorganic antireflection coating
JP4131648B2 (ja) 2008-08-13 半導体装置およ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KR100669107B1 (ko) 2007-01-16 마스크 구조물, 이의 제조 방법, 이를 이용한 패턴 형성방법 및 반도체 장치의 콘택 형성 방법
(ko)
KR100712487B1 (ko) 2007-04-27 접촉 저항을 줄일 수 있는 비아홀 플러그 및 그 형성 방법
KR100548570B1 (ko) 2006-02-02 반도체소자의 금속배선 형성방법
(ko)
KR100831981B1 (ko) 2008-05-26 반도체 소자의 콘택플러그 제조 방법
JPH06112197A (ja) 1994-04-22 半導体装置の電気的な接続体の形成方法及び該方法で作られた電気的な接続体を備えた半導体装置
CN109216358B (zh) 2021-04-30 半导体结构及其制造方法
KR100571407B1 (ko) 2006-04-14 반도체 소자의 배선 제조 방법
KR100553517B1 (ko) 2006-02-20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콘택 플러그 형성 방법
KR20000003486A (ko) 2000-01-15 반도체 소자의 게이트 전극 형성 방법
KR100442106B1 (ko) 2004-07-27 도전성 콘택 구조 및 그 제조방법
KR100685592B1 (ko) 2007-02-22 반도체 소자의 플러그 형성 방법
KR20080002480A (ko) 2008-01-04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JP2005086150A (ja) 2005-03-31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923763B1 (ko) 2009-10-27 반도체 소자의 콘택홀 형성 방법
KR20010107101A (ko) 2001-12-07 반도체 소자의 금속 배선 형성 방법
KR100721186B1 (ko) 2007-05-23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KR100639196B1 (ko) 2006-10-31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DateCodeTitleDescription
2005-04-26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2006-05-01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2006-10-17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2007-03-23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2007-04-2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2010-04-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413

Year of fee payment: 4

2011-04-2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