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수 풍뎅이 유충 - jangsu pungdeng-i yuchung

장수풍뎅이 유충은 간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민간요법으로 전통적으로 많이 사용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유충분말의 간 보호 효능과 간암억제 효능을 검증하고자 연구를 수행하였다. 먼저 장수풍뎅이 유충의 간 보호 효과를 확인하고자, 간 독성 물질인 diethylnitrosamine (DEN)을 C3H/HeN 수컷 쥐에 복강 주사하여 간 독성 실험쥐 모델을 제작하였다. DEN으로 처리된 쥐에서는 혈중 alkaline phosphatase (ALP) 농도, TUNEL positive 간세포의 숫자, 간 손상으로 인해 형성되는 duct의 개수, 간세포에서의 지방축적, Masson’s trichrome 염색에서 콜라겐 염색 정도 등, 급성 혹은 만성 간 손상과 관련된 지표들이 모두 증가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장수풍뎅이 유충 동결건조 분말을 함께 경구투여하게 되면, 이와 같은 간 손상의 지표들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으로 감소하게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 항암활성 유무를 검증하기 위해, 에탄올로 유충분말 추출물을 먼저 확보한 후, solvent partition 방법을 이용하여 에탄올 추출물을 hexane, ethyl acetate, water 분획물로 분리하였다. 이들 분획물들을 여러 종류의 암세포주에 처리하였을 때, ethyl acetate 분획물이 암세포들에 대해서 아포토시스와 세포괴사와 같은 세포죽음을 유도하는 활성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더불어 ethyl acetate분획물은 암세포의 대사를 교란할 수 있었고, 오토파지를 유도할 수 있는 활성을 가지고 있었다. 결론적으로, 장수풍뎅이 유충은 독성물질로부터 간을 보호할 수 있는 성분과 암세포에 대한 세포죽음을 유도할 수 있는 활성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향후 분획물들에 대한 추가적인 성분 및 활성 분석 실험으로 약리활성을 가진 물질을 분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Beetle larvae have been used as a traditional medicine to treat various human liver diseases. To prove the liver protective function of Allomyrina dichotoma larvae (ADL), we induced liver damage by the intraperitoneal injection of a hepatotoxic reagent, diethylnitrosamine (DEN), to C3H/HeN male mice and orally administered freeze-dried ADL powder. ADL powder lessened DEN-induced hepatotoxicity considering the reduced signs of acute and chronic hepatotoxicities, such as the ALP level in the blood serum, TUNEL-positive hepatocytes, ductural reactions, steatotic hepatocytes, and collagen deposition of the Masson’s trichrome staining. In addition to hepatoprotection, the anti-cancer activity of ADL has been examined. The ADL powder was extracted with ethanol and then fractionated with hexane, ethyl acetate, and water by a solvent partition technique. The ethyl acetate fraction showed cytotoxicity to various cancer cells through induction of apoptosis and necrosis, as well as the perturbed metabolism of the cancer cell to trigger autophagy. Collectively, ADL contains bioactive substances that can protect hepatocytes from toxic chemicals and trigger cell death in cancer cells. Thus, further purification and analyses of ADL fractions could lead to the identification of novel bioactive compounds.

[8] 이 둘의 대중 인식을 직접 비교해보자면, 충왕전 때 황제전갈과 장수풍뎅이의 싸움에서 장수풍뎅이가 뿔과 왼쪽 눈, 얼굴 반인 왼쪽, 오른쪽 다리가 잘리는 중상을 입자 해당 경기는 학대논란과 함께 엄청난 비난을 받았다. 링크의 댓글 참고.반면 해충으로 여겨지는 바퀴벌레의 경우 링크건 영상에 달린 댓글을 보면 알겠지만 앞의 장수풍뎅이 VS 황제전갈과 비슷한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전혀 다른 반응을 보였다.[9] 반대로 사슴벌레를 모티브로 한 캐릭터는 뭔가를 자르거나 나름 스피디한 전법을 쓰는 캐릭터로 나오는 경우가 많다.[10] 케이론장수풍뎅이. 이 쪽은 고생물 아르시노이테리움도 포함한다.[11] 강철전기에서만 등장.[12] 가면라이더 페러디로 보인다.[13] 여성형 메다로트, 다만 모티브 자체는 수컷 장수풍뎅이라서 확실히 뿔이 달려있다.[14] 여성형, 암컷 장수풍뎅이가 모티브.[15] OG 시리즈에서 딱정벌레라고 부르는 장면이 종종 등장한다.[16] 렘혼의 색놀이다.[17] 서양에서는 일본 곤충으로 인식하는지 Japanese rhinoceros beetle로 표기하곤 한다. 일본이 장수풍뎅이(카부토무시)를 치켜세우며 여러매체를 만든 것도 한몫 했을 것이다.[18] A. d. dichotomus. 이 아종은 한국 외에 중국과 대만에도 분포한다.[19] 가장 유명한 종은 septentrionalis아종이고, 추가로 5아종이 더 서식한다.[20] 초시학계에서는 일본 본토 아종이 원명아종과 전혀 차이가 없어서 원명아종으로 통합해야 한다는 주장도 있다.[21] 기네스는 90mm를 넘는다.[22] https://youtu.be/4ZRH8biqss0[23] 나머지는 왕사마귀와 대벌레, 넓적사슴벌레, 방아깨비, 장수잠자리 정도.[24] 실제로 충황제에서 이같은 방법으로 물장군의 머리에 구멍을 뚫어 죽였다.[25] 장수풍뎅이는 개체에 따라 자기 몸무게의 무려 81배 에 달하는 무게를 들어올리거나 끌 수 있을 정도로 힘이 좋다.#[26] 대형 딱정벌레류는 대부분 이륙과 착지가 불안정하다. 다른 갑충보다 더 단단한 외골격과 커다란 뿔, 큰턱, 몸의 무게 때문에 기동력이 상당히 떨어진다고.[27] 가로등 불빛을 찾아 날아온 장수풍뎅이가 착륙을 잘못해서 로드킬을 당하는 경우가 많다.[28] 단 무더기로 주면 안된다. 초파리가 꼬이거니와 과일은 수분이 많아 장수풍뎅이의 배설을 촉진하는데, 그러면 물똥이 고여서 엄청난 악취가 나게된다. 다 먹기도 전에 과일이 썩어버리기도 한다. 구슬만한 크기로 잘라서 주자.[29] 흔히 장수풍뎅이는 이빨이 없다고 알려져 있지만 붓처럼 생긴 입의 안쪽에는 애벌레 시절의 이빨구조가 남아있다. 암컷의 입에 손가락을 대어보면 뭔가 문다는 느낌을 받을 수 있다.[30] MBC 다큐멘터리 <곤충왕국 3D>의 장면인데 내셔널 지오그래픽에서 이를 무단으로 사용했다는 얘기가 있다.[31] 이때 날카로운 발톱이 피부를 움켜쥐는데 엄청나게 따갑다. 아무래도 큰 몸통에 무거운 무게를 가진 곤충이다 보니 날카로운 발톱과 강한 다리 없이는 나무에 매달리지도 못한다. 특히 외국에 서식하는 대형종들은 훨씬 강한 힘과 몸을 지니고 있기에 생각 없이 올려놨다간 피부가 베이고 뜯기고 뚫리고 만신창이가 된다. 보통 안 키워본 사람들은 사슴벌레보다 키우기 안전하다고 생각할 수도 있지만 턱만 조심하면 되는 사슴벌레와 달리 피부에 붙기만 해도 아프다.[32] 다만, 톱사슴벌레나 사슴벌레, 애사슴벌레, 홍다리사슴벌레, 두점박이사슴벌레, 다우리아사슴벌레, 참넓적사슴벌레의 경우에는 장수풍뎅이가 소형 종이었다면 이길 수 있었을 것이다. 이유는 이들은 왕사슴벌레나 넓적사슴벌레보다 몸집은 작아도 큰턱은 긴 편이기 때문이다.[33] 유튜브나 네이버에서 보면 이들도 다른 사슴벌레 못지 않게 장수풍뎅이에게 밀리는 경우가 적지 않은 편이다.[34] 장수풍뎅이 정도면 단단한 축에 속하지만, 사슴벌레의 큰턱 힘은 그것을 우습게 능가한다.[35] 그렇다고 함부로 방생하는건 유기나 다름없다. 기르는 생물은 제발 책임지고 잘 기르자.[36] 설탕물은 성충의 붓 모양의 혀가 굳기 때문에 먹일 수 없다. 사람이 먹는 젤리는 온갖 첨가물 범벅이라 장수풍뎅이가 버틸 수가 없다.[37] 등갑이나 배갑이 훨씬 단단한 사슴벌레도 마찬가지. 곤충은 생물이지 장난감이 아니다.[38] 예외로 사마귀나 잠자리 등은 시력이 매우 좋다.[39] 죽었나 싶을 정도로 안 움직인다. 장수풍뎅이를 처음 키우는 사람들을 조마조마하게 만드는 경우. 하지만 드물게 움직이고 날긴 한다. 반대로 밤만 되면 끼익 끼익 소리를 내고 쉼없이 날아대서 시끄럽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