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씨 본관 순위 - jangssi bongwan sun-wi

2015년 통계청 자료에 의하면 현재 전국적으로 장씨(張氏) 성을 가진 사람은 총 992,721명으로 김씨(金氏), 이씨(李氏), 박씨(朴氏) 등의 성씨별 순위에서 총 286개의 성씨 중에 9위를 차지하고 있는데, 본관으로 인동(옥산) 장씨, 안동 장씨, 부안 장씨, 흥성 장씨, 단양 장씨, 결성 장씨, 목천 장씨, 덕수 장씨, 울진 장씨, 옥구 장씨, 구례(봉성) 장씨, 절강 장씨, 태원 장씨, 농서 장씨, 창녕 장씨, 아산 장씨 등이 있다.

장씨는 베풀 장(張) 이외에도 글 장(章), 씩씩할 장(莊), 줄 장(蔣), 긴 장(長) 등의 성이 있는데, 조선 세종 때의 발명가 장영실은 '줄 장(蔣)' 성을 쓴 蔣英實이었다.

로마자 표기는 보통 Jang으로 하는데, 2011년 외교부 여권 통계에 따르면 Jang이 약 75%, Chang이 약 24%, Jhang 등 기타 표기는 1% 미만으로 현행 국어 로마자 표기법에 따르면 Jang, 매큔-라이샤워 표기법에 따르면 Chang이다.(출처:나무위키)

이러한 장씨(張氏) 성은 조선왕조실록 [관인별 열람] 명부에도 기록되어 있는데, 강화 장씨를 포함해 모두 14개의 본관이 올려져 있다.

장씨 본관 순위 - jangssi bongwan sun-wi

성명

신분

시호

생몰년

장예충(張禮忠)

기술관 -역관(譯官)

경원(敬源)

1578 ~ ?

성명

신분

시호

생몰년

장필무(張弼武)

무반

무부(武夫)

백야(栢冶)

양정(襄貞)

1510 ~ 1574

성명

신분

시호

생몰년

인선왕후(仁宣王后)

비빈

인선(仁宣)

1618 ~ 1674

★ 인선왕후(仁宣王后)): 조선 제 17대 효종 왕비로 우의정 장유(張維)의 딸이며, 어머니는 우의정 김상용(金尙容)의 딸이다.

1630년(인조 8) 봉림대군(鳳林大君)의 부인으로 간택되어 다음해에 가례를 올리고 풍안부부인(豊安府夫人)으로 봉하여졌다. 병자호란 뒤 소현세자(昭顯世子)와 봉림대군이 심양(瀋陽)에 인질로 갈 때 따라가 8년간이나 머물면서 많은 뒷바라지를 하였다.

1645년 소현세자가 죽으면서 봉림대군이 세자가 되자 세자빈이 되었으나, 책봉을 제때 받지 못하여 사저(私邸)에서 넷째 딸(숙정공주)을 낳게 되었다. 그 뒤 책봉되어 1649년 효종이 즉위하면서 왕비가 되었고, 2년 뒤 정식으로 책명을 받았다.(출처:네이버 지식백과)

4. 목천장씨(木川張氏)

장윤(張潤)

무반

명보(明甫)

충의(忠毅)

1552 ~ 1593

장원익(張遠翼)

기술관 -역관(譯官)

비경(飛卿)

1654 ~ ?

장시규(張是奎)

무반

자상(子祥)

1627 ~ 1712

장희춘(蔣希春)

문반

인경(仁敬)

성재(誠齋)

1556 ~ 1618

장몽열(張夢說)

무반

군집(君執)

? ~ ?

장건(張鍵)

문반

천개(天開)

1626 ~ ?

★ 인동(옥산) 장씨의 인구는 2015년 기준 666,652명으로 대한민국 장(張)씨의 2/3를 차지한다.

10. 장연장씨(長淵張氏)

장린(張遴)

무반

군택(君擇)

1606 ~ 1656

장언침(張彦忱)

문반

사부(士孚)

모은(暮隱)

1549 ~ ?

장시익(張時翼)

양반

1623 ~ ?

장윤화(張允和)

문반

? ~ 1422

장경세(張經世)

겸선(兼善)

사촌(沙村)

1547 ~ 1615

상기 자료를 보면 본관별로 한 명씩만 인명이 기록되어 있고, 시기도 15세기에서 18세기 초까지의 인물들인데, 어떤 기준으로 왜 이 시기 인물만 기록된 것인지는 알 수 없다.

또한 조선왕조실록 [신분별 열람]에는 '왕실, 양반, 중인, 양인, 천인' 등의 다섯 개 신분으로 분류하였는데, 왕실은 '왕, 비빈, 왕자/공주, 종친, 기타'로 세분(細分)하였고, 양반은 문반과 무반으로, 중인은'내관/나인, 기술관, 서리, 향리, 군교, 역리, 서얼, 기타'로, 양인은 '농민, 어민, 상인, 공인/공장, 신량역천(身良役賤, 양인의 신분으로 천인의 일을 하던 사람), 기타', 천인은 '노비, 백정, 무당, 창기, 광대, 승려, 기타'로 분류하여 그 각각의 명부를 기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