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ptime a2004ns-r usb 파일공유 방법

JSITCLUB

설치 및 설정

ipTime 공유기로 프린터 공유 (어디서나 연결할 수 있는 방법)

jsitclub 2020. 7. 7. 01:35

공유기를 이용하여 프린터 공유를하는 방법은 경우와 상황에 따라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1. 같은 공유기에 컴퓨터와 프린터가 모두 연결되어 있을때 하는 프린터 공유 방법.

: iptime에서 제공하는 '네트워크 프린터 프로그램'을 사용하면 설치만으로 비교적 쉽게 프린터 공유가 가능합니다.

2. 프린터가 랜케이블을 꼽을 수 있을 수 있는 기종으로 프린터가 자체 IP를 가질 때 사용하는 프린터 공유 방법.

: 프린터를 공유기와 연결하고, iptime 공유기의 DDNS를 설정한 후 와 포트 포워딩 으로 프린터 공유가 가능합니다.

그런데, 오늘 이야기 하려고 하는 프린터 공유 방법은 조금 다릅니다.

위에서 말한 두가지 방법이 모두 안될때 사용하는 프린터 공유 방법입니다.

같은 공유기에 연결되어 있지 않은 프린터 랜케이블을 연결할 수 없고 그냥 USB 케이블로 컴퓨터에 연결되어 프린터를 공유하는 프린터 공유 방법입니다.

저희 집이 딱 이 상황인데, 저희 집에는 공유기가 아이들 방에 1대, 제 방에 1대 각각 있는데, 프린터는 제 방에만 있어서 지금 까지는 아이들이 자신의 컴퓨터에서 작업을 하고, 구글 드라이브나 USB에 파일을 올리고, 제 방에 와서 출력하는식으로 사용 했었습니다. 

그것을 해결해 보려고, 여러가지 프린터 공유 방법을 찾다가 해결해서 함께 공유 합니다.

이 광고는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을 수 있습니다.

사용 환경

OS : 윈도우 10

공유기 : ipTIME A2004NS-R

프린터 : 삼성 scx 1360

공유기 설정

먼저 중요한 것은 프린터와 연결되는 공유기가 USB 포트가 있고 네트워크 프린터를 지원하는 기종(iptime의 경우 모델명에 NS가 들어간 기종) 이어야 합니다.(참고로 제 것은 ipTIME A2004NS-R 모델 입니다.)

1. 프린터를 공유기의 usb포트와 연결시킵니다.

2. 공유기 설정에 들어갑니다. (브라우저 주소창에 192.168.0.1 라고 치시면 들어가게 됩니다.)

3. 메뉴탐색기 > 고급설정 > USB/서비스 관리 > 서비스 설정 > 네트워크 프린터 서버

       1) 네트워크 프린터 서버를 다음과 같이 설정합니다.(서비스 : 실행 , 외부(WAN)접속 : 허용)

       2) 네트워크 프린터 서버의 주소(//192.168.0.1:631/printers/ipTIME_Printer)를 메모 해둡니다.

네트워크 프린터 서버

4. 메뉴탐색기 > 기본 설정 > 시스템 요약정보 > 외부 IP 주소 를 메모해 둡니다.

공유기에서 프린터 공유를 위해 하는 설정은 이것으로 끝입니다. 다음은 컴퓨터에서 프린터를 설정해 줍니다.

컴퓨터 설정

1. 이제 다른 컴퓨터(프린터를 사용할 컴퓨터)에 가서 설정> 장치 > 프린터 및 스캐너 창에 가서 "프린터 또는 스캐너 추가"를 누릅니다.

2. 프린터 및 스캐너를 검색하는 중..이라고 진행되다가 " 원하는 프린터가 목록에 없습니다."가 뜨면 그 링크를 누릅니다.

3. 프린터 추가 창 의 "이름으로 공유 프린터 선택"에 다음 주소를 입력합니다.(가장 중요!!)

   3-2) 번에서 메모한 주소의 아이피 자리에 4번 에서 메모한 외부 아이피 주소로 바꾼 내용을 적습니다.

   예를 들어

   3-2)번 에서 메모한 주소가 //192.168.0.1:631/printers/ipTIME_Printer 이고

   4 번 에서 메모한 외부 아이피 주소가 123.456.789.012 라면

   //123.456.789.012:631/printers/ipTIME_Printer 라고 적어줍니다.

그리고 "다음" 버튼 클릭

4. 프린터 추가 마법사 창 에서 자신이 공유할 프린터의 기종을 선택 합니다.

(될수 있으면 제조사에서 디바이스 드라이버를 다운로드받아 맞는 버전으로 선택 합니다.)

5. 다음

6.마침

이 방법으로 프린터 공유를 하고 난 뒤 더 이상 출력 한다고 다른곳에서 usb나 구글 드라이버에 저장한 후 내방에 와서 다시 컴을 켜고 출력 할 필요가 없어졌습니다.

게다가 인터넷 IP로 프린터 공유를 한것이라 집이 아니라 다른 곳에서도 제 방의 프린터를 사용하여 출력이 가능해 집니다.

다만 한가지 우려되는것은 4번에서 메모한 아이피 주소가 고정아이피가 아니라 바뀔 수도 있을것 같아 조금 두고 봐야 겠습니다. 만약 아이피가 바뀐다면 DNS는 가능 한지도 테스트 해봐야 겠습니다...

P.S

생각난김에 확인 해 봤더니 프린터 공유 할때 IP가 아니라 DDNS에 설정한 주소로도 프린터 공유가 가능 하더군요

(DDNS설정은 고급설정> 특수기능>DDNS설정으로 들어가 자신의 호스트 이름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그러면 위의 7번 에서 만들어 적어주는 경로를  //XXXX.iptime.org:631/printers/ipTIME_Printer 와 같이 url로 적어주면 혹시 IP주소가 바뀌어도 걱정 없게되어 한번 프린터 공유를 하면 다시 설정을 바꿔줄 필요가 없게 됩니다.

DDNS 설정하는 방법은 아래 페이지를 통해 설명 해 놓았으니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DDNS설정법( //jsitclub.tistory.com/55 )

ipTIME 공유기 로 나만의 도메인 갖기 (DDNS 설정)

얼마전 내방의 프린터를 공유해서 멀리있는 방에서도 출력을 잘 하고 있다. 심지어 직장에서도 내방의 프린터로 출력이 가능해졌고 주변분들에게도 공유를 했다. 그런데, 생각보다 공유기의 DDN

jsitclub.tistory.com

Toplist

최신 우편물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