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조건절 예문 - If jogeonjeol yemun

If 조건절 예문 - If jogeonjeol yemun

가정법에서는 if로 시작하는 조건절이 많이 쓰입니다. 하지만 ‘~라면이란 뜻으로 if를 쓰지 않고 달리 뭔가 변화를 주고 싶을 때도 있을 것입니다그렇다면 if를 생략해 보는 것도 좋습니다. if절에 조동사 were, had, should가 쓰였을 경우에 해당합니다. if가 생략되었다는 걸 나타내기 위해 주어와 동사를 도치시키는 것이 중요합니다.1)

앞서 나온 예문들은 if를 없애고 다음과 같이 바꿀 수 있습니다.

If I hadenough money,

I wouldbuyit.

HadI enough money,

I would buy it.

충분한 돈이 있으면,

나는 그것을 살 것이다.

If I wereyou,

I would not hesitate.

WereI you,

I would not hesitate.

내가 너라면,

망설이지 않을 것이다.

IfI hadtakenyour advice,

I should have been happier.

Had I takenyour advice,

I should have beenhappier.

네 충고를 받아들였다면,

나는 더 행복했을 것이다.

, 이것은 가정법 과거와 가정법 과거완료에서만 가능합니다. 가정법 현재에서는 이런 방법을 쓸 수 없으니 주의해야 합니다. 다음과 같은 문장은 있을 수 없습니다.

Rainit tomorrow,

we will stayat home. X

내일 비가 온다면

우린 집에 머물 것이다.


1) 주어와 동사가 도치되어 <동사+주어>의 순서가 되면 의문문이 된다고 했지만 그건 주문장에 쓰일 경우입니다. 종속절에서 주어와 동사가 도치되면 접속사 같은 무언가가 생략되었단 뜻입니다.


ⓒinsightonweb.com 김유철(분당 정자동 인사이트영어학원 031-717-1957)

  드디어, 가정법 파트입니다. 가정법은 절대 쉽지 않은 문법입니다. 정확히 말해서는 사용하기는 쉽지만 남이 써 놓은 가정법을 알아차리기는 조금 힘든 편이죠. 그렇지만 앞으로의 포스팅을 통해서 차례차례 알아본다면, 금방 가정법을 끝낼지도 모릅니다.

'if'라는 이 단어는 크게 3가지 용법으로 쓰입니다.

1. 때와 조건을 나타내는 부사절을 이끌때

2. 명사절을 이끌때

3. 가정법에서 사용될 때

이 3가지 용법을 헷갈리지 않기 위해서라도 우리는 3가지 용법을 다 알아야합니다. 이 중 2번째, '명사절을 이끄는 if'는 확연히 구별이 가기 때문에 1번 '부사절을 이끄는 if'를 먼저 알아보겠습니다. 

if는 접속사로서 '~라면' , '~한다면'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if는 미래에 현실적으로 일어날 수 있는 상황에 대을 조건으로 두는 경우에 사용합니다.

If we use all the money in my pocket, my mom will punish me.

"~한다면 우리가 사용 모든 돈을 내 주머니에 있는, 우리 어머니 ~할 것 처벌 나를"

"만약 우리가 내 주머니에 있는 모든 돈을 사용한다면, 우리 어머니는 나를 벌할것이다."

If he will come to pick his child, his child will be very happy. (X)

If he come to pick his child, his child will be very happy. (O)

자, 차근차근 예문을 보자구요! 우선 위의 3문장을 보면, if는 저렇게 쓰는 거구나, 하고 감을 잡으실 수 있습니다. 적어도 제 포스팅에서의 접속사는 처음 나온 용어인데, 이에 따라 설명을 조금 해드리자면, 두 문장을 접속사의 뜻을 가지고 연결하는 역할을 하는것이 '접속사'인데, 여기서 'if'도 그러한 접속사의 종류 중 하나입니다.

I have a pizza, and I have a pen.

I need you, beacuse you always make me happy.

Though you makes me humiliated, I still love you.

이런식으로 사용됩니다. ,(comma)를 기준으로 앞에도 완벽한 문장이 오며, 뒤에도 완벽한 문장이 위치합니다. 이때 접속사가 달린 절을 보통 '부사절'이라고 하며 핵심 내용이 들어간 절을 '주절','본절'등으로 부르게 됩니다. 그런데, 솔직하게 저 comma는생략을 엄청나게 하시니, 접속사는 다 외우셔야합니다. 이런 접속사에 대해 자세한 사항은 뒤에 '접속사'파트에서 하는 것으로 하고 일단 'if'는 접속사로 부사절을 이끈다는 점을 기억하시면 됩니다.

잠깐 말이 접속사로 빠졌었지만, 다시 돌아와 if 예시문의 밑 2줄을 볼까요? 위에 문장은 틀렸고, 밑의 문장은 맞다고 해놨네요? 분명 주절(if가 달려있지 않은 절)의 시제는 미래이고, 그렇다면 if에도 will을 적어줘 시제를 일치시켜줘야할텐데 말이죠. 

  틀린말 하나 없는 반박이지만, 이런 말이 있습니다. "때와 조건을 나타내는 부사절에서는(if, when) 현재시제가 미래시제를 대신한다." 즉, 위와 같이 조건을 나타내는 부사절에서는 미래시제를 사용하지 않고 현재시제를 적어도, 이것이 미래시제를 대신한다는 말이 됩니다. 

  그럼 과거는 아무 문제 없을까요? 네, 다행이 아무 문제 없이 그냥 과거의 뜻을 사용하시면 됩니다. 이때는 그냥 '만약 ~ 했다면'이라는 뜻으로 해석하시면 됩니다.

If you brought your phone to see soccer game instead of this beutiful movie, you must have been idiot.

"만약 너가 가지고 왔다면 너의 폰을 축구 경기를 보기 위해 이 영화 대신, 너는 바보였음에 틀림없다."

저희가 알아본 문법이 많이 들어가 있는 문장이죠? 그래도 어려운 문장은 절대 아닙니다. 어찌되었든, 이런식으로 과거형을 사용하시면 됩니다. 끝인 것 같지만 저희가 아직 모르는 친구가 있습니다. 바로 'when'인데요, 이 'when'은 '때'를 나타내기 때문에 조건이 확실할때 사용됩니다.

If he come, I will allow him to do whatever he wants. == 만약 그가 온다면, 나는 그가 그가 원하는 뭘 하든지 허락하겠다.

When he come, I will allow him to do whatever he wants. == 그가 올때, 나는 그가 그가 원하는 뭘 하든지 허락하겠다.

차이가 거의 없는것 같지만 중요한 차이가 숨어있습니다. when은 그가 오는 것이 확실할때 사용합니다. 그가 언제오는지는 모르지만, 언젠가는 올 것이 확실할때 그때는 'when'을 사용합니다.

  이번시간에는 'when', 'if'를 알아보았는데요, 다 잊으셔도 할말이 없지만 이것만큼은 기억하시면 좋겠습니다. "때와 조건을나타내는 부사절에서는 현재시제가 미래시제를 대신한다. "이걸 까먹고 will을 쓰면 그것만큼 부끄러운게 잘 없습니다. 경험담이니 꼭 기억하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로그인 없이 공감이 가능합니다

여러분의 공감 하나 하나는 블로그의 원동력이 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