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생방 보호의 오염지역 - hwasaengbang bohoui oyeomjiyeog

분야별정보Saha District Office

서브 메뉴

  • 지역경제
  • 취업정보
  • 교통정보
  • 건축/토지/부동산
  • 환경/청소
  • 옥외광고물
  • 체육시설
  • 구민교육
  • 민방위
    • 민방위교육안내
    • 민방위 비상시설 안내
    • 전시국민행동요령
    • 화생방방호행동요령
  • 재난안전

  • 열기
    • 블로그
    • 인스타그램
    • 페이스북
    • 카카오
    • 닫기
  • 인쇄하기

화생방방호행동요령

공통행동요령

  • 주변 사람에게 경보를 전파하고 가능한한 높은 곳으로 대피한다.
  • 옥내에서는 창문을 닫은 후 외부 공기가 들어오지 못하도록 문틈을 막고 정부의 안내에 따라 행동한다.

확대보기

화생방 보호의 오염지역 - hwasaengbang bohoui oyeomjiyeog

생물학 공격시 행동요령

  • 예방 주사를 맞고 위생을 청결히 하며, 물은 끓여 마신다.
  • 방독면을 착용후 경보를 전파하고, 특히 해충에 물리지 않도록 조심한다.

확대보기

화생방 보호의 오염지역 - hwasaengbang bohoui oyeomjiyeog

핵 공격시 행동요령

  • 낙진이 예상될 때는 방독면이나 긴옷을 착용하고 외부 활동을 금해야 하며, 낙진 오염시는 샤워를 하고 의복을 교체한다.

확대보기

화생방 보호의 오염지역 - hwasaengbang bohoui oyeomjiyeog

방독면 종류

방독면 작용법

  • 호흡을 멈추고 휴대주머니의 덮개를 열어 방독면을 꺼낸다.
  • 턱부위부터 위로 올려쓴 다음(일반형 : 머리부터 뒤집어 쓴다) 머리끈을 조인다.
  • 방독면을 얼굴 중앙에 바로 놓이게 조정한다.
  • 안면부 내부의 잔류공기를 훅 불어서 밖으로 배출시킨다.
  • 손바닥으로 정화통의 흡입구를 막고 숨을 들이쉬어 공기가 흡입되지 않고 안면부가 얼굴쪽으로 밀착어야 한다.
  • 착용 후 주위에 경보를 전파하고 안전지대로 신속히 대피한다.

대체장비 물자 사용법

대체장비 물자 사용법을 나타내는 표로 기본장비, 대체장비물자, 활용방법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기본장비대체장비물자활용방법
방독면 손수건, 수건 손수건이나 수건을 물에 적셔 코와 입을 막아 호흡기를 보호하는 한편, 야외에 있는 사람은 바람이 불어오는 방향의 안전지대로 신속히 이동한다.
비닐봉투 구멍이 나지않은 비닐봉투를 머리부터 뒤집어쓰고 허리를 끈으로 꼭 묶어 외부공기가 들어오지 않도록 하여 오염된 지역을 신속히 벗어난다.
마스크, 휴지 마스크를 착용하거나 휴지(화장지 또는 크리넥스)를 몇겹접어 코, 입을 막는다.
보호의 
보호두건
비닐(고무우의) 
방수의류
비닐우의나 판초우의를 머리까지 뒤집어쓰고 허리띠를 꼭 묶어 오염된 가스가 올라오지 않도록 한다.
비닐봉투 구멍이 나지않은 비닐봉투를 머리부터 온 몸을 뒤집어쓰고 허리띠등 끈으로 허리를 꼭 묶는다.
방독장갑 
방독장화
면장갑, 
고무장갑장화
면장갑, 고무장갑장화를 착용하여 피부가 외부에 드러나지 않도록 한다.
치료 
약품
해독제 
(MK-1)
병원용 
아드로핀
신경가스에 오염되어 동공축소와 근육경련환자에게 병원용 아드로핀을 사용한다.
피부 
제독킷 
M258A1
일반화상약품 수포가스가 피부에 묻어 물집과 화상을 입은 환자는 일반화상약품으로 치료한다
비누 신경, 수포가스가 피부 물집과 화상을 입은 환자는 따뜻한 비눗물로 씻는다.

방독면 구입방법

  • 자신이 거주하고 있는 가까운 동사무소(민방위담당)에게 구입을 요청하거나, 직접 방독면 판매취급소에서 구입하면 됩니다.

방독면 판매장소

방독면 판매장소 정보를 제공하는 표로, 주소, 전화번호, 비고 항목이 있습니다.

상호명주 소전화번호비고
한국상사 부산진구 황영대로 13(범천동, 한라시그마타워) 647-4771~2 -

담당자안전총괄과 정현아 (051-220-4134) 최근업데이트2022-10-28

화생방방호행동요령

화생방 보호의 오염지역 - hwasaengbang bohoui oyeomjiyeog
안전/도시/경제 > 재난/민방위 > 화생방방호행동요령

화생방방호 행동요령

일반방독면(K S M 6685)
  • 상세정보
    • 일반 방독면은 7세 이상의 소년부터 성인까지 사용할 수 있는 민방위용 방독면으로 군용 방독면과 같은 용도로 사용될 수 있으며 가격이 매우 저렴합니다.
    • 안경이 부착되어 있는 두건과 안면부, 정화통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가볍고 공기흐름 저항이 적으며 화학전에서 화학 작용제에 대한 보호가 가능합니다.
  • 착용방법
    • ① 정화통을 방독면에 연결한다.
    • ② 착용 전에 잠깐 호흡을 멈추고 두건을 쓴다.
    • ③ 코와 입에 안면부를 밀착시킨다.
    • ④ 머리끈을 조인다.
    • ⑤ 숨을 내쉬며 안면부내의 오염된 공기를 밖으로 힘껏 불어낸다.
    • ⑥ 정화통 바깥쪽 구멍을 손바닥으로 막고 숨을 들여 마시면서 공기가 새는가 점검
    • ⑦ 착용 후, 오염지역에서 안전지대로 신속히 대피한다.
  • 관리방법
    • ① 정화통은 언제나 밀봉상태로 보관하여야 한다.
    • ② 정화통은 항시 습기가 없는 건조한 곳에 보관하여야 한다.
국민방독면(다용도방독면)
  • 상세정보
    • 전쟁가스 오염지역 및 화재현장에서 대피하기 위한 비상용 방독면입니다. 일반 방독면과 같은 형태로 되어있으나 두건이 난연성 재질로 되어 있고 정화통이 2개로 구성되어 있어 화재시 발생하는 일산화탄소 등 유독가스와 연기를 막을 수 있다.
    • 안경이 부착되어 있는 두건과 안면부, 정화통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가볍고 공기흐름 저항이 적으며 화학전에서 화학 작용제에 대한 보호가 가능합니다.
      사용방법 : 화재대피용 및 화생방전쟁용
    • ① 휴대주머니에서 방독면을 꺼낸다.
    • ② 방습포장을 개봉하여 방독면을 꺼낸다. ☞ 화생방 경보발령시 전쟁용 정화통으로 교체하여 사용한다.
    • ③ 렌즈쪽을 아래로 하여 착용한다.
    • ④ 머리끈의 길이를 알맞게 조절한다.
    • ⑤ 정화통을 막고 숨을 들여마셔 착용상태를 확인한다.
    • ⑥ 착용후 안전한곳으로 신속하게 대피한다.
  • 정화통 구성

    화생방 보호의 오염지역 - hwasaengbang bohoui oyeomjiyeog

  • 관리방법
    • ① 정화통은 언제나 밀봉상태로 보관하여야 한다.
    • ② 정화통은 항시 습기가 없는 건조한 곳에 보관하여야 한다.

      화생방 보호의 오염지역 - hwasaengbang bohoui oyeomjiyeog

한국형방독면
  • 상세방법
    • 한국군의 군사용 방독면으로 활용되고 있다. 민방위대의 대장 등 민방위대장이나 참모요원과 같은 지휘 통제요원이 착용한다.
    • 보호두건도 구비되어 있어 목 등 피부를 보호할 수 있다.
  • 사용방법
    • ① 호흡을 멈추고 휴대주머니의 덮개를 열어 방독면을 꺼낸다.
    • ② 안면부의 맨아래 머리끈 밑에 엄지손가락이 들어가도록 양손으로 안면부를 쥐고 펴서 얼굴의 턱부위부터 위로 올려 쓴다.
    • ③ 머리끈을 조이고 머리받침이 중앙에 와있나 확인 및 조정을 하고 목끈을 조이고 보호두건을 덮어쓴다.
    • ④ 안면부 내부의 잔류가스를 훅 불어서 밖으로 배출시킨다.
    • ⑤ 손바닥으로 정화통의 흡입구를 막고 숨을 들이쉬어 공기가 흡입되지 않아야 한다.
      (숨을 들이쉬면 안면부가 오그라들어 얼굴에 달라붙는다.)
      ※ 만약 공기가 흡입되면 ④~⑥의 순서를 반복 실시한다.
    • ⑥ 이상이 없을시 주위사람들에게 경보를 전파한다.
  • 관리방법
    • ① 정화통은 언제나 밀봉상태로 보관하여야 한다.
    • ② 정화통은 항시 습기가 없는 건조한 곳에 보관하여야 한다.

      화생방 보호의 오염지역 - hwasaengbang bohoui oyeomjiyeog

어린이용 방독면

화생방 보호의 오염지역 - hwasaengbang bohoui oyeomjiyeog

  • ※ 제품의 용도 : 전쟁용 독성화학가스 또는 유해한 환경으로부터 어린이(3세~8세)를 안전하게 대피 및 보호용이나 아직 공공용으로는 보급되지 않고 있으며 고가(高價)임.(개 300,000원 정도)
신경작용제 해독제킷(KMARK-1 주사기)

화생방 보호의 오염지역 - hwasaengbang bohoui oyeomjiyeog

  • 특성 및 기능
    • 아드로핀주사기
      • ①번은 일시적 증상억제용으로 사용되고 팜(옥심)주사기
      • ②번은증상억제 및 원인치료제로 사용
    • 노란색의 안전캡을 제거하고 주사바늘 부분을 주사할 부위에 대고 누르면 주사바늘이 튀어나와 자동적으로 주사 됨
  • 사용요령
    • ① 아드로핀 주사기를 대퇴부 근육부분에 맞는다.
    • ② 아드로핀 주사후 10초동안 기다렸다가 옥심을 주사
    • ③ 10~15분 간격으로 한키트씩 3회까지 주사
    • ④ 맞고난 주사기는 상의 옷깃에 꽂아두어 주사한 횟수를 표시
  • 보관,관리방법
    • ① 동절기 상온(4~30℃)상태의 실내에 보관
    • ② 하절기는 통풍이 잘되는 선선한 곳에 보관
피부제독제 킷
화학작용제 탐지지

화학작용제 탐지지 설명:품명, km8탐지지, km9탐지지로 구성된 표

품명km8탐지지km9탐지지
그림
화생방 보호의 오염지역 - hwasaengbang bohoui oyeomjiyeog
화생방 보호의 오염지역 - hwasaengbang bohoui oyeomjiyeog
사용요령 탐지지를 1매씩 뜯어내서 탐지할 장소에 놓아두어 색깔변화에 따라 오염여부와 작용제를 식별.
- 적색: 수포가스(h,l,cx)
- 황색 : 신경가스(g)
- 암녹색 : 신경가스(v)
① 외부포장을 찢는다.
② 분리종이를 민다(엄지이용)
③ 탐지지와 분리종이를 동시에 당김
④ 분리되어진 탐지테이프를 옷, 장비, 물자 등에 부착하여 색깔변화에 따라 오염여부 식별
☆황색,분홍색,적색,적자색,흑적색으로 변색되면 액체성 화학가스에 오염된 것으로 판정
보관관리 - 태양광선 노출금지
- 유기용액 접촉금지
제한사항 - 제독제와 접촉시 변색되므로 제독확인용으로는 사용불가
- 뜨거운 열에 의하여 변색되므로 열과 접촉금지

화생방 오염표지판

화생방 보호의 오염지역 - hwasaengbang bohoui oyeomjiyeog

  • 구성품 형태 ⇒ 밑변 28cm × 양변 20cm의 이등변 삼각형
    • ① 화 학 전 : 황색바탕에 적색글씨로 가스
    • ② 생물학전 : 청색바탕에 적색글씨로 생물
    • ③ 방사능전 : 백색바탕에 흑색글씨로 원자
  • 사용요령
    • ① 식별이 용이하도록 지상 1m 높이에 20m 간격으로 설치한다.
    • ② 오염된지역으로 진입하는 인원ㆍ차량이 쉽게 확인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한다.
  • 보관,관리요령
    • 유사시 오염지역에 즉시 설치할 수 있도록 표지판에 끈을 부착해 놓고, 설치대 및 걸이용 끈을 준비해 둔다.
화학작용제 탐지킷(KM256)

화생방 보호의 오염지역 - hwasaengbang bohoui oyeomjiyeog

  • 사용요령
    • ① 정제시약의 덮개를 벗긴다.
    • ② 탐지지의 반정도를 정제시약에 문지른다.
    • ③ 탐지지 쪽이 위로 가도록 하고 가운데 세 개의 앰플을 눌러 터뜨린후 액체가 탐지지에 잘 묻도록 눌러 준다.
    • ④가열기를 탐지지로부터 멀리 열어 제친후 녹색앰플 한개를 깨고 탐지지 위로 다시 올려 2분간 기다린다.
    • ⑤ 탐지지가 공기에 노출되도록 보호덮개와 가열기를 열어 제친 다음 직사광선을 피하여 10분간 공기에 노출시킨다.
    • ⑥ 보호덮개를 잡은채로 두번째 녹색앰플을 눌러 터뜨리고 탐지지가 열을 받도록 1분간 방치한후 탐지지를 노출시킨다.
    • ⑦ 탐지지가 아래쪽으로 향한채로 앰플을 깬다.
    • ⑧ 백색종이를 정제에 문지르고 즉시 색깔 비교
      ☞ 탐지판 보관함의 작용제 식별참고판과 비교하여 오염여부 확인
  • 보관,관리시 주의사항
    ※ 미개봉된 상태로 보관
    • 서늘하고 건조한 상온(4℃이상)에서 보관
보호의

화생방 보호의 오염지역 - hwasaengbang bohoui oyeomjiyeog

  • 특성 및 기능
    • 침투보호의는 면직물 천에 화학약품을 처리하여 독가스가 침투하지 못하도록 되어있음
    • 일반우의는 침투보호의 대용품으로 사용가능(우의, 비닐포대 등)
  • 착용요령
    • 현재 입은 옷 위에 그대로 착용한다.
    • 노출된 피부가 없도록 장갑, 장화 등을 착용한다.
  • 보관,관리
    • 습기, 직사광선이 없는 서늘한 곳에 보관한다.
    • 가급적 최초 보급당시 포장상태로 보관 저장한다.

만족도조사 ㅣ 현재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와 편의성에 만족하셨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