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전 누전 차단기 교체 - hanjeon nujeon chadangi gyoche

고요하고 후덥지근한 일요일 아침, 

에어컨 켜고 청소하던 중에 갑자기 청소기에서 하는 소리가 나더니 전기 차단기가 다 내려가 버렸다.

집에서 사용 중이던 전기는 김치 냉장고 2개, 일반 냉장고 1개, 에어컨, 티비, 청소기, 정수기였다.

전기 과부하인가 싶어서 전기 플러그를 모두 뽑고 누전 차단기를 다시 올리자 불꽃이 파박 튀며 차단기가 올라가지 않았다. 

동네 전파사로 달려갔다.

집에서 해결할 정도의 수준이 아닌 것 같아서 동네 전파사에 갔는데 때마침 전파사 아저씨가 부재중이라 남겨진 전화번호로 전화를 걸었다. 

전화상으로 설명해주시길 보조 차단기를 올리고 다시 메인 차단기를 올려보라고 해서 그대로 했다가 파파박 튀는 불꽃에 큰 일 날 뻔했다.. 

한전에 전화해 문의해보았다.

한전에서는 차단기 수리 교체는 개인이 해야 한다고 하였다.

다음 대안으로 인터넷으로 "전파사"를 검색해서 찾았다. 

전기가 다 나갔으니 빠르게 와서 해결해 줄 전문가가 아주 간절했다. 인터넷에서 동네 전파사를 찾아 전화를 하니 20분 내로 온다고 하신다.

선풍기도 켜지지 않는 무더운 여름에 충전되어 있던 손 선풍기에 의지해 더위를 이겨내고 있었다.

30분 정도 지나자 아저씨 도착!

상황 설명을 간략히 들으시고 두꺼비 집을 열어 상태를 보시더니 보조 차단기 2개와 메인 차단기 1개를 모두 교체해야 된다고 하셨다.

92년에 이사올 때 달았던 아주 오래된 차단기였기 때문에 차단기가 내려간 뒤에 불꽃이 튀고 다시 올라가지 않았던 것이다. 

불꽃이 튀면 절대로 다시 차단기를 올리면 안된다고 설명해 주셨다. 

실제로 얼마전에 불꽃이 얼굴로 튀어 응급실에 간 고객이 있었다고 한다. 

벽지에 튀었을 경우 화재가 날 위험도 있기 때문에 전문가의 손에 맡기는 것이 제일 안전하다! 

은근 비용이 얼마 나올지 걱정이 되기도 했는데, 일요일 아침에 이렇게 신속하게 달려와서 친절하고 깔끔하게 일을 처리해 주시니 비용이 아깝지 않다는 생각이 들 정도였다. 

안그랬으면 이 무더위에 전기도 없이 기약없이 기다려야 했을수도 있었을텐데. 

차단기 교체

보조 차단기, 메인 차단기 모두 교체 후에 퍽 소리가 났던 청소기까지 이상이 있는지 점검해주시고, 청소기를 꽂았던 콘센트까지 다 꼼꼼히 점검해 주셨다. 

만족도는 백점만점에 백점!

<비포어 사진은 없지만 차단기 교체 후 사진>

한전 누전 차단기 교체 - hanjeon nujeon chadangi gyoche

원래 있던 누전 차단기는30암페어짜리였는데 지금 우리 집의 전기선으로는 이제 한전에서는 30암페어 연결은 안된다고 하여 25암페어짜리로 달아주셨다. 

차단기를 교체하고 집을 한 번 둘러보시더니 부엌을 지나면서 아저씨가 인덕션은 설치하면 안된다고 하셨다. 

인덕션을 사용할거면 전력 용량이 작아서 추가로 연결을 해야한다고 한다. 

아니면 현재 상태에서 인덕션을 사용할 경우 용량이 적어서 1구밖에 사용 못 할 수도 있다는 깨알같은 정보도 주고 가셨다. 

안그래도 얼마전에 전기렌지가 좋다는 얘기를 듣고와서 가스렌지 없애고 전기레인지 써볼까 얘기했었는데, 

그냥 바꿨다가는 아저씨가 말한대로 제대로 사용하지도 못했을뻔했다.

차단기 교체 비용

교체 비용은 생각보다 많이 나왔다. 

무려 15만원!! ㅠㅠ 

비록 큰 비용이었지만 무더운 여름에 30분내에 해결하고 곧바로 에어컨을 켤 수 있었다는데서 만족한다. 

만족한다고 자꾸 우리 가족은 스스로 세뇌했다. ㅠ_ㅠ

차단기 교체비용은 기사님마다 다른 것 같다. 

전화로 먼저 교체 비용을 문의하고 가격 비교 후 조금 더 저렴한 곳을 이용하면 될 것 같다.

자나깨나 전기 조심! 화재를 대비해서 가정용 소화기도 구비해놔야겠다.

한전 인천지사는 불량 누전차단기에 대해 교체 서비스를 실시한다.

한전은 고장신고가 지점 등에 접수되거나 2년에 1회씩 실시되는 한국전기안전공사의 일반용 전기설비에 대한 점검에서 불량으로 판정된 누전차단기를 고객의 동의하에 우선 교체해준다고 14일 밝혔다.

교체비용은 일반 전기공사업체 등에서 받는 수준의 절반가량인 2만2천원. 문의는 한전지점이나 국번 없이 123번으로 하면 된다.

〈양순열기자〉


저작권자 © 인천일보-수도권 지역신문 열독률 1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다른기사 보기

    한전 누전 차단기 교체 - hanjeon nujeon chadangi gyoche

      • 도개공, 대형사업 시동
      • 교원단체 명단공개 '3 갈래'
      • "정정당당 정책선거 다짐"


 일상 생활을 이어갈 때 생각지 않은 일들이 벌어지곤 합니다.

평소에는 우리 생각 밖에 있다가 문제가 생기면 골치 아픈 일들과

살면서 겪고 싶지 않지만 한번은 경험하는 일들이 있죠.

오늘 저희 집에 그런 문제가 터졌습니다.

평화로운 일상을 이어가는 도중 갑자기 모든 전등이 안 들어오는 겁니다.

배전함을 열어 봤더니 전등 차단기가 내려가 있더군요. 혹시나 하는 마음에 차단기를 다시

올려 봤는데 올라가지를 않아요. 당황 되는 마음에 이곳 저곳에 전화해서 물어보고 지인들에게도 물어봤답니다.

한전에 연락해봐라. 전기안전공사에 전화해봐라. 지인들 조언대로 한전과 전기안전공사 고객센터에

전화해서 물어보니 차단기 문제는 개인 업체에 연락해야 된다고 하더군요.

하룻밤을 촛불로 보내고, 이튿날 부랴부랴 전기 업체에 전화해서 고쳤습니다.

차단기 하나 교체 + 차단기에 따른 배선 알려 주심 + 누전이 되는 곳 찾아주심 = 비용 12만원(현금가)

큰 돈 주고 배웠네요.

이번 일을 겪으면서 차단기 교체 정도는 알아두면 좋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더군요.

이런 정보가 있었다면 비용도 많이 들지 않았을 거고, 혹시나 하는 마음에 두렵게 떨지 않아도 되겠더라구요.

누전 차단기 자체 고장 시 교체 방법은 간단합니다.

(  배전함  )

두꺼비집이라고도 하고 차단기함이라고 하고 배전함이라고 합니다. 보통 주택이나 아파트는 배전함이

신발장 속이나 현관 앞 쪽에 위치 하고 있습니다.

배전함을 열면 아래 사진처럼 차단기가 쭈-욱 있습니다.

    (  배전함 안  )

차단기 자체의 문제인지 다른 문제인지 알 수 있는 방법은 차단기 아래쪽에 있는 동그란 버튼을 눌러보면 됩니다.

차단기가 올려져 있는 상태에서 동그란 버튼을 눌렀을 때 차단기가 내려가는 게 정상입니다. 동그란 버튼을 눌렀는데도

차단기가 내려가지 않는다면 차단기를 교체해줘야 됩니다.

*** 누전 차단기 교체 방법 ***

1. 안전 장갑을 착용 한다. (새로운 차단기는 철물점에서 7천원 주고 구매했습니다.)

2. 배전함 위치를 파악한다.

3. 배전함을 열고 안전을 위해 모든 차단기를 내린 뒤 배전기 판을 분리한다.

한전 누전 차단기 교체 - hanjeon nujeon chadangi gyoche

 (십자드라이버를 이용해서 위의 사진처럼 4개의 나사를 풀어주면 배전함 분리 완료)

4. 문제가 있는 차단기를 찾아준다.

(  차단기 앞 모습  )

5. 차단기를 분리 하기 전에 꼭 배선이 어떻게 연결 되어 있는지 사진으로 남겨둔다.

6. 위의 사진 빨강색 동그라미 부분의 나사를 완전 풀어준다.

7. 위의 사진 파란색 동그라미 부분의 나사를 반 정도만 풀어준다.

8. 차단기를 잡고 위로 빼면 배선이 분리 되면서 빠진다.

9. 기존 차단기가 빠졌다면, 새로 넣을 차단기 윗 부분을 먼저 살펴보자.

10. 아래 사진 왼쪽 동그라미처럼 닫혀 있을 것이다. 십자 드라이버로 위의 사진 파란색 동그라미 부분을

돌려 주면 닫혀 있던 부분이 아래 사진 오른쪽 동그라미처럼 열린다. 위 아래 구멍에 맞춰서 배선을 넣어주고 다시 나사를 조여 주면 된다.

 ( 차단기 윗 부분- 배선이 들어가는 부분 )

11. 차단기 양 옆에 있는 나사 4개(위,아래) --> 차단기 가운데 있는 나사 2개(위, 아래)-->배전판 맞춘 뒤 원래 구멍에 맞춰서 나사 4개 조여 준다.

12.차단기가 잘 올라가는지 시험해본다.

해보면 그리 어려운 일이 아닌데 잘 알지 못하는 부분이다 보니 겁 먼저 생긴다.

해보니 별거 아니네요.

@@@ 알아두면 유용한 팁@@

1. 갑자기 누전 차단기가 내려간다면, 당황하지 말고 차단기의 문제인지 살펴본다.

2. 차단기의 문제가 아니라면 먼저 보일러실이나 전기 온수기 쪽을 살펴보자. 누수로 인한 전기 문제는 주로 이곳에서 나타난다.

3. 보일러실이나 전기 온수기가 쪽이 문제가 아니라면 모든 차단기를 내린 채 하나하나 올려보면서 살펴봐야 된다.

이때 배전함에 차단기에 따른 집안 전등이나 전열(콘센트 등등)이 어디에 해당하는지 미리 알아두면 좋다. 이런 부분들을 먼저 알아두고 가전을 사용하면 과부하가 걸리는 걸 막을 수 있다. 또한 차단기가 내려갔을 때 어디 부분이 문제인지 쉽게 찾을 수 있다.

( 바뀐 우리 집 배전함 모습 )

 이번 일을 겪으면서 많은 공부를 했답니다.

우리 집 전기가 어떻게 돌아가는지(?) 알았어요. 배운 것들을 바로 잊어버리지 않게 배전함에 적어서 붙여두었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