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병대 수색대 지원방법 - haebyeongdae susaegdae jiwonbangbeob

  • 육군
  • 해군
  • 해병대
  • 공군

  • 모집안내
  • 평가요소 및 배점기준
  • 모집계열별 지원자격
  • 병종별 복무안내
  • 지원절차

모집계열별 지원자격

모집계열별 지원자격에 대한내용표이며 계열과 지원자격에 대한내용을 제공
계열지원자격
일반
  • 자격/면허, 전공 관련없이 지원 가능
수색
  • 자격/면허, 전공 관련없이 지원 가능
  • 신장 165~195㎝, 체중 60~120㎏
  • 나안시력(안경 벗은 시력) : 0.5 이상
  • 수영능력 200m 이상 가능자
  • 색맹, 색약이 아닌 사람
화학
  • 화학, 소재, 생명과학 관련학과 수료 및 재학생 또는 관련 자격/면허 소지자
  • (단, 자격/면허 미소지자, 비전공자도 지원 가능)
정보통신
  • 정보, 전자, 통신, 전산 관련학과 수료 및 재학생 또는 관련 자격/면허 소지자
  • (단, 자격/면허 미소지자, 비전공자도 지원 가능)
공병
  • 건축, 토목, 환경 관련학과 수료 및 재학생 또는 관련 자격/면허 소지자
  • (단, 자격/면허 미소지자, 비전공자도 지원 가능)
무기정비
  • 기계, 전기, 조선, 항공, 자동차 관련학과 수료 및 재학생 또는 관련 자격/면허 소지자
  • (단, 자격/면허 미소지자, 비전공자도 지원 가능)
수송
  • 자동차 정비관련 기술자격증 또는 1종보통운전면허 이상 소지자
조리
  • 조리, 식품 관련학과 수료 및 재학생 또는 관련 자격/면허 소지자
  • (단, 자격/면허 미소지자, 비전공자도 지원 가능)
군악
  • 군악관련 특기 소유자(별도 실기평가 후 선발)

   

* 색맹 : 전 계열 지원불가 / 색약 : 수색 계열 지원불가

이번 포스팅은 본인과 수영장에서 함께 근무하는 '해병대 특수수색대'출신 형님을 인터뷰하였다. 현재 수영 강사로 일하고 있으며, 10년도에 해병대에 입대하였다. 이번 인터뷰를 통해서 해병대 수색대가 되는 법, 지원방법, 훈련과정들에 대해서 알아보자. 넘버링으로 표시된 질문들에 검은색글씨가 인터뷰 내용이며, 파란색 글씨가 본인의 생각이나 정보를 덧붙인 것이다.

해병대 수색대 지원방법 - haebyeongdae susaegdae jiwonbangbeob

해병대 수색대 지원방법 - haebyeongdae susaegdae jiwonbangbeob

-> 해병 입대는 2010년 2월에 하였고, 전역은 2012년 11월에 하였다. 복무 일수는 당시 기준으로 1년 7개월 정도였던 것으로 기억한다. 해병 수색대로 전역했으며, 포항 1사단에서 생활하였다.

2. 해병대 수색대에 지원한 계기

해병대 수색대 지원방법 - haebyeongdae susaegdae jiwonbangbeob

-> 군대를 가기 전 수영장을 회원으로써 다녔다. 군대 갈 시기여서 고민하고 알아보던 중 수영장 형들이 해병대를 나왔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수색대 출신 강사 형들의 추천에 의해서 해병대를 가게 되었고, 수색대를 지원하게 되었다. 수영장에 강사 형들이 5명이 해병대였고 그중 2명이 수색대 출신이었다. 형들이 '이왕 갈 거면 수색대를 가라'라고 추천을 해주었다.

본인도 그렇지만 특수부대에 간다고 해서 항상 엄청난 계획을 가지고 지원하는 것만은 아니다. 본인도 라이프가드 자격증 교육과정에서 만난 형님(11명만 수료했다던 55차)의 추천으로 UDT에 지원하게 되었다. 형들의 조언과 경험을 들으면 많은 도움이 되기 때문에, 멋있는 형을 따라다니면 뭐라도 건진다. 그리고 해병대나 UDT에 관심이 있다면 수영장에 다니며 정보를 물어보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인터뷰를 하는 형과 본인도 현재 수영장 안전요원 근무 중에 인터뷰를 진행하고 있다. 해병대, UDT 출신은 수영/잠수 쪽에서 일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수영장을 둘러보면 어렵지 않게 찾을 수 있을 것이다.

3. 해병대 수색대 지원방법

해병대 수색대 지원방법 - haebyeongdae susaegdae jiwonbangbeob

-> 나는 입대할 당시(2011년)는 해병대를 지원할 때부터 입대 전 병과 선택을 하고 입대를 하였다. 나는 수색 병과(수색대)를 선택하였으며, 1차 면접(50여 명 정도)에서 체력평가를 통해 우수한 인원을 선별하고, 2차 훈련소에서 1차 통과한 사람들만 체력평가를 한 번 더 실시하여 선출하였다. 수색대를 함께 합격한 동기가 10명(2차 면접까지) 내외였다. 체력평가를 통과한 인원들만 수색대 교육에 지원할 수 있고, 떨어진 인원들은 다른 병과로 가게 된다. 체력평가의 종류구보 3킬로, 윗몸, 턱걸이, 팔굽혀펴기가 있다.수영의 경우 자유형, 평형을 시험에서 요구하는 거리를 완주 가능해야 한다. 아무리 체력이 뛰어나서 좋은 성적을 받아도, 수영을 못하면 최종적으로 탈락하기 때문에 수영이 상당히 중요하다. 자세도 함께 평가를 하는 것 같이 보였다. 귀의 압력 평영을 확인하는 챔버테스트도 실시하였다.

해병대 수색대 지원방법 - haebyeongdae susaegdae jiwonbangbeob

UDT 체력평가와 공통점이라면 수영 평가가 상당히 중요하고, 잠수를 하기 때문에 챔버테스트를 하는 것이 동일하다. 본인이 듣기로는 일반병과를 선택하여 입대해서 차출하여 뽑히는 경우도 있다고 들었는데 정확하게 물어봐야 할 것 같다.

4. 실무에 배치받기까지의 기간&대략적인 훈련과정(훈련의 이름, 기간, 특징)

해병대 수색대 지원방법 - haebyeongdae susaegdae jiwonbangbeob

-> 수색대 훈련이 끝나면 바로 배치를 받는다. 백령도, 포항(1사단), 김포(2사단), 한때는 연평도가 있었다가 없어졌는 것으로 알고 있다. 수색대에 바로 지원하는 것이 아니라, 해병 교육을 받고 실무생활을 하다가 교육 차수가 맞으면 수색대 교육을 들어간다. 수색대 교육의 경우 2개월 실무생활 뒤부터 들어갈 수 있었으며, 차수가 안 맞아 밀리면 6개월 후에 들어갈 수도 있다. 교육은 1년에 3번이 있었다.(2011년도 기준).

해병대 수색대 지원방법 - haebyeongdae susaegdae jiwonbangbeob

수료를 하고 실무에 배치되었다가 훈련을 받으러 가는 것이 수색대 대원들과 UDT 대원은 차이점인 것 같다. 이 방식에는 장단점이 있는 것 같은데, 시기나 부대 사정에 의해서 교육이 뒤로 미뤄져 수색대 훈련을 늦게 받을 수 있다는 단점이 있는 것 같다. 하지만 일단 입대하여 교육을 기다릴 수 있기 때문에 전역시기(복학시기)를 좀 더 여유롭게 생각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5. 수색대 훈련 중 가장 힘들었던 훈련들 3가지를 꼽자면

해병대 수색대 지원방법 - haebyeongdae susaegdae jiwonbangbeob

-> 수색교육, 동계훈련, 실무생활이 빡셌다. 수색대는 실무가 편할 줄 아는데 당시에는 구타도 많고 인계사항도 많았다. 수색대 교육은 총 10주인데, 가입소 1주 후 훈련 9주와 같은 방식으로 진행된다.(2011년 기준) 지옥주는 4주 차 때 실시했다. 지옥주의 경우 일요일 12시에 시작하여 금요일날 지옥주가 끝났다. IBS 훈련 등 냉수욕, 헤드 케리, 본인은 팀을 잘못 만나 선착순을 많이 했다. 수색대 교육은 부사관 장교들이랑 같이한다. 조장은 선입 교번의 부사관이나 장교이고, 나머지는 팀원이다. 지옥주때 추위 때문에 가장 힘들었었다.

해병대 수색대 지원방법 - haebyeongdae susaegdae jiwonbangbeob

해병대도 본인이 경험한 유디티 지옥주와 동일하게 IBS를 들고 팀 단위로 구성하여 훈련을 진행한다. 모두가 그렇겠지만 지옥주는 추위가 가장 힘들며, 팀원들과 의기투합이 잘 되어야 부상 없이 훈련을 마칠 수 있다. 차이점이라면 유디티는 5주 차에, 해병대 수색대는 4주 차에 지옥주를 실시한다는 점이 있다.

6. 수색대 인원은 몇 명 정도인가

해병대 수색대 지원방법 - haebyeongdae susaegdae jiwonbangbeob

-> 내 동기들은 10명이었다.1사단 수색부대에는 약 200명 내외가 있었다.팀장(장교 아니면 부사관), 병들로 구성하고 5명이 한 팀을 이루었다. 과업은 여러 종류가 있는데, 으로 간다 치면 팀별로 기동하여 목적지까지 타격하는 훈련을 실시하고, IBS 해상훈련도 팀별로, 강하훈련은 중대별로 한다. 나는 강하훈련을 10번 정도 했다. 강하훈련은 조사리 강하훈련장에서 실시했으며, 나는 비무장 강하 9번 정도하고, 무장강하를 2번 했다. 완전무장(배낭에 침낭, 물건들을 넣고 했다) 훈련의 경우, 저녁에 헬기를 띄어서 조사리에서 강하하여 팀별 기동을 통해 목적지에 도달하는 식의 훈련이었다. 일주정도한다. 숙영하고, 기동하고를 반복하며 중간에 유격훈련을 하기도 한다.

해병대 수색대 지원방법 - haebyeongdae susaegdae jiwonbangbeob

본인은 유디티 특전병을 전역하였지만, 강하훈련을 자격 강하 3회, 파병 후 전투력 강하훈련을 통해 1회 밖에 받지 못했다. 임무가 많아 배울 것이 많다 보니, 복무 일수가 짧은 유디티 특전병의 경우 한 가지에 대하여 아주 심층적으로 배우는 데는 한계가 있는 것 같다. 하지만 해병대 수색대는 부대 사정에 따라 한 가지 분야의 훈련을 전문성 있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 같다. 본인은 공수훈련이 상당히 재밌었는데, 10번을 넘게 실시했다는 형의 이야기를 들으며 부러웠다.

7. 해병대 수색대를 지원하려는 사람들에게 한마디 조언을 해주자면?

해병대 수색대 지원방법 - haebyeongdae susaegdae jiwonbangbeob

-> 강한 놈이 살아남는 게 아니라 살아남는 놈이 강하다. 해병 수색대에 지원을 하려고 했으면 뚜렷한 목표의식을 가지고 포기하지 말고 끝까지 버텨 목표를 달성하기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