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버스 분실물 - gwangju beoseu bunsilmul

시내버스 분실물센터 무용지물

  • 기자명 채전경
  • 입력 2012.01.09 19:18
  • 수정 2012.01.10 15:18
  • 댓글 0

광주 버스 10곳 중 1곳만 상황 업데이트
나머진 “사무실로 전화해서 찾으세요”

광주 버스 분실물 - gwangju beoseu bunsilmul
▲ 시내버스와는 달리 시외버스 분실물은 비교적 체계적으로 관리되고 있다. 광천동 버스터미널 내 분실물센터엔 한 달 평균 600여 건이 접수돼 주인을 찾고 있다. 황해윤 기자

건망증이 있는 기자는 버스에서 급하게 내릴 때면 늘 불안하다. `또 뭔가 두고 내린 건 아닐까?’ 내리고 나서야 집에서 하고 나온 목도리가 아직 있는지, 휴대폰은 주머니에 들어 있는지, 가방 속에 장갑은 들어 있는지 부랴부랴 확인한다. 대체로 찾는 물건을 발견하지만 그렇지 못할 땐 물건의 가치를 떠나 영 찝찝한 기분이 든다.

`어디서 잃어버린 걸까?’ 생각이 여기에 미치면 여기 저기 연락을 해 본다. 집에 전화를 걸어보고, 들렀던 상점이 있는지 생각해 보고, 그래도 없으면 비로소 분명해진다. `버스에 두고 내렸구나’

이때부터 더 많은 생각이 머릿속을 복잡하게 만든다. `만약 누가 갖고 내렸으면 어떡하지? 신분증이랑 카드 들었는데…. 지갑에 돈이 얼마나 들었더라?’ 버스회사에 연락을 하기 위해 급하게 전화를 든다. `아, 그런데 내가 탄 버스는 어느 회사 소속이지?’

이런 상황에서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사이트가 있다. 광주광역시 버스운행정보(www.bus.gjcity.net) 사이트의 `분실물 센터’다. 여기선 광주에서 운행되는 시내버스에서 습득한 물건과 습득 날짜 및 노선의 번호와 방향, 습득물을 보관하고 있는 회사의 이름과 연락처 등을 소개하고 있다.

현재 광주의 시내버스 회사는 10곳, 원칙대로라면 모든 버스노선에서 잃어버린 습득물 정보가 이 게시판에 올라와야 하지만 실제로 올리는 곳은 채 5곳이 되지 않는다. 그나마도 반 년 전부터는 을로운수만 꾸준하게 올릴 뿐, 다른 회사들은 소홀하다.

이런 상황이다 보니 이 게시판을 통해 버스에서 분실한 물품을 찾는다는 것이 녹록지 않다. 사이트를 찾은 방문객을 두 번 수고하게 만드는 현실이다. 물론 버스 회사에서도 할 말은 있다.

보통 하루에 1건, 많을 땐 3~4건까지 분실물 습득 신고가 들어온다는 광주의 한 시내버스 회사의 총무과장은 “사람들은 이 사이트가 있는지도 모른다”며 “실질적으로 회사로 전화가 오지 사이트를 찾지 않아서, 분실물 정보를 올리는 것 자체가 무의미하다고 생각한다” 라고 말했다. 그는 “(물건을 잃어버린 버스가) 저희 회사 아닌데도 전화 오는 경우가 많아요. 그럼 그 회사의 전화번호를 가르쳐 드립니다”라고 덧붙였다.

또 다른 시내버스 회사는 하루에 1~2건 정도 분실물을 습득한다. 이 회사 관계자는 분실물 센터에 습득 정보를 올리지 않는 이유에 대해, “학생증이나 신용카드 등의 분실물을 습득하면 바로 학교나 관리 업체 등에 연락을 해서 주인을 찾아준다”며 “그래도 안 가져가는 경우만 올린다” 고 대답했다.

결국 사이트 홍보 부족이 버스 승객의 분실물센터 이용률 저하를 낳고, 이것이 버스 회사로 하여금 습득물 정보 올리는 걸 기피하게 해 분실물 센터의 효용성을 떨어뜨리고, 다시 버스 승객으로부터 외면받는 악순환으로 이어지는 것이다.

채전경 기자

[드림 콕!]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광주드림을 구독하세요

저작권자 © 광주드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용안내 > 유실물센터 > 유실물처리 안내

유실물센터

  • 위 치 : 소태역 (지하1층)
  • 연 락 처 : (062)604-8554(바로오네)
  • 이용시간 : 05:30 ~ 24:00(연중무휴)

유실물처리 방법

  • 유실물 분실시
    • 열차 출발 직후 분실 사실을 알았을 경우 ⇒ 역무실에 연락
    • 분실한 사실을 뒤늦게 알았을 경우
      ⇒ 하차역에서 신고 (소태역(604-8411),평동역(604-8591))
    • 분실한지 며칠 지났을 경우
      ⇒ 유실물 센터로 연락
    • 유실물을 빨리 찾으려면
      • - 열차번호를 기억합니다.
      • - 하차시간을 기억합니다.
      • - 하차한 차량의 위치(몇번째 칸)을 기억합니다.
    • 습득시 신고방법 ⇒ 가까운 역무실이나 유실물 센터로 인계

유실물처리 흐름도


※ 광주광역시 타교통 유실물센터 안내
- 광주광역시 버스운행정보주소
- 광주광역시 택시운송사업조합
- 광주광역시 개인택시운송사업조합

몇년전부터 광주도 환승제도를 도입하면서 버스 이용율이 높아졌는데요. 사실 광주는 지하철이 1호선뿐이라 지하철의 이용보다는 버스이용이 많죠.


버스를 이용하다보면 저처럼 덜렁대는 사람은 지갑이나 핸드폰을 놓고 내리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이럴때 참 난감한데요. 이런 경우 지갑이나 핸드폰을 찾을수 있도록 광주버스에서 분실물센터를 운영한다고 하는데요. 오늘은 이 광주버스 분실물센터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저도 가끔 버스를 이용하는데요. 버스를 타다가 종종 졸거나 정신을 딴데 팔다가 지갑을 잃어버린 경우가 있는데요. 이렇게 지갑을 몇번이나 샀는지 모르겠네요. 


좀더 일찍 광주버스 분실물센터가 있는지 알았다면 더 좋았을 거란 생각을 하지만 그래도 이제라도 알게 됐으니 다행이라 생각하고 여러분에게도 정보를 공유하겠습니다.

광주버스 분실물센터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포털사이트에 광주광역시 버스운행정보를 검색을 하시면 홈페이지가 나오는데요. 간단하게 광주버스라고 검색을 하셔도 됩니다. 일단 홈페이지가 나오면 접속을 해야겠죠? 홈페이지를 클릭해주세요.

광주 버스 분실물 - gwangju beoseu bunsilmul

홈페이지에 접속을 하시면 위와 같은 화면이 나오는데요. 광주버스와 관련된 각종 정보들을 보실수 있습니다. 버스정류장에 보이는 버스도착정보도 이 홈페이지에서 보는 정보와 같습니다. 혹시 궁금하신분들은 다른 메뉴들도 한번씩 보셔도 좋을것 같습니다. 오늘 저희가 알아볼 광주버스 분실물센터를 찾기위해서는 상단 메뉴의 제일 오른쪽에 있는 이용안내에 마우스를 가져가시면 아래쪽에 분실물센터 메뉴가 나옵니다. 해당 메뉴를 일단 클릭해주세요.

분실물센터 메뉴를 클릭하시면 위와 같은 화면이 나옵니다. 분실을 하신 물품과 어떤 버스에서 분실물을 습득했는지 그리고 습득한 날짜와 운수회사, 전화번호 등이 나오는데요. 해당 연락처로 연락을 하셔서 분실물을 찾아가시면 되겠습니다. 오른쪽에 있는 현황은 분실물을 찾아가시게 되면 처리완료로 바뀌게 됩니다. 전부 처리완료로 바뀌면 좋겠네요.

저도 지갑을 자주 잃어버리는 편이라 비싼 지갑을 사기도 힘든데요. 이 글을 보시는 분들 중에도 혹시 저같은 분들이 계시면 이런 분실물 관련된 정보들을 많이 알아놓는게 좋겠죠? 버스를 타다가 잃어버리시면 꼭 위 정보를 기억해두시길 바랍니다.

오늘은 광주버스 홈페이지에서 분실물을 찾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았는데요. 혹시라도 버스를 타다가 물건을 분실하셨으면 홈페이지를 먼저 확인하셔서 자신의 물품이 있는지 확인해보시고 꼭 찾으셨으면 좋겠네요. 그리고 왠만하면 물품을 분실하지 않도록 안전하게 보관을 하는게 제일 좋겠죠? 저를 포함해서 물건을 자주 잃어버리시는 분들은 밖에서 다닐때는 항상 정신을 차리고 다니는게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