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건강보험제도 문제점 - gugmingeongangboheomjedo munjejeom

초록
용어

논문에서 용어와 풀이말을 자동 추출한 결과로,
시범 서비스 중입니다.

본 연구는 한국건강보험제도의 현황과 문제점을 분석하고 이를 기초로 한국보험제도의 바람직한 발전 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건강보험에 관한 일반이론과 한국건강보험제도의 발전과정, 한국건강보험제도의 주요내용, 한국건강보험제도의 주요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에 따르면 한국건강보험제도는 보험료부가체계상 직장가입자와 지역가입자간 보험료 부담의 형평성이 결여되어 있고, 국민기초생활보장에서 제외되는 비수급 빈곤층 측 차상위...

본 연구는 한국건강보험제도의 현황과 문제점을 분석하고 이를 기초로 한국보험제도의 바람직한 발전 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건강보험에 관한 일반이론과 한국건강보험제도의 발전과정, 한국건강보험제도의 주요내용, 한국건강보험제도의 주요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에 따르면 한국건강보험제도는 보험료부가체계상 직장가입자와 지역가입자간 보험료 부담의 형평성이 결여되어 있고, 국민기초생활보장에서 제외되는 비수급 빈곤층 측 차상위계층의 의료보장이 상대적으로 미흡하며, 최근 의료비의 지속적 증가와 고령화 현상의 심화 등으로 인해 보험료 수입보다 지출이 지속적으로 늘어나는 현상으로 인해 보험재정의 안정성이 결여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한국건강보험제도는 보험료 부담에 있어 소득 재분배효과가 미흡하고, 보험급여구조상 비급여가 많아 포괄적 서비스 제공에 있어 상당한 한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위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으로 다음과 같은 것을 제시하였다. 첫째, 현재 직장소득자와 지역소득자간에 보험료부과체계상 발생하는 형평성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직장가입자와 지역가입자를 통합한 단일부과체계를 구축하여야 한다.
둘째, 의료보장의 혜택을 전 국민이 충실히 보장받기위해서는 보험료부담에 따른 의료서비스 혜택의 차별화를 해소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를 위해 보험료부담의 문제를 안고 있는 계층 특히, 차상위 계층에 대한 보험료부담을 줄일 수 있는 다양한 지원체계의 확립이 무엇보다 필요하다.
셋째, 한국국민건강보험제도가 국민의 건강유지와 증진이라는 본래적 기능을 안정적이고 충실히 수행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재정의 안정화가 확립되어야한다. 이를 위해 보험료수가의 현실적 반영, 안정적인 기금운영, 장기고액체납자에 대한 효과적이고 체계적인 관리 등이 필요하다.
넷째, 한국건강보험제도의 가장 큰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는 소득재분배 효과를 증진할수 있도록 고소득자에 대한 보험료 부담률을 높이고 상대적으로 저소득층 및 소득취약계층에 대한 보험료 부담을 줄일 수 있는 제도적장치가 필요하다. 끝으로 비보험급여를 가능한 최대한 급여화하고 상급병실제도를 현실에 맞게 개선할 필요가 있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and problems of the Korea health insurance system and find out desirable development measures for the system.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the study analyzed general theories on health insurance and development processes, main content 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and problems of the Korea health insurance system and find out desirable development measures for the system.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the study analyzed general theories on health insurance and development processes, main content and major problems of Korea health insurance system.
According to the study results, there is lack of equity in the health insurance system premium burden between workers and local subscribers. The exemption based on poverty which seeks to guarantee citizens basic living conditions through a medical security system is relatively insufficient within the income hierarchies. The current continuous rise in medical expenses and rapid ageing population phenomenon and the rise in expenditure than premium income generated has created lack of financial stability in the health insurance system. Also, the premium burden in the Korea health insurance system show that there is insufficient income redistribution effect and considerable limitation in provision of comprehensive services due to many non-payments caused by the insurance payment structure.
The following suggestions were made in order to solve the enumerated problems. First, in order to resolve the problem of equity that arises from additional premium schemes between working income earners and local subscribers, a single premium imposition scheme should be established to integrate the workers and local subscribers payment schemes.
Second, it is of utmost importance to eliminate differences in medical service benefits based on premium burden to ensure that the entire citizens receive real medical security benefit. It is important to provide various support in order to resolve the premium burden problem especially to reduced the burden in the income hierarchy.
Third, it is of utmost importance to establish financial stability in order for the Korea health insurance system to fulfill its original function of maintaining and promoting citizens health in faithful and stable manner. It is necessary to reflect on actual amount of insurance premium, operate stable funding and effectively and systematically manage long-term high delinquents.
Fourth, in order to solve the lack of income redistribution effect which is the biggest problem of the Korea health insurance system, institutional measures are needed to increase the premium burden on high income earners and reduce the premium burden on relatively low income earners.
Finally, it is necessary to provide as much of the uninsured benefits as possible and in reality improve the advanced ward system.

주제어

#건강보험제도 차상위계층 국민건강보험제도 행정학;

1고려대학교

초록 열기/닫기 버튼

고령화시대 국민건강보험의 변화는 피할 수 없다. 변화한 사회·경제 질서에 따라 국민건강보험도 변화해야지만 제 기능을 다 할 수 있기 때문이다. 고령화시대 국민건강보험의 비중이 더욱 커지면서 국민건강보험에 대한 개혁의 요청은 더욱 강력해지고있다. 우선 국민건강보험은 보험료 체계를 개선해야 할 것이다. 현재 국민건강보험료는 노인 노인에게 특히 지나치게 높다는 지적이 있다. 이러한 문제는 국민건강보험료 부과체계가 가입자의 경제능력을 정확히 측정하지 못하는 데에서 비롯된다. 그리고 건강보험급여의 확대가 요구된다. 노인성 질환은 만성적인 것이 특징이다. 따라서 노인은 의료기관의 이용이 잦은데, 노인에게 현재의 의료서비스 비용은 본인일부부담금만 부담한다 하더라도 지나치게 높은 편이다. 본인부담상한액이 규정되어 있지만, 그렇더라도 노인에게 의료부담이 높다는 비판은 피하기 어렵다. 또한 국민건강보험의 재정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보험료를 조정하고, 재원조달방법을개선해야 할 필요가 있다. 국민건강보험의 재원조달방법을 개선한다 하더라도 고령화현상으로 인해 현 세대의 보험료 부담은 증가할 수밖에 없다. 하지만 현 세대의 희생을 일방적으로 강요해서는 안 되며, 반드시 세대 간의 합의가 이루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의료수가가 적절히 산정되어야 한다. 의료서비스에 대한 적절한 보상이이루어지지 않으면 결국 의료서비스의 질이 저하되기 때문이다.

The changes in National Health Service in the aging society are inevitable. It is because National Health Service can function to the fullest only if it follows the changes in social·economic structures. As National Health Service becomes more important in the aging society, the demand for its reform is getting much stronger. First of all, National Health Service needs to improve the insurance premium rating scheme. It’s been pointed out that senior health insurance tends to cost way more than the insurance plans for other age groups. This problem is attributed to the fact that National Health Service’s insurance premium rating scheme cannot accurately measure the subscribers’ economic competences. The national insurance benefits need to be expanded. The diseases common among the elderly are likely to be chronic. So they go to the medical institutions very often but the costs for the medical services provided are way too much for them even if they pay the deductibles only. The maximum deductibles are set, yet it seems difficult to avoid criticism that medical services cost way high for the elderly. In addition, insurance premiums need to be adjusted and financing methods need to be improved to overcome the financial crisis that National Health Service is currently facing. But even if the financing methods are improved, the increases in insurance premiums for the current generations are inevitable because of the aging society. Therefore, the current generations should not be forced to sacrifice and the agreement among generations must precede. Lastly, medical services need to be properly assessed. If medical services are not properly compensated, it would result in the decrease in the quality of medical services.


키워드열기/닫기 버튼

,

,

,

,

right to health care, problems of National Health Insurance, improvement plans for National Health Insurance, medical security for the elderly, aging society

피인용 횟수

  • KCI 5회

  • 2,527 회 열람
  • KCI 원문 내려받기
  • 논문 인용하기
  • 서지정보 내보내기

    • txt
    • RefWorks
    • Endnote
    • XML

  • 현재 페이지 인쇄

인용현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