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학용계산기 복소수 연립방정식 - gonghag-yong-gyesangi bogsosu yeonlibbangjeongsig

fx-570EX에서는 복소수 연립 방정식을 지원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트릭으로 2원 1차 복소 방정식을 풀 수 있습니다! (fx-570ES PLUS 2nd edition은 풀 수 없습니다)

행렬 계산에 대해 모르신다면 이곳을 살펴보세요!

https://blog.naver.com/kyhilsang131/221858609911

다음의 방정식을 풀어 보겠습니다.

(1+i)x+(0-2i)y=6-2i

(0+3i)x+(-2+i)y=-1

여기서는 연립 일차 방정식을 행렬로 해를 구하는 방법을 알고 있다고 가정하겠습니다.

a+bi를 행렬에 입력하기 위해선 다음과 같이 입력합니다.

다음과 같은 결과가 나옵니다. 여기서 1열의 계수인 1, -1, 1, 2가 찾는 답이 됩니다. 즉 x=1-i, y=1+2i라는 것이죠.

제가 지금까지 쓴 내용 중 가장 복잡했을 겁니다. 언제 다시 풀어서 써야겠습니다. 궁금하신 것이 있으면 댓글 남겨주세요!

1. 복소수 연립방정식의 해를 구하는 방법 [fx-570 EX]

  • EQN 모드 : 복소수 계수 입력 불가능 
  • MATRIX 모드 : 복소수 계수 입력 불가능

따라서 [fx-570 EX] 기종에서는 직접적인 방법(?)으로 복소수 연립방정식의 해를 구할 수 없습니다. 

2. TRICK 

하지만 아직 좌절하기에는 이릅니다. 4×4 행렬 입력이 가능한 [fx-570 EX] 기종에서는 행렬을 이용하여 위 문제를 풀 기회가 남아 있기 때문입니다. (fx-570 ES PLUS 까지는 3×3 행렬까지만 생성이 가능해서 불가능한 방법입니다)


공학용계산기 복소수 연립방정식 - gonghag-yong-gyesangi bogsosu yeonlibbangjeongsig

​​​​​ㄴ 1열의 계수가 복소수의 실수부, 허수부의 계수입니다. (행이 아님 주의!)

복소수 X=a+bi, 복소수 B=c+di 라고 할 때, 둘을 곱하는 계산을 위처럼 MATRIX 형태로 바꿔서 계산해 볼 수 있습니다.​​​​​ 이 때 허수기호 i 를 입력할 필요가 없어지기 때문에, ​​​복소수를 행렬요소로 입력할 수 없는 계산기에서도 TRICK으로 간단하게 복소수곱을 계산할 수 있습니다.

다만 복소수 하나를 실수부 허수부 2개로 나눠 입력해야 하므로 복소수 하나당 2×2 행렬이 필요합니다.
 : 2원 복소수 연립방정식 ☞ 4×4 행렬 필요
 : 3​​​​​원 복소수 연립방정식 ☞ 6×6 행렬 필요

3. 계산 예시

(0.2 + 0.2*i)*v1 + (00.1*i)*v2 = 1

(0−0.1*i)*v1 + (0.1-0.1*i)*v2 = 0.5*i


  1. Mat A, Mat B 에 아래와 같이 입력
    공학용계산기 복소수 연립방정식 - gonghag-yong-gyesangi bogsosu yeonlibbangjeongsig
     
    공학용계산기 복소수 연립방정식 - gonghag-yong-gyesangi bogsosu yeonlibbangjeongsig
     
    복소수 1개를 2×2 묶음 입력. 
     
  2. MatA-1 × MatB 계산
    공학용계산기 복소수 연립방정식 - gonghag-yong-gyesangi bogsosu yeonlibbangjeongsig

    MatAns 1열이 찾는 답. 
    v1 = 1 - 2i, v2 = -2 + 4i

1. EQN 및 행렬 기능의 한계

[fx-570ES PLUS] 계산기에는 연립방정식의 해를 구하는 EQN 기능이 있습니다만, 계수 및 해의 범위는 실수로 한정됩니다. 행렬(Matrix) 모드에서도 element에는 실수만 입력시킬 수 있습니다. 게다가 최대 행렬은 3×3 까지만 가능...ㅠㅠ

따라서, [fx-570ES (Plus)]에서는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계수나 해가 복소수인 연립방정식을 풀 수가 없습니다. 

2. 반복법 (Gauss-Seidel Method)

하지만 반복법인 가우스-자이델 법을 이용하면 복소수의 해를 찾을 수(도) 있습니다. 실수에 대한 연립방정식을 반복법으로 풀었던 것과 동일합니다. 

공학용계산기 복소수 연립방정식 - gonghag-yong-gyesangi bogsosu yeonlibbangjeongsig
 [fx-570] Iteration, Gauss-Seidel 가우스-자이델 법으로 연립방정식 풀기

발산하는 경우 실수에서와 마찬가지로, 정리하는 변수의 순서를 바꾸면 답이 나올 수도 있습니다.
(행렬로 봤을 때) 대각행렬의 위치에 해당하는 계수의 크기(Abs)가 (행에서) 가장 큰 값이 되도록 행의 배치를 바꾸시면 됩니다.


실수일 때에 비해 입력실수가 더 잦은 편이므로, 시간낭비를 하기 싫으시면 매우 꼼꼼하게 확인하시는게 좋습니다. 그리고 매우 비실용적인 방법이므로 상급 계산기 사용을 추천하는 바입니다.

3. 예시

다음 두 식을 만족시키는 복소수 v1 과 v2를 구해보겠습니다. 

(0.2+0.2*i)v1 - (0.1*i)v2 = 1

−(0.1*i)v1 + (0.1-0.1*i)v2 = 0.5*i

  1. 위에서 식을 입력할 때 두 식을 나누어 입력할 수도 있습니다. 
    (더 복잡하고 번거롭기 때문에 굳이 그럴 이유는 없습니다)
     
  2. 복소수 계산 모드로 이동합니다. 
    【MODE】 【2】 
     
  3. A의 초기값을 입력합니다.
    【0】 【SHIFT】 【RCL】 【(-)】   
    ㄴ B의 초기값은 입력할 필요가 없습니다. 
     
  4. A, B 로 대치하여 그대로 계산기에 입력하고 【=】 계산합니다. 
    공학용계산기 복소수 연립방정식 - gonghag-yong-gyesangi bogsosu yeonlibbangjeongsig
     
    공학용계산기 복소수 연립방정식 - gonghag-yong-gyesangi bogsosu yeonlibbangjeongsig

    앞서 계산한 두개의 식을 번갈아가면서 교대로 실행해야 하므로 
    【▲】 【=】 【▲】 【=】 
    【▲】 【=】 【▲】 【=】 
    ... 를 반복하여 입력합니다. 
    언제까지? 
    결과가 어떤 수에 수렴할 때까지...

    18회를 반복하니 (=36회의 계산) 답이 나옵니다. 

    공학용계산기 복소수 연립방정식 - gonghag-yong-gyesangi bogsosu yeonlibbangjeongsig
     
    공학용계산기 복소수 연립방정식 - gonghag-yong-gyesangi bogsosu yeonlibbangjeongsi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