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 설계도면 보는 법 pdf - geonchug seolgyedomyeon boneun beob pdf

건축 설계도면 보는 법 pdf - geonchug seolgyedomyeon boneun beob pdf

개요도

설계도 전체를 간략하게 정리/법적인 내용/건물의 규모와 용도

평면도

바닥에서 1.2m 위 단면을 위에서 보는것

단면도

건물반을 잘라 앞에서 보는것

입면도

마감도

창호도

계획도

상세도

건축 설계도면 보는 법 pdf - geonchug seolgyedomyeon boneun beob pdf

건축 설계도면 보는 법 pdf - geonchug seolgyedomyeon boneun beob pdf

건축 설계도면 보는 법 pdf - geonchug seolgyedomyeon boneun beob pdf

평면도의 갯수

건물이 3층이라면

각층별 3개와 지붕까지 4개의 평면도가 있다.

방위(N)

대표 북쪽방향을 표기해 놓는다.

(점선이 해의 동선) > 건물의 향을 확인할 수 있다.

X/Y 좌표

각층 평면도가 같으리라는 보장이 없으므로

기준선 위에 도면을 그린다.

단면도를 볼 때에도 어느부위를 잘랐는지 알아야 하기에

입면도를 확인해야한다.

상세도를 볼 때에도 어느 부분 상세도인지 알아야하기에

입면도를 확인해야 한다.

평면도를 볼 때 준비해야 할 것

줄자와 상상력, 약간의 기본상식, 보는 요령

실제로 내가 이 도면위에 서있다 생각하고 봐야 와닿는다

건축 설계도면 보는 법 pdf - geonchug seolgyedomyeon boneun beob pdf

도면을 보고 가장 먼저 할 것은 벽을 구분 하는 것

건축 설계도면 보는 법 pdf - geonchug seolgyedomyeon boneun beob pdf

표시해보면

201호의 벽/ /

(실들이 구획으로 다 나뉘어짐)

평면도를 눈에 바로 익히기 위해서는

벽을 먼저 구분하고

창의 위치, 문의 위치를 보고

나머지 실들의 이름을 본다

계단실 확대

건축 설계도면 보는 법 pdf - geonchug seolgyedomyeon boneun beob pdf

빨간점에 서서 현관을 보고 서 있지 않고

반대쪽(바깥쪽)을 보고 서 있다고 가정하자

설계도면은

제한된 종이 안에 표현해야할 것들을

모두 표기하기위해 약어를 많이 쓴다.

DN (Down의 약자) / UP

현관으로 가보면

1,000으로 표기되어있는 것은

문 틀 까지 포함한 문의 폭이다.(단위:mm)

실제 문짝의 크기는 좌우 에서 5cm씩 뺀 90cm

(내가 이사가고 싶은 경우

가구의 사이즈가 90cm를 넘어가면 못들어가는 것)

문 입구의 1/4원으로 문여는 방향 확인

현관 안에 들어갔을때 바로앞쪽에 있는문 -

신발장 [ 단(단독경보형감지기-불났을때 감지하는것)

f2(furniture신발장)

소(소화기) ]

(설계도면의 왼쪽 귀퉁이

또는 오른쪽 상단에 약어에 대한 설명이 있다.-범례)

현관을 들어서서 보이는 문은 중문

> 중문을 열고 거실로 들어갔다.

건축 설계도면 보는 법 pdf - geonchug seolgyedomyeon boneun beob pdf

거실정면에 창이 보인다.

(이중창) 한장짜리는 단창/3개유리문은 삼중창

점선으로 된 소파, TV, AC(에어컨)

- 점선으로 된 것은 설계도면에는 표현되어있지만

공사할때는 들어가지 않는것으로

건축 완공 후 배치할 가구의 위치를 표현

(왜 ? - 콘센트 등 전기설계를 할때

가구배치구상을 해 놓았으니

전기위치를 설계하는것)

전기도면

건축 설계도면 보는 법 pdf - geonchug seolgyedomyeon boneun beob pdf

건축평면도에

꼭 가구와 전자제품을 표시해야 한다.

전기도면설계, 기계설계를 할 때

건축도면설계의 가구, 전자제품들을 보고

설계를 하게 된다.

설계도서의 종류가 많지만

건축도면설계만 보면 된다고 한 이유이다.

실제 도면을 받으면 없는 도면이 반이다.

이런경우 건축주가 전기 도면을 다 봐야한다.

화장실

문의 사이즈는 보통

현관 > 방문 > 화장실 순이고

보통 화장실 문이 작지만

요즘은 방문과 사이즈를 맞추기도 한다.

건축 설계도면 보는 법 pdf - geonchug seolgyedomyeon boneun beob pdf

PS

Pipe Shaft (파이프샤프트=배관 공간)-

그 안에 동그라미가 배관

3층화장실에서 쓴 물이

밑으로 내려가는 공간

재2

재료분리대2번째

(두개의 재료가 만난 것을 분리하는 재료분리대)

(화장실 문 기준으로

왼쪽은 거실, 오른쪽은 화장실.

마루나장판과 타일을 나누는 것)

건축 설계도면 보는 법 pdf - geonchug seolgyedomyeon boneun beob pdf

침실2

점선 붙박이장이 없다면

전기도면에 붙박이장 쪽에 콘센트를 넣을 수 있다.

붙박이장 뒤에는

콘센트, 통신라인이 들어오면 안된다.

따라서

점선으로 표기한 것.

방의 폭이 3000 / 방의 길이가 3400

건축시 가장 힘든 부분이 공간감.

보는법에 익숙하지 않는것.

치수가 현실감이 없으니.

줄자로 쓰고있는 방의 치수를 재면

대략의 감을 알 수 있다.

가로 길이 3m이지만

벽의 중심선으로 치수를 쟀기때문에

내부공간을 알려면 3000-벽두께(150)=2850

깊이는 3400-150=3250

건축 설계도면 보는 법 pdf - geonchug seolgyedomyeon boneun beob pdf

벽돌쌓기의 방법

0.5B (짧은면으로 쌓는 것)

이쁘게 치장쌓기

1.0B

벽돌의 긴면으로 쌓는 것

1.5B

벽돌 두개를 같이 쌓는 것

2.0B

하중을 받는 (예전에는 벽자체의 구조체를 형성할 때, 대부분 1.5B, 2.0B로 쌓았다.

여기는 마감재로 쓰는 벽돌이기때문에

하중을 받는 것이 아니기에

0.5B로 치장(이쁘게쌓기) 로 한다

벽돌로 된 단독주택의 단점은

물이 들어온다는 것.

따라서 발수제를 바르는 것

(요즘은 흡습성이 별로 없는것을 많이 쓴다.

하지만 벽돌과 벽돌 사이 틈으로

물이 타고 들어오는 경우가 많다.)

건축 설계도면 보는 법 pdf - geonchug seolgyedomyeon boneun beob pdf

콘크리트 벽을 15cm세우고 ,

그 밖에 비드법보온판 2종을 13cm대고,

그 밖에 0.5B 점토벽돌을 쌓고 발수제를 발라라

대부분 위에서 아래로 보는데,

벽의 바깥쪽에서 안쪽으로의 바감들을 설명한 것.

벽두께 150=철근콘크리트 두께

0.05(14.5?) +13+15+2+0.95 = 총두께 45정도

다음강의에서는

단면도, 입면도, 실내재료 마감을 공부한다

건축 설계도면 보는 법 pdf - geonchug seolgyedomyeon boneun beob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