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코델타시티 전망 - ekodeltasiti jeonmang

에코델타시티 전망 - ekodeltasiti jeonmang

부산 낙동강과 명지국제신도시 일대. /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서부산이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부산 외곽에 있는 데다 한동안 개발제한구역(그린벨트)에 묶여 개발이 더뎠지만 강서권 개발 핵심지인 '에코델타시티'로 분위기가 바뀌었다. 작년부터 주택이 본격적으로 공급되면서 실수요자들 사이에선 치열한 경쟁이 벌어지기도 했다. 현지에서는 "요즘 부산 내에서 가장 관심 많은 곳이 '에코델타시티'라며 경남권 투자자들과 실수요자들이 눈여겨보고 있다"고 했다.

20일 부동산 업계에 따르면 강서구 명지동·강동동·대저동 일대 1188만5000㎡ 부지에 조성중인 에코델타시티가 서부산 개발 핵심 프로젝트로 조성되고 있다. 낙동강, 맥도강 등 자연 생태계를 활용한 친환경 수변도시에 첨단산업과 국제물류, 연구개발(R&D) 기능을 더해 개발할 계획이다. 국토부 등에 따르면 이 사업에 따른 경제 효과가 7조8000억원에 달할 것으로 추산된다.

'제2에코델타시티'도 들어설 준비를 하고 있다. 강동동과 대저동 일대 1000만5000㎡ 부지에 국제업무, 항공산업 클러스터, 친환경 주거, R&D, 도심항공모빌리티(UAM), 드론 산업 시설 등이 지어질 예정이다. 올해 안에 예비 공동사업 시행자를 선정하고 예비타당성 조사와 개발제한구역 해제 절차를 거쳐 2025년 착공할 예정이다.

이미 인프라가 갖춰진 '명지오션시티'와 '명지국제신도시'(1단계)에 더해 '명지국제신도시' 2단계가 2028년 준공을 목표로 지난 3월 착공했다. '에코델타시티'와 '제2에코델타시티', '부산연구개발특구', '복합산업유통단지' 등이 들어서면 대형 신도시가 갖춰질 전망이다.

에코델타시티 전망 - ekodeltasiti jeonmang

부산 강서구 에코델타시티 조감도. 사진=부산시

현지의 한 부동산 시장 관계자는 "개발이 완료되면 남북으로 연결되는 대지면적 3640만㎡와 총 25만여명이 상시 거주하고 산업기반을 갖춘 신도시가 될 것"이라며 "해운대 그린시티가 1011만㎡인 점을 고려하면 이보다 3.5배나 더 큰 수준"이라고 했다.

'에코델타시티'에 공급되는 아파트에도 관심이 많다. 지난해 10월 공급된 '부산 에코델타시티 한양수자인'은 483가구를 모집하는 1순위 청약에 1만914명이 몰리면서 22.59대 1의 평균 경쟁률을 기록했다. 이어 11월에 공급된 '부산에코델타 호반써밋'도 1순위 청약에서 225가구 모집에 1만2728명이 청약 통장을 던져 56.56대 1의 두 자릿수 경쟁률을 기록했다.

이달에도 연이어 분양 물량이 예정돼 있다. 강동동 '강서자이 에코델타'(856가구)와 'e편한세상 에코델타 센터포인트'(953가구)다. 이들 단지는 모두 분양가상한제가 적용돼 주변 시세 대비 상대적으로 낮다.

부산도시공사는 최근 분양가심사위원회를 열고 '강서자이 에코델타' 분양가를 3.3㎡당 평균 1388만원으로 결정했는데, 이를 바탕으로 한 분양가는 전용 84㎡ 기준 4억원대다. 명지동에 있는 '더샵명지퍼스트월드3단지' 전용 84㎡가 올해 들어 9억500만원까지 거래된 점을 고려하면 4억원가량 시세 차익이 가능한 셈이다.

에코델타시티 전망 - ekodeltasiti jeonmang

부산 강서구 개발. 사진=부동산서베이

분양 업계 관계자는 "택지지구에 공급되는 단지라 분양 조건이 까다롭긴 하지만 주변 시세 대비 가격이 낮은 편이라 실수요자들의 관심이 높다"면서도 "부동산 시황이 주춤한 만큼 결과를 지켜볼 필요는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부산에선 최근 외곽지역이 실수요자와 투자자들의 관심을 받고 있다. 동쪽 끝인 기장군에선 '일광신도시'를 중심으로 신고가가 나오고 있다. 롯데월드, 고급호텔 등 오시리아 관광단지가 모습을 나타내면서다. 올해 들어 부산 강서구는 0.64% 내렸지만 기장군은 0.92% 올랐다.

부산 현지에 있는 한 공인 중개 관계자는 "기장은 너무 올라 고점인 상황이고, 강서구는 시황 자체가 좋지 않은 것으로 알고 있다"며 "어느 쪽이든 진입엔 유의해야 한다"고 했다.

이송렬 한경닷컴 기자

에코델타시티 전망 - ekodeltasiti jeonmang
부산 강서구 에코델타시티 전경. 부산일보DB

이번 달부터 부산 강서구 에코델타시티 내 대규모 아파트 단지의 분양이 잇달아 예정되면서 공급 금액에 관심이 모아진다. 부동산 업계에서는 지난해 인근 공공택지에 분양된 아파트와 비슷한 수준에서 분양가가 결정될 것이라는 전망이다.

9일 부산도시공사에 따르면 이르면 다음 주 중으로 20블럭 강서자이 에코델타 단지의 분양가심의위원회가 열린다. 강서자이는 856세대 규모의 단지로, 이달 말 분양 예정이다. 강서자이에 이어 6월에는 DL이앤씨의 ‘e편한세상 에코델타 센터포인트’가 19블럭에 공급된다. e편한세상 에코델타 센터포인트는 전용면적 68~84㎡, 총 953세대 규모로 조성된다.

내주 강서자이·6월 e편한세상

상한제 적용 작년 공급금액 예측

이들 단지의 잇단 공급 소식에 대단지 분양을 기다린 무주택 실수요자의 관심이 뜨겁다. 올해 상반기 부산지역 아파트 분양 물량은 1월 동래구 ‘온천 래미안포레스티지(4043세대)’ 를 제외하고는 중소 단지 위주여서, 전체 5800세대 규모에 그쳤다. 양정 1구역(2276세대)를 포함해 당초 1만 세대 넘게 분양될 것으로 기대를 모았으나 분양가 산정 지연 등의 이유로 분양 일정이 미뤄져 실수요자의 선택 폭이 좁았다.

여기에 에코델타시티 내 아파트 단지들은 분양가상한제 적용으로 주변 시세보다 분양가가 낮기 때문에 시세 차익에 대한 기대도 높다. 분양가상한제는 공공택지로 조성된 아파트 분양가를 산정할 때 적용되는 것으로, 국토교통부에서 고시하는 표준건축비 등을 기준으로 한다.

부동산 업계에서는 강서자이와 e편한세상 에코델타 센터포인트의 분양가가 지난해 분양 단지의 공급금액과 비슷한 수준이 될 것이라는 예측이 우세하다. 지난해 분양 단지 역시 공공택지에 조성되어 분양가상한제가 적용됐기 때문이다.

지난해 11월 분양된 한양수자인(21블럭, 554세대)의 총 분양가는 5억 880만~7억 450만 원으로, 3.3㎡당 평균 1410만 원 선이었다. 7블럭에 조성된 호반써밋(526세대))은 전용 84㎡ 단일 면적으로 구성됐으며 분양가는 3.3㎡당 평균 1500만 원 대에 공급됐다.

올해 상반기 분양 예정된 단지도 이들 단지와 비슷한 수준의 분양가가 책정될 것으로 보인다. 특히 19·20블럭 인근에 조성된 한양수자인 단지의 공급 가액에 가까울 것으로 점쳐진다. 부산도시공사는 별도 심의위원회를 꾸려 표준건축비 등을 기준으로 분양가를 산정할 예정이다.부산도시공사 관계자는 “표준건축비가 소폭 오르긴 했지만, 다른 기준들이 일부 하향 조정됐다”며 “분양가는 심사위원회를 거쳐야 알 수 있다”고 밝혔다.

송지연 기자

ⓒ 부산일보(www.busan.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에코델타시티 전망 - ekodeltasiti jeonmang
부산 에코델타시티 위치도

부산시(시장 박형준)의 스마트시티 국가 시범도시인 '에코델타시티' 지역에서 분양하는 아파트가 올해 연말까지 계속 공급될 전망이다. 

4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에코델타시티푸르지오센터파크 18블록(972가구)과 에코델타시티푸르지오린 27블록(886가구)이 이번달 분양 예정이다. 11월에는 에코델타중흥S클래스 16블록(1028가구), 12월에는 부산에코델타시티1차디에트르 13블록(1464가구)이 분양을 기다리고 있다.

같은 지역에 많은 물량이 쏟아진다는 점은 부담으로 작용할 전망이지만 주변 입지가 좋은데다 브랜드 아파트가 많다는 점은 장점이다. 이 지역은 또 남해고속도로, 김해공항, 부산신항 등과 가까워 교통 여건이 좋다.

더욱이 정부가 거래절벽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지방 부동산 시장에 숨통을 틔워 주기 위해 지난달과 이번달에 잇따라 규제를 완화했다는 점도 수요를 자극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국토교통건설부는 지난달 21일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과 세종시를 제외한 전국의 지방 도시를 투기과열지구, 조정대상지역에서 풀었다. 부산의 경우, 인기 지역인 해운대구를 비롯해서 모든 구가 조정대상지역에서 해제되었다. 

국토부는 이번달 2일에는 재건축초과이익환수제를 완화해주는 정책도 발표했다. 이 규제 완화는 재건축에 대한 부분이라 이번 에코델타시티의 신규 분양 아파트와는 직접 관련이 없다. 하지만 잇따른 규제 완화에 힘입어 지방에서는 죽어가던 부동산 경기가 다소 살아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부산 에코델타시티는 지난 2012년 시작되어 2023년까지 조성될 예정이다. 총 면적은 11.77평방킬로미터(약 360만평)이며, 3만세대(7만6,000명) 거주를 목표로 하고 있다. 

에코델타시티 전망 - ekodeltasiti jeonmang
에코델타시티 조감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