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아 한국사 평가문제집 답지 - dong-a hangugsa pyeong-gamunjejib dabji

전반적인 상태겉표지
  •  변색 없음, 얼룩 없음
  •  낙서 없음, 찢어진 부분 없음
  •  겉 표지 있음
책등, 책배, 책아래위
  •  변색 없음, 얼룩 없음
  •  낙서 없음, 닳은 흔적 없음
  •  책등 접힌 흔적 없음
전반적인 상태내지(면지)
  •  변색 없음, 얼룩 없음, 물리적 변형 없음
  •  내지 접힌 흔적, 찢어진 부분 없음, 낙서 없음
  •  제본탈착 없음
전반적인 상태겉표지
  •  희미한 변색 있음, 약간의 얼룩 있음 (1cm 내)
  •  낙서 없음, 찢어진 부분 없음
  •  겉 표지 있음
  •  접힌 흔적 있음 (1cm 내)
책등, 책배, 책아래위
  •  희미한 변색 있음, 약간의 얼룩 있음 (1cm 내)
  •  낙서 없음, 닳은 흔적 약간 있음
  •  책등 접힌 흔적 없음
전반적인 상태내지(면지)
  •  변색 없음, 얼룩 없음, 물리적 변형 없음
  •  내지 접힌 흔적 약간 있음 (5페이지 이내)
  •  찢어진 부분 없음, 낙서 없음
  •  제본탈착 없음
전반적인 상태겉표지
  •  전체적으로 변색 있음, 얼룩 등 오염 있음 (2cm 내)
  •  낙서 있음, 찢어진 부분 없음
  •  겉 표지 없음
  •  접힌 흔적 있음, 래핑 흔적 있음
  •  정가 및 ISBN이 동일한 도서이나 표지 이미지 다름
책등, 책배, 책아래위
  •  전체적으로 변색 있음, 얼룩 등 오염 있음 (2cm 내)
  •  낙서 있음, 닳은 흔적 있음
  •  책등 접힌 흔적 있음
전반적인 상태내지(면지)
  •  내지 변색 있음, 얼룩 있음, 물리적 변형 없음
  •  내지 접힌 흔적 있음 (10페이지 이내)
  •  찢어진 부분 있음 (1cm 내)
  •  5페이지 이내 필기 및 밑줄 등 있음 (단, 참고서, 수험서는 매입불가)
  •  제본탈착 없음
  •  본문 읽기에 지장 없는 부록 및 구성품 없음 (세트도서 박스 등)
전반적인 상태겉표지
  •  변색이 심함, 얼룩 등 심한 오염 있음 (2cm 초과)
  •  심한 낙서 있음
  •  물에 젖은 흔적 있음, 곰팡이 있음
책등, 책배, 책아래위
  •  변색이 심함, 얼룩 등 심한 오염 있음 (2cm 초과)
  •  심한 낙서 있음
  •  물에 젖은 흔적 있음, 곰팡이 있음
  •  모서리 깨짐, 책등 파손 있음
전반적인 상태내지(면지)/부속물
  •  변색이 심함, 얼룩 등 심한 오염 있음 (2cm 초과)
  •  전체적으로 구겨짐, 뒤틀림 있음
  •  찢어진 부분 있음 (1cm 초과)
  •  물에 젖은 흔적 있음, 곰팡이 있음
  •  페이지 또는 글자 등의 인쇄 오류 있음
  •  5페이지 초과 필기 및 밑줄 등 있음
  •  제본탈착 있음 (낙장, 분책)
  •  부속물 없음
신한카드2,3개월 (5만원↑)
7,8,9,10,11,12,13,14,15,16,17,18,19,20,21,22개월 (100만원↑, SK pay 결제 시)
KB국민카드2,3개월 (5만원↑)
8,9,10,11,12,13,14,15,16,17,18,19,20,21,22개월 (100만원↑, SK pay 결제 시)
현대카드2,3개월 (1만원↑)
8,9,10,11,12,13,14,15,16,17,18,19개월 (100만원↑, SK pay 결제 시)
삼성카드2,3개월 (5만원↑)
7,8,9,10,11,12,13,14,15,16,17,18,19,20,21,22개월 (100만원↑, SK pay 결제 시)
하나카드2,3,4,5,6,7,8개월 (5만원↑)
롯데카드6,7,8,9,10,11,12,13,14,15,16,17,18,19,20,21,22개월 (100만원↑, SK pay 결제 시)
농협[NH페이]카드2,3,4,5,6,7,8개월 (5만원↑)
12개월 (100만원↑, SK pay 결제 시)

(15개정) 고등 평가문제 한국사(최병택) 답지

동아 한국사 평가문제집 답지 - dong-a hangugsa pyeong-gamunjejib dabji

교재소개

교과서 주요 개념과 평가 문항이 수록된 시험 대비 문제서

상세정보

학년고1년도2020과목역사저자최병택 외 10인판형215 × 263쪽수314쪽

교재특징

• 핵심만 담은 또 하나의 Textbook

• Only 시험에 잘 나오는 유형별 문제만 수록

• 핵심 Point를 짚어 주는 완벽한 해설 

교재목차

Ⅰ. 전근대 한국사의 이해

1 고대 국가의 지배 체제(1)

1 고대 국가의 지배 체제(2)

2 고대 사회의 종교와 사상

3 고려의 통치 체제와 국제 질서의 변동

4 고려의 사회와 사상

5 조선 시대 세계관의 변화

6 양반 신분제 사회와 상품 화폐 경제

대단원 마무리하기

Ⅱ. 근대 국민 국가 수립 운동

1 서구 열강의 접근과 조선의 대응

2 동아시아의 변화와 근대적 개혁의 추진

3 근대 국민 국가 수립을 위한 노력

4 일본의 침략 확대와 국권 수호 운동

5 개항 이후 경제적 변화 ~ 6 개항 이후 사회·문화적 변화

대단원 마무리하기

Ⅲ. 일제 식민지 지배와 민족 운동의 전개

1 일제의 식민지 지배 정책

2 3·1 운동과 대한민국 임시 정부

3 다양한 민족 운동의 전개

4 사회·문화의 변화와 사회 운동

5 전시 동원 체제와 민중의 삶 ~ 6 광복을 위한 노력

대단원 마무리하기

Ⅳ. 대한민국의 발전

1 8·15 광복과 통일 정부 수립을 위한 노력

2 대한민국 정부 수립과 6·25 전쟁

3 4·19 혁명과 민주화를 위한 노력

4 경제 성장과 사회·문화의 변화

5 6월 민주 항쟁과 민주주의의 발전

6 외환위기와 사회·경제적 변화 ~ 7 남북 화해와 동아시아 평화를 위한 노력

대단원 마무리하기

교재구성

• 권두부록(시험 직전에 활용하는 나만의 비법 노트): 26쪽

• 본책(내용 정리와 평가 문항): 224쪽

• 책속책(정답과 해설): 64쪽 

(15개정)고등한국사_최병택_평가문제집_정답과해설.pdf

반응형

동아 한국사 평가문제집 답지 - dong-a hangugsa pyeong-gamunjejib dabji

dl.dabji.org/1wNcJs9LPUfhWBQW90JWcPLy3mcvgiV3-

 

고등 평가문제 한국사 (최병택) (15개정).pdf 다운로드 | 답지저장소

 

dl.dabji.org

더보기

고 | 등 | 학 | 교

한국사

정답과 해설

I 전근대 한국사의 이해

1

고대 국가의 지배 체제 (1)

기본 문제로 
내신 다지기

05  철기 시대의 모습

밑줄 친 ‘이 시대’는 철기 시대이다. 철기는 기원전 5세기 무

렵부터  사용되기  시작하여  점차  한반도  전역으로  확산되었

다. 철제 농기구와 철제 무기가 널리 사용됨에 따라 청동기

는 주로 의식용 도구로 사용되었다. 이 시기에 한반도에서는 

세형 동검과 같은 독자적인 청동기 문화가 발전하였다. 

10~13쪽



오답 풀이  ①, ⑤ 신석기 시대, ②, ④ 청동기 시대의 사실이다.

01 ⑤  02 ④  03 ①  04 ④  05 ③  06 ①  07 ⑤
08 ④  09 ⑤  10 ④  11 ⑤  12 ④  13  ⑴  고조선

06  고조선의 성립

⑵ 탁자식 고인돌, 비파형 동검 ⑶ 해설 참조
14 ⑴ 삼한 ⑵ 해설 참조

(가)는  고조선이다.  청동기  문화를  바탕으로  성립한  고조선

은 랴오닝 지방을 중심으로 성장하여 점차 주변 지역을 통합

하면서  세력을  넓혔다.  고조선은  한때  중국의  연과  대립할 

정도로 성장하였다.



오답 풀이  ②, ④ 부여에 해당한다. ③, ⑤ 고구려에 해당한다.

01  구석기 시대의 생활 모습

제시된 도구는 주먹 도끼로, 구석기 시대에 사용한 뗀석기이

다.  구석기인들은  무리를  지어  사냥감을  찾아  이동  생활을 

07  고조선의 사회 모습

하였으며, 동굴이나 바위 그늘에 거주하거나 막집을 짓고 살



오답 풀이  ①, ②, ③ 신석기 시대의 생활 모습이다. ④ 청동기 시대의

았다.

생활 모습이다.

02  신석기 시대의 생활 모습

고조선은 8조법을 만들어 사회 질서를 유지하였다. 그 가운

데 세 가지 조항만이 전해지는데, 이를 통해 고조선은 농경

이 이루어지는 사회였으며 사유 재산을 중시하고 형벌과 노

비가 존재하는 계급 사회였음을 알 수 있다. 고조선이 멸망

하고 한 군현이 설치된 이후 토착민의 저항이 거세지면서 법 

조항이 60여 조로 늘어났다.

제시된 도구는 빗살무늬 토기로, 신석기 시대에 널리 사용되

었다. 신석기 시대에는 농경과 목축이 시작되면서 식량을 생

08  부여

산하는 단계에 이르렀고, 농경과 함께 정착 생활이 시작되면

(가)는 부여이다. 부여는 쑹화강 유역의 평야 지대를 중심으

서  주로  강가나  바닷가에  움집을  짓고  생활하였다.  신석기 

로  성장하였다.  왕  아래에는  독자적  영역을  지배하는  여러 

시대에는 혈연 중심의 씨족 사회가 구성되었고, 여러 씨족이 

가가 있었고, 이들은 왕을 선출하기도 하고 흉년이 들면 왕

모여 부족 사회를 형성하였다. ④ 청동기 시대에 군장이 출

에게 그 책임을 묻기도 하였다. 또한 형이 죽으면 형수를 아

내로 삼는 형사취수혼과 순장의 풍습이 있었다. ④ 고구려에 

대한 설명이다.

현하였다.

03  청동기 시대의 모습

제시된 도구는 거친무늬 거울로, 청동기 시대에 사용된 대표

09  초기 고구려의 정치 체제

적인 유물이다. 청동기 시대에 청동은 재료가 귀하고 만들기

자료는  고구려의  혼인  풍습인  서옥제이다.  고구려는  5부를 

도 어려워 주로 지배층의 무기와 제기, 장신구를 만드는 데 

토대로 연맹체 국가를 이루었다. 왕 아래에 상가, 고추가 등

사용되었다. 농기구를 비롯한 생활 도구는 여전히 간석기를 

의 대가가 있었고, 이들은 사자, 조의, 선인 등의 관리를 거

사용하였고, 토기는 주로 민무늬 토기를 사용하였다. 

느리고 독자적인 세력을 형성하였다. 

04  철기의 보급

10  부여와 초기 고구려 정치 체제의 공통점

제시된 도구는 철제 농기구와 철제 무기이다. 철기 시대에는 

(가)는 부여, (나)는 고구려이다. 부여와 초기 고구려는 왕은 

철제 농기구와 철제 무기의 보급으로 농업 생산력이 크게 향

있었으나 여러 정치 집단이 연합하여 함께 운영하는 연맹체 

상되었고, 정복 전쟁도 활발해졌다.

국가의 성격을 띠고 있었다. 

02 정답과 해설

11  옥저와 동예

(가)는 옥저의 민며느리제, (나)는 동예의 책화이다. 옥저와 

동예는 함경도와 강원도 북부의 동해안 지역에 자리 잡고 있

었다. 이 지역은 토지가 비옥하고 해산물이 풍부하였다. 그

러나 고구려의 압력을 받아 두 나라 모두 크게 성장하지 못하

채점 기준

주요 내용 중 세 가지 이상 넣어 바르게 서술한 경우

주요 내용 중 두 가지만 넣어 바르게 서술한 경우

주요 내용 중 한 가지만 넣어 바르게 서술한 경우

배점







였다.

12  삼한의 사회 모습

자료는  삼한의  소도에  대한  설명이다.  삼한의  여러  소국은 

신지, 읍차라고 불리는 군장들이 다스렸으며, 천군이라는 제

사장이 있었다. 삼한에서는 철제 농기구가 널리 보급되고 저

수지가 만들어져 벼농사가 발달하였고, 변한과 진한 지역에

서 철이 많이 생산되어 중국 군현과 왜 등에 수출하기도 하였

다. ④ 동예의 책화 풍습이다. 

고난도 문제로 
내신 완성하기

01 ②  02 ③

01  철기 시대의 모습

13쪽

자료는 철제 농기구와 철제 무기이다. 철기 시대에 한반도에

서는 세형 동검과 잔무늬 거울과 같은 독자적인 청동기 문화

가 발전하였다. 또한 철기와 함께 출토된 명도전 등 화폐를 

통해 중국과 활발하게 교류하였음을 알 수 있다.

02  고조선의 사회 

(가)는 고조선이다. 탁자식 고인돌과 비파형 동검의 출토 분

포를 통해 고조선의 문화 범위를 짐작할 수 있다. 고조선은 

청동기 문화를 바탕으로 성립하였다. 고조선은 한때 중국의 

연과 대립할 정도로 성장하였으나, 연의 침략을 받아 세력이 

위축되었다. 

1

고대 국가의 지배 체제(2)

기본 문제로 
내신 다지기

17~22쪽

01 ②  02 ⑤  03 ③  04 ④  05 ④  06 ③  07 ⑤
08 ①  09 ①  10 ②  11 ⑤  12 ②  13 ②  14 ④
15 ①  16 ④  17 ⑤  18 ③  19 ④  20 ②
21 ⑴ (가) 연맹체 국가, (나) 중앙 집권적 영역 국가 ⑵ 해
23 ⑴ 광개토 대왕릉비 ⑵ 해설
설 참조  22 해설 참조

참조

24 ⑴ 신라 촌락 문서 ⑵ 해설 참조

13  고조선의 문화 범위와 멸망 과정

⑴  답  고조선 

⑵   답  탁자식 고인돌, 비파형 동검 

⑶   모범 답안  고조선의 국력이 성장하고 북방에서 세력을 키우

고 있던 흉노와 연합할 가능성이 생기자, 한 무제는 고조

선을 침략하였다. 고조선은 1년 넘게 저항하였지만, 지배

층이 분열하면서 왕검성이 함락되어 멸망하였다.

주요 내용  흉노와 연합할 가능성, 한 무제의 침략, 지배층의 

분열, 왕검성 함락

채점 기준

주요 내용 중 세 가지 이상 넣어 바르게 서술한 경우

주요 내용 중 두 가지만 넣어 바르게 서술한 경우

주요 내용 중 한 가지만 넣어 바르게 서술한 경우

배점







14  삼한 사회의 특징 
⑴  답  삼한 

⑵   모범 답안  군장과 별도로 천군이라는 제사장이 있었다. 이

들이 제사를 거행하던 소도는 군장의 세력이 미치지 못하

여 죄인이 그곳으로 도망가도 잡지 못하였다. 이를 통해 

삼한이 정치와 제사가 분리된 사회였음을 알 수 있다.

01  중앙 집권적 영역 국가의 특징

주요 내용  천군, 소도, 군장의 세력이 미치지 못함, 정치와 

삼국은 주변의 소국을 정복하는 과정에서 왕의 권력이 강화

제사가 분리된 사회

되었고, 중앙 집권적 영역 국가로 발전하였다. 왕권이 강화

정답과 해설 03

되면서 각 부의 지배층은 중앙 관료 조직 안에 편입되었다. 

수도를 평양으로 옮기고(427) 남진 정책을 추진하였다. 이에 

또한 확대된 영토를 다스리기 위해 지방 행정 조직도 정비하

백제와 신라가 나·제 동맹(433)을 맺어 맞섰지만, 고구려는 

였다. 신분제도 정비하여 신분에 따라 관등의 승진에 차등을 

백제의 수도 한성을 함락하고 한강 유역을 차지하였다.

두었고 율령을 반포하여 사회 질서를 유지하고자 하였다. ② 

국가의 중요한 일은 여전히 귀족 회의를 통해 결정하였다.

08  국력 회복을 위한 백제의 노력

02  중앙 집권적 영역 국가로 발전해 나간 삼국

자료는  백제의  관등제,  고구려의  지방  행정  조직과  관련된 

것이다. 삼국은 관등제에 바탕을 둔 중앙 관료 조직 정비, 지

방 행정 조직 정비, 신분제 정비, 율령 반포 등을 통해 중앙 

집권적 영역 국가로 발전해 나갔다. 

03  고구려의 성장 과정

고구려는 졸본에서 국내성으로 수도를 옮긴 후 나라의 기틀

을 다졌다. 태조왕은 옥저를 복속하여 동해안으로 진출하였

고, 고국천왕이 5부를 중앙 귀족으로 편입하였다. 미천왕 때

는 낙랑군을 완전히 몰아내고 대동강 유역을 확보하였고, 이

후 소수림왕 시기에 국가 통치 조직을 정비하였다.

04  백제의 성장

지도는 4세기 백제 전성기 때 삼국의 형세이다. 백제 근초고

왕은 마한의 소국들을 정복하여 남해안까지 진출하였고, 근

초고왕의 공격으로 고구려의 고국원왕이 전사하였다. 한편, 

가야와  외교  관계를  맺어  왜로  가는  교통로를  확보하였고, 

중국 동진과 교류하여 중국-백제-왜를 잇는 해상 교역망을 

확보하였다. 

05  고구려와 신라의 관계 

제시된 유물은 경주에서 출토된 그릇이다. 그릇 밑바닥의 글

씨를 통해 당시 고구려와 신라의 관계를 알 수 있다. 내물왕 

때 왜의 공격을 받게 된 신라는 고구려 광개토 대왕의 도움을 

받아 이를 물리쳤고, 이후 한동안 고구려의 간섭을 받았다.

06  가야 연맹의 중심지 변화

3세기 중반 가야 연맹의 중심 세력이 된 금관가야는 신라를 

돕기  위해  출병한  고구려군의  공격으로  큰  타격을  입었고, 

가야 연맹의 주도권을 상실하였다. 5세기 후반 이후에는 금관

가야를 대신하여 고령의 대가야가 가야 연맹을 주도하였다. 

07  고구려의 패권 장악

04 정답과 해설

고구려의 침략으로 한강 유역을 빼앗긴 백제는 수도를 웅진 

(공주)으로 옮기고(475) 국력 회복을 위해 노력하였다. 성왕

은  사비(부여)로  도읍을  옮기고(538)  국호를  남부여로  고치

며 백제의 중흥을 꾀하였다.

09  백제의 성왕

(가)는  백제의  성왕이다.  성왕은  신라와  협력하여  고구려로

부터  한강  하류  지역을  되찾았으나,  신라의  공격으로  이를 

다시 빼앗긴 후 관산성 전투에서 전사하였다. 

10  신라의 진흥왕

6세기 후반 진흥왕은 화랑도를 국가적인 조직으로 개편하여 

인재를 양성하였고, 한강 지역을 차지하였다. 이후 대가야를 

정복하여 가야 연맹의 모든 지역을 편입하였다.



오답 풀이  ㄴ. 지증왕 시기의 일이다. ㄹ. 법흥왕 시기의 일이다.

11  고구려의 수·당 침략 격퇴

당은 초기에는 고구려에 우호적이었으나, 태종이 즉위하면서 

고구려를  압박하였다.  당의  침략  위협이  높아지는  가운데, 

연개소문이  정변을  일으켜  권력을  장악하고  당에  강경하게 

맞섰다.  이에  당  태종은  연개소문의  정변을  빌미로  수십만 

대군을 이끌고 고구려를 침략하였다. 

12  고구려의 수·당 침략 격퇴의 의의

고구려는 살수에서 수의 군대를 크게 물리쳤고(612), 당의 침

입에 맞서 안시성에서 당군을 물리쳤다(645). 고구려가 수·

당의 침략을 막아 낸 것은 중국의 한반도 침략을 저지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13  신라의 삼국 통일 과정

(가)는 나·당 동맹의 결성, (나)는 고구려 부흥 운동에 대한 

설명이다. 나·당 동맹 체결 이후 나·당 연합군은 백제를 공

격하여 멸망시켰다(660). 백제 멸망 이후 흑치상지, 복신·도

침 등이 백제 부흥 운동을 일으켰고, 이들을 돕기 위해 왜에

서  지원군이  파견되었으나  백강(금강)에서  패하였다.  이후 

나·당  연합군은  고구려의  평양성을  공격하여  멸망시켰다

지도는 5세기 삼국의 형세를 보여 준다. 고구려는 장수왕 때 

(668). ② 기벌포 전투는 676년에 일어났다.

14  신라의 삼국 통일 완성

20  고구려를 계승한 발해

자료는  매소성  전투와  기벌포  전투에  대한  것이다.  신라는 

고구려 출신 대조영이 고구려 유민과 말갈 집단을 이끌고 발

매소성과 기벌포 전투에서 승리하여 당을 몰아내고 삼국 통

해를  건국하였다.  발해는  고구려  계승  의식을  내세웠는데, 

일을 완성하였다(676). 

여러 기록을 통해 발해가 고구려를 계승한 국가로 인식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15  신문왕의 업적

문무왕의 뒤를 이은 신문왕은 김흠돌의 반란 사건을 계기로 

귀족 세력을 숙청하고 국왕 중심의 정치 운영을 확립하였다. 

그는 유교 정치 이념을 내세우며 유학 교육을 위한 국학을 설

립하였고, 녹읍을 폐지하여 귀족의 경제 기반을 약화하였다. 

또한 중앙과 지방 행정 조직 및 군사 조직을 재정비하였다.



오답 풀이  ㄷ. 법흥왕 시기의 일이다. ㄹ. 원성왕 시기의 일이다.

16  통일 신라의 통치 체제 정비

신라의 중앙 행정은 왕의 직속 기관인 집사부를 중심으로 운

영하였고, 관리의 비리를 감찰하는 사정부도 설치하였다. 지

방 행정은 9주 5소경으로 정비하였고, 9서당 10정으로 군사 

조직을 편성하였다. 또한 통일 후 늘어난 생산 자원과 노동

력을 철저히 관리하기 위해 신라 촌락 문서를 작성하였다.

세기 말 농민들은 토지를 잃고 노비가 되거나 초적이 되기도 

하였다. 지방에서는 호족들이 스스로 성주, 장군이라고 칭하

며 행정권과 군사권을 장악하여 실질적인 지배력을 행사하였

다. 6두품 세력 중 일부는 지방의 호족 세력과 연계하여 새로

운 사회를 건설하고자 하였다.

18  발해의 건국과 발전

(가) 국가는 발해이다. 발해는 대조영이 고구려 유민과 말갈 

집단을 이끌고 건국하였다. 발해가 건국되면서 남쪽의 신라

와 함께 남북국의 형세를 이루게 되었다. 문왕은 당과 친선 

관계를 맺고 3성 6부 등 당의 문물을 받아들였고, 9세기 선

왕 때 전성기를 맞이해 당으로부터 해동성국이라 불렸다. 

21  연맹체 국가와 중앙 집권적 영역 국가 

⑴  답  (가) 연맹체 국가, (나) 중앙 집권적 영역 국가

⑵   모범 답안  5부나 6부의 조직은 관등제에 바탕을 둔 중앙 관

료 조직으로 개편되었고, 지방 행정 조직도 정비되었다. 

신분제도 정비하여 신분에 따라 관등의 승진 등에 차등을 

두었다.  또한  율령을  반포하여  국가와  백성을  다스리는 

보편적 기준을 마련하였다. 

주요 내용  중앙 관료 조직 개편, 지방 행정 조직 정비, 신분

제 정비, 율령 반포

채점 기준

주요 내용 중 세 가지 이상 넣어 바르게 서술한 경우

주요 내용 중 두 가지만 넣어 바르게 서술한 경우

22  고구려 계통의 백제 건국 세력 

모범 답안  백제 초기 무덤이 고구려의 무덤과 닮은 것은 백제

를 건국한 중심 세력이 고구려와 같은 계통의 집단이라는 사

실을 뒷받침해 준다.

주요 내용  백제 초기 무덤이 고구려의 무덤과 닮음, 백제 건국 

중심 세력이 고구려와 같은 계통의 집단

채점 기준

주요 내용 중 두 가지를 모두 넣어 바르게 서술한 경우

주요 내용 중 한 가지만 넣어 바르게 서술한 경우

배점







배점





17  통일 신라 말의 정치적 혼란 

자료는 9세기 말 원종과 애노의 봉기를 설명하는 것이다. 9

주요 내용 중 한 가지만 넣어 바르게 서술한 경우

19  발해의 중앙 정치 조직

23  고구려의 독자적 천하관과 광개토 대왕의 정복 활동

자료는 발해의 중앙 정치 기구이다. 발해의 중앙 정치 조직

⑴  답  광개토 대왕릉비

은 3성 6부를 기본으로 하였다. 이는 당의 제도를 수용한 것

⑵   모범 답안  요동을 포함한 만주 일대를 장악하였고, 백제를 

이지만, 운영과 명칭은 독자적이었다. 3성 중 정당성이 최고 

공격하여 한강 이북 지역을 차지하였다. 또 5만의 군사를 

집행 기구로, 그 장관인 대내상이 국정을 총괄하였다. 정당

보내 신라에 침입한 왜를 물리치고 한반도 남부에까지 영

성은  6부를  둘로  나누어  관할하였다.  6부의  명칭에는  유교 

향력을 행사하였다.

이념이 반영되어 있다. 

주요 내용  만주 일대 장악, 한강 이북 지역 차지, 한반도 남

정답과 해설 05

장보고도 중앙의 권력 다툼에 연루되었다가 살해당하였다. 

889년에는 원종과 애노의 봉기를 계기로 전국 곳곳에서 농

민 봉기가 일어났다.

04  신라 말의 6두품

자료는 신라의 신분제인 골품제이다. 관직 승진에 제한이 있

었던 6두품 세력은 진골이 모든 권력을 독점하고 있는 골품

제의 문제점을 비판하며 개혁을 주장하였다. 이들 중 일부는 

지방의 호족 세력과 연계하여 새로운 사회를 건설하고자 하

 

오답 풀이   ①, ④, ⑤ 발해에 대한 설명이다. ② 고구려에 대한 설명 

부에 영향력 행사

채점 기준

주요 내용 중 세 가지를 모두 넣어 바르게 서술한 경우

주요 내용 중 두 가지만 넣어 바르게 서술한 경우

주요 내용 중 한 가지만 넣어 바르게 서술한 경우

24  신라 촌락 문서 

⑴  답  신라 촌락 문서

⑵   모범 답안  신라는 통일 후 늘어난 생산 자원과 노동력을 더

욱  철저히  편제하여  관리하였고,  국가가  지방의  농민을 

통제하고 지배하는 힘이 매우 컸음을 알 수 있다.

주요 내용  생산 자원과 노동력 관리, 국가가 지방 농민을 통

였다.

이다.

제하고 지배하는 힘이 큼

채점 기준

주요 내용 중 두 가지를 모두 넣어 바르게 서술한 경우

주요 내용 중 한 가지만 넣어 바르게 서술한 경우

배점







배점





2

고대 사회의 종교와 사상

기본 문제로 
내신 다지기

26~29쪽

23쪽

01 ④  02 ⑤  03 ②  04 ④  05 ⑤  06 ②  07 ②
08 ③  09 ②  10 ④  11 ①  12 ②  13 ⑴ 천신 신
앙  ⑵ 해설 참조  14 ⑴ 풍수지리설  ⑵ 해설 참조 

01  신석기 시대의 신앙

구석기 시대에 살았던 사람들은 다산과 풍요, 사냥의 성공을 

고난도 문제로 
내신 완성하기

01 ④  02 ④  03 ①  04 ③ 

01  삼국의 항쟁 과정

6세기 전반 무령왕은 지방의 22담로에 왕족을 파견하여 지방

기원하였다. 신석기 시대에 농경이 생활에서 중요한 부분을 

에 대한 통제를 강화하는 한편, 중국 남조와 교류하였다. 성

차지하게 되자 사람들은 태양, 바람, 비 등 날씨와 관계된 자

왕은 사비로 도읍을 옮기고 국호를 남부여로 고치며 백제의 

연 현상을 중요하게 생각하였고, 애니미즘, 토테미즘, 샤머

중흥을 꾀하였다.

니즘 등이 등장하였다.

02  신라 삼국 통일의 의의와 한계

02  단군의 고조선 건국 이야기

신라의 삼국 통일은 삼국의 문화를 융합하여 민족 문화가 발

자료는 단군의 고조선 건국 이야기이다. 이에 따르면, 고조

전할 수 있는 기틀을 마련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하지만 

선을 세운 단군은 하느님 환인의 아들인 환웅과 곰이 변한 웅

외세인 당을 끌어들였고, 대동강 이남에 한정된 불완전한 통

녀의 결합으로 탄생하였다. 이를 통해 혼인을 통한 부족 간 

일이었다는 점에서 한계를 지니고 있다. 

결합으로 연맹체가 형성되었음을 알 수 있다. 

03  통일 신라 말의 상황

03  초기 여러 나라의 제천 행사

신라는 8세기 후반 진골 귀족들 간의 권력 다툼으로 혼란에 

(가)는 제천 행사이다. 제천 행사는 나라의 발전을 기원하고 

빠졌다. 혜공왕 이후 약 150년 동안 20명의 왕이 바뀌는 등 

노래와  춤을  즐기는  성대한  축제이기도  하였다.  각  나라는 

왕위 쟁탈전으로 정치가 혼란스러워졌다. 진골 출신 김헌창

제천 행사를 통해 풍요를 기원하였을 뿐만 아니라 구성원의 

은 난을 일으켰고, 청해진을 중심으로 해상 무역을 주도하던 

갈등을 완화하고 유대 관계를 다져 나라의 통합을 강화하려 

06   정답과 해설

하였다. ② 부여에는 영고라는 제천 행사가 있었다. 

10  삼국의 유학 보급

04  삼국의 불교 수용

(가) 사상은 불교이다. 삼국은 중앙 집권적 영역 국가로 발전

하는 과정에서 불교를 수용하여 사상을 통일하려 하였다. 신

고구려는 수도에 태학을 세워 유교 경전과 역사서를 가르쳤

고, 지방에는 경당을 두어 한학과 무술을 가르쳤다. 백제에

는 유교 경전을 가르치는 오경박사가 있었다. 이 시기 유학

은 인재 양성이나 충·효·신 등의 규범을 장려하는 역할을 하

라는 고구려를 통해 불교가 전해졌지만, 귀족들의 반발로 갈

였다. ④ 주자감은 발해의 중앙 교육 기관이다.

등을 겪다가 법흥왕 때 이차돈의 순교를 계기로 불교를 공인

하였다. 

05  삼국이 수용한 불교의 역할

삼국의 불교는 왕권 강화를 이념적으로 뒷받침하였다. 신라

에서는 불교식 왕명을 짓고, 왕즉불 사상을 내세웠다. 또한 

삼국은 국가의 안녕과 발전을 비는 대규모 불교 사찰을 건립

하고 불교 행사를 열었다. 고구려는 평양에 아홉 개의 사찰

을 창건하였고, 백제는 미륵사 등 여러 사찰을 건립하였다. 

⑤ 도교 사상과 관련된다. 

06  원효의 사상

었다.

자료는 원효의 일심 사상을 보여 준다. 원효는 극락에 가고

자 하는 아미타 신앙을 직접 전도하여 불교 대중화의 길을 열



오답 풀이  ① 의상에 대한 설명이다. ⑤ 혜초에 대한 설명이다.

07  신라 말, 선종의 유행 

(가)는 선종이다. 선종 승려들은 지방 각지에 사찰을 세워 9

산선문을 형성하였다. 선종은 실천적 경향이 강하였는데, 당

시 지방 각지에서 성장하던 호족의 성향과 일치하여 호족 세

력의 후원을 받기도 하였다.

08  발해의 불교문화 

제시된 유물은 발해의 이불병좌상이다. 발해의 불교는 고구

려 불교를 계승하였고, 왕실과 귀족을 중심으로 널리 성행하

였다. 문왕은 ‘금륜’, ‘성법’이라는 불교식 명칭을 사용하였다. 

귀족들 사이에도 불교가 널리 퍼졌다.

11  통일 신라의 유학

신문왕은 국학을 설립하고 학문을 장려하였다. 원성왕 때에

는 독서삼품과를 실시하여 국학 학생들을 대상으로 유교 경

전의 이해 수준을 시험하여 관리 선발에 활용하고자 하였다. 

12  독서삼품과

자료는 독서삼품과이다. 원성왕 때에는 독서삼품과를 실시하

여 유교 경전의 이해 수준을 시험하여 관리 선발에 활용하고

자 하였다. 독서삼품과는 진골 귀족들의 반대로 제대로 시행

되지 못하였으나 유학을 보급하는 데 기여하였다.

13  천신 신앙의 한계 
⑴  답  천신 신앙 

⑵   모범 답안  정복된 세력의 자발적인 충성을 끌어내기 어려웠

다. 또한 귀족들 중 일부도 스스로 천신의 후예라고 생각

하였기에  천신  신앙으로  왕권을  높이는  데는  한계가  있 

었다.

주요 내용   정복된  세력의  자발적인  충성을  끌어내기  어려

움, 귀족들 중 일부가 스스로 천신의 후예라고 생각함

채점 기준

주요 내용 중 두 가지를 모두 넣어 바르게 서술한 경우

주요 내용 중 한 가지만 넣어 바르게 서술한 경우

배점





09  도교 사상 

제시된 유물은 강서 고분의 사신도 중 현무도로, (가)는 도교

14  풍수리지설의 영향 
⑴  답  풍수지리설 

이다. 도교는 도가 사상을 바탕으로 신선 사상과 민간 신앙 

⑵   모범 답안  지방에서 성장하던 호족은 풍수지리설을 이용하

등이 결합하여 성립하였다. 불로장생과 현세 구복을 추구하

여  수도인  금성의  땅  기운이  다했다고  주장하며  세력을 

는 도교는 삼국의 귀족을 중심으로 유행하였으며, 예술에 많

키워 나갔다. 

은 영향을 끼쳤다. 

주요 내용  지방에서 성장하던 호족, 금성의 땅 기운이 다했



오답 풀이  ㄴ, ㄹ. 풍수지리설에 대한 설명이다.

다고 주장하며 세력을 키움 

정답과 해설 07

채점 기준

주요 내용 중 두 가지를 모두 넣어 바르게 서술한 경우

주요 내용 중 한 가지만 넣어 바르게 서술한 경우

배점





고난도 문제로 
내신 완성하기

01 ④  02 ①

01  삼국의 도교 사상

(가) 종교는 도교이다. 도교는 중국에서 발달한 종교로, 도가 

사상을 바탕으로 신선 사상과 민간 신앙 등이 결합하여 성립



오답 풀이  ①, ③ 선종에 대한 설명이다. ② 교종에 대한 설명이다. ⑤

하였다. 

애니미즘에 대한 설명이다.

02  임신서기석과 신라의 유학 

임신서기석에는 신라의 두 청년이 나라에 충성을 바치며 3년 

안에 유교 경전을 열심히 공부하고, 그것을 몸소 실천하기로 

맹세한 내용이 적혀 있다. 이를 통해 신라에서 유학을 공부

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려는 신라 경순왕의 항복으로 전쟁 없이 신라를 흡수하였고, 

내분이 일어난 후백제군을 격파하고 후삼국을 통일하였다

(936).

02  태조 왕건의 정책

태조 왕건은 호족들에게 관직·토지·성씨를 내려 주는 등 우

대하였고, 호족의 딸들과 정략결혼도 하였다. 한편으로는 사

29쪽

심관 제도와 기인 제도를 활용해 호족을 견제하고 지방 통치

를 보완하였다. ② 노비안검법은 광종 때 시행한 제도이다.

03  광종의 정책

자료는 광종 7년(956)에 실시된 노비안검법이다. 광종은 과

거제를 실시하여 유교적 소양을 갖춘 신진 관료를 등용하였

다. 이어 건국 공신과 호족을 숙청하였다. 또한 자신을 황제

라 부르게 하고 독자적인 연호를 사용하였다.

04  성종의 정책

자료는 최승로가 제시한 시무 28조의 일부이다. 성종은 최승

로의 시무 28조를 받아들여 유교 정치 이념을 바탕으로 중앙 

통치 체제를 정비하였으며, 지방관을 파견하였다.



오답 풀이  ① 공민왕에 대한 설명이다. ②, ③, ⑤ 태조 왕건에 대한 설

명이다.

05  고려의 중앙 정치 제도 

3

고려의 통치 체제와 국제 질서의 변동

기본 문제로 
내신 다지기

01 ④  02 ②  03 ②  04 ④  05 ⑤  06 ④  07 ④
08 ④  09 ⑤  10 ③  11 ①  12 ⑤  13 ⑤  14 ⑤
15 ③  16 ③  17 ⑤  18 ②  19 ②  20 ①
21 ⑴ 서경(평양) ⑵ 해설 참조

22 ⑴ 시무 28조

⑵ 해설 참조
24 ⑴ 권문세족 ⑵ 해설 참조

23 ⑴ 강화도 ⑵ 해설 참조

고려는 태봉 및 당, 송의 사례를 참조하여 중앙 정치 제도를 

정비하였다. 중앙 정치 기구는 당의 3성 6부를 받아들이되, 

고려의 실정에 맞게 2성 6부제로 고쳐 운영하였다. 



오답 풀이  ①, ④ 중서문하성은 정책을 계획·결정하였고, 상서성은 이

를 집행하였다. ③ 중서문하성의 낭사, 어사대의 관원들은 대간이라

33~38쪽

불리며 간언을 올리거나 관료를 탄핵하는 역할을 하였다.

06  고려의 지방 행정 제도

고려 초기에는 호족들이 각 지역을 다스렸으나, 성종 때 주

요 지역에 지방관을 파견하면서 지방 행정 조직이 정비되기 

시작하였다. 이후 5도 양계를 골격으로 한 지방 제도가 정비

되었다. ④ 수령이 군과 현에 파견되면서 호족들은 점차 수

령을 보좌하고 행정 실무를 맡는 향리로 변화해 갔다.

01  고려의 후삼국 통일 과정

07  고려의 관리 등용 방식 

신라 말, 견훤이 후백제를 세웠다(900). 이듬해 궁예가 후고

고려의 관리 등용 방식으로는 과거와 음서가 있었다. 과거는 

구려를 세웠다(901). 왕건은 궁예의 신하로 활동하였고, 궁예

유교적 소양을 갖춘 관료를 등용하고자 실시하였다. 

의 폭정이 심해지자 궁예를 몰아내고 고려를 세웠다(918). 고



오답 풀이  ① 광종 때 실시되었다. ② 무과는 거의 실시되지 않았다.

08 정답과 해설

③ 원칙적으로 양인 신분 이상이면 과거에 응시할 수 있었다.

를 황제국으로 부르고, 독자적인 연호를 쓰며, 금을 정벌할 

08  고려의 교육 제도

고려는 유학 교육을 위해 개경에 최고 교육 기관인 국자감(국

학)을 두었고, 지방에는 향교를 설립하여 유교적 소양을 갖

15  무신 정변의 원인

것을  주장하였다.  그러나  정부  관료  대부분은  서경  천도가 

현실성이 없다며 반대하였다. 

춘 인재를 양성하였다. 고려 중기에는 최충의 문헌공도를 비

문신에 비해 차별을 받아 온 무신들의 불만이 커졌다. 또 하

롯해 이른바 사학 12도가 번성해 우수한 인재들이 모여들었

급 군인들은 군인전을 제대로 지급받지 못하고 각종 공사에 

다. 이에 국자감 내에 양현고를 설치하고 7재를 두어 관학의 

동원되어 불만이 많았다. 결국 정중부, 이의방 등을 중심으

로 한 무신들이 많은 문신을 제거하고 왕을 교체하였다. 이

후 무신들은 주요 관직을 차지하고 정치를 운영하였다.

진흥을 꾀하였다.

09  10~12세기 고려의 외교 정책

10~12세기 동북아시아에서는 복잡한 정세가 이어졌다. 이와 

16  무신들의 정치 기구

같은 혼란기에 고려는 독자적인 천하관을 바탕으로 탄력적인 

무신 정변 이후 무신들은 무신들의 회의 기구인 중방을 중심

대외 관계를 유지하였다. 고려는 송 및 북방 민족 사이에서 

으로 정치를 운영하였다. 최충헌의 집권 이후 그는 반대 세

세력 균형을 맞추며 유연한 외교 정책을 폈다. 

력을 제거하기 위해 교정도감을 설치하였고, 이후 국정 운영

에  활용하였다.  또한  도방을  개편하여  자신의  신변  보호를 

10  거란의 침입과 격퇴

강화하였다.

거란은 송을 공격하기에 앞서 고려를 침략하였다. 3번의 침

략 이후 고려는 거란과 외교 관계를 유지하는 한편, 개경에 

17  무신 정권 시기 농민과 천민의 봉기

나성을 쌓고 압록강에서 영흥 지역을 거쳐 동해안에 이르는 

자료는 무신 정권 시기 농민과 천민의 저항 운동을 보여 준

다. 권력을 잡은 무신들의 전횡이 계속되고 지배 체제가 문

란해지면서, 농민과 천민들이 봉기하였다. 망이·망소이의 봉

기, 만적의 난 등이 대표적이다.

자료의 (가)는 여진이다. 고려는 여진을 정벌하고 동북 9성을 

설치하였으나 여진의 계속된 침입에 방어가 어렵게 되자 돌

18  몽골의 간섭

려주었다. 이후 여진은 세력을 키워 금을 세웠다.

몽골과의  항쟁  이후  고려는  몽골이  세운  원의  간섭을  받았

다. 고려 왕의 즉위는 원의 통제와 승인 아래에서 이루어졌

고, 고려의 관제와 왕실의 호칭도 격하되었다. 

세력을  키운  여진은  고려에  군신  관계를  요구하였다.  고려 

정부 내에서는 금의 요구에 대해 많은 논란이 있었으나, 당

19  공민왕의 개혁

시 집권자였던 이자겸은 금과의 무력 충돌을 피하고자 금의 

(가)는  공민왕이다.  공민왕은  원의  간섭에서  벗어나기  위해 

이자겸의 권력은 국왕의 지위를 위협할 정도였다. 이자겸의 

민변정도감을 설치하여 토지와 노비를 바로잡고자 하였다. 

권력 독점에 위협을 느낀 인종과 측근 세력이 이자겸을 제거

하려 하자, 이를 눈치챈 이자겸이 먼저 척준경과 함께 반란

20  이성계의 조선 건국 과정

(가)는 묘청이다. 이자겸의 난 이후 서경 출신의 묘청과 정지

혁파와  함께  개혁을  단행하였고,  정몽주  등  온건  개혁파를 

상 등이 서경으로 천도할 것을 건의하였다. 이와 함께 고려

제거하고 조선을 건국하였다(1392). ① 공민왕 때의 일이다.

먼저 기씨 세력을 제거하고 정동행성 이문소를 철폐하였다. 

왕실 호칭과 관제를 복구하고 몽골식 생활 풍습도 금지하였

다. 또한 왕권을 제약하던 인사 기구인 정방을 폐지하고, 전

명이 철령 이북의 영토를 요구하자 우왕과 최영은 요동 정벌

을 추진하였다. 이에 반대하던 이성계는 위화도 회군을 통해 

권력을 장악하였다(1388). 이성계는 정도전, 조준 등 급진 개

정답과 해설 09

천리장성을 쌓았다.

11  고려와 여진의 관계

12  금의 사대 요구 수용

요구를 받아들였다.

13  이자겸의 난

을 일으켰다. 

14  묘청의 서경 천도 운동

21  태조 왕건의 북진 정책
⑴  답  서경(평양) 

⑵   모범 답안   전민변정도감을  설치하여  권문세족이  불법적으

로 빼앗은 토지를 본래 주인에게 돌려주고, 강제로 노비

가 된 사람을 평민으로 되돌리려 하였다. 

주요 내용  전민변정도감 설치, 권문세족의 토지를 본래 주

⑵   모범 답안  태조 왕건은 고구려 계승 의식을 바탕으로 북진 

인에게 돌려줌, 강제로 노비가 된 사람을 평민으로 되돌

정책을 추진하였다. 이때 평양을 서경으로 삼아 북진 정

리고자 함 

책의  기지로  활용하고  청천강  유역까지  영토를  확대하 

채점 기준

였다.

주요 내용  고구려 계승 의식, 북진 정책 추진, 북진 정책의 

기지로 활용, 청천강 유역까지 영토 확대

주요 내용 중 세 가지를 모두 넣어 바르게 서술한 경우

주요 내용 중 두 가지만 넣어 바르게 서술한 경우

주요 내용 중 한 가지만 넣어 바르게 서술한 경우

채점 기준

주요 내용 중 세 가지 이상 넣어 바르게 서술한 경우

주요 내용 중 두 가지만 넣어 바르게 서술한 경우

주요 내용 중 한 가지만 넣어 바르게 서술한 경우

22  최승로의 시무 28조
⑴  답  시무 28조 

⑵   모범 답안  왕이 백성을 모두 살필 수 없으므로 지방관을 보

내 백성의 이익과 손해를 대신 살피도록 하기 위해서 제

01  성종의 정책

안하였다.

주요 내용  왕이 백성을 모두 살필 수 없음, 지방관을 보내 

배점







39쪽

고난도 문제로 
내신 완성하기

01 ①  02 ①  03 ⑤  04 ②

자료는 최승로가 제시한 시무 28조이다. 성종은 이를 수용하

여 유교 정치 이념을 바탕으로 중앙 통치 체제를 정비하였으

며, 전국의 주요 지역에 지방관을 파견하였다.  



오답 풀이  ②, ④ 태조에 대한 설명이다. ③, ⑤ 광종에 대한 설명이다.

02  고려의 중앙 정치 기구 

고려 시대 국가의 중요한 일은 중서문하성의 재신과 중추원

의 추밀들이 재상으로서 심의·의결하였다. 도병마사와 식목

도감이 대표적인 회의 기구로, 도병마사는 국방과 안보 문제

를 논의하였다. 

03  문벌 세력의 형성

하였다.

04  원의 간섭 

자료는 고려 왕실과 경원 이씨 가문의 혼인 관계이다. 중앙 

집권 체제가 정비되면서 여러 대에 걸쳐 고위 관료를 배출한 

가문이 형성되었는데, 이들을 문벌이라고 한다. 이들은 다른 

문벌과의 경쟁에서 우위를 차지하기 위해 왕실과 혼인하기도 

자료는 원 간섭기 왕실 칭호의 격하를 나타낸 표이다. 원 간

섭기 고려의 왕들은 원의 공주와 결혼하였고, 원은 고려 영

토에 쌍성총관부, 동녕부를 설치한 후 직접 지배하였다. 또

백성의 이익과 손해를 대신 살핌

채점 기준

주요 내용 중 두 가지를 모두 넣어 바르게 서술한 경우

주요 내용 중 한 가지만 넣어 바르게 서술한 경우

23  몽골과의 항쟁 
⑴  답  강화도

⑵   모범 답안   몽골이  침입하자  최씨  정권은  수도를  강화도로 

옮기고  안락한  생활을  누렸지만,  백성들은  삶의  터전과 

나라를 지키고자 부곡민, 노비, 초적들까지 나서 몽골군

과 맞서 싸웠다.

주요 내용  최씨 정권은 강화도로 수도를 옮기고 안락한 생

활을 누림, 백성들은 몽골군과 맞서 싸움

채점 기준

주요 내용 중 두 가지를 모두 넣어 바르게 서술한 경우

주요 내용 중 한 가지만 넣어 바르게 서술한 경우

24  권문세족의 등장과 공민왕의 개혁 정치

⑴  답  권문세족 

10 정답과 해설

배점







배점





배점





한 일본 정벌을 위해 정동행성을 설치하였으며, 다양한 물품

약이  없었고,  재가한  여성의  자녀라도  사회적  차별을  받지 

을 징발해 갔다. ② 몽골의 침략 직후 일어난 일이다.

않았다. 

06  고려 시대 유학의 발달 과정

고려 시대에 유교는 정치 이념으로 발전하였고, 유학 교육도 

확대되었다. (가)는 태조, (라)는 광종, (마)는 성종, (나)는 인

종 대 이후, (다)는 고려 후기의 사실이다.

4

고려의 사회와 사상

기본 문제로 
내신 다지기

42~45쪽

07  성리학의 수용 

01 ④  02 ②  03 ②  04 ②  05 ④  06 ④  07 ⑤
08 ①  09 ②  10 ⑤  11 ②  12 ⑤  13 해설 참조
14 ⑴ 의창 ⑵ 해설 참조

밑줄 친 ‘이 학문’은 성리학이다. 충렬왕 때 성리학을 처음 소

개한 안향은 유학의 진흥에 힘썼다. 이후 성리학은 이색, 정

몽주, 정도전 등 신진 사대부에게 계승되었다. 

01  고려 시대의 노비

자료는 광종 시기 시행된 노비안검법과 관련된 것으로, (가)

는 노비이다. 노비는 재산처럼 취급되어 매매, 증여, 상속의 

대상이 되었다.

02  고려 사회의 신분 변동

있었다.

03  고려 시대의 사회 시책

자료는 천민 출신인 이의민의 신분 상승과 대몽 항전의 공으

로 일반 군현으로 승격한 소의 사례를 보여 준다. 고려는 신

분제  사회였지만  제한적이나마  신분  상승의  가능성이  열려 

08  『삼국사기』와 『삼국유사』  

(가)는 『삼국사기』, (나)는 『삼국유사』이다. 『삼국사기』는 사마

천의  『사기』  체제를  따라  기전체로  서술되었다.  일연이  쓴  

『삼국유사』는  불교  신앙을  중심으로  전설이나  야사,  신화적

인 내용을 주로 다루었다. 

09  불교의 발전

(가)는 불교이다. 고려 시대 불교는 건국 초부터 국가의 지원

을  받으며  발전하였다.  태조는  연등회와  같은  불교  행사를 

장려하였고,  광종  때는  명망이  높은  승려를  왕사나  국사로 

삼아 존중하였다. 또한 외적이 침입하였을 때는 부처의 힘으

로 외적을 물리치고자 대장경을 조판하기도 하였다. ② 도교

고려는 농민 생활 안정을 위해 조세 수취의 한도를 정하고, 

농번기에는 잡역을 면제하였으며, 자연재해를 입은 농민에게

는 그 피해 정도에 따라 조세와 부역을 감면해 주었다. 또한 

의창, 상평창, 동·서 대비원 등을 설치하였다. 

에 관한 설명이다.

10  의천의 활동

04  향도의 활동

(가)는 향도이다. 이들은 매향 활동을 하면서 불상, 탑, 사원 

등을 조성할 때 주도적인 역할을 하였다. 이후 향도는 신앙 

활동뿐만 아니라 공동 노동, 혼례와 상장례, 마을 제사 등 공

동체 유지를 위한 조직으로 발전해 갔다.

11  지눌의 활동

(가)는 의천이다. 의천은 불교계의 갈등을 해결하기 위해 교

종과 선종을 통합하려 하였다. 그는 화엄종을 중심으로 교종

을 통합하고, 천태종을 개창하여 교종의 입장에서 선종을 통

합하였다. 그리고 수행 방법으로 이론의 연마와 실천을 같이 

강조하는 교관겸수를 제시하였다. ⑤ 지눌에 대한 설명이다.

05  고려 시대 여성의 위상

고려 시대에는 여성도 호주가 될 수 있었으며, 자녀도 남녀 

은 뒤 꾸준히 수행해야 한다는 돈오점수를 내세웠다.

차별을  두지  않고  태어난  순서대로  호적에  올렸다.  사위가 

처가에서 생활하는 경우도 적지 않았으며, 사위와 외손자에

12  도교와 풍수지리설

게까지 음서의 혜택이 있었다. ④ 여성의 재혼에 특별한 제

(가)는 도교, (나)는 풍수지리설이다. 풍수지리설은 땅의 형

지눌은 수행 방법으로 선과 교학을 분리하지 않고 함께 수행

해야 한다는 정혜쌍수와 내 마음이 곧 부처라는 깨달음을 얻

정답과 해설 11

세나 모양이 국가의 운명이나 개인의 삶에 영향을 미친다는 

최상위에 있던 양반은 문반과 무반으로 구성되었고, 문신은 

이론으로, 주택의 입지뿐만 아니라 수도와 궁궐의 입지를 결

과거와 음서를 통해 관료가 되었다. 향·부곡·소의 주민은 일

정하는 데에도 반영되었다. 

반 군현의 주민보다 경제적 부담이 컸고, 거주지가 제한되었

13  고려 시대 신분제의 특징과 의의 

모범 답안  고려는 신분제 사회였지만 제한적이나마 신분 상승

의 가능성이 열려 있었다. 향리가 중앙의 관리가 되고, 군인

이 장군으로 승진하고, 소가 일반 군현으로 승진하는 모습들

은 고려 사회가 신라 골품제 사회에 비하여 좀 더 개방적이었

음을 보여 준다. 

주요 내용  제한적이나마 신분 상승의 가능성, 고려 사회가 신

라 골품제 사회에 비하여 좀 더 개방적이었음 

채점 기준

주요 내용 중 두 가지를 모두 넣어 바르게 서술한 경우

주요 내용 중 한 가지만 넣어 바르게 서술한 경우

14  고려 시대의 사회 시책 

⑴  답  의창

⑵   모범 답안  조세 수취의 한도를 정하고, 농번기에는 잡역을 

면제하였으며, 자연재해를 입은 농민에게는 그 피해 정도

에 따라 조세와 부역을 감면해 주었다.

주요 내용  조세 수취의 한도, 농번기에 잡역 면제, 자연재해

를 입은 농민에게 조세와 부역 감면

채점 기준

주요 내용 중 세 가지를 모두 넣어 바르게 서술한 경우

주요 내용 중 두 가지만 넣어 바르게 서술한 경우

주요 내용 중 한 가지만 넣어 바르게 서술한 경우

배점





배점







다. ⑤ 향리에 대한 설명이다.

02  의천의 교관겸수 

11세기 이후부터 고려 불교계는 여러 교단과 종파로 나뉘어 

대립하였다. 의천은 불교계의 갈등을 해결하기 위해 교종과 

선종을 통합하려 하였다. 그리고 수행 방법으로 이론의 연마

와 실천을 같이 강조하는 교관겸수를 제시하였다. 

5

조선 시대 세계관의 변화

기본 문제로 
내신 다지기

49~54쪽

01 ①  02 ①  03 ②  04 ⑤  05 ⑤  06 ③  07 ④
08 ④  09 ③  10 ③  11 ③  12 ⑤  13 ⑤  14 ②
15 ④  16 ②  17 ⑤  18 ⑤  19 ④  20 ⑤
21 ⑴ 6조 직계제 ⑵ 의정부 서사제 ⑶ 해설 참조
22 ⑴ 이조 전랑 ⑵ 해설 참조
인 ⑵ 해설 참조  24 ⑴ 군정의 문란 ⑵ 해설 참조

23 ⑴ (가) 남인, (나) 서

01  조선 유교 정치의 확립 과정

조선 건국 이후 왕자의 난을 통해 집권한 태종은 사병을 혁파

하여 군사권을 왕에게 집중하였고, 세종은 경연 시행, 의정

부 서사제 시행 등을 통해 왕권과 신권의 조화를 꾀하였다. 

02  태종의 정책

(가)에 들어갈 왕은 태종이다. 태종은 6조 직계제를 실시하여 

국왕 중심의 정치 체제를 마련하였고, 양전 사업과 호패법을 

실시하여 국가 재정 확충에 힘썼다.



오답 풀이  ②, ⑤ 세종에 대한 설명이다. ③ 성종에 대한 설명이다. ④

45쪽

이성계에 대한 설명이다.

03  세종의 통치 

자료는 의정부 서사제에 대한 설명으로, 세종 때 실시된 제

도이다. 세종은 정책 연구 기관인 집현전을 설치하여 인재를 

육성하였고, 왕과 신하가 모여 유교 경전과 역사를 공부하면

(가)는 양반, (나)는 향·부곡·소의 주민이다. 고려 지배층의 

서 정책을 토론하는 경연을 중시하였다.

고난도 문제로 
내신 완성하기

01 ⑤  02 ⑤

01  고려의 신분 구조

12 정답과 해설



오답 풀이  ㄴ. 태종과 세조 시기에 볼 수 있는 모습이다. ㄹ. 태조 시기

저히 배제하는 일당 전제화의 경향이 나타났다.

에 볼 수 있는 모습이다.

04  3사의 기능

(가)는  3사이다.  사헌부,  사간원,  홍문관으로  구성된  3사는 

전랑의 인사권을 약화하고 붕당 정치의 근거지인 서원을 대

권력의 독점을 견제하는 언론 기능을 담당하였다.

폭 정리하였다. 또한 신문고를 설치하였고, 균역법을 시행하



오답 풀이  ① 의정부에 대한 설명이다. ② 한성부에 대한 설명이다.

였으며, 가혹한 형벌 제도를 개선하는 등 민생 안정을 위한 

③ 의금부에 대한 설명이다. ④ 6조 중 이조에 대한 설명이다.

각종 제도 개혁을 추진하였다. 

11  영조의 정책

(가)는 영조이다. 영조는 붕당의 폐해를 극복하기 위해 이조 

05  조선의 지방 행정 제도 

12  정조의 정책

조선은 전국을 8도로 나누어 관찰사를 파견하였고, 모든 군

밑줄 친 ‘왕’은 정조이다. 정조는 왕의 친위 부대인 장용영을 

현에 수령을 파견하였다. 지방에는 유력한 사족으로 구성된 

설치하였으며, 수원 화성을 건설하여 자신이 꿈꾸는 개혁 정

유향소(향청)가 있어 수령의 업무를 보좌하고 수령과 향리의 

치의  거점으로  삼고자  하였다.  또한  통공  정책을  실시하고 

부정을 감시하는 역할을 하였다. 

문물제도를 정비하였다.

06  조선의 관리 등용 제도

13  세도 정치 시기 삼정의 문란

조선 시대에 관리의 등용은 과거, 음서, 천거를 통해 이루어

세도 정치 시기 정치 기강의 문란은 삼정의 문란으로 나타났

졌지만, 과거 시험이 관리 선발에서 가장 중시되었다. 과거

다. 전세 징수 과정에서 수령들은 각종 부가세를 함께 징수

에는 문관을 뽑는 문과, 무관을 뽑는 무과, 기술관을 뽑는 잡

하거나, 죽은 사람 혹은 어린아이에게도 군포를 징수하였다. 

또한 환곡의 이자가 관청의 경비로 사용되면서 환곡은 고리

대처럼 운영되었고, 관리들의 각종 부정이 더해져 농민들의 

원성이 컸다. ⑤ 고려 시대의 사회 시책이다.

과가 있었다. 

07  사림의 성장 

08  붕당 정치

09  예송

10  환국의 전개

사림은 주로 3사에 중용되어 훈구 세력의 부정과 비리를 비

판하였다.  이에  훈구와의  대립이  심해졌으며,  이  과정에서 

14  조선의 외교 정책

여러 차례의 사화로 큰 타격을 입었다. 그러나 사림은 서원

조선은 명을 큰 나라이자 문명국으로 섬긴다는 의미로 사대

과 향약을 바탕으로 향촌 사회에서 세력을 키웠고. 그 결과 

하였고, 그 밖의 여진, 일본 등과는 교린을 원칙으로 하였다. 

선조 때에는 정국을 주도하게 되었다. 

세종 시기 왜구의 본거지인 쓰시마섬을 토벌하였으나, 이후 

일본의 무역 요구를 받아들여 3포를 개방하였다.

붕당 정치는 정치와 학문적 입장에 따라 모인 사림들이 공론

15  임진왜란의 전개 과정

을 내세우고 이를 바탕으로 국정을 이끌어 가는 정치 형태를 

전국 시대를 통일한 도요토미 히데요시는 국내 불만 세력의 

말한다. 붕당 상호 간의 비판과 견제가 가능하였고, 재야 사

관심을 밖으로 돌리기 위해 조선을 침략하였다(1592). 전쟁

림의 의견까지 폭넓게 수렴하여 정치에 반영하였다.

이 시작된 지 20일 만에 한성이 함락되었고, 선조는 의주로 

피란하여 명에 지원군을 요청하였다. 명이 참전하면서 전세

가 바뀌었고, 이후 명과 일본 사이에 휴전 협상이 시작되었

(가)는 예송이다. 현종 때 효종과 효종비의 장례와 관련하여 

으나 결국 결렬되고 일본이 다시 침략하였다(1597).

자의 대비의 상복 입는 기간을 둘러싸고 두 차례 예송이 일어

났다. 예송을 거치면서 붕당 간의 대립은 심화되었다. 

16  임진왜란이 동아시아에 끼친 영향

(가)는 환국이다. 환국 과정에서 서인은 노론과 소론으로 갈

약해진 틈을 타서 여진족이 급속히 성장하여 부족을 통합하

라섰고, 정권을 잡은 붕당이 상대 붕당을 인정하지 않고 철

고 후금을 세웠다(1616). ② 병자호란 이후의 일이다.

임진왜란으로 조선은 큰 피해를 입었다. 일본에서는 도쿠가

와 이에야스가 에도 막부를 세웠다. 만주에서는 명의 국력이 

정답과 해설 13

17  광해군의 중립 외교 정책

하면서 붕당이 형성되었다.   

후금이 명을 공격하자, 명은 조선에 원군을 요청하였다. 광

주요 내용  동인, 서인, 정치적 이념과 학문적 경향에 따라 

해군은  강성해지는  후금과의  직접적인  충돌을  피하기  위해 

정치 세력 결집, 붕당 형성

명과 후금 사이에서 중립 외교 정책을 폈다. 광해군은 강홍

립을 도원수로 삼아 명에 원군을 보냈지만, 상황에 따라 대

처하도록 하였다. 

18  척화파와 주화파의 갈등

채점 기준

주요 내용 중 세 가지 이상 넣어 바르게 서술한 경우

주요 내용 중 두 가지만 넣어 바르게 서술한 경우

주요 내용 중 한 가지만 넣어 바르게 서술한 경우

정묘호란 이후 세력이 커진 후금(청)이 조선에 군신 관계를 

요구하자, 조선 조정에서는 이 문제를 둘러싸고 척화파와 주

화파로 나뉘어 갈등을 빚었다. 

23  예송 논쟁 

⑴  답  (가) 남인, (나) 서인

19  병자호란 이후의 상황

병자호란 후 세자를 비롯한 많은 신하와 백성이 청에 인질로 

끌려갔으며, 청의 조공 요구에 시달려야 했다. 이러한 상황

에서 효종은 청을 정벌하자는 북벌 운동을 전개하였다. 

20  박제가의 『북학의』

을 주장하였다.

자료는 박제가가 저술한 『북학의』이다. 박제가는 『북학의』를 

주요 내용 중 두 가지를 모두 넣어 바르게 서술한 경우

저술하여 상공업 육성과 청의 기술을 적극적으로 수용할 것

주요 내용 중 한 가지만 넣어 바르게 서술한 경우

배점







배점





배점







⑵   모범 답안  남인은 왕은 사대부와 달리 최고의 예우를 해야 

한다고  주장한  것으로  보아  국왕의  권위를  중시하였다. 

서인은 왕도 사대부와 같은 예를 적용해야 한다고 주장한 

것으로 보아 신권 중심의 정치를 지향하였다.

주요 내용  남인은 국왕의 권위 중시, 서인은 신권 중심의 정

치 지향 

채점 기준

24  삼정의 문란 

⑴  답  군정의 문란 

⑵   모범 답안  정조가 죽은 뒤 왕실의 외척 가문을 중심으로 한 

세도 정치가 전개되었다. 세도 정치 시기에는 정치 기강

이 해이해지고 다양한 부정부패가 만연하였다. 이러한 문

란이 백성에 대한 수탈로 이어졌다. 

주요 내용  세도 정치 전개, 정치 기강 해이, 부정부패 만연, 

백성에 대한 수탈

채점 기준

주요 내용 중 세 가지 이상 넣어 바르게 서술한 경우

주요 내용 중 두 가지만 넣어 바르게 서술한 경우

주요 내용 중 한 가지만 넣어 바르게 서술한 경우

고난도 문제로 
내신 완성하기

01 ④  02 ②  03 ①  04 ⑤

55쪽

21  6조 직계제와 의정부 서사제

⑴  답  6조 직계제

⑵  답  의정부 서사제

⑶   모범 답안  6조 직계제는 국왕 중심의 정치 체제를 마련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의정부 서사제는 왕권과 신권의 조화를 

주요 내용  6조 직계제는 국왕 중심의 정치 체제, 의정부 서

꾀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사제는 왕권과 신권의 조화

채점 기준

주요 내용 중 두 가지를 모두 넣어 바르게 서술한 경우

주요 내용 중 한 가지만 바르게 서술한 경우

배점





22  사림의 성장과 붕당의 형성

⑴  답  이조 전랑

⑵   모범 답안  신진 사림은 동인, 기성 사림은 서인으로 나뉘었

고, 정치적 이념과 학문적 경향에 따라 정치 세력이 결집

14 정답과 해설

01  고려와 조선의 지방 행정 제도

02  조선 전기의 수취 제도

(가)는 고려 시대, (나)는 조선 시대의 지방 행정 조직이다. 

(가)는 전세, (나)는 공납, (다)는 역이다. 조선의 국가 재정은 

조선은 전국을 8도로 나누어 관찰사를 파견하였고, 도 아래

전세, 공납, 역에 바탕을 두었다. ③ 균역법의 시행으로 줄어

에 부, 목, 군, 현을 두고 수령을 파견하였다. 조선은 고려와 

든 재정을 보충하기 위한 방법이다.

달리 모든 군현에 수령을 파견하였다.

02  태종의 정책  

(가)는  영정법이다.  인조는  영정법을  실시하여  풍년과  흉년

자료의 는 태종이다. 태종은 사병을 혁파하여 군사권을 

에 상관없이 토지 1결당 쌀 4~6두를 거두었다. 영정법으로 

왕에게 집중하였으며, 6조 직계제를 실시하였다. 또 양전 사

전세율은 다소 낮아졌지만, 자기 토지가 없는 소작 농민에게

업과 호패법을 실시하여 국가 재정 확충에 힘썼다. 

는 도움이 되지 않았다. 게다가 여러 명목의 부가세가 늘어

나면서 농민의 전세 부담은 오히려 증가하였다.

03  영정법 

03  붕당 정치의 변질

04  서인의 친명배금 정책 

하는 정책을 취하였다.

두 차례의 예송 이후 숙종 때에는 정국을 주도하는 붕당과 견

04  대동법의 시행 과정

제하는 붕당이 급격하게 바뀌는 환국이 나타났고, 상대 붕당

광해군 때 경기도에서 먼저 시행한 대동법은 공납을 현물 대

에 대해 보복과 탄압을 가하는 변질된 모습이 나타났다.

신 토지 1결당 쌀 12두 또는 삼베, 무명, 동전 등으로 거두어

들인 제도였다.

자료는 명에 대한 의리를 중시하는 인식이다. 인조반정 이후 

05  균역법의 시행

권력을 잡은 서인은 명에 대한 의리를 강조하며 후금을 배척

자료는 군포 징수와 관련된 폐단이다. 영조 때 군역의 폐단

양반 신분제 사회와 상품 화폐 경제

06  조선 후기 농업 경영의 변화

6

기본 문제로 
내신 다지기

59~64쪽

01 ①  02 ③  03 ⑤  04 ③  05 ④  06 ③  07 ③
08 ②  09 ②  10 ①  11 ②  12 ⑤  13 ④  14 ④
15 ⑤  16 ②  17 ⑤  18 ③  19 ④  20 ⑤
21 ⑴ 노비 ⑵ 해설 참조 22 ⑴ 대동법 ⑵ 해설 참조
23 ⑴ 균역법 ⑵ 해설 참조

24 ⑴ 임술 농민 봉기

⑵ 해설 참조

01  조선의 신분 구조

을 바로잡기 위해 균역법을 시행하였다. 그 결과 농민들은 1

인당 1년에 군포 1필을 납부하였다. 정부는 균역법 시행으로 

줄어든 재정을 보충하기 위해 지주에게 토지 1결당 쌀 2두를 

결작으로 징수하였다.

조선 후기에는 지주가 소작인에게 토지를 빌려주고 소작료를 

받는 지주 전호제가 널리 확산되면서 일부 지역에서 지대 납

부 방식이 변하였다. 지주와 소작농이 수확량의 절반씩 나누

어 갖는 타조법이 일반적이었지만, 일부 지방에서는 수확량

에서 일정액을 납부하는 도조법이 나타나기도 하였다. 

07  농민층의 분화 

조선 후기에는 상품 작물을 재배하여 시장에 내다 팔아 부를 

축적할 수 있는 상황을 잘 이용하여 부농으로 성장하는 농민

들이 나타났다. 부농으로 성장하는 농민들도 있었지만, 농촌 

사회에는 영세한 농민들이 많았다. 

조선 시대의 양반은 군역 면제 등 각종 특혜를 보장받았던 지

배층이었고,  중인은  양반과  상민의  중간  계층으로  기술관, 

08  민영 수공업의 발달

서리, 향리 등이 있었다. 양반 첩의 자식인 서얼은 중인과 같

조선 후기 민간 수공업자들은 원료의 구입과 판매 등의 과정

은 신분적 대우를 받았다. 노비 가운데는 자신의 재산을 소

에서 상인 자본의 지배를 받았다. 자본이 풍부한 물주가 자

유하고 가족과 함께 살 수 있는 경우도 있었다. ① 상민은 법

금과 원료 등을 미리 지불하고 완성된 제품을 받아가는 선대

적으로 과거에 응시할 수 있었다.

제 방식도 등장하였다.

정답과 해설 15

09  조선 후기 광산의 개발

16  향촌 질서의 재편

조선은 국가가 광산 개발을 독점하고 개인의 광산 개발을 금

조선 후기 경제력을 갖춘 일부 부농층들은 향안에 이름을 올

지하였다. 그러나 17세기 중반부터 민간인에게 광산 채굴을 

리고 향임직에도 진출하여 향회를 장악하고자 하였다. 이러

허용하고 세금을 받는 정책을 시행하였다. 광산을 개발하고 

한 움직임은 기존 사족들의 반발을 불러일으켜 향전이 일어

경영하는 일에는 많은 자본과 능력이 요구되었기 때문에 자

나기도  하였다.  이때  수령은  부농층(신향)을  지원하면서  기

본가 상인에게 자금을 조달받아 덕대가 광산을 경영하는 방

존 양반 세력(구향)을 견제하였다. 향회는 수령의 자문 기구

식도 나타났다. 

10  사상의 성장과 도고의 등장

자료는 허생전에 대한 내용이다. 공인과 사상 중 일부 상인

들은 상권을 확대하고 자본력을 키워 매점매석 등의 행위를 

하는 도고로 성장하였다.

11  장시

장시는 인근의 주민들이 일정한 날짜와 장소에 모여 물건을 

교환하는 곳으로 보통 5일마다 열렸다. 장시는 15세기 말에 

등장하여 16세기경 전국적으로 확대되었고, 18세기 중엽에는 

1,000여 개소 이상이 열렸다. 

12  만상과 내상의 활동

로 전락하였다. 

17  천주교와 동학

(가)는 천주교, (나)는 동학이다. 정부는 천주교를 사교로 규

정하고  여러  차례  천주교  신자를  박해하였다.  또한  동학이 

널리 확산되자, 정부는 세상을 어지럽히고 백성을 속인다는 

죄명으로 최제우를 처형하였다.

18  19세기 농민의 봉기

세도 정치 시기 농민들의 저항은 벽서나 괘서 등의 소극적 형

태에서 점차 세금 납부 거부, 항의 시위, 관리나 아전 폭행 

등의  적극적인  모습으로  바뀌어  갔다.  이는  홍경래의  난과 

임술 농민 봉기 등 집단적 봉기로 이어졌다. ③ 고려 시기에 

일어난 일이다.

지도는 조선 후기 상업과 무역에 관한 것이다. (가)는 의주에

19  홍경래의 난

서 주로 청과의 무역에 종사하던 만상, (나)는 일본과의 무역

지도의 (가)는 홍경래의 난이다. 1811년 홍경래는 세도 정권

에 종사하던 동래의 내상이다. 두 상인 모두 무역 활동을 통

의 수탈과 서북 지방에 대한 차별 대우에 맞서 봉기하였다. 

해 대상인으로 성장하였다. 

홍경래는  평안도의  상인,  향임층,  무반,  광산  노동자,  농민 

등을 이끌고 봉기하였으나 정부군에게 패배하였다.

20  진주 농민 봉기

(나)는 진주 농민 봉기이다. 1862년 경상우도 병마사 백낙신

의 수탈에 저항하여 진주 농민 봉기가 일어났다.



오답 풀이  ②, ④ 홍경래의 난에 해당한다. ③ 고려 시대 만적의 난과

13  상평통보의 유통

배되었다. 

자료의 동전은 상평통보이다. 상평통보가 전국적으로 사용되

던 조선 후기에는 담배·인삼·면화·고추 등의 상품 작물이 재

14  양반 중심 신분 질서의 동요

관련이 있다.

조선 후기에 상품 화폐 경제가 발전하면서 부유한 상민들이 

나타났다. 이들은 공명첩 구입, 납속, 족보 위조 등 갖은 방

법으로 양반이 되려 하였다. 

15  조선 후기의 신분 질서 변화

조선 후기 서얼들은 여러 차례 집단 상소를 올려 관직 진출의 

21  노비의 신분 상승 정책

⑴  답  노비

제한을  철폐해  줄  것을  요구하였다.  이러한  노력의  성과로 

⑵   모범 답안  영조 때 노비종모법을 시행하여 어머니가 노비인 

정조 때 규장각 검서관으로 서얼 출신들이 등용되었다. 영조 

경우에만 자식을 노비로 삼도록 하였으며, 순조 때는 6만 

때에는 노비종모법을 실시하여 어머니가 노비인 경우에만 자

6천여 명의 공노비를 해방하였다. 

식을 노비로 삼도록 하였다. 

주요 내용  노비종모법 시행, 공노비 해방

16 정답과 해설

배점





배점







배점







채점 기준

채점 기준

주요 내용 중 두 가지를 모두 넣어 바르게 서술한 경우

주요 내용 중 두 가지를 모두 넣어 바르게 서술한 경우

주요 내용 중 한 가지만 넣어 바르게 서술한 경우

주요 내용 중 한 가지만 넣어 바르게 서술한 경우

22  대동법의 실시
⑴  답  대동법

⑵   모범 답안  땅이 없거나 적은 농민에게 부담을 덜어줄 수 있

었다. 현물 대신 거둔 쌀을 통해 공인이 시장에서 물건을 

대량으로 구입하고, 수공업자들에게 물품 생산을 주문하

면서 수공업 생산이 활기를 띠고 상품 화폐 경제가 발달

하였다.

주요 내용  땅이 없거나 적은 농민의 부담을 덜어줌, 수공업

자들에게 물품 생산을 주문하면서 수공업 생산이 활기를 

띰, 상품 화폐 경제가 발달함 

채점 기준

주요 내용 중 세 가지를 모두 넣어 바르게 서술한 경우

주요 내용 중 두 가지만 넣어 바르게 서술한 경우

주요 내용 중 한 가지만 넣어 바르게 서술한 경우

23  균역법 

⑴  답  균역법

배점





65쪽

고난도 문제로 
내신 완성하기

01 ②  02 ③  03 ②  04 ③

01  조선 시대의 신분 제도

(가)는 양반, (나)는 중인, (다)는 상민이다. 양반은 각종 특혜

를 받는 지배층으로, 생산 활동에 직접 참여하기보다 학문과 

가문을 배경으로 관직에 나가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오답 풀이  ①, ③ 상민에 대한 설명이다. ④ 상민은 법적으로 과거에

응시할 수 있었다. ⑤ 노비에 대한 설명이다.

02  방납의 폐단과 대동법 

자료는 방납의 폐단에 대한 설명이다. 방납의 폐단을 바로잡

⑵   모범 답안  지주에게 토지 1결당 쌀 2두를 결작으로 징수하

기 위해 광해군 때부터 시행한 대동법은 땅이 없거나 적은 농

였고, 왕실에서 거두던 어세·염세·선세를 정부 재정 수입

민들에게는 환영받았지만, 방납 업자와 지주층의 반대로 전

으로 바꾸었다. 또한 일부 부유한 상민에게 선무군관이라

국적으로 시행하는 데 오랜 시간이 걸렸다.

는 칭호를 주고 포를 징수하였다. 



오답 풀이  ①, ② 영정법에 대한 설명이다. ④, ⑤ 균역법의 시행으로

주요 내용  결작 징수, 어세·염세·선세를 정부 재정 수입으

줄어든 재정을 보충하기 위해 시행한 정책이다.

로  바꿈,  부유한  상민에게  선무군관이라는  칭호를  주고 

포 징수

채점 기준

주요 내용 중 세 가지를 모두 넣어 바르게 서술한 경우

주요 내용 중 두 가지만 넣어 바르게 서술한 경우

주요 내용 중 한 가지만 넣어 바르게 서술한 경우

24  임술 농민 봉기 

⑴  답  임술 농민 봉기

03  조선 후기의 광산 개발

자료는 조선 후기의 광산 개발에 대한 것이다. 조선 후기에

는 광물을 몰래 채취하는 잠채가 성행하였고, 덕대가 광산을 

경영하는 방식이 나타났다. 또한 수공업에서 선대제의 생산 

방식이 나타났고, 지주 전호제가 널리 확산되면서 타조법이 

일반적이 되었다. ② 조선 초기에 볼 수 있는 모습이다.

04  홍경래의 난

지도의 (가)는 홍경래의 난이다. 1811년 홍경래는 세도 정권

⑵   모범 답안   정부는  안핵사를  파견하여  사태를  수습하는  한

의 수탈과 서북 지방에 대한 차별 대우에 맞서 봉기하였다. 

편, 봉기의 원인이 된 삼정의 문란을 바로잡기 위해 삼정

홍경래는  평안도의  상인,  향임층,  무반,  광산  노동자,  농민 

이정청을 설치하였다.

등을 이끌고 봉기하였으나 정부군에 밀려 후퇴하였고, 끝내 

주요 내용  안핵사 파견, 삼정이정청 설치

패배하였다.

정답과 해설 17

대단원 

마무리하기

66~73쪽

06  신라의 성장

01 ⑤  02 ①  03 ④  04 ③  05 ④  06 ①  07 ②
08 ④  09 ⑤  10 ②  11 ③  12 ④  13 ⑤  14 ①
15 ③  16 ②  17 ③  18 ⑤  19 ①  20 ②  21 ③
22 ⑤  23 ①  24 ④  25 ④  26 ③  27 ③  28 ①
29 ⑴ 고조선 ⑵ 해설 참조
31 ⑴ 영조 ⑵ 해설 참조  

30 ⑴ 만적 ⑵ 해설 참조
32 ⑴ 북벌 ⑵ 해설 참조

제시된 유물은 호우총에서 출토된 청동 그릇으로, (가)는 신

라이다. 신라는 법흥왕 때 지배층의 신분제인 골품제를 정비



오답 풀이  ②, ③ 백제에 대한 설명이다. ④, ⑤ 고구려에 대한 설명

하였다. 

이다.

07  5세기 고구려 영토 확장 시기의 삼국의 모습

지도는 5세기 고구려의 영토 확장을 보여 준다. 장수왕은 수

도를  평양으로  옮기고(427)  남진  정책을  추진하였다.  이에 

01  구석기 시대의 생활 모습

공주 석장리 유적은 대표적인 구석기 유적이다. 구석기인들

백제와 신라가 나·제 동맹(433)을 맺어 맞섰지만, 고구려는 

은 식물 열매나 뿌리 등을 채집하거나 짐승을 사냥하면서 살

백제의  수도  한성을  함락하고  한강  유역을  차지하였다.  이 

았다. 또 무리를 지어 이동 생활을 하였으며, 동굴이나 바위 

시기 고구려는 만주와 한반도에 걸치는 광대한 영토를 차지

그늘에 거주하거나 막집을 짓고 살았다.

하여 동아시아의 강대국으로 성장하였다.



오답 풀이  ① 청동기 시대에 대한 설명이다. ② 철기 시대에 대한 설

명이다. ③ 신석기 시대에 대한 설명이다.

08  신라의 삼국 통일 과정

02  신석기 시대와 청동기 시대의 생활 모습

나·당 동맹이 체결된 후, 나·당 연합군은 먼저 백제를 공격

하여 멸망시켰고, 이후 고구려를 멸망시켰다. 백제와 고구려 

(가)는 빗살무늬 토기, (나)는 비파형 동검으로, 각각 신석기 

멸망 후 당이 한반도 전체를 지배하려 하자, 신라는 매소성

시대와 청동기 시대에 사용된 도구이다. 신석기 시대에는 농

과 기벌포 전투에서 승리하여 당을 몰아내고 삼국 통일을 완

경과 목축이 시작되면서 식량을 생산하는 단계에 이르렀다.

성하였다(676).

03  고조선의 사회 모습

09  신문왕의 국가 정비

대화의 우리 역사상 최초의 국가는 고조선이다. 고조선은 8

문무왕의 뒤를 이은 신문왕은 김흠돌의 반란 사건을 계기로 

조법을 만들어 사회 질서를 유지하였는데, 그 가운데 세 가

귀족 세력을 숙청하고 국왕 중심의 정치 운영을 확립하였다.  

지 조항만이 전해진다. 고조선이 멸망한 이후 법 조항은 60

또한 중앙과 지방 행정 조직 및 군사 조직을 재정비하였다.

여 조로 늘어났다.



오답 풀이  ㄱ. 경순왕에 대한 설명이다. ㄴ. 문무왕에 대한 설명이다.



오답 풀이  ① 신라에 대한 설명이다. ② 부여에 대한 설명이다. ③ 삼

국에 대한 설명이다. ⑤ 고구려에 대한 설명이다.

10  선종

04  연맹체 국가와 중앙 집권적 영역 국가

지도의 사찰들은 9산선문으로, 선종 승려들이 세운 것이다. 

선종은 실천적 경향이 강하였는데, 당시 지방 각지에서 성장

삼국은 연맹체 국가에서 출발하여 중앙 집권적 영역 국가로 

하던 호족과 성향이 일치하여 호족 세력의 후원을 받기도 하

발전하였다.  이  과정에서  왕위  세습권이  확립되었고,  중앙 

였다.

관료 조직이 개편되면서 각 부의 지배층은 중앙 귀족으로 편



오답 풀이  ① 통일 신라 시기 원효에 대한 설명이다. ③ 교종에 대한

입되었다. 또한 신분제 정비, 율령 반포 등을 통해 사회 질서

설명이다. ⑤ 선종은 신라 말에 널리 확산되었다.

(가)는 고구려, (나)는 백제이다. 백제는 4세기 후반 근초고

을 끼친다는 풍수지리설이 유행하였다. 선종은 통일 무렵에 

왕 때 마한의 소국들을 정복하여 남해안까지 진출하였고, 고

전래되었으나, 교종의 위세에 눌려 두각을 나타내지 못하다

구려를 공격하여 황해도 일대를 차지하기도 하였다. 

가 신라 말에 널리 확산되었다. 

11  신라 말 사상계의 동향

신라 말에는 산세나 지형적 요인이 인간의 길흉화복에 영향

를 유지하고자 하였다.

05  고구려와 백제의 성장

18 정답과 해설

12  광종의 정책

18  고려 시대의 향리

자료는  광종  7년(956)에  실시된  노비안검법으로,  (가)  왕은 

(가)는 향리이다. 향리는 호장과 부호장을 비롯한 여러 직위

광종이다. 광종은 과거제를 실시하여 유교적 소양을 갖춘 신

로 구분되었다. 향리 중 일부는 과거를 통해 중앙의 관리가 

진 관료를 등용하였고, 자신을 황제라 부르게 하고 독자적인 

되기도 하였다. 



오답 풀이  ① 양반에 대한 설명이다. ② 노비에 대한 설명이다. ③ 문



오답 풀이  ㄱ. 태조 재위 시기의 사실이다. ㄷ. 성종 재위 시기의 사실

벌에 대한 설명이다. ④ 향·부곡·소의 주민에 대한 설명이다.

연호를 사용하였다.

이다.

19  의천의 사상

13  고려의 지방 행정 조직

의천은 불교계의 갈등을 해결하기 위해 교종과 선종을 통합

고려 초기에는 호족들이 각 지역을 다스렸으나, 성종 때 주

하려  하였다.  그리고  수행  방법으로  이론의  연마와  실천을 

요 지역에 지방관을 파견하면서 지방 행정 조직이 정비되기 

같이 강조하는 교관겸수를 제시하였다. 

시작하였다. 이후 5도 양계를 골격으로 한 지방 제도가 완비



오답 풀이  ②, ⑤ 원효에 대한 설명이다. ③ 지눌에 대한 설명이다. ④

되었고, 특수 행정 구역으로 향·부곡·소 등을 두었다.

신라 말 선종에 대한 설명이다.



오답 풀이  ① 백제에 대한 설명이다. ② 삼한에 대한 설명이다. ③ 조

선에 대한 설명이다.

14  고려의 거란 침략 격퇴

20  6조 직계제

자료는 6조 직계제를 보여 준다. 6조 직계제는 6조가 의정부

를 거치지 않고 사안을 직접 왕에게 보고하는 국왕 중심의 정

고려는  발해를  멸망시킨  거란을  적대시하고  송과  교류하였

치 체제로, 태종과 세조 때 시행하였다.

다. 이에 거란이 송을 공격하기에 앞서 고려를 침략하였다. 

세 번의 침략을 물리친 이후 고려는 거란과 외교 관계를 유지

21  사림 세력의 성장

하는 한편, 개경에 나성을 쌓고 압록강에서 영흥 지역을 거

(가)는  사림  세력이다.  사림은  사화로  큰  피해를  입었지만, 

쳐 동해안에 이르는 천리장성을 쌓았다.

15  고려와 여진의 관계

서원과 향약을 바탕으로 향촌 사회에서 자신들의 세력을 꾸

준히 길러 나갔다. 그 결과 선조 때 정국을 주도하였고, 이후 

이조 전랑의 자리를 두고 갈등하다가 동인과 서인으로 나뉘

국경을 침범하는 여진을 상대하기 위해 고려는 별무반을 창

었다. 

설하였고, 윤관이 별무반을 이끌고 여진을 정벌한 뒤 동북 9



오답 풀이  ㄱ. 훈구 세력에 대한 설명이다. ㄹ. 급진 개혁파 신진 사대

성을 설치하였다. 그러나 여진의 계속된 침입에 방어가 어렵

부에 대한 설명이다.

게 되자, 조공을 약속받고 돌려주었다. 이후 세력을 키운 여

진은  금을  세웠고,  거란을  멸망시키고  송을  남쪽으로  밀어 

22  영조와 정조의 정치 운영

냈다. 

(가)는 영조, (나)는 정조이다. 영조와 정조가 추구한 탕평 정

치는 붕당 간의 세력 균형을 통한 국왕 중심의 정치 운영을 

16  묘청의 서경 천도 운동

목적으로 하였다.

자료는 묘청 등이 일으킨 서경 천도 운동(1135)이다. 묘청 등

은  서경에서  반란을  일으켰으나  김부식이  이끄는  정부군에 

23  임진왜란 이후의 변화

의해 1년 만에 진압되었다. 

17  권문세족과 신진 사대부

자료는 임진왜란의 전개 과정을 보여 주는 지도이다. 임진왜

란 이후 큰 피해를 입은 조선은 국가 재정이 궁핍해졌다. 일

본에서는 정권이 교체되어 도쿠가와 이에야스가 에도 막부를 

(가)는 권문세족, (나)는 신진 사대부이다. 신진 사대부는 유

세웠고, 조선에서 약탈해 간 문화재와 기술자 등을 바탕으로 

교 원리에 따라 국가를 운영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도자기 문화가 발달하였다. 만주에서는 명의 국력이 약해진 



오답 풀이  ① 문벌 세력에 대한 설명이다. ② 신진 사대부에 대한 설

틈을 타서 여진족이 급속히 성장하여 부족을 통합하고 후금

명이다. ④ 권문세족에 대한 설명이다. ⑤ 무신들에 대한 설명이다.

을 세웠다.

정답과 해설 19

24  광해군의 중립 외교 정책

(가)는 광해군이다. 후금이 명을 공격하자, 명이 조선에 원군

30  만적의 난

⑴  답  만적 

을 요청하였다. 광해군은 강성해지는 후금과의 직접적 충돌

⑵   모범 답안  권력을 잡은 무신들의 전횡이 계속되고 지배 체

을 피하기 위해 명과 후금 사이에서 중립 외교 정책을 폈다. 

제가  문란해지면서  지방관들의  수탈도  심해졌다.  한편, 



오답 풀이  ① 정조에 대한 설명이다. ② 성종에 대한 설명이다. ③ 효

이의민처럼 천민 출신으로 무신 집권자가 된 경우가 나타

종에 대한 설명이다. ⑤ 숙종에 대한 설명이다.

나면서  백성들  사이에는  신분  상승에  대한  기대감이  커 

25  성리학과 실학

(가)는 성리학, (나)는 실학이다. 유형원, 이익, 정약용 등은 

대한 기대감 커짐

졌다.

주요 내용  지배 체제가 문란, 지방관들의 수탈, 신분 상승에 

농민 생활 안정을 위한 토지 개혁을 주장하였다. 유수원, 홍

대용, 박지원, 박제가 등은 상공업 발전을 중요하게 여겨 청

과의 적극적인 교류를 통해 발달된 문물과 기술을 받아들일 

것을 주장하였다. 

26  대동법의 시행 목적

채점 기준

주요 내용 중 세 가지를 모두 넣어 바르게 서술한 경우

주요 내용 중 두 가지만 넣어 바르게 서술한 경우

주요 내용 중 한 가지만 넣어 바르게 서술한 경우

(가)에 들어갈 정책은 대동법이다. 대동법은 방납의 폐단 등

이 발생하자 공물을 현물 대신 토지 1결당 쌀 12두 또는 삼

베, 무명, 동전 등으로 거두어들인 제도였다. 

31  영조의 정치 운영
⑴  답  영조 

배점







배점







배점





⑵   모범 답안  탕평파를 육성하여 이들을 중심으로 정국을 운영

하였다. 또한 이조 전랑의 인사권을 약화하고, 붕당 정치

의 근거지인 서원을 대폭 정리하였다. 

주요 내용  탕평파 육성, 이조 전랑의 인사권 약화, 서원 대

폭 정리

채점 기준

주요 내용 중 세 가지를 모두 넣어 바르게 서술한 경우

주요 내용 중 두 가지만 넣어 바르게 서술한 경우

주요 내용 중 한 가지만 넣어 바르게 서술한 경우

⑵   모범 답안  청의 국력이 더욱 커져 북벌은 현실적으로 어려

웠으며, 효종의 죽음과 함께 북벌 계획은 중단되었다.

주요 내용  청의 국력이 더욱 커져 현실적으로 어려움, 효종

의 죽음

채점 기준

주요 내용 중 두 가지를 모두 넣어 바르게 서술한 경우

주요 내용 중 한 가지만 넣어 바르게 서술한 경우

27  조선 후기의 사회 모습

자료는  조선  후기  농민층이  분화되어  가는  상황을  보여  준

다. 이 시기 지주 전호제가 널리 확산되면서 일부 소작농은 

좀 더 유리한 경작 조건을 얻어 내고 지대 부담을 줄이기 위

해 노력하였다. 

28  홍경래의 난의 배경

자료는 홍경래의 격문이다. 1811년 홍경래는 세도 정권의 수

탈과  서북  지방에  대한  차별  대우에  맞서  가산에서  봉기하 

였다. 

32  북벌 운동
⑴  답  북벌

29  고조선의 8조법
⑴  답  고조선

⑵   모범 답안  개인의 노동력과 사유 재산을 중시하였으며, 형

벌과 노비가 존재하는 계급 사회였다.

주요 내용  사유 재산 중시, 형벌과 노비 존재, 계급 사회

채점 기준

주요 내용 중 세 가지를 모두 넣어 바르게 서술한 경우

주요 내용 중 두 가지만 넣어 바르게 서술한 경우

주요 내용 중 한 가지만 넣어 바르게 서술한 경우

배점







20 정답과 해설

II 근대 국민 국가 수립 운동

1

서구 열강의 접근과 조선의 대응

기본 문제로 
내신 다지기

01 ②  02 ④  03 ①  04 ②  05 ④  06 ②  07 ④
08 ④  09 ①  10 ①  11 ⑤  12 ①  13 ⑤  14 ③
15 ④  16 ②  17 ⑴ (가) 난징 조약, (나) 미·일 화친 조약
19 ⑴ 서원 ⑵ 해설 참조

18 해설 참조

⑵ 해설 참조
20 ⑴ 통상 수교 거부 정책 ⑵ 해설 참조

01  난징 조약의 체결

제1차 아편 전쟁(1840~1842)의 결과 청과 영국 사이에 난징 

조약이 체결되었다. 이 조약은 청이 영국에 막대한 배상금을 

지불하고, 상하이 등 5개 항구 개항과 홍콩 할양을 약속하는 

등 불평등한 내용을 담고 있었다.



오답 풀이  ㄴ, ㄹ. 제2차 아편 전쟁(1856~1860)에서 패배한 청은 톈

진 조약과 베이징 조약을 맺어 추가로 10개 항구를 개항하고 외국 공

사의 베이징 주재를 허용하였다. 러시아는 베이징 조약을 중재한 대

가로 청으로부터 연해주를 얻었다.

02  미·일 화친 조약의 체결 배경

미·일 화친 조약(1854)은 1853년 페리가 이끄는 미국 함대가 

에도  앞바다에서  무력시위를  벌이면서  개항을  요구한  것을 

배경으로 체결되었다.

03  19세기 조선의 상황

05  흥선 대원군의 개혁 정치

(가)에 들어갈 인물은 ‘흥선 대원군’이다. 흥선 대원군은 세도 

가문이 주도하던 비변사를 사실상 폐지하였으며, 『대전회통』

과 『육전조례』 등 새로운 법전을 편찬하여 통치 체제를 재정

비하였다. 또한 왕실의 권위 회복을 위해 경복궁을 중건하였

다. 흥선 대원군은 민생 안정과 국가 재정 확충을 위해 서원

78~82쪽

을 47개소만 남기고 모두 철폐하였고, 삼정의 문란을 해결하

고자 양전 사업, 호포제, 사창제 등을 실시하였다. ④ 흥선 

대원군은 서양의 통상 수교 요구를 거부하였다.

06  경복궁 중건과 당백전 발행

자료는 ‘당백전’에 관한 설명이다. 흥선 대원군은 왕실의 권

위를 세우기 위해 임진왜란 때 불에 타 방치된 경복궁을 중건

하였다. 그러나 경복궁의 중건에는 막대한 자금이 필요하였

다.  이에  원납전이라는  명목의  기부금을  강제로  징수하고, 

당백전이라는 고액 화폐를 발행하였다.

07  경복중 중건과 원납전 징수

흥선 대원군은 경복궁 중건에 필요한 공사비를 마련하기 위

해 원납전이라는 명목의 기부금을 강제로 징수하고, 고액 화

폐인 당백전을 발행하였으며, 도성문을 출입하는 사람들에게 

통행세를 징수하였다.

08  서원 철폐

자료는 서원 철폐와 관련된 내용이다. 흥선 대원군은 선현에 

대한 제사를 명목으로 백성들을 수탈하여 원성을 샀던 서원

을 대폭 정리하여 전국에 47개소만 남기고 모두 철폐하였다. 

철폐된 서원 소유의 토지와 노비는 몰수하여 국가 재정을 확

충하였다.  백성들은  서원  철폐를  크게  환영하였으나,  양반 

유생들은 강력하게 반발하였다.

19세기 들어 ‘이양선’이라 불리는 서양 선박이 조선의 연해에 



오답 풀이  ㄱ. 양전 사업으로 인한 효과이다. ㄷ. 철폐 전 서원이 갖고

잇달아 출몰하였다. 이 시기는 세도 정치기로 관리들의 부정

있던 특권이다.

부패가 만연하였다. 이는 농민 수탈로 이어졌고, 삼정의 문

란을 견디다 못한 농민들은 전국 각지에서 봉기를 일으켰다. 

09  호포제 실시

이 시기 왕조 교체나 반란을 예고하는 예언 사상이 유행하였

흥선 대원군은 군역의 폐단을 시정하기 위해 호포제를 실시

으며, 최제우가 창시한 동학이 농민들 사이에 널리 퍼졌다. 

하였다. 호포제는 호(戶) 단위로 군포를 징수하는 제도로, 종

① 탕평책은 18세기 영조와 정조 시기에 실시되었다. 

래 상민에게만 거두었던 군포를 양반에게도 징수하였다.

04  이양선과 흥선 대원군의 통상 수교 거부 정책

10  호포제 실시의 결과

19세기 들어 조선 연해에 이양선이 빈번하게 출몰하면서 통

㉠은 흥선 대원군이 군정의 폐단을 시정하기 위해 시행한 호

상을 요구하였다. 흥선 대원군은 서양 세력의 통상 수교 요

포제이다. 호포제의 실시로 종래 상민에게만 거두었던 군포

구가 군사적 침략으로 이어진다고 여겨 이를 거절하였다.

를 양반에게도 징수하였다.

정답과 해설 21

11  호포제와 사창제 실시의 공통적인 목적

제시된 정책들은 삼정의 문란을 해결하기 위해 흥선 대원군

이 추진한 정책들이다. 호포제는 군정의 폐단을 시정하기 위

17  난징 조약과 미·일 화친 조약의 이해

해, 사창제는 가장 문제가 많았던 환곡의 폐단을 없애기 위

⑴  답  (가) 난징 조약, (나) 미·일 화친 조약      

해 시행하였다.

12  병인양요의 배경

⑵   모범 답안  한 나라가 제3국에게 부여한 가장 유리한 조건을 

조약 상대국에도 부여하는 것이다.  

주요 내용  한 나라가 제3국에게 부여한 가장 유리한 조건, 

자료는 병인양요의 전개 과정 및 결과를 보여 준다. 병인양

조약 상대국에게도 부여

요는 8,000여 명의 천주교도와 9명의 프랑스 선교사를 처형

채점 기준

한 병인박해를 구실로 일어났다. 



오답 풀이  ②, ④, ⑤ 제너럴셔먼호 사건을 구실로 신미양요가 일어났

고, 그 이후 척화비가 건립되었다. ③ 동학은 1860년에 창시되어 19

주요 내용 중 두 가지를 모두 넣어 바르게 서술한 경우

주요 내용 중 한 가지만 넣어 바르게 서술한 경우

세기에 널리 확산되었다.

13  의궤에 대한 이해

ㄷ. 의궤는 조선 시대 왕실과 국가의 주요 행사 내용을 글과 

그림으로 기록한 책이다. 

ㄹ.  병인양요  때  프랑스군에게  약탈당한  이후  프랑스  국립 

도서관에 방치되어 있던 것을 박병선 박사가 발견하여 1975

년 이 사실이 국내에 알려지게 되었다.



오답 풀이  ㄱ. 외규장각 의궤는 대부분 왕이 보는 어람용이었다.

ㄴ. 2011년 우리나라에 완전 반환이 아닌 영구 임대 방식으로 반환되

어 소유권은 여전히 프랑스에 있다는 문제점이 남아 있다.

요를 일으켰다. 



오답 풀이  ① 병인박해에 대한 설명이다. ④ 병인양요에 대한 설명이

다. ⑤ 병인박해의 배경에 해당한다.

15  병인양요부터 척화비 건립까지의 시기에 일어난 사건

(다) 1866년에 일어난 병인양요 → (라) 1868년에 일어난 오

페르트 도굴 미수 사건 → (나) 1871년에 일어난 신미양요 → 

(가) 신미양요 이후 흥선 대원군이 전국 각지에 척화비 건립

의 순으로 전개되었다. 

16  척화비 건립

흥선 대원군은 신미양요 이후 전국 각지에 척화비를 세워 서

양과의 통상을 거부한다는 의지를 널리 알렸다.



오답 풀이  ㄴ. 신미양요 이후 세워졌다. ㄷ. 고종이 아니라 흥선 대원

군의 대외 정책을 상징하는 비석이다.

22 정답과 해설

배점





배점







배점





18  흥선 대원군의 개혁 정치

모범 답안   흥선  대원군은  왕권을  강화하기  위해  세도  정치를 

펴던 안동 김씨 세력을 축출하였다. 또한 세도 가문이 주도

하던 비변사를 사실상 폐지하고 의정부와 삼군부의 정치·군

사 기능을 부활하였으며, 『대전회통』과 『육전조례』 등 새로운 

법전을 편찬하여 통치 체제를 재정비하였다.

주요 내용  안동 김씨 세력 축출, 비변사 사실상 폐지, 의정부와 

삼군부의 정치·군사 기능 부활, 『대전회통』과 『육전조례』 등 

새로운 법전 편찬 등 통치 체제 재정비

채점 기준

주요 내용 중 세 가지 이상 넣어 바르게 서술한 경우

19  서원 철폐
⑴  답  서원

⑵   모범 답안  제시된 자료는 서원 철폐와 관련된 내용이다. 흥

선 대원군은 선현에 대한 제사를 명목으로 백성들을 수탈

하여 원성을 샀던 서원을 대폭 정리하여 전국에 47개소만 

남기고 모두 철폐하였다. 철폐된 서원 소유의 토지와 노

비는 몰수하여 국가 재정을 확충하였다.  

주요 내용  서원 대폭 정리, 철폐된 서원 소유의 토지와 노비

는 몰수하여 국가 재정 확충

채점 기준

주요 내용 중 두 가지를 모두 넣어 바르게 서술한 경우

주요 내용 중 한 가지만 넣어 바르게 서술한 경우

14  신미양요의 발생 배경

자료는 제너럴셔먼호 사건(1866)이다. 미국은 이 사건을 구

주요 내용 중 두 가지만 넣어 바르게 서술한 경우

실로 1871년 5척의 군함을 앞세워 강화도를 침략하는 신미양

주요 내용 중 한 가지만 넣어 바르게 서술한 경우

20  흥선 대원군의 통상 수교 거부 정책
(1)  답  통상 수교 거부 정책      

초지진, 덕진진을 함락하였다. 광성보에서 어재연 부대가 항

전하였으나, 전력의 열세로 패배하였다. 

(2)   모범 답안  서양 세력의 침투를 일시적으로 저지할 수 있었

다. 그러나 급변하는 국제 정세에 제대로 대응하지 못하

여 조선의 근대화가 늦어지는 결과를 가져왔다.

 

  주요 내용  서양 세력의 침투를 일시적으로 저지, 급변하는 

국제 정세에 제대로 대응하지 못함, 조선의 근대화가 늦

어지는 결과를 가져옴

채점 기준

주요 내용 중 세 가지를 모두 넣어 바르게 서술한 경우

주요 내용 중 두 가지만 넣어 바르게 서술한 경우

주요 내용 중 한 가지만 넣어 바르게 서술한 경우

배점







2

동아시아의 변화와 근대적 개혁의 추진

기본 문제로 
내신 다지기

87~92쪽

01 ③  02 ②  03 ④  04 ④  05 ③  06 ③  07 ②
08 ②  09 ④  10 ⑤  11 ①  12 ③  13 ④  14 ⑤
15 ⑤  16 ②  17 ①  18 ②  19 ④  20 ③
21 ⑴ 강화도 조약 ⑵ 해설 참조  22 해설 참조
23 ⑴ 임오군란 ⑵ 해설 참조
24 ⑴ 갑신정변 ⑵ 해설 참조

고난도 문제로 
내신 완성하기

01 ④  02 ⑤  03 ②  04 ④

83쪽

01  청의 양무운동

01  삼정의 문란을 해결하기 위한 흥선 대원군의 정책

(가)는  호포제이다.  흥선  대원군은  군정의  폐단을  시정하기 

위해 군포를 호(戶) 단위로 걷는 호포제를 실시하여 종래 상

02  메이지 정부의 개혁 내용

민에게만 거두었던 군포를 양반에게도 징수하였다.

밑줄 친 ‘개혁’은 청이 실시한 양무운동이다. 청의 양무파 관

료들은 군사력 증강을 위해 금릉 기기국과 같은 군수 공장을 

건설하고, 근대적 육군과 해군을 창설하였다. 



오답 풀이  ㄴ, ㄷ. 일본의 메이지 정부가 추진한 개혁이다.

1868년 메이지 유신 이후 일본의 메이지 정부는 신분제 폐

지, 징병제 실시, 근대 산업 육성 등의 근대 국가 수립을 위

한 개혁을 추진하였다.

02  병인양요의 발발

(가)는 1866년에 일어난 제너럴셔먼호 사건이다. (나)는 1868

년에 일어난 오페르트 도굴 미수 사건이다. (가)와 (나) 사이 

03  초기 개화사상가 오경석

시기에 병인양요가 발발하였다. 병인양요 때 프랑스군에 대

자료에서 북학파의 영향을 받고 개화파에 영향을 끼친 것으

항하여 양헌수 부대가 정족산성에서 항전하였다.

03  병인년(1866)과 신미년(1871) 시기에 있었던 일

로  보아  (가)는  초기  개화사상가임을  알  수  있다.  대표적인 

초기 개화사상가로는 박규수, 오경석, 유홍기가 있다. 오경

석은 역관으로 여러 차례 청에 왕래하면서 『해국도지』, 『영환

(가)  시기는  병인년(1866),  (나)  시기는  신미년(1871)이다.  

지략』 등의 서적을 가져와 서양의 기술과 문물을 소개하였다.

(가) 시기에 프랑스군이 강화도를 침략하는 병인양요가 발생



오답 풀이  ① 최익현은 1870년대의 위정척사 운동을 주도한 대표적인

하였으며, 철수 과정에서 외규장각 도서를 약탈하였다. (나) 

인물이다. ② 박제가는 북학파 실학자의 대표적인 인물이다. ③ 김옥

시기에 미군이 강화도를 침략하는 신미양요가 발생하였다.

균은 급진 개화파의 대표적인 인물로 갑신정변을 주도하였다. ⑤ 김



오답 풀이     ㄴ.  오페르트  도굴  미수  사건은  1868년에  일어났다.  ㄷ.

윤식은 온건 개화파를 대표하는 인물이다.

1863년의 일이다.

04  신미양요의 전개

초지진과 덕진진을 거쳐 광성보로 침략하는 경로를 통해 지

청에 사신으로 다녀오면서 청의 문호 개방 과정과 양무운동 

도에 나타난 사건은 신미양요임을 알 수 있다. 미국은 제너

등을 직접 목격한 후 조선의 부국강병을 위해서는 개국 통상

럴셔먼호 사건을 구실로 통상을 요구하며 강화도를 침략하여 

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였다. 

04  박규수의 개국 통상론

자료는 박규수의 보고서이다. 박지원의 손자였던  박규수는 

정답과 해설 23

05  강화도 조약의 체결 배경

론을 주장하며 개항 반대 운동을 전개하였다. 위정척사 운동

자료는 강화도 조약(1876)이다. 강화도 조약은 일본이 조선 

은 양반 중심의 성리학적 질서를 유지하려 하였다는 한계가 

침략의 발판을 마련하기 위해 일으킨 운요호 사건을 계기로 

있으나,  외세의  침략을  반대하는  반외세,  반침략  운동이었

체결되었다. 

06  강화도 조약의 내용

다. ①은 급진 개화파의 주장이다. 

12  최익현의 왜양일체론이 제기된 시기

강화도 조약은 조선이 외국과 맺은 최초의 근대적 조약이었

자료는 최익현의 왜양일체론이다. 1876년 강화도 조약의 체

으나, 해안 측량권, 영사 재판권 등을 인정한 불평등 조약이

결을 전후한 시기에 최익현을 비롯한 유생들은 일본도 서양과 

었다.

다를 바 없다는 왜양일체론을 주장하며 개항에 반대하였다.



오답 풀이  ㄱ. 조·미 수호 통상 조약의 내용이다. ㄹ. 임오군란 이후

체결된 제물포 조약의 내용이다.

13  제물포 조약의 체결 배경

자료는 1882년 임오군란 이후 조선과 일본 사이에 체결된 제

물포 조약이다. 구식 군인들이 일으킨 임오군란의 결과 제물

07  조·일 무역 규칙의 내용

조·일 무역 규칙이 체결되어 쌀과 잡곡의 유출을 제한할 수 

포 조약이 체결되었다. 

없었고, 일본 수출입 상품에 대한 관세를 부과할 수 없었다.



오답 풀이  ㄴ, ㄷ. 조·청 상민 수륙 무역 장정과 관련된 내용이다.

14  임오군란의 결과

08  『조선책략』의 유포 결과

임오군란이  청에  의해  진압된  결과,  청은  조선에  마젠창과 

묄렌도르프를 고문으로 파견하여 조선의 내정과 외교 문제에 

자료는 1880년 김홍집이 일본에 수신사로 다녀오면서 가져

간섭하였고, 조·청 상민 수륙 무역 장정을 체결하여 청 상인

온 황준헌의 『조선책략』의 내용이다. 이 책이 널리 유포되자, 

의 내륙 진출과 치외 법권을 인정받았다.

미국과의  수교가  필요하다는  주장이  힘을  얻어  갔다.  이에 



오답 풀이  ㄱ. 조선 중립화론의 배경이다. ㄴ. 갑신정변 이후 청과 일

조선은 1882년 청의 알선으로 미국과 조·미 수호 통상 조약

본 사이에 톈진 조약이 체결되었다.

을 체결하였다.

09  조·미 수호 통상 조약의 내용

15  개화파 분화의 배경

임오군란 이후 청의 내정 간섭이 강화되면서 청에 대한 입장

자료는 조·미 수호 통상 조약(1882)의 내용이다. 이 조약은 

과 개화 정책의 추진 방법 등을 둘러싸고 온건 개화파와 급진 

조선이 서양 국가와 맺은 최초의 조약으로, 거중 조정 조항

개화파로 나뉘었다.

과 수출입 상품에 대한 관세 조항을 규정하였다. 그러나 영

사 재판권과 최혜국 대우를 규정하여 조선에 불리한 불평등 

16  급진 개화파와 온건 개화파의 이해

조약이었다.  

10  통리기무아문과 정부의 개화 정책

온건 개화파는 김홍집, 김윤식, 어윤중 등이 주축이었다. 이

들은 청과의 전통적인 외교 관계를 중시하면서 전통적인 유

교 질서는 유지하되 서양의 발달된 기술만을 수용하자고 주

(가)는 통리기무아문이다. 정부는 통리기무아문 아래 12사를 

장하였다. 반면, 급진 개화파는 일본의 메이지 유신을 본받

두어 외교, 통상, 재정, 군사 등의 업무를 맡게 하였다. 또한 

아 적극적인 근대화 정책을 추구하였다. 이들은 청과의 사대 

별기군을 창설하고 종래의 5군영을 2영으로 통합 개편하였

관계를 청산하고, 서양의 기술뿐만 아니라 사상과 제도까지 

다. 일본에는 조사 시찰단을, 청에는 영선사를 파견하였다.

수용하자고 주장하였다.



오답 풀이  ㄱ, ㄴ. 갑신정변 당시 개화당 정부가 발표한 개혁 정강의



오답 풀이  ㄴ. 기정진, 이항로는 1860년대 위정척사 운동을 주도한 인

물들이다. ㄷ. 청에 대한 사대 관계 유지를 주장하였다.

17  개혁 정강의 내용

(가)는 위정척사 운동이다. 1860년대에는 이항로, 기정진 등

급진 개화파는 1884년 갑신정변을 일으킨 후 개화당 정부를 

이 척화주전론을 주장하며 통상 반대 운동을 전개하였고, 강

수립하였다.  개화당  정부는  정치  개혁을  위해  개혁  정강을 

화도 조약 체결을 전후한 1870년대에는 최익현이 왜양일체

발표하였는데, 여기에는 청에 대한 사대를 청산할 것, 내각 

내용이다.

11  위정척사 운동

24 정답과 해설

제도를 수립할 것, 문벌을 폐지할 것, 재정을 일원화할 것, 

주요 내용  1880년대 정부가 개화 정책 추진, 『조선책략』 유포, 

지조법을 개혁할 것 등의 내용이 담겨 있었다.

미국과 통상 조약 체결하려 함



오답 풀이  ㄷ. 온건 개화파의 주장이다. ㄹ. 1880년대 조선 정부는 동

도서기의 입장에서 개화 정책을 추진하였다.

18  갑신정변의 한계

갑신정변은 일본의 군사적  지원에 지나치게 의존하였으며, 

일반 백성의 지지를 이끌어 내지 못했다는 한계가 있다.



오답 풀이  ① 개화당 정부는 정치, 경제 전반에 대한 개혁 정강을 발

표하였다. ③ 위정척사 운동에 대한 설명이다. ④ 임오군란의 배경이

다. ⑤ 흥선 대원군의 통상 수교 거부 정책의 한계이다.

19  갑신정변의 결과

사진은 갑신정변이 일어났던 우정총국이다. 급진 개화파는 

우정총국 개국 축하연을 이용하여 정변을 일으켜 민씨 정권

의 고관들을 죽이고 개화당 정부를 수립하였다. 갑신정변의 

채점 기준

주요 내용 중 세 가지를 모두 넣어 바르게 서술한 경우

주요 내용 중 두 가지만 넣어 바르게 서술한 경우

주요 내용 중 한 가지만 넣어 바르게 서술한 경우

23  임오군란의 결과
⑴  답  임오군란  

⑵   모범 답안  조·청 상민 수륙 무역 장정, 조선이 청의 속방임

을 명문화하였으며, 청 상인의 내륙 진출과 치외 법권을 

주요 내용  조·청 상민 수륙 무역 장정, 조선이 청의 속방임

을 명문화, 청 상인의 내륙 진출 인정, 청 상인의 치외 법

인정하였다.

권 인정

결과 조선과 일본 사이에 한성 조약이 체결되었고, 청과 일

채점 기준

본 사이에는 톈진 조약이 체결되었다.



오답 풀이  ㄱ. 조·미 수호 통상 조약 체결(1882) 이후의 일이다. ㄷ. 임

오군란(1882) 이후에 체결되었다.

주요 내용 중 세 가지 이상 넣어 바르게 서술한 경우

주요 내용 중 두 가지만 넣어 바르게 서술한 경우

주요 내용 중 한 가지만 넣어 바르게 서술한 경우

20  19세기 말 한반도를 둘러싼 열강의 각축

지도는  19세기  말  한반도를  둘러싼  열강의  각축을  보여  준

다. 이러한 상황에서 조선을 중립국으로 만들자는 논의가 나

타났다.

24  갑신정변의 의의와 한계
⑴  답  갑신정변  

⑵   모범 답안  청의 간섭을 물리치고 자주적 근대 국가 건설을 

위해 전개된 정치 개혁 운동이었다. 그러나 일본의 군사

적  지원에  지나치게  의존하였으며,  일반  백성의  지지를 

이끌어 내지 못하였다.  

주요 내용  자주적 근대 국가 건설을 위해 전개된 정치 개혁 

운동, 일본의 군사적 지원에 지나치게 의존, 일반 백성의 

지지를 이끌어 내지 못함

채점 기준

주요 내용 중 세 가지를 모두 넣어 바르게 서술한 경우

주요 내용 중 두 가지만 넣어 바르게 서술한 경우

주요 내용 중 한 가지만 넣어 바르게 서술한 경우

21  강화도 조약의 체결
⑴  답  강화도 조약 

⑵   모범 답안  해안 측량권과 영사 재판권을 인정하였다.

주요 내용  해안 측량권, 영사 재판권

채점 기준

주요 내용 중 두 가지를 모두 넣어 바르게 서술한 경우

주요 내용 중 한 가지만 넣어 바르게 서술한 경우

배점





배점







배점







배점







22  영남 유생들의 만인소 제기 배경

모범 답안  1880년대에는 정부가 개화 정책을 추진하면서 『조선

책략』을 유포하고 미국과 통상 조약을 체결하려 하자, 이에 

대한 반발이 대대적으로 일어났다.

고난도 문제로 
내신 완성하기

01 ③  02 ④  03 ①  04 ③

93쪽

정답과 해설 25

01  강화도 조약과 조·미 수호 통상 조약의 공통점

01  동학의 이해

(가)는 강화도 조약, (나)는 조·미 수호 통상 조약이다. (가)

‘최제우의 신원을 조정에 아뢰어 달라.’는 내용을 통해 (가)에 

와 (나)의 공통적인 조항은 영사 재판권이었다.

들어갈 말이 동학임을 알 수 있다. 동학은 평등과 반외세를 



오답 풀이  ①, ⑤ 조·미 수호 통상 조약의 내용이다. ② 조선과 일본

주장하여 지배층의 수탈과 외세의 경제 침탈에 시달리던 농

사이에 체결된 제물포 조약의 내용이다. ④ 조·일 무역 규칙의 내용

민들에게 큰 호응을 얻었다. 제2대 교주 최시형은 『동경대전』 

이다. 조·미 수호 통상 조약에는 관세 부과 조항이 있었다.

과 『용담유사』를 간행하여 교리를 정리하고, 교단 조직인 포

‘구식 군인들의 분노가 폭발’ 등의 내용을 통해 신문 기사가 

임오군란에 대한 것임을 알 수 있다. ④ 갑신정변에 대한 내

02  임오군란

용이다.

03  갑신정변

자료는 갑신정변에 대한 내용이다. 갑신정변을 일으킨 개화

당 정부는 지조법 개혁, 청에 대한 조공 허례 폐지 등을 포함

한 개혁 정강을 발표하였으나, 청의 군사 개입으로 정변은 3

일 만에 실패하였다.



오답 풀이  ㄷ, ㄹ. 임오군란의 결과이다.

04  유길준의 조선 중립화론

자료는 유길준의 조선 중립화론이다. 영국의 거문도 점령 등 

한반도를 둘러싼 열강들의 각축이 심해지자, 독일 부영사 부

들러와 유길준은 조선을 아시아의 중립국으로 만들자는 주장

을 하였다. 그러나 조선 정부와 열강들은 이에 관심을 보이

지 않았다.

3

근대 국민 국가 수립을 위한 노력

기본 문제로 
내신 다지기

01 ⑤  02 ⑤  03 ⑤  04 ④  05 ②  06 ④ 07 ④
08 ①  09 ④  10 ⑤  11 ⑤  12 ③  13 ⑤ 14 ③
15 ①  16 ⑤  17 ④  18 ③  19 ④  20 ⑤
21 ⑴ 집강소 ⑵ 해설 참조 22 ⑴ 을미사변 ⑵ 해설 참조
23 ⑴ 헌의 6조 ⑵ 해설 참조
24 ⑴ 구본신참 ⑵ 해설 참조

26 정답과 해설

접제를 정비하면서 적극적으로 포교 활동에 나섰다. 그 결과 

삼남  지방을  중심으로  동학의  교세가  크게  확장되었다.  ⑤ 

위정척사 운동에 대한 설명이다.

02  동학의 교조 신원 운동

동학의  교세가  확장되자  동학교도들은  억울하게  죽은  교조 

최제우의 누명을 벗기고 포교의 자유를 얻고자 교조 신원 운

동을 전개하였다. 공주를 시작으로 삼례, 서울, 보은 등지에

서 집회가 열렸고, 특히 보은 집회에서는 종교적 요구 이외

에 탐관오리 숙청, 외세 배척 등의 정치적 요구도 제기되었다.



오답 풀이  ㄱ. 제2차 동학 농민 봉기에 대한 설명이다. ㄴ. 사발통문은

전봉준이 고부 농민 봉기를 계획하며 작성한 것이다.

03  고부 농민 봉기와 사발통문

자료의 문서는 사발통문으로, 사발통문의 작성 배경은 고부 

농민 봉기이다. 사발통문을 돌려 봉기를 계획하던 전봉준은 

1894년 1월 농민들을 이끌고 고부 관아를 습격하고, 조병갑

을 내쫓는 등 고부 농민 봉기를 일으켰다. 

04  동학 농민군의 제1차 봉기

자료는 동학 농민군이 제1차 봉기 당시에 발표한 4대 강령이

다. 제1차 봉기는 고부 농민 봉기와 청·일 전쟁 사이에 일어

났다.

05  동학 농민 운동의 전개 과정

전주 화약 이후 설치된 농민 자치 조직인 집강소에서 농민들

은 폐정 개혁을 실천해 나갔다. 또한 조선 정부도 교정청을 

설치하여 자주적 개혁을 추진하였다.  

06  청·일 전쟁

자료는 청·일 전쟁에 대한 설명이다. 청·일 전쟁에서 승리한 

일본은 청과 시모노세키 조약을 체결하여 타이완과 랴오둥반

도를 차지하였다. 그러자 러시아가 프랑스와 독일을 끌어들

여  랴오둥반도를  청에  돌려줄  것을  요구하였고(삼국  간섭), 

서양 세력에 비해 힘이 부족하였던 일본은 랴오둥반도를 청

에 반환하였다.  

97~102쪽



오답 풀이  ㄴ, ㄹ. 전주 화약 체결 이전에 일어난 일이다.



오답 풀이  ㄱ. 제2차 아편 전쟁(1856~1860) 이후 베이징 조약을 중재

12  제2차 갑오개혁 시기에 반포된 홍범 14조

한 대가로 러시아가 청으로부터 연해주를 얻게 되었다. ㄷ. 임오군란

(1882) 이후 청은 마젠창과 묄렌도르프를 고문으로 파견하여 조선의

내정과 외교를 간섭하였다.

07  동학 농민군의 제2차 봉기의 배경

자료에서 신문자는 동학 농민군의 제2차 봉기의 이유를 묻고 

있다. 동학 농민군의 제2차 봉기는 경복궁 무력 점령 등 일본

의 조선에 대한 내정 간섭에 반발하여 일어났다.

08  동학 농민군의 제2차 봉기

자료는 제2차 동학 농민 봉기 당시의 격문이다. 제2차 농민 

봉기는 청·일 전쟁 이후 조선에 대한 내정 간섭을 강화하던 

일본의 침략을 물리치기 위해 일어났다. 전봉준이 이끄는 남

접과 손병희가 이끄는 북접이 논산에서 집결하여 서울로 진

격하였다. 북진하던 농민군은 공주 우금치에서 관군과 일본

군 연합 부대에 패배하였고, 이후 전봉준, 김개남, 손화중 등 

지도부가 체포되면서 동학 농민 운동은 막을 내렸다. ① 을

미의병에 대한 설명이다.

09  동학 농민 운동의 영향과 의의

동학 농민 운동은 반봉건, 반외세의 성격을 띤 우리 역사상 

최대  규모의  농민  운동이었다.  이  운동에서  제기된  요구는 

일정 부분 갑오개혁에 반영되었으며, 반외세의 성격은 항일 

의병 투쟁의 토대가 되었다. 동학 농민군의 잔여 세력은 을

미의병에 가담하였고, 영학당과 활빈당 등을 결성하여 무장 

투쟁을 계속하였다. 그러나 동학 농민 운동은 근대 사회 건

설을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하지 못하였다는 점에서 한

계가 있다. ④ 갑신정변의 한계에 해당한다.

10  제1차 갑오개혁

군국기무처를 설치하고 추진된 개혁은 제1차 갑오개혁이다. 

제1차 갑오개혁에서는 청의 연호 폐지, 궁내부 신설, 과거제 

폐지, 탁지아문으로 재정 일원화, 은 본위 화폐 제도 도입, 

조세 금납화 등을 추진하였다.

자료는 제2차 갑오개혁 시기에 반포된 홍범 14조이다. 고종은 

종묘에 나가 독립 서고문을 바치고 국정 개혁의 기본 강령인 

홍범 14조를 통해 조선이 독립국임을 선포하였다. 연표에서 

군국기무처는 제1차 갑오개혁 때 설치되었고, 을미사변(1895)

은 을미개혁(제3차 갑오개혁)의 배경이므로, 제2차 갑오개혁 

시기는 (다)이다.

13  을미사변의 결과

자료는 을미사변에 관한 것이다. 을미사변 이후 일본의 간섭 

속에 을미개혁이 추진되었고, 을미개혁과 을미사변에 반발한 

유생과 농민들이 을미의병을 일으켰다.

14  을미개혁의 내용

을미사변  이후  추진한  개혁은  을미개혁이다.  태양력  사용, 

단발령과 종두법 시행, 군제 개혁, 건양 연호 사용, 소학교 

설립, 우편 사무 재개 등이 이 시기에 이루어졌다.



오답 풀이  ㄱ. 제2차 갑오개혁 때의 일이다. ㄹ. 제1차 갑오개혁 때의

일이다.

15  독립 협회의 활동

(가)  단체는  독립  협회이다.  독립  협회는  의회  설립  운동을 

전개하였으며,  기관지로  『대조선  독립  협회  회보』를  간행하

고 만민 공동회를 열어 러시아의 절영도 조차 요구를 규탄하

기도 하였다. 공화정을 추진하려 한다는 보수 세력의 모함으

로 황국 협회와 군대에 의해 강제로 해산되었다.

16  헌의 6조의 내용

독립 협회는 정부 대신이 참여한 관민 공동회에서 헌의 6조

를 채택하여 고종의 재가를 받았다. 이에 따라 중추원 관제

가  반포되어  중추원이  입법권,  조약  비준권  등을  행사하는 

의회와 같은 기능을 할 수 있게 되었다. 헌의 6조에는 ‘정부

가 외국과 체결하는 모든 조약에는 정부 대신과 중추원 의장

이 합동 날인하여 시행할 것’이라는 조항이 명시되어 있다.



오답 풀이  ①, ② 을미개혁의 내용이다. ③, ④ 제2차 갑오개혁의 내용



오답 풀이  ㄱ, ㄴ. 대한국 국제에 대한 설명이다.

이다.

17  독립 협회와 대한 제국

11  군국기무처와 제1차 갑오개혁

(가) 대한 제국은 1897년에 수립되었다. (나) 러시아 공사관

(가)  기구는  군국기무처이다.  제1차  갑오개혁은  군국기무처

으로 거처를 옮겼던 고종은 1897년에 환궁한 이후 대한 제국

의 주도로 진행되었다. ⑤ 한성 사범 학교 관제는 제2차 갑오

의 수립을 선포하였다. (다) 독립 협회는 1896년에 창립되었

개혁 시기에 제정되었다.

다. (라) 헌의 6조는 1898년에 채택되었다.

정답과 해설 27

18  대한 제국의 수립

주요 내용   태양력  사용,  단발령과  종두법  시행,  ‘건양’이라

1897년 고종은 환구단에서 하늘에 제사를 지내고 황제에 즉

는 연호 사용, 소학교 설립, 우편 사무 재개

위하였고  대한  제국의  수립을  선포하였다.  연호를  ‘광무’로 

고치고 전제 군주제를 명시한 대한국 국제를 반포하였으며, 

구본신참을 원칙으로 삼아 광무개혁을 실시하였다. ③ 동학 

농민 운동은 대한 제국 수립 이전인 1894년에 막을 내렸다.

채점 기준

주요 내용 중 세 가지 이상 넣어 바르게 서술한 경우

주요 내용 중 두 가지만 넣어 바르게 서술한 경우

주요 내용 중 한 가지만 넣어 바르게 서술한 경우

19  대한국 국제

자료는 대한국 국제(1899)이다. 대한국 국제는 대한 제국이 

자주독립국이며 황제가 무한한 군주권을 행사하는 전제 군주

국임을 분명히 하였다.

23  헌의 6조

⑴  답  헌의 6조

20  광무개혁

자료는 ‘지계’로 광무개혁 당시 발급되었으며, 토지 소유권을 

보장하는 문서였다. 광무개혁으로 식산흥업 정책이 추진되어 

제조업과 운수업에 많은 회사가 설립되었으며, 상공 학교와 

광무 학교 등 실업 학교도 설립되었다.

⑵   모범 답안  헌의 6조가 채택되고 고종이 재가하면서 중추원

이 입법권과 조약 비준권 등을 행사하는 의회와 같은 기

능을 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독립 협회가 입헌 군주제를 

추구하였음을 추론해 볼 수 있다.

주요 내용   중추원이  입법권과  조약  비준권  등을  행사하는 

의회와 같은 기능을 할 수 있게 됨, 독립 협회가 입헌 군

주제를 추구하였음을 추론



오답 풀이  ㄱ. 청의 근대화 운동인 양무운동에 대한 설명이다. ㄴ. 대

채점 기준

한 제국 이전인 1880년대 조선 정부의 개화 정책을 담당하는 기구로

주요 내용 중 두 가지를 모두 넣어 바르게 서술한 경우

통리기무아문이 설치되었다.

주요 내용 중 한 가지만 넣어 바르게 서술한 경우

배점







배점





24  광무개혁의 의의와 한계
⑴  답  구본신참   

⑵   모범 답안  외세의 간섭을 배제하고 국가의 자주독립과 근대

화를  지향한  것으로  단기간에  어느  정도  성과를  거두었

다. 그러나 러·일 전쟁 발발 이후 일본의 간섭이 커지면서 

개혁이 대부분 중단되었고, 황제권의 강화에만 주력한 나

머지 민권을 보장하는 측면을 소홀하였다는 한계가 있다.

주요 내용  국가의 자주독립과 근대화 지향, 단기간에 어느 

정도 성과를 거둠, 개혁이 대부분 중단, 황제권의 강화에

만 주력, 민권을 보장하는 측면 소홀

채점 기준

주요 내용 중 세 가지 이상 넣어 바르게 서술한 경우

주요 내용 중 두 가지만 넣어 바르게 서술한 경우

주요 내용 중 한 가지만 넣어 바르게 서술한 경우

배점







고난도 문제로 
내신 완성하기

01 ③  02 ⑤  03 ②  04 ②

103쪽

21  동학 농민 운동과 집강소 설치

⑴  답  집강소  

⑵   모범 답안  탐관오리를 처벌하고, 조세 제도를 개혁할 것과 

신분 차별을 철폐할 것 등의 내용을 담고 있었다.

주요 내용  탐관오리 처벌, 조세 제도 개혁, 신분 차별 철폐

채점 기준

주요 내용 중 세 가지를 모두 넣어 바르게 서술한 경우

주요 내용 중 두 가지만 넣어 바르게 서술한 경우

주요 내용 중 한 가지만 넣어 바르게 서술한 경우

배점







22  을미개혁의 배경과 내용
⑴  답  을미사변 

⑵   모범 답안  태양력 사용하고, 단발령과 종두법을 시행하였으

며, ‘건양’이라는 연호를 사용하였다. 또한 소학교를 설립

하고, 우편 사무를 재개하였다.

28 정답과 해설

01  동학 농민 운동의 전개 과정

01  포츠머스 조약이 체결된 시기

제1차 동학 농민 봉기 이후 동학 농민군은 정부와 전주 화약

러·일 전쟁에서 일본이 승기를 잡은 이후 미국의 중재로 일

을 맺고 집강소를 설치해 폐정 개혁을 실시하였다.

본과 러시아는 일본의 대한 제국에 대한 배타적 권리를 보장



오답 풀이  ①, ⑤ 제2차 봉기에 대한 설명이다. ② 고부 농민 봉기에

하는 포츠머스 조약을 체결하였다(1905).

대한 설명이다. ④ 보은 집회에 대한 설명이다.

02  갑오·을미개혁의 의의와 한계

갑오·을미개혁은 갑신정변과 동학 농민 운동의 개혁 내용을 

일부  반영한  근대적  개혁이었다.  하지만  개혁  추진  세력의 

지지 기반이 미약하여 일본에 의존할 수밖에 없었고, 일본의 

침략 의도를 간파하지 못했다는 한계가 있다.

03  독립 협회의 활동

러시아가 대한 제국에 대한 영향력을 강화하자, 독립 협회는 

구국 운동 상소문을 올리고 만민 공동회를 개최하여 이를 규

탄하였다.  결국  러시아는  군사  교관과  재정  고문을  철수하

고, 한·러 은행을 폐쇄하였으며, 절영도 조차 요구도 철회하

였다.



오답 풀이  ㄴ, ㄷ. 광무개혁의 내용이다.

04  제2차 갑오개혁의 내용

김홍집·박영효 연립 내각은 제2차 갑오개혁을 추진하여 의

정부를 내각으로, 8아문을 7부로 개편하였다. 이 시기 교육 

입국 조서를 반포하고 한성 사범 학교 관제, 외국어 학교 관

제, 소학교 규칙 등을 제정하여 근대적 교육 제도를 마련하

였다.  



오답 풀이  ①, ⑤는 광무개혁, ③, ④는 을미개혁에 대한 내용이다.

106~110쪽

07  간도의 역사적 연원

4

일본의 침략 확대와 국권 수호 운동

기본 문제로 
내신 다지기

01 ④  02 ③  03 ⑤  04 ③  05 ②  06 ⑤  07 ③
08 ③  09 ①  10 ④  11 ②  12 ②  13 ②  14 ⑤
15 ⑤  16 ④  17 ⑴ 을사늑약 ⑵ 해설 참조 18 (1) 대
한 제국 칙령 제41호 ⑵ 해설 참조  19 (1) 을미의병 ⑵ 해
설 참조  20 (1) 신민회 ⑵ 공화 정체(공화정) ⑶ 해설 참조

02  한·일 의정서의 내용

자료는 한·일 의정서(1904)이다. 러·일 전쟁 발발 직후 일본

이  서울을  점령하고  이  조약을  강제로  체결하였고,  일본이 

전쟁 수행에 필요한 경우 대한 제국의 영토를 마음대로 사용

할 수 있음을 명시하였다. 



오답 풀이  ㄱ. 한·일 신협약(1907)의 부속 비밀 각서에 따라 대한 제국

의 군대가 해산되었다. ㄹ. 제1차 한·일 협약(1904)에 따른 결과이다.

03  을사늑약 체결의 결과

자료는 을사늑약(1905)이다. 을사늑약의 체결로 대한 제국의 

외교권이 박탈되고 통감부가 설치되었으며, 한국이 일본의 

보호국으로 전락하였다.

04  을사늑약 체결 이후의 항일 운동

민영환이 유서를 남기고 자결하였다는 점, 나철과 오기호 등

이 자신회를 조직하였다는 점에서 (가)는 을사늑약임을 알 수 

있다. 을사늑약의 체결로 일본이 대한 제국의 외교권을 빼앗

고 통감부를 설치하였다. 이에 각계각층에서 자결, 철시, 동

맹 휴학, 의열 투쟁 등 항일 운동을 전개하였다.

05  헤이그 특사 파견의 결과

을사늑약 체결의 부당함을 알리고자 고종이 헤이그에 특사를 

파견하였으나, 일본은 이를 빌미로 고종을 강제 퇴위시키고 

순종을 즉위시켰다.

06  일본의 국권 침탈 과정

(마) 한·일 의정서(1904) → (다) 제1차 한·일 협약(1904) → 

(라) 을사늑약(1905) → (가) 한·일 신협약(1907) → (나) 한국 

병합 조약(1910)의 순으로 전개되었다.

백두산정계비는 17세기 후반 청이 간도 지역의 출입을 금지

하고  성역화하면서  조선과  분쟁이  발생하자,  청이  양국  간 

국경을  명확히  할  것을  제안하면서  건립된  비석이다.  간도 

지역에 설치되었다. ③ 독도에 대한 설명이다. 

08  독도의 역사적 연원

(가)는  독도이다.  독도는  『삼국사기』에  최초의  기록이  있으

정답과 해설 29

며, 17세기 말에는 안용복이 일본으로 건너가 울릉도와 독도

이른바 ‘남한 대토벌’ 작전 이후에 전개된 항일 의병 운동에 

가 조선의 영토임을 확인받고 돌아왔다.

대한 설명이다.



오답 풀이  ㄱ. 간도에 대한 설명이다. ㄹ. 당시 태정관에서는 ‘울릉도

와 독도가 일본과는 관계없음을 명심할 것’이라는 지령을 내려 독도

14  대한 자강회의 활동

가 조선의 영토라는 점을 인정하였다.

자료는 대한 자강회 설립 취지서이다. 대한 자강회는 전국에 

지회를 설립하고, 월보의 간행과 강연회 등을 통해 계몽 운

동을 전개하였다. 고종이 강제 퇴위되자, 이에 반대하는 활

09  을사의병

10  정미의병

였다.

자료는 을사조약에 대한 반발로 최익현이 봉기하며 쓴 격문

동을 전개하다가 보안법에 의해 강제로 해산되었다. 

이다. 을사조약 체결에 항의하며 봉기한 을사의병 때에는 신



오답 풀이  ㄱ. 보안회에 대한 설명이다. ㄴ. 헌정 연구회의 활동 내용

돌석과 같은 평민 의병장이 등장하여 활약하였다.

이다.



오답 풀이  ②, ③, ⑤는 을미의병, ④는 정미의병에 대한 설명이다.

15  신민회의 활동

자료는 신민회에 대한 설명이다. 신민회는 통감부의 탄압으

‘구식 군대의 제복’을 통해 제시된 자료에서 설명하는 의병은 

로 합법적인 정치·사회단체의 활동이 어려워지자, 안창호와 

정미의병임을 알 수 있다. 정미의병은 고종의 퇴위와 군대의 

양기탁  등이  주도하여  조직된  비밀  결사였다.  국권  회복과 

강제 해산에 반대하여 일어났으며, 해산된 군인이 가담하면

공화정을 추구하였으며, 인재 양성을 위해 오산 학교, 대성 

서  전투력이  강화되었다.  또한  이인영  등  유생  의병장들은 

학교를  설립하였다.  한편,  실력  양성만으로는  국권  회복이 

연합 부대 결성을 추진하는 한편, 각국 영사관에 통문을 보

어렵다고 판단하고 장기적인 무장 투쟁을 위한 독립운동 기

내  의병을  국제법상  교전  단체로  인정해  줄  것을  요청하 

지 건설을 준비하였다. ⑤ 대한 협회에 대한 설명이다. 



오답 풀이  ㄱ. 을사의병, ㄷ. 을미의병에 대한 설명이다.

16  105인 사건과 신민회

(가)는  을미의병(1895),  (나)는  일제의  이른바  ‘남한  대토벌’ 

에 한인촌을 건설하고 신흥 강습소를 설립하였다.

작전(1909), (다)는 정미의병(1907), (라)는 을사의병(1905)에 



오답 풀이  ① 보안회에 대한 설명이다. ②, ⑤ 헌정 연구회에 대한 설

명이다. ③ 대한 자강회의 활동 내용이다.

자료의 내용은 105인 사건(1911)에 대한 것이다. 105인 사건

으로 와해된 단체는 신민회이다. 신민회는 남만주의 삼원보

11  항일 의병 운동의 전개 과정

대한 설명이다.

12  정미의병

(가)는 서울 진공 작전이다. 허위가 이끄는 선발대가 서울 근

교까지 진격하였으나 일본군의 공격으로 패퇴하였고, 총대장 

이인영이 부친상을 당하여 귀향하면서 서울 진공 작전은 실

패로 돌아갔다.



오답 풀이  ① 을미의병에 대한 설명이다. ③ 을사늑약 체결 이후 장인

17  을사늑약 체결에 대한 저항

환과 전명운의 활동 내용이다. ④ 러·일 전쟁 직전에 대한 제국이 선

⑴  답  을사늑약

언하였다. ⑤ 신민회에 대한 설명이다.

13  애국 계몽 운동

⑵   모범 답안  민영환 등은 자결로 저항하였고, 장지연은 『황성

신문』에 을사늑약의 부당함을 규탄하는 논설인 ‘시일야방

성대곡’을 게재하였다. 한성의 상인들은 철시로, 학생들은 

자료는 애국 계몽 운동에 대한 설명이다. 애국 계몽 운동은 

동맹 휴학으로 항의하였다. 또한 을사 5적을 처단하기 위

사회 진화론을 이념적 기반으로 하여 실력을 양성해 국권을 

한 의열 투쟁도 활발히 전개되었다.

수호하자는 입장이다. 산업 진흥 활동을 통해 경제적 실력을 

주요 내용   민영환  등의  자결,  장지연은  『황성신문』에  항일 

확보하려 하였으며, 학교를 설립해 인재를 양성하고 신문과 

논설인 ‘시일야방성대곡’ 게재, 한성 상인들의 철시, 학생

잡지  등을  간행해  국민들을  계몽하였다.  ②  1909년  일본의 

들의 동맹 휴학, 을사 5적을 처단하기 위한 의열 투쟁 등

30 정답과 해설

채점 기준

주요 내용 중 세 가지 이상 넣어 바르게 서술한 경우

주요 내용 중 두 가지만 넣어 바르게 서술한 경우

주요 내용 중 한 가지만 넣어 바르게 서술한 경우

배점







18  우리나라 고유의 영토 독도

⑴  답  대한 제국 칙령 제41호

⑵   모범 답안   『삼국사기』에  신라의  이사부가  우산국을  복속했

다는 내용이 기록되어 있다. 『세종실록지리지』와 『신증동

국여지승람』 등에도 독도 관련 기록이 있다. 17세기 말에 

안용복이 울릉도와 독도 지역을 침범한 일본 어민들을 몰

아내고 일본에 쫓아가 독도가 조선 영토임을 확인받고 돌

아왔다. 1877년 일본 메이지 정부의 최고 행정 기관인 태

정관에서는 지령을 내려 독도를 조선 영토로 인정하였다.

주요 내용  『삼국사기』에 신라의 이사부가 우산국을 복속했

다는 내용 기록, 『세종실록지리지』와 『신증동국여지승람』 

등 독도 관련 기록, 17세기 말에 안용복이 독도가 조선 영

토임을 확인받고 돌아옴, 1877년 일본 메이지 정부의 태

정관에서 지령을 내려 독도를 조선 영토로 인정

채점 기준

주요 내용 중 세 가지 이상 넣어 바르게 서술한 경우

주요 내용 중 두 가지만 넣어 바르게 서술한 경우

주요 내용 중 한 가지만 넣어 바르게 서술한 경우

19  항일 의병 운동
⑴  답  을미의병

⑵   모범 답안   명성  황후가  시해당하였으며(을미사변),  단발령

이 실시되었다. 

주요 내용  명성 황후 시해(을미사변), 단발령 실시

채점 기준

주요 내용 중 두 가지를 모두 넣어 바르게 서술한 경우

주요 내용 중 한 가지만 넣어 바르게 서술한 경우

배점







배점





20  신민회의 활동
⑴  답  신민회 

⑵   답  공화 정체(공화정) 

주요 내용  실력 양성만으로는 국권 회복이 어렵다고 판단, 

무장 투쟁을 위한 독립운동 기지 건설 준비, 남만주의 삼

원보에 한인촌 건설, 신흥 강습소 설립

채점 기준

주요 내용 중 세 가지 이상 넣어 바르게 서술한 경우

주요 내용 중 두 가지만 넣어 바르게 서술한 경우

주요 내용 중 한 가지만 넣어 바르게 서술한 경우

배점







고난도 문제로 
내신 완성하기

01 ④  02 ②  03 ②  04 ⑤

111쪽

01  가쓰라·태프트 밀약

자료는  미국과  일본  사이에  체결된  가쓰라·태프트  밀약

(1905)이다. 이 조약에서 미국은 일본의 대한 제국에 대한 독

점적 지배권을 인정하였다. 



오답 풀이  ① 포츠머스 조약(1905. 9.)은 러시아가 일본의 대한 제국에

대한 배타적 권리를 인정한 조약이다. ② 청·일 전쟁(1894~1895)의

결과이다. ③ 한·일 의정서(1904. 2.)의 내용이다. ⑤ 제1차 한·일 협

약(1904. 8.)의 내용이다.

02  을사늑약의 불법성

을사늑약은 고종의 위임장도 없이 외부대신 박제순이 날인하

였고, 고종의 비준 절차도 거치지 않았으며, 조약의 명칭조

차 없다. 따라서 이 조약은 국제법상 무효이다.



오답 풀이  ㄴ. 한국 병합 조약(1910)에 대한 설명이다. ㄷ. 영사 재판권

은 강화도 조약, 조·미 수호 통상 조약 등에 포함된 조항이다.

03  항일 의병 운동의 전개 과정

(가)는 을미의병(1895), (나)는 서울 진공 작전(1907)이다. 을

사의병(1905) 당시 최익현은 전라도 태인에서 봉기하여 정읍

과 순창 일대를 장악하기도 하였다.

04  신민회의 활동

⑶   모범 답안  신민회는 다른 애국 계몽 운동 단체들과 다르게 

신민회는 다른 애국 계몽 운동 단체와 달리 교육과 산업 진흥

실력 양성만으로는 국권 회복이 어렵다고 판단하고 장기

을 통한 실력 양성만으로는 국권 회복이 어렵다고 판단하고 

적인  무장  투쟁을  위한  독립운동  기지  건설을  준비하였

국외에 독립운동 기지를 건설하였다.

다. 이에 따라 남만주의 삼원보에 한인촌을 건설하고 신



오답 풀이  ① 헌정 연구회에 대한 설명이다. ② 독립 협회의 활동 내

흥 강습소를 설립하였다.

용이다. ③, ④ 애국 계몽 운동 단체들의 공통점이다.

정답과 해설 31

5

6

개항 이후 경제적 변화 ~ 
개항 이후 사회・문화적 변화

황국 중앙 총상회를 조직하여 상권 수호를 위해 노력하였다. 

① 이운사는 관민 합작으로 세운 해운 회사이다.

기본 문제로 
내신 다지기

115~118쪽

06  방곡령

01 ③  02 ⑤  03 ④  04 ③  05 ①  06 ③  07 ②
08 ⑤  09 ⑤  10 ①  11 ④  12 ③  13 ②  14 ①
15 ⑴ 조·청 상민 수륙 무역 장정 ⑵ 해설 참조
16 ⑴ 국채 보상 운동 ⑵ 해설 참조

01  개항 초기 거류지 무역

자료는  개항  초기  거류지  무역에  대한  설명이다.  거류지는 

개항장의 거주와 무역권을 인정한 지역이다. 이곳은 치외 법

권 지역이었다. 일본 상인들은 거류지 내에서만 머무르며 내

륙에 진출할 수 없었으며, 개항장에서 영사 재판권, 일본 화

폐 사용, 무관세 등이 허용되었다.

02  조·청 상민 수륙 무역 장정

개항 이후 외국 상인은 거류지에서만 교역이 가능하였으나, 

1882년 조·청 상민 수륙 무역 장정 체결을 계기로 청 상인은 

한성과  양화진에서  규정에  따라  점포를  개설할  수  있었고, 

허가만 받으면 내륙에서의 활동도 가능하였다.

03  화폐 정리 사업의 결과

(가)는 화폐 정리 사업(1905)이다. 이 사업으로 기존에 통용

되던 백동화가 일본 제일 은행에서 발행하는 새 화폐로 교환

(가)는 방곡령이다. 방곡령은 조·일 통상 장정(1883)에 근거

하여 방곡령 시행 1개월 전 통고할 수 있었는데, 일본은 이 

조항을 어겼다고 항의하며 조선에 방곡령 철회와 배상금 지

불을 요구하여 이를 관철하였다.



오답 풀이  ㄴ. 조·일 무역 규칙에는 쌀과 잡곡의 수출입에 대한 제한

이 없었다. ㄷ. 임오군란 이후 체결된 제물포 조약의 내용이다.

07  국채 보상 운동

자료는 국채 보상 운동(1907)이다. 국채 보상 운동은 차관 도

입으로 일본에 대한 경제적 예속이 심해지자, 국민이 성금을 

모아  일본에  진  빚을  갚고  국권을  회복하자는  운동이었다. 

② 국채 보상 운동은 농민, 상인, 군인, 부녀자, 기생, 승려 

등 각계각층의 사람들이 참여하였다.

08  전차가 개통되던 시기에 볼 수 있었던 모습

전차는 1899년에 서대문~청량리 구간에 개통되었다. 이 시

기 노량진과 제물포 사이에 경인선이 처음으로 개통되었다.



오답 풀이  ① 『한성순보』는 갑신정변(1884)으로 발행이 중단되었다.

② 군국기무처는 제1차 갑오개혁(1894) 시기에 설립되었으나, 제2차

갑오개혁 이전에 폐지되었다. ③ 단발령 선포는 을미개혁(1895) 시기

에 있었다. ④ 청·일 전쟁은 1894년에 일어났다.

되었다. 이때 백동화는 액면가 이하로 교환되거나 교환이 거

09  육영 공원의 설립

부되기도 하였는데, 그 결과 시중에 유통되던 화폐량이 줄어

(가)는 육영 공원(1886)이다. 육영 공원은 미국인 강사를 초

들고 한국 상인과 은행이 파산하기도 하였다.

빙하여 상류층 자제에게 영어를 비롯한 수학, 지리학 등 근

대 학문을 가르쳤다. 

04  열강의 이권 침탈 배경

청·일 전쟁과 아관 파천을 거치면서 열강의 이권 침탈이 심

10  『한성순보』와 『대한매일신보』

화되었다. 열강은 저마다 최혜국 대우를 주장하며 철도·전

(가) 『한성순보』는 박문국에서 순 한문체로 발행되었다. (나) 

차·해운·어업·전기·광산 등 수많은 이권을 차지하였다.

『대한매일신보』는 영국인 베델을 발행인으로 내세워 창간되었다.



오답 풀이  ②는 『제국신문』, ③, ⑤는 『황성신문』, ④는 『독립신문』에

05  상권 수호 운동

대한 설명이다.

외국 상인에 맞서 상권을 지키기 위해 조선 상인들은 대동 상

회, 장통 상회 등 상회사를 설립하였다. 개성상인은 수출입 

11  신채호의 활동과 한국사 연구

유통업을 확대하여 서울 이북의 상권을 유지하는 데 힘썼고, 

자료는 신채호의 「독사신론」 서문이다. 신채호는 『을지문덕전』, 

경강상인은 일본인의 세곡 운반 독점을 막고자 증기선을 구

『이순신전』 등 외적의 침략에 맞서 싸운 위인들의 전기를 펴

입하기도  하였다.  한성의  시전  상인들은  청과  일본  상인의 

냈으며, 「독사신론」을 통해 민족주의 사학의 연구 방향을 제

철수를 요구하며 시위와 동맹 철시를 벌였으며, 1898년에는 

시하였다.

32 정답과 해설



오답 풀이  ㄱ, ㄷ. 주시경에 대한 설명이다.

16  국채 보상 운동

⑴  답  국채 보상 운동

12  주시경의 활동과 국어 연구

⑵   모범 답안  담배 끊기, 음주 절제, 금은 패물 헌납 

자료는 주시경이 국어와 국문의 필요성을 주장한 글이다. 열

주요 내용  담배 끊기, 음주 절제, 금은 패물 헌납

강의 침략이 거세져 민족이 위기에 처하자, 국어 연구를 통해 

민족의식을 고취하고 국권을 수호하려는 움직임이 일어났다. 

13  근대 시기 문예의 새 경향

자료는 「해에게서 소년에게」 로 신체시이다. 신체시가 발표되

던 시기 이인직의 『혈의 누』, 안국선의 『금수회의록』 등 신소

설이 등장하였고, 서양식 극장인 원각사가 세워졌으며, 애국

가, 독립가, 권학가 등 창가가 유행하였다. ② 아리랑은 일제 

강점기인 1926년에 상영되었다. 

14  근대 시기 종교의 새 경향

을사늑약 이후 자신회를 조직하였던 나철과 오기호 등이 단

군 신앙을 바탕으로 대종교를 일으켰다. 이후 이들은 만주와 

연해주에서  무장  독립  투쟁에  앞장섰다.  『만세보』를  발간하

여 계몽 운동에 참여한 것은 천도교이다.

15  조·청 상민 수륙 무역 장정 체결의 결과
⑴  답  조·청 상민 수륙 무역 장정

⑵   모범 답안  조·청 상민 수륙 무역 장정 체결에 따라 청 상인

은 한성과 양화진에서 규정에 따라 점포를 개설할 수 있

었고, 허가만 받으면 내륙에서의 활동도 가능하였다. 이

후 외국 상인들의 내륙 진출이 본격화되면서 중개 무역을 

통해 성장하던 조선의 객주, 여각, 보부상의 활동이 어려

워졌고, 시전 상인의 상권도 크게 위협받았다.  

주요 내용  청 상인은 한성과 양화진에서 규정에 따라 점포

를 개설, 허가만 받으면 내륙에서의 활동도 가능, 외국 상

인들의  내륙  진출  본격화,  조선의  객주,  여각,  보부상의 

활동이 어려워짐, 시전 상인의 상권도 크게 위협받음

채점 기준

주요 내용 중 세 가지 이상 넣어 바르게 서술한 경우

주요 내용 중 두 가지만 넣어 바르게 서술한 경우

주요 내용 중 한 가지만 넣어 바르게 서술한 경우

배점







채점 기준

주요 내용 중 세 가지를 모두 넣어 바르게 서술한 경우

주요 내용 중 두 가지만 넣어 바르게 서술한 경우

주요 내용 중 한 가지만 넣어 바르게 서술한 경우

배점







고난도 문제로 
내신 완성하기

01 ②  02 ⑤  03 ④  04 ⑤

119쪽

01  조·일 통상 장정의 내용

(가)에 들어갈 조약은 조·일 통상 장정(1883)이다. 이 조약을 

통해 조선은 관세 자주권을 일부 회복하고 방곡령 선포의 근

거를 마련하였다. 그러나 일본의 요구로 최혜국 대우 내용이 

포함되어 일본의 경체 침탈은 계속되었다.

02  조·청 상민 수륙 무역 장정 체결 이후의 상황

조·청 상민 수륙 무역 장정의 체결 후 청 상인의 내륙 활동이 

가능해졌다. 청은 정치적 영향력, 막대한 자금력, 전신을 이

용한 신속한 정보망 등을 바탕으로 조선의 상권을 침탈해 나

갔다. 그 결과 청·일 전쟁 무렵에는 조선이 청과 일본에서 수

입한 총액이 비슷해졌다.

03  화폐 정리 사업

자료는 화폐 정리 사업에 대한 것이다. 제1차 한·일 협약으

로 초빙된 재정 고문 메가타가 추진하였으며, 백동화는 액면

가 이하로 교환되거나 교환이 거부되기도 하였다.  



오답 풀이  ㄱ. 이 사업의 결과 시중에 유통되던 화폐량이 줄고, 한국

상인과 은행이 파산하기도 하였다. ㄷ. 일본 금융 기관이 영향력을 확

대하는 가운데 설립된 조선 자본의 은행이다.

04  신채호의 활동

자료의 인물은 신채호이다. 신채호는 『을지문덕전』, 『이순신

전』 등 구국의 위인전을 발표하였고, 민족주의 사학의 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

정답과 해설 33

대단원 

마무리하기

01 ③  02 ①  03 ④  04 ⑤  05 ④  06 ③  07 ②
08 ②  09 ②  10 ③  11 ②  12 ⑤  13 ②  14 ④
15 ④  16 ③  17 ⑤  18 ⑤  19 ⑤  20 ④  21 ⑤
22 ③  23 ⑤  24 ③  25 ⑤  26 ①  27 ②  28 ⑤
29 ⑴ 최익현 ⑵ 해설 참조 30 ⑴ 해설 참조 ⑵ 해설 참조
31 ⑴ 애국 계몽 운동 ⑵ 해설 참조
32 ⑴ 『대한매일신보』 ⑵ 해설 참조

120~127쪽

06  중국의 양무운동과 일본의 메이지 유신

(가)는 중국의 양무운동, (나)는 일본의 메이지 유신 이후 메

이지 정부가 추진한 개혁에 대한 설명이다. 



오답 풀이  ①, ② 메이지 정부가 추진한 개혁에 대한 설명이다 ④, ⑤

양무운동에 대한 설명이다.

07  초기 개화사상가들의 주장

제시된 인물들은 초기 개화사상가들이다. 그들은 개국 통상

을 주장하였으며, 김옥균, 박영효, 김홍집 등 젊은 양반 자제

들에게  세계정세와  서양  문물을  소개하며  개화의  필요성을 

01  미·일 화친 조약의 체결

강조하였다.

1853년 페리가 이끄는 미국 함대가 에도 앞바다에서 무력시

위를 벌이면서 개항을 요구하자, 에도 막부는 미·일 화친 조

08  운요호 사건과 강화도 조약 체결

약(1854)을 체결하여 시모다·하코다테의 2개 항구를 개항하

운요호  사건을  계기로  체결된  조약은  강화도  조약(1876)이

고, 최혜국 대우 등을 인정하였다.

02  경복궁 중건의 목적

(가)에는 경복궁 중건의 목적이 들어가야 한다. 흥선 대원군

다. 강화도 조약은 조선이 외국과 맺은 최초의 근대적 조약

이었으나, 조선에 불리한 불평등 조약이었다. ② 강화도 조

약에는 최혜국 대우 조항이 포함되어 있지 않다.

은 왕실의 권위 회복을 위해 임진왜란 때 불탄 후 방치되었던 

09  1880년대 정부의 개화 정책

경복궁을 중건하였다.

03  흥선 대원군의 개혁

하기 위한 사창제이다.

04  오페르트 도굴 미수 사건

(가)는 전정의 폐단을 시정하기 위한 양전 사업, (나)는 군정

의 폐단을 시정하기 위한 호포제, (다)는 환곡의 폐단을 시정

10  영남 만인소의 내용

통리기무아문에서 창설한 신식 군대는 별기군이다. 정부는 

개화 정책을 위해 일본에는 조사 시찰단을, 청에는 영선사를 

파견하였다.

자료는 이만손을 중심으로 영남 유생들이 작성한 영남 만인

소이다. 이들은 정부가 『조선책략』을 계기로 미국과 통상 조

약을 체결하려 하자 이에 반대하였다.

자료의 ‘이번 덕산 묘소에서 저지른 변고’는 1868년에 일어난 

오페르트 도굴 미수 사건이다. 독일 상인 오페르트가 두 차

11  시기별 위정척사 운동

례에 걸쳐 통상을 요구하다 거절당하자, 무장한 선원을 동원

(가)는 1860년대 통상 반대 운동, (나)는 1880년대 개화 반대 

하여 충남 덕산에 있는 흥선 대원군의 아버지 남연군의 묘를 

운동, (다)는 1870년대 개항 반대 운동에 대한 설명이다. 

도굴하려다 실패하였다. 이 사건은 병인양요(1866)와 신미양

요(1871) 사이 시기에 일어났다.

12  제물포 조약의 체결 배경

05  병인양요와 신미양요

자료는 임오군란을 계기로 조선과 일본이 체결한 제물포 조

약의 내용이다. 임오군란이 일어나자 고종은 흥선 대원군에

(가)는 병인양요(1866), (나)는 신미양요(1871)에 대한 설명이

게 사태 수습을 위임하였고, 다시 권력을 장악한 흥선 대원

다. 병인양요는 흥선 대원군이 천주교도들을 대대적으로 탄

군은 통리기무아문과 별기군을 없애고 삼군부와 5군영을 부

압한 병인박해를 계기로 발생하였다. 병인양요 때 프랑스군

활하였다.  그러나  군란  진압을  위해  민씨  세력의  요청으로 

이 철수하면서 외규장각 도서를 약탈해 갔다. 미국 상선 제

파병한 청은 마젠창과 묄렌도르프를 고문으로 파견하여 조선

너럴셔먼호가  평양  관민들에  의해  공격당한  사건을  빌미로 

의 내정과 외교 문제에 간섭하였다.

미국이 강화도를 침략한 신미양요가 발생하였다.



오답 풀이  ㄱ, ㄴ. 갑신정변에 대한 탐구 활동으로 적합하다.

34 정답과 해설

13  개화파의 분화

20  일본의 국권 침탈 과정

(가)는 온건 개화파, (나)는 급진 개화파이다. 온건 개화파는 

한·일 의정서(1904. 2.)와 한·일 신협약(1907) 사이에 제1차 

청의 양무운동을 본받아 점진적인 개혁을 추구하였으며, 유교

한·일  협약(1904.  8.)과  을사늑약(1905)이  체결되었다.  제1

는 유지하되 서양의 발달된 기술만을 수용하자고 주장하였다.

차 한·일 협약에 따라 재정 고문으로 메가타, 외교 고문으로 

스티븐스가 파견되었다.

14  갑신정변의 배경

자료의 ‘우정총국 개국 축하연을 이용하여 일어난 정변’은 갑

21  포츠머스 조약의 체결 시기

신정변(1884)이다.  갑신정변은  급진  개화파가  개화  정책에 

자료는 미국의 중재로 러시아와 일본이 체결한 포츠머스 조

필요한 자금 마련과 국가의 재정난 해소를 위해 일본에서 차

약(1905.  9.)이다.  이  조약을  체결하여  일본은  대한  제국에 

관을 도입하려다 실패한 이후 개혁의 주도권을 잃고 위축된 

대한 배타적 권리를 보장받았다. 열강으로부터 한국에 대한 

독점적 지배권을 인정받은 일본은 이후 군대를 동원하여 황

제와 대신들을 위협해 을사늑약(1905) 체결을 강요하였다. 

자료는 거문도 사건에 대한 것이다. 한반도가 열강의 각축장

22  을사늑약 체결 이후의 상황

이 되자 독일 부영사 부들러와 유길준 등은 조선 중립화론을 

자료는 을사늑약(1905)의 내용이다. 을사늑약 체결 이후 고

종은 이의 불법성을 폭로하기 위해 헤이그에서 열린 만국 평

화 회의에 이준, 이상설, 이위종을 특사로 파견하였다.

것이 배경이었다.

15  거문도 사건과 조선 중립화론

제시하였다.

16  동학 농민 운동의 전개 과정

(가)에 들어갈 사건은 제1차 농민 봉기와 제2차 농민 봉기 사

23  독도가 우리 영토인 근거

이에  일어난  일이다.  안핵사로  파견된  이용태가  고부  농민 

봉기 참여자를 잡아들인 일은 제1차 봉기 이전이다.

독도에 관한 최초의 기록이 있는 『삼국사기』에 신라의 이사부

가 우산국을 복속한 내용이 기록되어 있고, 대한 제국 칙령 

제41호를 통해 독도가 우리 영토임을 분명히 하였다.



오답 풀이  ㄱ, ㄴ. 간도와 관련된 설명이다.

17  제2차 갑오개혁의 내용

자료는 제2차 갑오개혁과 관련된 내용이다. 제2차 갑오개혁 

때 교육 입국 조서를 반포하고 한성 사범 학교 관제, 외국어 

24  을미의병

학교 관제, 소학교 규칙 등을 제정하여 근대적 교육 제도를 

마련하였다.

18  독립 협회의 창립 배경

자료는 독립 협회가 관민 공동회에서 채택한 헌의 6조이다. 

아관 파천 이후 조선에 대한 러시아의 영향력이 강화되고 열

자료의 ‘우리 국모의 원수를 생각하며 이를 갈았는데’, ‘우리 

부모에게서 받은 머리털을 풀 베듯이 베어 버리니’를 통해 을

미사변과 을미개혁(단발령)에 반발하여 일어난 을미의병 시

기의 격문임을 알 수 있다.  



오답 풀이  ①, ④는 을사의병, ②, ⑤는 정미의병에 해당한다.

강의 이권 침탈이 가속화되자, 정부 내의 개혁 세력이 독립 

25  조·일 통상 장정과 방곡령

협회를 창립하였다.



오답 풀이  ① 제1차 갑오개혁의 내용이다. ② 제2차 갑오개혁 시기에

자료는 조·일 통상 장정(1883)으로 방곡령 선포의 근거가 된 

조항이다. 일본 상인이 조선의 곡물을 대량으로 수입해 감에 

있었던 일이다. ③ 을미개혁의 배경이다. ④ 대한 제국 수립에 대한

따라 국내 식량 사정이 악화되고, 곡물 가격이 크게 상승하

였다. 이에 일부 지방관들이 곡물 유출을 막기 위해 방곡령

을 내렸는데, 일본 측의 항의로 번번이 해제되었다. 

내용이다.

19  광무개혁의 내용

밑줄 친 ‘개혁’은 대한 제국 시기 실시한 광무개혁이다. 이 개

26  상권 수호 운동

혁으로 지계 발급, 실업 학교 설립, 식산흥업 정책 추진, 해

① 외국 상인의 상권 침탈로 피해가 커지자, 시전 상인들은 

외 유학생 파견 등이 실시되었다.

1898년 황국 중앙 총상회를 조직하여 외국 상인들의 불법적



오답 풀이  ㄱ. 을미개혁의 내용이다. ㄴ. 제1차 갑오개혁의 내용이다.

인 상업 행위를 규탄하는 등 상권 수호를 위해 노력하였다.

정답과 해설 35

27  국채 보상 운동

⑵   모범 답안  일본은 군대를 동원하여 경복궁을 점령한 뒤 청·

자료는 1907년 전개된 국채 보상 운동의 취지를 담은 ‘국채 

일 전쟁을 일으켰다. 청·일 전쟁에서 전세가 유리해진 일

보상 취지서’이다. 국채 보상 운동은 대구 등지에서 시작되어 

본이  조선에  대한  내정  간섭을  강화하면서  관군과  함께 

『대한매일신보』, 『황성신문』 등을 통해 전국으로 확산되었다. 

동학 농민군을 토벌하려 하였다.

통감부는 국채 보상 성금을 수합하던 『대한매일신보』의 양기

주요 내용  일본 군대의 경복궁을 점령, 청·일 전쟁을 일으

탁을 보상금 횡령이라는 누명을 씌워 구속하는 등 탄압하였

킴, 조선에 대한 내정 간섭 강화, 관군과 함께 동학 농민

다. 이러한 어려움 속에서 국채 보상 운동은 더 이상 진전되

군을 토벌하려 함

지 못하였다. 

28  개항 이후 발행된 신문의 특징

『대한매일신보』는 1904년 영국인 베델을 발행인으로 내세우

고  양기탁  등  애국지사들이  운영한  신문으로,  일본의  국권 

침탈을 비판하고 의병 운동을 호의적으로 보도하는 등 민족

의식을 고취하는 기사를 많이 실었다.

29  위정척사 운동의 의의와 한계

⑴  답  최익현

유지하려 하였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었다. 그러나 외세의 

침략에 반대하는 반외세·반침략 운동의 성격을 띠었으며, 

1890년대 이후 항일 의병 운동으로 계승되었다.

주요 내용  양반 중심의 성리학적 질서 유지, 반외세·반침략 

운동의 성격, 1890년대 이후 항일 의병 운동으로 계승

채점 기준

주요 내용 중 세 가지를 모두 넣어 바르게 서술한 경우

주요 내용 중 두 가지만 넣어 바르게 서술한 경우

주요 내용 중 한 가지만 넣어 바르게 서술한 경우

30  동학 농민 운동

채점 기준

주요 내용 중 세 가지 이상 넣어 바르게 서술한 경우

주요 내용 중 두 가지만 넣어 바르게 서술한 경우

주요 내용 중 한 가지만 넣어 바르게 서술한 경우

배점







31  애국 계몽 운동의 의의와 한계

⑴  답  애국 계몽 운동

⑵   모범 답안  애국 계몽 운동은 민족의식을 고취하고 근대 의

식을 일깨웠으며, 민족 운동이 나아가야 할 방향으로 국

권 회복과 함께 근대적 국민 국가 건설을 제시하였다. 그

러나 실력 양성만을 강조하여 일제의 지배를 용인하거나 

주요 내용  민족의식 고취와 근대 의식 일깨움, 국권 회복과 

함께 근대적 국민 국가 건설 제시, 실력 양성만을 강조하

여 일제의 지배를 용인, 의병 투쟁을 비판하는 한계

채점 기준

주요 내용 중 세 가지 이상 넣어 바르게 서술한 경우

주요 내용 중 두 가지만 넣어 바르게 서술한 경우

주요 내용 중 한 가지만 넣어 바르게 서술한 경우

32  『대한매일신보』의 활동

⑴  답  『대한매일신보』   

⑵   모범 답안   위정척사  운동은  양반  중심의  성리학적  질서를 

의병 투쟁을 비판하는 한계를 보이기도 하였다.

⑴   모범 답안  고부 군수 조병갑이 만석보를 다시 쌓아 수세를 

⑵   모범 답안  의병 운동을 호의적으로 보도하는 등 민족의식을 

징수하고, 갖가지 죄목으로 백성들을 잡아다가 금전을 강

고취하는 기사를 많이 실었으며, 『황성신문』 등과 함께 국

탈하는 등 부정과 탐학을 일삼았다.

채 보상 운동이 전국적으로 확산되는 데 기여하였다.

주요 내용  고부 군수 조병갑이 만석보를 쌓아 수세 징수, 갖

주요 내용  의병 운동을 호의적으로 보도, 민족의식을 고취

가지  죄목으로  백성들을  잡아다가  금전  강탈  등  부정과 

하는 기사를 많이 실음, 국채 보상 운동의 전국 확산에 기여

탐학

채점 기준

채점 기준

주요 내용 중 세 가지를 모두 넣어 바르게 서술한 경우

주요 내용 중 두 가지를 모두 넣어 바르게 서술한 경우

주요 내용 중 두 가지만 넣어 바르게 서술한 경우

주요 내용 중 한 가지만 넣어 바르게 서술한 경우

주요 내용 중 한 가지만 넣어 바르게 서술한 경우

36 정답과 해설

배점







배점







배점







배점





III 일제 식민지 지배와 민족 운동의 전개

한국인의 모든 일상생활에 관여하였다.



오답 풀이  ①, ③, ④ 1920년대 일제의 통치 정책이다.

다. 헌병 경찰은 독립운동 탄압은 물론 징세와 위생 사무 등 

1

일제의 식민지 지배 정책

05  1910년대 일제의 식민지 교육 정책

기본 문제로 
내신 다지기

132~136쪽

01 ③  02 ④  03 ④  04 ⑤  05 ③  06 ③  07 ②
08 ③  09 ②  10 ⑤  11 ①  12 ⑤  13 ⑤  14 ①
15 ③  16 ⑤  17 ⑴ 조선 총독부 ⑵ 해설 참조
18 ⑴ 토지 조사 사업 ⑵ 해설 참조 19 ⑴ 31 운동 ⑵ 해설
20 ⑴ (가) 허가제, (나) 신고제 ⑵ 해설 참조

참조

자료는 1911년 일제가 공포한 제1차 조선 교육령이다. 일제는 

이 법령을 공포하여 식민 통치에 순응하는 한국인을 육성하

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일본어와 일본 역사에 국어와 국사

라는  이름을  붙여  가르쳤다.  또한  한국인에게  고등  교육의 

기회를 거의 부여하지 않고 주로 보통 교육과 실업 교육을 실

시하였다. 민족주의 교육을 추구하던 사립 학교와 서당에 대

한 탄압도 강화하였다. 

06  토지 조사 사업의 결과

01  제1차 세계 대전

제시된 법령은 1912년 공포된 토지 조사령이다. 일제는 1910

자료는 사라예보 사건을 보여 준다. 3국 동맹과 3국 협상이 

년부터 1918년까지 토지 조사 사업을 실시하였다. 토지 조사 

대립하는 상황에서 1914년 사라예보 사건이 일어나자, 오스

사업으로 조선 총독부의 지세 수입이 대폭 늘어났다. 일제는 

트리아-헝가리 제국이 세르비아에 선전 포고를 하였고, 여

이를 식민지 관료의 급여와 식민 지배 기구의 운영비 등으로 

기에 동맹국 측과 협상국 측이 개입하면서 제1차 세계 대전

사용하였다. 

이 일어났다. ③ 제2차 세계 대전에 관한 내용이다.

07  토지 조사 사업

02  러시아 혁명의 전개 과정

토지 조사 사업은 신고주의 원칙에 따라 진행되었다. 이 사

러시아에서는 전쟁이 장기화되면서 민중들의 생활고가 심해

업으로 미신고 토지와 소유권이 불분명한 공유지 등이 국유

졌다. 이에 노동자와 병사들이 혁명을 추진하였고, 임시 정

지로 편입되었다. 

부가 수립되었다. 그러나 임시 정부가 전쟁을 지속하자, 레



오답 풀이  ㄴ. 농민의 관습적 경작권은 보호받지 못하였다. ㄹ. 일제는

닌이 무장봉기를 일으켜 소비에트 정부를 수립하였다. 레닌

근대적인 토지 소유권을 확립하기 위한 사업이라고 하였으나, 실제로

이 이끄는 소비에트 정부는 제1차 세계 대전에서 이탈하였고, 

는 일본인의 토지 소유를 쉽게 하고 지세를 안정적으로 확보하기 위

이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소련)을 수립하였다.

한 것이었다.

03  파리 강화 회의

08  1910년대 일제의 무단 통치

자료는 미국 대통령 윌슨의 14개조 평화 원칙이다. 제1차 세

제시된  법령은  1910년  일제가  공포한  회사령이다.  이  시기 

계 대전이 끝난 후 전후 문제를 처리하기 위해 파리 강화 회

일제는 총독부 관리와 교사들에게 제복을 입고 칼을 찬 채 업

의가 열렸다. 파리 강화 회의는 베르사유 조약의 체결로 귀

무를 보게 하였다.

결되었고, 이로써 베르사유 체제라는 새로운 국제 질서가 성



오답 풀이     ①,  ②  1930~1940년대에  볼  수  있는  모습이다.  ④,  ⑤

립되었다. 민족 자결주의의 원칙은 패전국의 식민지에만 적

1920년대에 볼 수 있는 모습이다.

용되어 대부분의 아시아·아프리카 나라는 독립을 이루지 못

하였다. ④ 워싱턴 회의의 결과이다.

09  회사령의 시행 목적

04  1910년대 일제의 통치 정책

일제는 일본 기업의 한국 진출을 선별적으로 지원하고 한국

인의 기업 활동을 제한하기 위해 회사령을 공포하였다. 이에 

자료는 1912년 제정된 조선 태형령이다. 이 시기 일제는 전

따라 회사를 세우려면 총독의 허가를 받아야 했고, 허가 조

국에 헌병 분대와 파출소, 주재소를 두어 한국인을 감시하였

건을 어길 때는 총독이 회사를 폐쇄할 수도 있었다.

정답과 해설 37

10  1910년대 일제의 자원 수탈

자료는 1910년대 일제의 자원 침탈을 보여 준다. 일제는 철

도, 도로, 항만 시설 확충 등을 통해 식민지를 효율적으로 수

탈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하였다. 

11  1920년대 문화 통치 실시의 배경

17  1910년대 일제의 무단 통치

⑴  답  조선 총독부 

⑵   모범 답안  헌병 경찰이 독립운동 탄압은 물론 징세와 위생 

사무 등 한국인의 모든 일상생활에 관여하였다. 또한 범

자료는 1919년 조선 총독으로 취임한 사이토 마코토의 관제 

죄 즉결례와 경찰범 처벌 규칙을 만들어 헌병 경찰이 정

개정의 취지와 내용이다. 31 운동을 계기로 강압적인 무단 

식 재판 없이 한국인에게 벌금이나 구류 등의 처벌을 내

통치로는 한국을 지배하기 어렵다고 판단한 일제는 문화 통

릴 수 있게 하였다.  

◯ ◯ ◯ ◯ 계획은 일제가 1920년대 시행한 산미 증식 계획

주요 내용 중 한 가지만 넣어 바르게 서술한 경우

주요 내용  헌병 경찰이 모든 일상생활에 관여, 범죄 즉결례

와 경찰범 처벌 규칙, 정식 재판 없이 한국인 처벌 

채점 기준

주요 내용 중 세 가지를 모두 넣어 바르게 서술한 경우

주요 내용 중 두 가지만 넣어 바르게 서술한 경우

주요 내용 중 한 가지만 넣어 바르게 서술한 경우

18  토지 조사 사업의 목적
⑴  답  토지 조사 사업

⑵   모범 답안  일본인의 토지 소유를 쉽게 하고 지세를 안정적

으로 확보하기 위한 것이었다. 

주요 내용  일본인의 토지 소유를 쉽게 함, 지세를 안정적으

로 확보하기 위함

채점 기준

주요 내용 중 두 가지를 모두 넣어 바르게 서술한 경우

19  1920년대 일제의 민족 분열 통치

⑴  답  31 운동 

⑵   모범 답안  가혹한 식민 통치를 은폐함으로써 민족의 저항을 

무마하고, 동시에 친일 세력을 적극 양성하고자 하였다. 

주요 내용  가혹한 식민 통치 은폐함으로써 민족의 저항 무

마, 친일 세력 적극 양성 

채점 기준

주요 내용 중 두 가지를 모두 넣어 바르게 서술한 경우

주요 내용 중 한 가지만 넣어 바르게 서술한 경우

배점







배점





배점





치를 표방하였다. 

12  1920년대 문화 통치의 실상

자료는 1920년대 일제의 경찰력 강화를 보여 준다. 문화 통

치 시기 일제는 헌병 경찰제를 폐지하고 보통 경찰제를 시행

하였으나, 경찰 관서와 인원, 비용 등은 훨씬 늘어났고, 민족 

운동에 대한 감시와 탄압을 더욱 강화하였다. 

13  1920년대 일제의 통치 정책

자료는 문화 통치 시기 작성된 조선 민족 운동에 대한 대책이

다. 이 시기 일제는 문화 통치를 표방하였으나, 오히려 치안 

유지법을 이용하여 민족 운동을 더욱 탄압하였다. 



오답 풀이  ① 만민 공동회는 1898년에 개최되었다. ②, ③, ④ 1910년

대에 볼 수 있는 모습이다.

14  산미 증식 계획의 시행 목적

이다.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일본에서 쌀 부족 현상이 일어나

자, 일제는 일본 내의 식량 확보를 위해 1920년부터 한국에

서 산미 증식 계획을 추진하였다.

15  산미 증식 계획

(가)는 산미 증식 계획이다. 산미 증식 계획이 실시되었으나 

일제가 계획한 대로 쌀 생산이 늘지는 않았다. 그럼에도 일

본으로의 쌀 반출은 예정대로 진행되었고, 농민들의 생활은 

날로 어려워졌다. 

16  회사령 철폐

38 정답과 해설

자료는 1921년부터 급증한 일본인 회사의 자본금을 보여 준

다. 일제는 일본 기업이 한국에 진출하기 쉽도록 1920년 회

20  회사령 철폐의 결과

사령을 폐지하고, 회사 설립을 허가제에서 신고제로 바꾸었

⑴  답  (가) 허가제, (나) 신고제

다. 회사 설립이 한층 쉬워지자, 일본의 기업들이 값싼 자원

⑵   모범 답안  회사 설립이 한층 쉬워지자, 일본의 기업들이 값

과 노동력을 찾아 한국에 진출하였다.  

싼 자원과 노동력을 찾아 한국에 진출하였다. 

주요 내용  회사 설립이 쉬워짐, 일본 기업들이 값싼 자원과 

동원하여  한국에서의  쌀  생산을  늘려  일본으로  가져가려고 

하였다. ② 1910년대 실시한 토지 조사 사업에 대한 설명이다.

노동력을 찾아 한국 진출

채점 기준

주요 내용 중 두 가지를 모두 넣어 바르게 서술한 경우

주요 내용 중 한 가지만 넣어 바르게 서술한 경우

고난도 문제로 
내신 완성하기

01 ④  02 ③  03 ②  04 ②

배점





137쪽

01  1910년대 일제의 통치 정책

(가)는 1912년에 제정된 조선 태형령이다. 이 시기 일제는 토

지 조사 사업을 실시하여 일본인의 토지 소유를 쉽게 하고 지

세를 안정적으로 확보하고자 하였다.



오답 풀이  ①, ②, ③, ⑤ (나) 시기 일제의 정책이다.

2

3·1 운동과 대한민국 임시 정부

기본 문제로 
내신 다지기

140~144쪽

01 ④  02 ①  03 ④  04 ②  05 ⑤  06 ①  07 ④
08 ⑤  09 ④  10 ②  11 ④  12 ③  13 ④  14 ④
15 ②  16 ②  17 ⑴ 공화제 정부 ⑵ 해설 참조
18 ⑴ 28 독립 선언 ⑵ 해설 참조 19 ⑴ 대한민국 임시 헌
법 ⑵ 해설 참조 20 ⑴ 대한민국 임시 정부 ⑵ 해설 참조

01  독립 의군부의 활동

02  1920년대 일제의 통치 정책

임병찬이 고종의 비밀 지령을 받아 만든 단체는 독립 의군부

(나)는  1920년에  발표한  조선  민족  운동에  대한  대책이다. 

이다. 독립 의군부는 고종을 황제로 복위시켜야 한다는 복벽

1920년대 일제는 보통 경찰제를 시행하였으나 경찰 관서와 

주의를 내세웠다. 

비용, 인원 등은 훨씬 늘어났다. 또한 언론의 자유를 일부 허



오답 풀이  ① 동학 농민군에 대한 설명이다. ② 보수 유생들이 전개한

용하였으나  검열  제도를  만들어  식민  통치에  비판적이거나 

운동이다. ③ 1910년대 국외로 이주한 독립운동 단체들에 대한 설명

민족의식을 고취하는 기사를 삭제하였고, 심한 경우에는 신

이다. ⑤ 조선 국민회에 대한 설명이다.

문을 정간하였다.



오답 풀이  ㄱ. 문관 총독은 한 명도 임명되지 않았다. ㄹ. 일제는 한국

02  대한 광복회의 활동

인에게도 지방 행정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주겠다고 선전하여 도

제시된 강령을 내세운 단체는 대한 광복회이다. 1915년 박상

평의회, 면 협의회 등을 설치하였으나, 도 평의회, 면 협의회 등은 의

진을 총사령으로 하여 조직된 대한 광복회는 공화제 정부 수

결권 없이 정책에 대한 자문 기능만 있었다.

립을 목표로 활동하였다. 대한 광복회는 만주에 사관 학교를 

설립해 독립군을 양성하려 하였으며, 이를 위해 부호들로부

03  제2차 조선 교육령과 1920년대 일제의 정책

터 의연금을 거두어들였다. 

(가)는 31 운동 이후 제정된 제2차 조선 교육령이다. 이 시

기 일제는 언론·출판·집회·결사의 자유를 일부 허용하였다. 

03  1910년대 연해주 지역의 독립운동 단체

이에 따라 『조선일보』와 『동아일보』 등 한국인이 발행하는 신

지도의 (가)는 연해주 블라디보스토크 지역이다. 블라디보스



오답 풀이  ①, ③, ⑤ 1930년대~1940년대의 사실이다. ④ 1910년대의

조직되었다. 권업회는 이후 전로 한족회로 개편되었다.

토크의  신한촌에서는  한인의  지위  향상을  목표로  권업회가 



오답 풀이  ①, ② 동만주(북간도), ③ 평양, ⑤ 미주 지역에 해당한다.

04  1910년대 남만주 지역의 독립운동

문이 창간되었다.

사실이다.

04  산미 증식 계획

제시된  그래프는  산미  증식  계획과  관련된  것이다.  일제는 

남만주(서간도)  지역에서는  신민회의  이회영,  이상룡  등이 

일본 내의 식량 확보를 위해 1920년부터 한국에서 산미 증식 

삼원보에 자치 기관인 경학사를 만들고 독립군 양성 기관인 

계획을 추진하였다. 일본 벼 품종 보급, 수리 시설 확충 등을 

신흥 강습소를 세웠다. 

정답과 해설 39

05  민족 자결주의의 영향

11  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자금 모금

자료의 주장은 미국 대통령 윌슨이 주창한 민족 자결주의이

대한민국 임시 정부는 다양한 활동을 전개하였다. 이러한 활

다. 일본에 유학 중이던 한국 청년들은 조선 청년 독립단의 

동을 전개하는 데 필요한 자금을 마련하기 위해 임시 정부는 

이름으로 도쿄에서 독립 선언서를 발표하여 민족 자결주의에 

독립 공채를 발행하였고, 국외 한인들은 적극 호응하였다.

입각한 조선의 독립을 주장하였다.

06  31 운동

기미 독립 선언과 함께 일어난 민족 운동은 31 운동이다. 종

교계 지도자들이 민족 대표를 구성하고 독립 선언을 준비하

였고,  고종의  장례식을  기회로  삼아  만세  시위를  계획하였

다. 31 운동은 전국 주요 도시에서 전개되었고, 미국 필라델

피아에서는 한인 자유 대회 시가행진이 열리기도 하였다.

07  일제의 31 운동 폭력적 진압

31 운동의 만세 시위는 농촌으로 확산되었다. 농촌 지역에

서는 주로 사람들이 많이 모여드는 장날에 시위가 일어났는

데, 이때 헌병 경찰과 일본군이 시위를 폭력적으로 진압하는 

일이 자주 발생하였다. 경기도 화성의 제암리에서는 일본군

이 주민을 학살하는 만행을 저질렀다.

08  31 운동과 일제의 통치 방식 전환

자료는 중국 언론에서 보도한 31 운동이다. 31 운동을 통

해 한국인의 저항 의지를 목격한 일제는 더 이상 무단 통치라

는 방식으로 한국을 지배할 수 없다고 생각하였다. 이에 일

제는 교묘하게 한국인을 분열시켜 식민 지배를 손쉽게 하고

자 이른바 문화 통치를 실시하였다.

09  31 운동의 영향

자료의 인물은 유관순이다. 유관순은 31 운동 당시 천안에

서 시위를 주도하다가 체포되어 옥사하였다. 31 운동을 계

기로 독립운동가들 사이에서는 독립운동을 더욱 조직적으로 

전개해야 한다는 공감대가 형성되었고, 이후 대한민국 임시 

정부가 수립되었다.

10  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수립 

12  연통제

이다.

대한민국 임시 정부는 연통제라는 비밀 행정 조직을 만들어 

독립운동 자금과 국내 정보를 모았다. 서울에 총판, 도·군·면

에 각각 독판, 군감, 면감을 두고 중요한 정보를 수집하였다. 



오답 풀이  ① 민주 공화제에 대한 질문이다. ② 『독립신문』에 대한 질

문이다. ④ 구미 위원부에 대한 질문이다. ⑤ 독립 공채에 대한 질문

13  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외교 활동

대한민국 임시 정부는 신한 청년당의 대표로 파리 강화 회의

에 파견된 김규식을 전권 대사로 임명하여 독립 청원서를 제

출하게 하였으며, 미국에 구미 위원부를 설치하여 외교 활동

을 벌였다. 구미 위원부는 미국의 지도층 인사들을 대상으로 

한국의 독립운동을 홍보하였다.



오답 풀이  ㄱ. 황준헌이 저술한 책이다. ㄷ.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장

인환과 전명운이 저격하였다.

14  국민 대표 회의 개최의 배경

대한민국  임시  정부는  연통제와  교통국이  무너져  독립운동 

자금을 모으기 어렵게 되었다. 또한 외교 활동에서도 뚜렷한 

성과를  거두지  못하였고,  이승만이  국제  연맹에  한국  위임 

통치를 요청했던 사실에 대한 비판이 고조되었다. 이러한 상

황 속에서 독립운동의 방향을 논의하기 위해 국민 대표 회의

가 소집되었다.

15  국민 대표 회의 이후의 상황

(가)는 창조파, (나)는 개조파의 주장으로 국민 대표 회의에

서 제기되었다. 국민 대표 회의는 큰 성과를 거두지 못하고 

결렬되었고, 이후 대한민국 임시 정부는 조직을 유지하기조

차 어려울 정도로 침체에 빠졌다.

(가)는 대한민국 임시 정부이다. 대한민국 임시 정부는 임시 

16  국민 대표 회의 이후 임시 정부의 재정비

의정원, 국무원, 법원으로 구성된 삼권 분립 제도를 채택하

대한민국 임시 정부는 조직을 재정비하고자 1925년 이승만을 

였다.

탄핵하고 박은식을 제2대 임시 대통령으로 선출하였다. 박은



오답 풀이  ① 임시 정부는 31 운동 이후 수립되었다. ③ 초대 임시 대

식은 개헌을 단행해 국무령 중심 지도 체제로 개편하였다. 이

통령으로 이승만이 취임하였다. ④ 통합된 정부의 위치를 상하이로

후 국무령에 취임한 김구는 임시 정부를 강화하기 위해 집단 

정하였다. ⑤ 한성 정부의 내각 구성안을 수용하였다.

지도 체제를 도입하는 등 여러 가지 노력을 기울였다.

40 정답과 해설

채점 기준

주요 내용 중 두 가지를 모두 넣어 바르게 서술한 경우

주요 내용 중 한 가지만 넣어 바르게 서술한 경우

고난도 문제로 
내신 완성하기

01 ②  02 ③  03 ⑤  04 ④

145쪽

17  대한 광복회

⑴  답  공화제 정부 

⑵   모범 답안   만주에  사관  학교를  설립해  독립군을  양성하려 

하였으며, 이를 위해 부호들로부터 의연금을 거두어들였다.  

주요 내용  만주에 사관 학교 설립, 부호들에게 의연금 거둠        

배점





배점





배점







18  28 독립 선언

⑴  답  28 독립 선언

⑵   모범 답안  피지배 민족이 자신의 정치적 미래를 스스로 결

정할 수 있어야 한다.     

주요 내용  피지배 민족, 자신의 정치적 미래를 스스로 결정

채점 기준

주요 내용 중 두 가지를 모두 넣어 바르게 서술한 경우

주요 내용 중 한 가지만 넣어 바르게 서술한 경우

19  대한민국 임시 헌법

⑴  답  대한민국 임시 헌법

⑵   모범 답안  대한민국 임시 정부는 임시 의정원, 국무원, 법원

으로 구성된 삼권 분립 제도를 채택하였다.

주요 내용  임시 의정원, 국무원, 법원, 삼권 분립 제도

주요 내용 중 세 가지 이상 넣어 바르게 서술한 경우

주요 내용 중 두 가지만 넣어 바르게 서술한 경우

주요 내용 중 한 가지만 넣어 바르게 서술한 경우

20  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자금 조달
⑴  답  대한민국 임시 정부

채점 기준

주요 내용 중 세 가지를 모두 넣어 바르게 서술한 경우

주요 내용 중 두 가지만 넣어 바르게 서술한 경우

주요 내용 중 한 가지만 넣어 바르게 서술한 경우

배점







01  대한 광복회 

대구에서 박상진, 우재룡, 채기중 등이 조직한 단체는 대한 

광복회이다. 대한 광복회는 공화제 정부 수립을 목표로 활동

하였으며, 비밀 결사 형태로 운영되었다. 



오답 풀이  ① 1919년 조선 청년 독립단이 발표하였다. ③ 조소앙, 안창

호 등이 발표하였다. ④ 독립 의군부에 대한 설명이다. ⑤ 이회영, 이

상룡 등에 대한 설명이다.

02  31 운동의 영향

탑골 공원에서 독립 선언식을 거행하고, 전국 주요 도시에서 

전개된 민족 운동은 31 운동이다. 31 운동을 계기로 독립

운동을 조직적으로 전개해야 한다는 공감대가 형성되어 대한

민국  임시  정부가  수립되기에  이르렀고,  노동자,  농민들의 

의식이 고양되어 1920년대 노동 운동과 농민 운동의 밑거름

이 되었다. 또한 31 운동 이후 일제는 이른바 문화 통치를 

실시하였다.  ③  신간회는  1927년  비타협적인  민족주의자들

03  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활동

『독립신문』, 외교 선전 책자 등을 간행한 단체는 대한민국 임

시 정부이다. 우리 역사상 최초의 민주 공화제 정부인 임시 

정부는 연통제와 교통국을 운영하였고, 미국에 구미 위원부

를 설치해 외교 활동을 벌였으며, 자금 마련을 위해 독립 공

채를 발행하였다. ⑤ 지계는 대한 제국 시기에 발급하였다. 

채점 기준

과 사회주의자들이 함께 창립하였다. 

⑵   모범 답안   연통제라는  비밀  행정  조직을  만들어  독립운동 

자금과 국내 정보를 모았다. 통신 기관인 교통국을 만들

04  독립운동의 노선

어 국내 인사와의 연락과 이동, 독립운동 자금 모집 등을 

(가) 외교 운동론으로, 외교 활동을 통해 강대국의 도움을 받

담당하게  하였다.  국외  한인들을  대상으로  독립  공채를 

아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나) 무장 투쟁론으로, 적극적인 무

발행하였다. 

장 투쟁만이 독립 쟁취의 노선이라고 주장하였다. (다) 실력 

주요 내용  연통제, 교통국, 독립 공채 발행

양성론으로, 민족의 실력 양성이 우선이라고 주장하였다.  

정답과 해설 41

3

다양한 민족 운동의 전개

06  한인 애국단

149~154쪽

인 애국단의 소속으로, 한인 애국단은 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가)는 이봉창의 의거, (나)는 윤봉길의 의거이다. 이들은 한

침체를 극복하고자 당시 국무령이었던 김구가 조직하였다. 



오답 풀이  ① 대한 독립군에 대한 설명이다. ② 조선 공산당에 대한

설명이다. ③ 의열단에 대한 설명이다. ⑤ 신간회에 대한 설명이다.

기본 문제로 
내신 다지기

01 ⑤  02 ③  03 ①  04 ④  05 ②  06 ④  07 ④
08 ②  09 ③  10 ⑤  11 ④  12 ③  13 ②  14 ⑤
15 ④  16 ②  17 ①  18 ⑤  19 ⑤  20 ④
21 ⑴ 조선 혁명 선언 ⑵ 해설 참조 22 ⑴ 물산 장려 운동
23 ⑴ 광주 학생 항일 운동 ⑵ 해설 참조

⑵ 해설 참조
24 ⑴ 신간회 ⑵ 해설 참조

(가)에 들어갈 말은 청산리 대첩이다. 1920년 10월 21일부터 

시작, 북로 군정서를 비롯한 독립군 부대 등을 통해 파악할 

08  물산 장려 운동

봉오동 전투에서 패배한 일본군은 1920년 10월 훈춘 사건을 

구실로 약 2만 명의 대병력을 동원하여 만주의 독립군 근거

지를 공격하였다. 이에 맞서 김좌진의 북로 군정서를 비롯한 

독립군 부대가 전투를 벌여 큰 승리를 거두었다. 

03  간도 참변

청산리 대첩을 전후하여 일본군은 독립군의 근거지를 없앤다

였다. 

는 명분으로 간도의 한인 촌락을 습격하여 한인들을 학살하

고 마을을 불태우는 만행을 저질렀다. 1920년 10월부터 시작

된 일본군의 만행은 1921년 봄까지 이어졌다. 

07  민족 운동의 분화

자료의  ‘두  가지  조류’는  사회주의  운동과  민족주의  운동을 

가리킨다. 사회주의 운동과 민족주의 운동은 일본 제국주의 

타도라는 공통된 목표를 가지고 있었다. 

자료는 조선 물산 장려회의 취지서로, 물산 장려 운동과 관

련된다. 1920년 8월 조만식 등은 평양에서 조선 물산 장려회

를 조직하고 우리가 만든 물건을 쓰자는 물산 장려 운동을 전

개하였다. ② 국채 보상 운동과 관련이 있다.

09  민립 대학 설립 운동

자료는 조선 민립 대학 기성회 취지서의 일부이다. 이상재, 

이승훈 등은 한국인의 힘으로 대학을 세우려는 민립 대학 설

립 운동을 전개하였다. 일제는 1924년 경성 제국 대학을 설

립하여  한국인들의  고등  교육에  대한  열망을  무마하려  하 

10  농촌 계몽 운동

(가)는 『조선일보』에서 문맹 퇴치를 위해 보급한 『한글 원본』, 

(나)는 브나로드 운동의 포스터이다. 1920년대 후반에 언론

사의 주도로 문맹 퇴치와 생활 개선 등을 목표로 하는 농촌 

(가)는 자유시 참변이다. 밀산에 집결한 독립군 부대는 러시

계몽 운동이 전개되었다.

아령 자유시로 이동하였고, 러시아에서 활동하던 항일 유격 



오답 풀이  ①, ②, ③ 민립 대학 설립 운동에 대한 설명이다. ④ 물산

부대도 자유시로 모여들었다. 그러나 여러 부대를 통합하는 

장려 운동에 대한 설명이다.

과정에서 지휘권을 놓고 다툼이 일어났고, 여기에 러시아 혁

명군까지 개입하면서 많은 사상자가 발생하였다.

11  실력 양성 운동의 의의

실력 양성 운동은 민족 자본의 육성과 근대 교육의 보급, 신

문화의 건설 등을 통해 한국 사회의 근대적 발전과 민족 독립

자료는 김원봉의 요청으로 신채호가 작성한 「조선 혁명 선언」

을 꾀한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다.  「조선  혁명  선언」에는  폭력  투쟁을  통한  민중의  직접 



오답 풀이  ① 610 만세 운동에 대한 설명이다. ② 윤봉길의 훙커우

혁명을 추구하는 의열단의 기본 정신이 잘 나타나 있다. ② 

공원 의거 이후 지원하였다. ③ 의열단에 대한 설명이다. ⑤ 광주 학

한인 애국단의 대표적 인물이다.

생 항일 운동에 대한 설명이다.

01  청산리 대첩

수 있다. 

02  청산리 대첩

04  자유시 참변

05  의열단

42 정답과 해설

12  자치 운동

19  신간회의 활동

밑줄 친 ‘우리’는 자치 운동을 주장하는 세력이다. 자치 운동

신간회는  전국에서  강연회를  열어  민중을  계몽하고  일제의 

은 비타협적 민족주의자들과 사회주의자들에게 격렬하게 비

식민 통치 정책을 비판하였다. 또한 1929년 일어난 원산 총

판받았고, 자치 운동이 좌절되자 이를 주장하던 세력은 1930

파업을 지원하는 등 다양한 활동을 전개하였다. 

년대 이후 점차 친일의 길을 걸었다. 

13  610 만세 운동

(가)는 610 만세 운동이다. 순종의 장례일인 1926년 6월 10

일 학생들은 삼엄한 경비를 뚫고 장례 행렬이 지나가는 곳곳

에서 격문을 뿌리며 시민들과 함께 만세 시위를 벌였다. 



오답 풀이  ① 광주 학생 항일 운동에 대한 설명이다. ③ 한인 애국단

은 이봉창, 윤봉길 등의 의거를 주도하였다. ④, ⑤ 31 운동에 대한

설명이다.

14  광주 학생 항일 운동

20  신간회의 해소를 둘러싼 갈등

(가)는 신간회 해소론, (나)는 신간회 해소 반대론이다. 신간

회의 새 집행부는 다소 온건한 활동 방향을 모색하였다. 한

편, 1928년 코민테른이 민족보다 계급을 우선하는 노선을 채

택한 이후 일부 사회주의자들은 신간회 해소를 주장하였다.

제시된 민족 운동은 광주 학생 항일 운동이다. 광주 학생 항

일 운동은 농촌 지역 학교까지 퍼져 나갔고, 전국적으로 320

21  의열단의 활동

⑴  답  조선 혁명 선언

개교에서 수만 명이 시위에 참여하였다. 

15  광주 학생 항일 운동의 전개

1929년 10월 나주역에서 일본인 남학생이 한국인 여학생을 

주요 내용  김익상의 조선 총독부 폭탄 투척, 김상옥의 종로 

희롱한 사건을 계기로 한·일 학생 간에 충돌이 일어났다. 경

경찰서 폭탄 투척, 나석주의 동양 척식 주식회사 폭탄 투척

⑵    모범 답안  김익상이 조선 총독부에 폭탄을 투척하였다. 김

상옥이 종로 경찰서에 폭탄을 투척하였다. 나석주가 동양 

척식 주식회사에 폭탄을 투척하였다. 

찰과 교육 당국이 일본인 학생을 일방적으로 두둔하자, 광주 

지역 학생들은 민족 차별 중지와 식민지 교육 철폐를 내걸고 

11월 3일 대규모 시위를 전개하였다.

채점 기준

주요 내용 중 세 가지를 모두 넣어 바르게 서술한 경우

주요 내용 중 두 가지만 넣어 바르게 서술한 경우

주요 내용 중 한 가지만 넣어 바르게 서술한 경우

자료는 1925년 일제가 독립군 탄압을 위해 만주 군벌과 맺은 

미쓰야 협정이다. 이 협정으로 만주의 참의부, 정의부, 신민

부의 활동은 크게 위축되었다.

22  물산 장려 운동이 실패한 원인

⑴  답  물산 장려 운동

16  미쓰야 협정

17  신간회의 창립

하였다.

18  신간회 창립의 의의

비타협적 민족주의자들과 사회주의자들은 1927년 2월 신간

회를 창립하고 회장에는 이상재, 부회장에는 홍명희를 선출

⑵   모범 답안  늘어난 수요를 뒷받침할 만한 생산력 증대가 이

루어지지 않아 물건값이 오르는 문제점이 드러났다. 일부 

사회주의자들은 자본가와 상인의 이익만을 위한 운동이라

고 비난하였고, 소비자들은 점차 물산 장려 운동에 등을 

돌렸다. 

주요 내용  수요를 뒷받침할 만한 생산력 증대가 이루어지지 

않음, 물건값이 상승함, 일부 사회주의자들이 비난함

자료는 신간회 강령이다. 신간회는 비타협적 민족주의자들과 

사회주의자들이 연합한 단체로, 독립운동의 이념과  방법의 

차이를 넘어 민족 협동 전선을 결성하였다는 점에서 커다란 

의미를 지닌다.

채점 기준

주요 내용 중 세 가지를 모두 넣어 바르게 서술한 경우

주요 내용 중 두 가지만 넣어 바르게 서술한 경우

주요 내용 중 한 가지만 넣어 바르게 서술한 경우

배점







배점







정답과 해설 43

23  광주 학생 항일 운동의 의의
⑴  답  광주 학생 항일 운동

는 조선 물산 장려회의 취지서이다. 물산 장려 운동에 대해 

일부 사회주의자들은 자본가와 상인의 이익만을 위한 운동이

⑵   모범 답안  1929년 10월 나주역에서 발생한 한·일 학생 간의 

라고 비난하였다.

충돌을 계기로 일어났다. 광주 학생 항일 운동은 31 운동 

이후 일어난 최대 규모의 항일 민족 운동이었다. 

03  신간회의 활동

주요 내용  나주역에서 한·일 학생 간의 충돌을 계기로 일어

자료는 정우회 선언이다. 비타협적 민족주의자들의 조선 민

남, 31 운동 이후 최대 규모 

채점 기준

주요 내용 중 두 가지를 모두 넣어 바르게 서술한 경우

주요 내용 중 한 가지만 넣어 바르게 서술한 경우

24  신간회의 활동 
⑴  답  신간회

⑵   모범 답안  전국에서 강연회를 열어 민중을 계몽하고 일제의 

식민 통치 정책을 비판하였다. 또한 1929년 일어난 원산 

총파업을 지원하고, 함경남도 갑산군 화전민 사건의 진상

을 규명하였다. 1929년 광주 학생 항일 운동이 일어나자, 

현지에 조사단을 파견하고 진상 보고를 위한 민중 대회를 

열고자 하였다. 

주요 내용  민중 계몽과 식민 통치 정책 비판, 원산 총파업 

지원, 갑산군 화전민 사건의 진상 규명, 광주 학생 항일 

운동에 조사단 파견

채점 기준

주요 내용 중 세 가지 이상 넣어 바르게 서술한 경우

주요 내용 중 두 가지만 넣어 바르게 서술한 경우

주요 내용 중 한 가지만 넣어 바르게 서술한 경우

배점





배점







고난도 문제로 
내신 완성하기

01 ④  02 ④  03 ③  04 ③

01  윤봉길의 훙커우 공원 의거

흥회 결성, 사회주의자들의 정우회 선언 발표 이후 비타협적 

민족주의자들과 사회주의자들은 신간회를 창립하였다. ③ 신

간회는  광주  학생  항일  운동  당시  현지에  조사단을  파견하 

였다. 

04  신간회 강령

자료는 신간회 강령이다. ㉠은 자치 운동을 제기하여 민족주

의 진영에 분열을 가져온 타협적 민족주의자(기회주의자)들

을 반대한다는 의미이다.

4

사회·문화의 변화와 사회 운동

기본 문제로 
내신 다지기

158~161쪽

01 ④  02 ④  03 ④  04 ⑤  05 ④  06 ③  07 ④
08 ④  09 ③  10 ④  11 ②  12 ②  13 ⑴ 백남운

⑵ 해설 참조

14 ⑴ 근우회 ⑵ 해설 참조

01  도시 빈민의 삶

155쪽

토지 조사 사업과 산미 증식 계획의 영향으로 생활이 어려워

진  농민들은  농촌을  떠나  도시로  몰려들었다.  이들은  도시 

변두리에 빈민촌을 형성하였다. 빈민촌에는 땅을 파고 짚이

나  거적을  두른  움집인  토막을  짓고  생활하는  이들이  많아  

‘토막민’이라는 말이 생겨났다.

자료는 윤봉길의 훙커우 공원 의거 전의 상황이다. 윤봉길의 

02  조선어 학회와 조선어 연구회

훙커우 의거 이후 중국 국민당 정부는 이를 높이 평가하여 한

국 독립운동 세력을 적극적으로 지원하였다. 

1921년 조선어 연구회가 조직되었다. 조선어 연구회는 1926

년 ‘가갸날’을 제정하였고, 이후 1931년 조선어 학회로 확대 

개편되었다. 조선어 학회는 우리말 사전 편찬을 시작하는 등 

활발한 활동을 전개하였다. 일제는 1942년 회원들을 대거 체

(가)는 물산 장려 운동을 비판하는 사회주의자의 입장, (나)

포하고 조선어 학회를 강제로 해산하였다.

02  사회주의자들의 물산 장려 운동 비판  

44 정답과 해설

03  일제의 식민 사관

09  1930년대의 노동 쟁의 

(가)에 들어갈 말은 식민 사관이다. 식민 사관은 우리 역사의 

1930년대 들어 사회주의자들의 혁명적 노동조합 운동과 연

주체적이고 발전적인 측면을 부정하였다. 한국 민족은 스스

계되면서 노동자들의 활동은 더욱 강경한 양상을 보였다. 이 

로 운명을 결정할 수 없으니 일본의 도움 없이는 살아갈 수 

시기의 노동 운동은 단순한 생존권 투쟁이 아니라 계급 해방

을 추구하는 혁명 운동이었으며, 반제국주의 항일 투쟁의 성

격을 띠었다. 

자료는  박은식의  『한국통사』이다.  박은식  등은  민족주의  사

10  근우회의 활동

학자들은 독립운동의 일환으로 역사를 연구하였으며, 박은식

밑줄 친 ‘이 단체’는 근우회이다. 근우회는 여성 교양 강좌와 

은 『한국독립운동지혈사』를 저술하여 한국 독립운동의 역사

야학, 토론회를 열어 여성들을 대상으로 한 문맹 퇴치 및 계



오답 풀이  ㄱ. 이병도, 손진태 등이 정립하였다. ㄴ. 안재홍과 정인보



오답 풀이  ①, ② 천도교 소년회에 대한 설명이다. ③ 서울 청년회가

없다는 논리였다. 

04  박은식의 역사 연구

를 정리하였다.

가 제창하였다.

05  백남운의 역사 연구

② 조선학 운동에 대한 설명이다. ⑤ 실증 사학에 대한 설명이다.

12  형평 운동

자료는 백남운의 『조선 사회 경제사』이다. 백남운은 우리 역

사가 세계사의 보편적인 발전 법칙에 따라 발전하였음을 강

조하였다. 이는 일제가 내세운 식민 사관의 정체성론을 극복

하는 이론적 근거를 제공하였다. 



오답 풀이  ①, ③ 민족주의 사학자들의 역사 연구에 대한 설명이다.

06  종교계의 민족 운동

대종교는 중광단을 조직하여 항일 무장 투쟁을 전개하였고, 

천도교는  각종  잡지를  간행하며  청년·여성·소년·농민  운동 

등을  전개하였다.  기독교는  수많은  학교를  세우는  등  교육 

운동과 문화 사업을 전개하였으며, 천주교는 고아원과 양로

원을  세우는  등  사회사업에  주력하였다.  ③  원불교의  활동 

이다. 

07  암태도 소작 쟁의의 원인

08  1930년대의 소작 쟁의

1930년대 들어 대공황의 영향으로 농민 생활이 더욱 어려워

지자 소작 쟁의가 격화되었다. 사회주의 계열은 항일 투쟁의 

일환으로 혁명적 농민 조합 운동을 전개하였다. 혁명적 농민 

조합은 토지 혁명과 같은 급진적 요구를 내걸었다.



오답 풀이  ㄱ. 조선 노농 총동맹은 1927년 조선 노동 총동맹과 조선

농민 총동맹으로 분리되었다. ㄷ. 1920년대 소작 쟁의의 성격이다.

자료는 암태도 소작 쟁의이다. 전라남도 신안군 암태도에서

는 고율의 소작료를 견디다 못한 농민들이 소작 쟁의를 일으

켜 전국적인 주목을 끌었다.

13  사회 경제 사학
⑴  답  백남운 

몽 활동에 힘을 쏟았다.

주도하여 개최하였다. ⑤ 형평 운동에 대한 설명이다.

11  소년 운동과 형평 운동

(가)는 어린이날 표어이다. 천도교 소년회는 5월 1일을 ‘어린

이날’로  정하여  기념행사와  소년  보호  운동을  전개하였다.  

(나)는 형평사 제6회 전 조선 정기 대회 포스터이다. 1923년 

진주에서 조선 형평사가 조직되어 형평 운동을 전개하였다.

갑오개혁으로  신분  제도가  폐지된  이후에도  도축이나  고기 

파는 일에 종사하는 백정에 대한 차별은 쉽게 사라지지 않았

다. 이와 같은 차별에 항의하여 1923년 진주에서 조선 형평사

가 조직되어 형평 운동을 전개하였다. 형평 운동은 언론과 사

회주의 계열의 지지에 힘입어 전국적인 운동으로 발전하였다.

⑵   모범 답안  우리의 역사는 정체되어 있었던 것이 아니라 ‘원

시 공산제, 고대 노예제, 중세 봉건제, 근대 자본제’라는 

세계사의 보편적인 발전 법칙에 따라 발전하였다. 

주요 내용  우리의 역사는 정체되어 있었던 것이 아님, 세계

사의 보편적인 발전 법칙에 따라 발전함

채점 기준

주요 내용 중 두 가지를 모두 넣어 바르게 서술한 경우

주요 내용 중 한 가지만 넣어 바르게 서술한 경우

배점





정답과 해설 45

⑵   모범 답안  근우회는 여성 교양 강좌와 야학, 토론회를 열어 

약하거나 식민지가 넓지 않았던 국가들은 대외 침략을 통해 

여성들을 대상으로 한 문맹 퇴치 및 계몽 활동에 힘을 쏟 

대공황을 극복하려 하였다.

적  유대  관계를  강화하는  블록  경제를  형성하였다.  그러나 

이탈리아, 독일, 일본처럼 국내 산업 기반이 상대적으로 취

14 근우회 

⑴  답  근우회 

았다.

주요 내용  여성 교양 강좌·야학·토론회 개최, 여성들을 대

02  제2차 세계 대전의 전개 과정

상으로 한 문맹 퇴치 및 계몽 활동에 힘을 쏟음

독일·이탈리아·일본은 3국 방공 협정을 통해 추축국 진영을 

채점 기준

주요 내용 중 두 가지를 모두 넣어 바르게 서술한 경우

주요 내용 중 한 가지만 넣어 바르게 서술한 경우

고난도 문제로 
내신 완성하기

01 ①  02 ②

배점





161쪽

01  식민 사관에 맞선 역사 연구

일제의 식민 사관에 맞서 신채호는 우리 민족 고유의 문화적 

전통과 자주적 역사관을 강조하였고, 백남운은 마르크스의 

유물 사관에 바탕을 둔 사회 경제 사학을 내세웠다. 

02  원산 총파업

자료는 1929년의 원산 총파업이다. 1920년대 후반에는 노동 

쟁의가 더욱 조직적이고 지속적인 모습으로 변화하였고, 점

차 항일 투쟁의 성격을 띠었다.

형성하였다. 1941년 일본은 하와이 진주만을 기습 공격하며 

태평양 전쟁을 일으켰다. 소련이 스탈린그라드 전투에서 승

리하면서 전세가 연합국에 유리해졌고, 미국이 히로시마와 

나가사키에 원자 폭탄을 투하하자 일본은 항복하였다.

03  병참 기지화 정책과 남면북양 정책

일제는 전쟁에 필요한 군수 물자와 인력을 효율적으로 수탈

하기 위한 병참 기지화 정책을 수행하였고, 남부에서는 면화

를 재배하고 북부에서는 양을 사육할 것을 강요하는 남면북

양 정책을 실시하였다.

04  1940년대 일제의 정책

황국 신민 서사는 1940년대 일제의 정책이다. 이 시기 일제

는 매월 1일을 애국일로 정해 신사 참배를 의무화하였다. 또

한 매일 아침 일왕이 있는 일본 도쿄의 궁성을 향해 허리 숙

여 절을 하는 궁성 요배를 하게 하였다.

 

오답 풀이   ㄴ, ㄹ. 1910년대에 일제가 시행한 정책이다.

05  창씨개명 강요 시기 일제의 정책

자료는 일제의 창씨개명 강요 정책이다. 이 시기 일제는 초

등 교육 기관의 명칭을 ‘황국 신민의 학교’라는 의미의 국민

학교로 바꾸었다. 또한 학교와 관공서에서 한국어 사용을 금

지하였고, 『동아일보』와 『조선일보』를 폐간하였으며, 한글 연

구 기관인 조선어 학회를 탄압하여 해산하였다. 

5

6

전시 동원 체제와 민중의 삶 ~  
광복을 위한 노력

기본 문제로 
내신 다지기

01 ④  02 ④  03 ③  04 ②  05 ②  06 ③  07 ①
08 ③  09 ②  10 ③  11 ⑤  12 ① 
민화 정책  ⑵ 해설 참조  14 ⑴ 삼균주의  ⑵ 해설 참조 

13  ⑴  황국  신

164~167쪽

06  국가 총동원법 선포의 목적

제시된 법령은 1938년 제정된 국가 총동원법이다. 일제는 전

쟁에 필요한 자원을 효율적으로 조달하고자 국가 총동원법을 

선포하고 한국에도 이를 적용하였다. 일제는 전쟁에 필요한 

물자 확보를 위해 각종 자원과 식량을 수탈하는 공출을 실시

하였다. 

01  대공황 극복을 위한 각국의 노력

07  1930년대 이후 일제의 자원 수탈

(가)는  대공황이다.  대공황을  극복하고자  미국은  뉴딜  정책

일제는 1939년 국민 징용령을 시행하여 대규모로 노동력을 

을 실시하였다. 영국과 프랑스는 각기 본국과 식민지의 경제

동원하였고, 1943년 10월에는 학도 지원병제를 시행하여 학

46   정답과 해설

생들을 강제로 전쟁에 내보냈다.

주요 내용   황국  신민  서사,  신사  참배,  궁성  요배,  창씨개



오답 풀이  ㄷ, ㄹ. 1910년대 일제의 자원 수탈에 대한 내용이다.

명, 초등 교육 기관의 명칭을 초등학교로 바꿈

양세봉이 이끄는 조선 혁명군은 남만주에서 중국 항일 무장 

세력과 함께 영릉가 전투와 흥경성 전투에서 승리하였다. 

조선 의용대는 1938년 조선 민족 전선 연맹의 산하 무장 조

직으로 창설되었다. 이후 조선 의용대는 적극적인 투쟁을 펼

치고자 중국 공산당의 근거지인 화북 지방으로 이동하였다.

1940년 충칭에 자리 잡은 대한민국 임시 정부는 중국 국민당 

정부와 교섭하여 지청천을 총사령관으로 하는 한국광복군을 

08  양세봉의 활동

09  조선 의용대 

10  한국광복군의 창설

창설하였다.

11  한국광복군의 활동

밑줄 친 ‘이 단체’는 한국광복군이다. 대한민국 임시 정부는 

1943년 영국군의 요청에 따라 인도·미얀마 전선에 한국광복

군 대원을 파견하였다. 



오답 풀이  ① 동북 인민 혁명군에 대한 설명이다. ② 조선 혁명군에

대한 설명이다. ③ 조선 의용대에 대한 설명이다. ④ 조선 의용대 화

북 지대에 대한 설명이다.

12  조선 건국 동맹

밑줄 친 ‘이 단체’는 조선 건국 동맹이다. 조선 건국 동맹은 사

회주의자와 민족주의자를 아우른 민족 연합 전선이었다. 조선 

건국 동맹은 일본 패망의 기회를 놓치지 않기 위해 무장봉기

를 일으킬 계획을 세우고, 국외 민족 운동 세력과 연계를 꾀하

였다.

채점 기준

주요 내용 중 세 가지 이상 넣어 바르게 서술한 경우

주요 내용 중 두 가지만 넣어 바르게 서술한 경우

주요 내용 중 한 가지만 넣어 바르게 서술한 경우

14  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건국 강령 

⑴  답  삼균주의 

⑵   모범 답안  보통 선거에 기초한 민주 공화국 건설, 토지와 중

요 산업 국유화, 무상 교육 실시 등이 담겨 있다. 

주요 내용  보통 선거, 민주 공화국 건설, 토지와 중요 산업 

국유화, 무상 교육

채점 기준

주요 내용 중 세 가지 이상 넣어 바르게 서술한 경우

주요 내용 중 두 가지만 넣어 바르게 서술한 경우

주요 내용 중 한 가지만 넣어 바르게 서술한 경우

배점







배점







고난도 문제로 
내신 완성하기

01 ③  02 ③

167쪽

01  산업 간·지역 간 불균형의 원인

일제는 한반도 북부를 공업 지대로 만드는 식민지 공업화를 

추진하였다. 조선 총독부가 국토의 균형적 발전보다 일본 독

점 자본의 이득을 우선시한 결과, 한국은 광복 이후에도 산

업 간·지역 간 불균형을 겪게 되었다. 

02  조선 독립 동맹 

자료는 조선 독립 동맹의 건국 강령이다. 조선 독립 동맹은 

스스로를 독립을 쟁취하기 위한 하나의 지방 단체로 규정하

13  황국 신민화 정책 

⑴  답  황국 신민화 정책 

⑵   모범 답안  황국 신민 서사를 강제로 외우게 하였고, 신사 참

고, 조선 민주 공화국 건설을 표방하는 건국 강령을 발표하

배를 의무화하였으며, 궁성 요배를 하게 하였다. 한국인의 

였다.  

성과  이름을  일본식으로  바꾸도록  강요하는  창씨개명을 



오답 풀이  ①, ② 조선 건국 동맹에 대한 설명이다. ④, ⑤ 대한민국 임

하였고, 초등 교육 기관의 명칭도 국민학교로 바꾸었다. 

시 정부에 대한 설명이다.

정답과 해설 47

168~175쪽

한국에서 산미 증식 계획을 추진하였다. 이 때문에 농민들의 

대단원 

마무리하기

01 ③  02 ④  03 ⑤  04 ②  05 ②  06 ②  07 ③
08 ⑤  09 ②  10 ⑤  11 ④  12 ④  13 ①  14 ①
15 ③  16 ③  17 ④  18 ③  19 ①  20 ①  21 ①
22 ④  23 ④  24 ①  25 ④  26 ④  27 ②  28 ③
29 ⑴ 토지 조사 사업 ⑵ 해설 참조
30 ⑴ 대한민국
임시 정부 ⑵ 해설 참조  31 ⑴ 물산 장려 운동 ⑵ 해설 참



32 ⑴ 신간회 ⑵ 해설 참조

01  1910년대 일제의 정책

제시된 법령은 1912년 제정된 조선 태형령이다. 1910년대 일

제는 헌병 경찰이 독립운동을 탄압하였고, 범죄 즉결례와 경

찰범 처벌 규칙을 만들어 정식 재판 없이 한국인을 처벌하였

다. 또한 제1차 조선 교육령을 공포하여 식민 통치에 순응하

는 한국인을 육성하고자 하였으며, 토지 조사 사업을 신고주

의 원칙에 따라 진행하였다. ③ 1940년대의 사실이다.

02  1910년대 일제의 경제 수탈

자료는 일제가 1910년 공포한 회사령이다. 일제는 1910년부

터 1918년까지 토지 조사 사업을 실시하였다. 



오답 풀이  ①, ②, ⑤ 1930년대 이후의 사실이다. ③ 1920년대의 사실

이다.

03  1920년대 일제의 정책

자료는 사이토 마코토가 1920년에 발표한 조선 민족 운동에 

대한 대책이다. 문화 통치를 표방한 1920년대 일제는 언론·

출판·집회·결사의 자유를 일부 허용하였다. 이에 따라 한국

인이 발행하는 신문이 창간되었다.

04  1920년대 일제 통치 정책의 실상

제시된 통치 정책은 일제가 1920년대에 실시한 민족 분열 통

치이다. 일제는 우리 민족의 문화와 관습을 존중하겠다고 선

전하며 이른바 문화 통치를 표방하였다. 그러나 실상은 가혹



오답 풀이  ① 회사령 폐지의 결과이다. ③, ④ 토지 조사 사업의 결과

생활은 날로 어려워졌다.

이다. ⑤ 회사령 시행의 결과이다.

06  이회영의 활동

(가) 인물은 이회영이다. ‘경학사’, ‘명문가의 자손’ 등을 통해 

추론할 수 있다. 신민회의 이회영, 이상룡 등은 남만주 지역 

삼원보에 자치 기관인 경학사를 만들고, 독립군 양성 기관인 

신흥 강습소를 세웠다. 

07  31 운동의 영향

않은 영향을 끼쳤다.

08  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활동

자료와 관련된 민족 운동은 31 운동이다. 31 운동은 우리

나라와 비슷한 처지에 있었던 여러 나라의 독립운동에 적지 

(가)는 대한민국 임시 정부이다. 대한민국 임시 정부는 연통

제, 교통국을 만들어 운영하였고, 기관지로 『독립신문』을 발

간하여 독립운동의 소식을 전하였다. 또한 미국에 구미 위원

부를 설치하여 외교 활동을 벌였으며, 국외 한인들을 대상으

로 독립 공채를 발행하였다. ⑤ 초대 임시 대통령은 이승만

이다.

있다.

09  대한민국 임시 헌법

자료는 1919년 9월에 공포된 대한민국 임시 헌법이다. 입법

권은 의정원이, 행정권은 국무원이, 사법권은 법원이 행사한

다는 조항을 통해 삼권 분립 제도를 채택하였다는 점을 알 수 

10  창조파와 개조파의 대립

자료는 국민 대표 회의(1923)에서 창조파와 개조파가 대립한 

내용이다. 국민 대표 회의에 참석한 사람들은 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활동 방향과 조직 개편 문제를 두고 격론을 벌였다. 

그러나  국민  대표  회의는  큰  성과를  거두지  못하고  결렬되 

한 식민 통치를 은폐함으로써 민족의 저항을 무마하고, 동시

었다.

에 친일 세력을 적극 양성하려는 민족 분열 정책이었다. ② 

1910년대 일제의 정책이다.

11  청산리 대첩

제시된 그래프는 1920년대 쌀 생산량과 일본 반출량을 나타

부대는 일본군과 청산리 일대에서 10여 차례 전투를 벌여 큰 

낸 것으로, 산미 증식 계획과 관련된다. 일제는 1920년부터 

승리를 거두었다. 

(가) 전투는 청산리 대첩이다. ‘청산리’, ‘북로 군정서’ 등을 통

해 알 수 있다. 김좌진의 북로 군정서를 비롯한 여러 독립군 

05  산미 증식 계획의 결과

48 정답과 해설

12  1910년대 만주에서의 무장 투쟁

19  민족 유일당 운동

1920년 6월 봉오동 전투에서 대한 독립군 등의 부대가 일본

자료는 민족 유일당을 결성해야 한다는 것을 주장하는 안창

군에  승리하였고,  1920년  10월  김좌진의  북로  군정서  등의 

호의 연설이다. 민족 유일당 운동의 영향으로 비타협적 민족

부대가 일본에 맞서 대승을 거두었다. 1920년 11월 대한 독

주의자들과  사회주의자들은  1927년  2월  신간회를  창립하 

립 군단이 결성되었고, 1921년 6월 자유시 참변이 일어났다. 

였다.  

13  의열단

20  식민 사관에 맞서 우리 역사를 지키기 위한 노력

(가)는 김원봉이 조직한 의열단이다. 김원봉의 요청으로 신채

자료는  일제가  주장한  식민  사관이다.  이에  맞서  민족주의 

호가 작성한 「조선 혁명 선언」에는 폭력 투쟁을 통한 민중의 

사학자들은 우리 민족 고유의 문화적 전통과 자주적 역사관

직접 혁명을 추구하는 의열단의 기본 정신이 잘 나타나 있다.

을 강조하였고, 백남운은 사회 경제 사학을 내세웠다. ① 조



오답 풀이  ② 대한 독립군 등의 부대에 대한 설명이다. ③, ④ 한인 애

선 총독부가 설치한 조선사 편수회는 식민 사관을 바탕으로 

국단에 대한 설명이다. ⑤ 대한 독립 군단에 대한 설명이다.

한국 역사를 정리하였다.

14  물산 장려 운동의 구호

21  암태도 소작 쟁의

밑줄 친 ‘이 운동’은 물산 장려 운동이다. 물산 장려 운동은  

자료는 1923년에 일어난 암태도 소작 쟁의이다. 1920년대 농

‘내 살림 내 것으로’, ‘조선 사람 조선 것’ 등의 구호를 내세우

민들은 소작료 인하, 지세 공과금의 지주 부담, 소작권 이동 

며 토산품 애용, 근검저축, 금주, 단연 등을 주장하였다. 

반대 등 생존권을 요구하는 소작 쟁의를 벌였다. 

15  민립 대학 설립 운동

22  조선 청년 총동맹

자료는 조선 민립 대학 기성회 취지서의 일부이다. 이상재, 

31 운동 이후 전국 각지에서 청년회가 조직되었다. 청년회

이승훈 등은 조선 교육 협회를 만들어 한국인 본위의 교육을 

는 강연회, 토론회, 야학 등을 개최하여 민중 계몽에 힘썼다. 

펼치고자 노력하였다. 이들은 한국인의 힘으로 대학을 세우

1924년에는 전국 청년 단체들이 조선 청년 총동맹을 조직하

려는 민립 대학 설립 운동을 전개하였다. 

였다. 



오답 풀이  ① 농촌 계몽 운동에 대한 설명이다. ②, ④ 참정권 청원 운

동에 대한 설명이다. ⑤ 물산 장려 운동에 대한 설명이다.

23  형평 운동

16  자치 운동

밑줄 친 ‘이 운동’은 자치 운동이다. 자치 운동은 독립이 불가

하였다. 

능하거나 무의미하다고 판단하고, 일본 제국의 지배를 받아

들인 채 조선 총독부와 협력하여 자치 정부 또는 자치 의회를 

24  1940년대 일제의 정책

(가) 단체는 조선 형평사이다. 백정에 대한 차별에 항의하여 

1923년 진주에서 조선 형평사가 조직되어 형평 운동을 전개

구성하려고 한 운동이다. 

17  광주 학생 항일 운동의 의의

자료의 시기는 병참 기지화 정책이 시행되던 1940년대이다. 

이 시기 일제는 한반도 남부에서 면화를 재배하고, 북부에서 

양을 사육할 것을 강요하는 남면북양 정책을 실시하였고, 한

자료는 광주 학생 항일 운동을 정리한 것이다. 학생이 주도

국인에게 황국 신민 서사를 강제로 외우게 하였다. 

하고 수많은 시민이 참여한 광주 학생 항일 운동은 31 운동 



오답 풀이  ㄷ. 1923년부터 전개되었다. ㄹ. 1927년에 결성되었다.

이후 일어난 최대 규모의 항일 민족 운동이었다. 

18  신간회의 활동

25  국가 총동원법 선포 시기 일제의 정책

제시된  법령은  1938년  선포된  국가  총동원법이다.  이  시기 

자료는 신간회 강령이다. 1929년 광주 학생 항일 운동이 일

일제는 황국 신민화 정책을 실시하였고, 우리말 사용을 금지

어나자, 신간회는 현지에 조사단을 파견하고 진상 보고를 위

하고  사상을  통제하였으며,  각종  자원을  수탈하였다.  ④ 

한 민중 대회를 열고자 하였다. 

1920년대의 사실이다. 

정답과 해설 49

26  조선 의용대의 활동

(가)는 조선 민족 혁명당의 산하 무장 조직인 조선 의용대이

30  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외교 활동
⑴  답  대한민국 임시 정부 

다. 조선 의용대는 중국 국민당의 지원을 받아 주로 일본군

⑵   모범 답안  신한 청년당의 대표로 파리 강화 회의에 파견된 

에  대한  심리전이나  포로  심문,  후방  공작  활동을  전개하 

김규식을 전권 대사로 임명하여 독립 청원서를 제출하게 

하였다.  미국에  구미  위원부를  설치하여  미국의  지도층 



오답 풀이  ① 한국광복군에 대한 설명이다. ② 조선 혁명군에 대한 설

인사를 대상으로 한국의 독립운동을 홍보하였다.   

명이다. ③ 조선 건국 동맹에 대한 설명이다. ⑤ 한국 독립군에 대한

주요 내용  김규식을 파리 강화 회의에 파견, 미국에 구미 위

였다.

설명이다.

국 전략 첩보국의 특수 훈련을 마친 요원을 중심으로 국내 정

주요 내용 중 두 가지를 모두 넣어 바르게 서술한 경우

진군을 조직하여 국내 진공을 계획하였다. 그러나 일본이 항

주요 내용 중 한 가지만 넣어 바르게 서술한 경우

복함으로써 국내 진공 작전은 실행되지 못하였다.

원부 설치

채점 기준

주요 내용 중 두 가지를 모두 넣어 바르게 서술한 경우

주요 내용 중 한 가지만 넣어 바르게 서술한 경우

31  물산 장려 운동의 목적
⑴  답  물산 장려 운동 

⑵   모범 답안  토산품 애용, 근검저축, 금주, 단연 등을 주장하

였다. 이는 한국인 자본을 보호·육성하여 민족의 경제적 

실력 양성을 이루려는 것이었다.

주요 내용   토산품  애용·근검저축·금주·단연,  한국인  자본

을 보호·육성하여 민족의 경제적 실력 양성

채점 기준

32  신간회 창립의 의의
⑴  답  신간회

⑵   모범 답안  신간회의 창립은 독립운동의 이념과 방법의 차이

를 넘어 민족 협동 전선을 추구하였다는 점에서 큰 의미

를 지닌다.  

주요 내용  이념과 방법의 차이를 넘음, 민족 협동 전선 추구

채점 기준

주요 내용 중 두 가지를 모두 넣어 바르게 서술한 경우

주요 내용 중 한 가지만 넣어 바르게 서술한 경우

배점





배점





배점





27  대한민국 임시 정부

자료는 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대일 선전 포고문이다. 대한민

국 임시 정부는 1941년 조소앙의 삼균주의를 바탕으로 한 건

국 강령을 발표하였다. 임시 정부의 건국 강령에는 보통 선

거에 기초한 민주 공화국 건설, 토지와 중요 산업 국유화, 무

상 교육 실시 등이 담겨 있다.



오답 풀이  ① 조선 건국 동맹에 대한 설명이다. ③ 조선 의용대 화북

지대에 대한 설명이다. ④, ⑤ 조선 독립 동맹에 대한 설명이다.

28  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국내 진공 계획

태평양 전쟁이 막바지로 치닫고 있을 때 대한민국 임시 정부

는 우리 힘으로 일제를 몰아내고자 하였다. 임시 정부는 미

29  토지 조사 사업의 명분과 실제 의도

⑴  답  토지 조사 사업

⑵   모범 답안  일제는 토지 조사 사업이 근대적인 토지 소유권

을 확립하기 위한 것이라고 하였으나, 실제로는 일본인의 

토지 소유를 쉽게 하고 지세를 안정적으로 확보하기 위한 

것이었다.

주요 내용  근대적 토지 소유권 확립, 일본인의 토지 소유를 

쉽게 하기 위함, 지세를 안정적으로 확보하기 위함

채점 기준

주요 내용 중 세 가지를 모두 넣어 바르게 서술한 경우

주요 내용 중 두 가지만 넣어 바르게 서술한 경우

주요 내용 중 한 가지만 넣어 바르게 서술한 경우

배점







50 정답과 해설

8·15 광복과 통일 정부 수립을 위한 노력

06  모스크바 3국 외상 회의의 결정을 둘러싼 갈등

IⅤ 대한민국의 발전

1

기본 문제로 
내신 다지기

180~183쪽

01 ①  02 ⑤  03 ④  04 ③  05 ④  06 ④  07 ③
08 ③  09 ⑤  10 ②  11 ④  12 ②  13 ⑴ 좌우 합
작 위원회 ⑵ 해설 참조  14 ⑴ 남북 협상 ⑵ 해설 참조

회의). ‘최고 5년의 신탁 통치’ 등 이 회의 결정을 둘러싼 좌우

의 입장 차이는 서로 간에 절충점을 찾지 못하면서 좌우 대립

이 극렬해지는 계기가 되었다.

모스크바 3국 외상 회의의 결과가 공식적으로 발표되기도 전

에 『동아일보』에서 “미국은 한국의 즉시 독립을 제안한 반면, 

소련은 신탁 통치를 주장하였다.”라고 잘못 보도하였다. 이 

때문에 신탁 통치 문제를 둘러싼 좌우의 갈등이 격화되었다.



오답 풀이  ㄱ. (가)는 좌익 세력이 주도하였다. ㄷ. 좌우 합작 운동은

중도 성향의 여운형과 김규식이 주도하였다.

01  815 광복

07  이승만의 정읍 발언

자료의 ‘독립 투쟁의 승리’를 통해 탐구 주제가 815 광복임

자료는 이승만의 정읍 발언(1946. 6.)이다. 제1차 미·소 공동 

을 알 수 있다. 사진은 독립투사와 시민들이 8·15 광복을 기

위원회가 양쪽의 입장 차이를 좁히지 못하고 결렬되자, 이승만

뻐하며 거리에서 만세를 부르는 모습이다.  

은 남방(남쪽)만이라도 먼저 정부를 수립하자고 주장하였다.

02  조선 건국 준비 위원회의 조직과 활동

08  좌우 합작 위원회

자료는 조선 건국 준비 위원회가 발표한 선언이다. 조선 건

여운형과 김규식 등은 좌우 합작 위원회를 조직하고 좌우 합

국 준비 위원회는 전국 각지에 지부를 설치하고 치안 유지와 

작으로 민주주의 임시 정부를 수립할 것, 미·소 공동 위원회 

행정 업무를 담당하였다. 미군의 진주를 앞둔 9월 6일 미국

속개를 요청하는 공동 성명을 발표할 것 등을 담은 좌우 합작 

으로부터 대표성을 인정받기 위해 조선 인민 공화국 수립을 

7원칙을 발표하였다.



오답 풀이  ㄱ. 조선 건국 동맹을 바탕으로 조직되었다. ㄴ. 좌우 합작

09  좌우 합작 위원회의 활동

그림은 좌우 합작 위원회의 어려움을 풍자한 만평이다. 좌우 

합작 위원회는 좌우익의 이견을 조율하여 좌우 합작 7원칙을 

발표하였다. 7원칙의 주요 내용은 미·소 공동 위원회를 재개

자료는 조선 건국 준비 위원회 결성에 관한 내용이다. 여운

하여 남북을 망라한 임시 정부를 세우고, 유상 매상과 무상 

형은 광복 직후 조선 건국 동맹을 바탕으로 안재홍과 함께 독

분배 방식으로 토지 개혁을 실시하며, 좌우 합작 위원회에서 

립 국가 건설을 위한 준비 기관인 조선 건국 준비 위원회를 

친일파 처리를 위한 조례를 제정하는 것 등이었다.

10  냉전의 영향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미국과 소련을 양대 축으로 전개된 냉

자료는 1945년 9월 15일 남한 상황에 대한 미국의 인식을 보

전은  한반도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냉전이  본격화되면서 

여 준다. 미군과 소련군은 일본군의 항복 접수와 무장 해제

미·소 양국의 대립 때문에 1947년 5월에 재개된 제2차 미·

를  명분으로  한반도에  진주하였다.  ③  미군정은  조선  인민 

소 공동 위원회는 다시 결렬되었다.

공화국은 물론 대한민국 임시 정부도 인정하지 않았다.

05  모스크바 3국 외상 회의의 결정 사항

자료는 김구의 ‘삼천만 동포에게 읍고함’이라는 연설이다. 김

1945년 12월 모스크바에서 미국, 영국, 소련의 외무 장관들

구는 남한 단독 선거가 결정되자 김규식과 함께 통일 정부 수

이 모여 한국의 독립 문제를 논의하였다(모스크바 3국 외상 

립을 위한 남북 협상을 추진하였다. 

11  김구와 남북 협상

정답과 해설 51

선포하였다. 

위원회에 대한 설명이다.

03  여운형

결성하였다.

04  광복 이후 미군정의 통치

12  제주 43 사건

01  모스크바 3국 외상 회의의 결정을 둘러싼 갈등

자료는  제주  43  사건에  대한  내용으로,  제주  43  사건은 

김구는 이승만 등 우익 세력과 함께 신탁 통치가 과거의 을사

1948년 4월 3일 남한 단독 선거에 반대하는 제주도 남로당 

늑약이나 위임 통치안과 마찬가지로 한국의 독립을 부인하는 

세력이 무장봉기를 일으키자, 미군정이 군경을 동원하여 강

것이라며 신탁 통치 반대 운동에 나섰다.

경 진압에 나서면서 정부 수립 이후까지 수만 명의 제주도민

이 희생된 사건이다.

02  여운형의 활동

자료의  인물은  여운형이다.  여운형은  광복  직후  조선  건국 

준비 위원회를 조직하였고, 좌우 합작 위원회를 결성하여 좌

우 합작 운동을 주도하였다.

2

대한민국 정부 수립과 6·25 전쟁

기본 문제로 
내신 다지기

186~189쪽

01 ③  02 ④  03 ⑤  04 ①  05 ②  06 ②  07 ③
08 ②  09 ①  10 ①  11 ⑤  12 ②  13  ⑴ 반민족
행위 처벌법(반민법) ⑵ 해설 참조  14 ⑴ 정전 협정 ⑵ 해

설 참조

01  대한민국 정부 수립 과정

1948년 5월 10일 유엔 한국 임시 위원단의 감시 아래 510 

총선거가  실시되었다.  이  선거를  통해  구성된  제헌  국회는 

같은 해 7월 17일 민주 공화제를 핵심으로 하는 헌법을 공포

하였다.  제헌  헌법에  따라  국회에서  진행한  대통령  선거에 

당선된 이승만 대통령은 초대 내각을 구성하고 8월 15일 대

한민국 정부 수립을 선포하였다. 이후 12월 대한민국 정부는 

유엔  총회에서  유엔  감시하의  선거가  가능했던  지역에서의 

유일한 합법 정부임을 승인받았다.

제헌 국회는 1948년 5월 10일 실시된 총선거를 통해 구성되

었다. 제헌 국회는 민주 공화제를 핵심으로 하는 헌법을 공

포하고, 대통령에 이승만, 부통령에 이시영을 선출하였다.  

03  농지 개혁

농지 개혁은 지주의 소작지와 농가 1가구당 3정보를 초과하

183쪽

는 농지를 유상으로 매입하여 소작농들에게 유상으로 매각하

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오답 풀이  ㄱ. 지주제가 해체되었다. ㄴ. 농지 개혁 결과 대부분의 소

작농이 자작농이 되어 자작농 체제가 성립하였다.

13  좌우 합작 운동

⑴  답  좌우 합작 위원회       

⑵   모범 답안  좌익 세력은 친일파를 배제하고 정부를 수립해야 

하며, 무상 몰수·무상 분배의 방식으로 토지 개혁을 실시

하자고 주장하였다. 반면, 우익 세력은 정부 수립 이후에 

친일파 청산을 다루고, 유상 매상·유상 매각 방식으로 토

지 개혁을 실시하자고 주장하였다.   

주요 내용  좌익 세력은 친일파를 배제한 정부 수립과 무상 

몰수·무상 분배의 토지 개혁 주장, 우익 세력은 정부 수

립 이후에 친일파 청산과 유상 매상·유상 매각 방식의 토

지 개혁 주장

채점 기준

주요 내용 중 두 가지를 모두 넣어 바르게 서술한 경우

주요 내용 중 한 가지만 넣어 바르게 서술한 경우

14  남북 협상

⑴  답  남북 협상  

⑵   모범 답안  1948년 2월 유엔은 유엔 소총회를 열어 선거가 

가능한 지역, 즉 38도선 이남 지역만의 총선거를 결정하

였다. 

지역) 총선거 결정

채점 기준

주요 내용 중 두 가지를 모두 넣어 바르게 서술한 경우

주요 내용 중 한 가지만 넣어 바르게 서술한 경우

배점





배점





고난도 문제로 
내신 완성하기

01 ⑤  02 ②

52 정답과 해설

주요 내용   유엔  소총회,  선거가  가능한  지역(38도선  이남 

02  제헌 국회

04  반민족 행위 특별 조사 위원회의 활동

국회는 1948년 9월에 반민족 행위 처벌법을 제정하고, 10월

임제 개헌안의 일부 조항을 절충한 발췌 개헌을 단행하였다.

에 반민족 행위 특별 조사 위원회(반민 특위)를 구성하였다. 

11  전후 미국의 원조 경제

그러나 반민 특위는 이승만 정부의 소극적인 태도와 친일 세

전후 미국의 원조는 매년 약 2억 달러 이상으로 한국의 1년 

력의 방해 등으로 큰 성과를 거두지 못하였다.

05  북조선 임시 인민 위원회의 활동

조세 수입에 맞먹는 막대한 규모였으며, 주로 농산물과 소비

재가 중심이었다. 산업은 원조 물자를 가공하는 면방직, 제분, 

제당 등 삼백 산업을 중심으로 소비재 공업이 발달하였다.

북조선 임시 인민 위원회는 1946년 3월부터 무상 몰수·무상 



오답 풀이  ㄱ. 미국의 잉여 농산물이 대량으로 들어와서 국내 농산물

분배 방식에 입각한 토지 개혁을 실시하고, 8시간 노동제, 남

가격이 떨어졌다. ㄴ. 국내 면화와 밀 생산이 크게 위축되었다.

녀평등법, 주요 산업 국유화 등의 조치를 취하였다.

06  625 전쟁의 전개 과정

1950년 6월 25일 북한은 38도선을 넘어 전면적인 남침을 감

행하였다. 3일 만에 서울을 점령한 북한군은 7월 말 낙동강

까지 진출하였다. 국군과 유엔군은 인천 상륙 작전의 성공으

로 전세를 역전하고 9월 28일 서울을 수복하였다.

12  전후 북한의 사회주의 경제 체제

 625 전쟁으로 폐허가 된 북한은 ‘중공업 우선과 경공업·농

업의 동시 발전’ 방침을 세우고 사회주의 국가들의 경제 원조

에 힘입어 빠른 속도로 전후 복구 사업을 벌였다. ② 미국의 

원조로 삼백 산업이 발달한 것은 전후 남한 경제에 해당한다.

625 전쟁 이전 중국은 미국이 전쟁에 개입할 경우 북한을 

도울 것을 약속하였다. 중국군은 1950년 10월 625 전쟁에 

13  반민족 행위 처벌법과 친일파 청산 문제
⑴  답  반민족 행위 처벌법(반민법) 

07  625 전쟁의 이해

참전하였다. 

08  625 전쟁의 피해

의 한 축을 이루었다.

09  부산 정치 파동의 배경

그림은 625 전쟁 기간에 민간인들이 희생되는 비극을 묘사

한 피카소의 작품이다. 일본은 625 전쟁 특수에 힘입어 경

제 성장을 이루고 군사적 재무장을 하여 동아시아 반공 전선

자료는 625 전쟁 중이던 1952년 발췌 개헌 과정에 발생한 

부산 정치 파동에 대한 설명이다. 이승만은 1950년에 구성된 

제2대 국회에 정부에 비판적인 인사가 많아 국회의 간접 선

거로는 재선이 어렵다고 판단하고, 부산 정치 파동을 일으켜 

야당 인사를 탄압하였다. 이러한 가운데 정부의 대통령 직선

제 개헌안을 중심으로 하고 국회가 제출한 내각 책임제 개헌

안의 일부 조항을 절충한 개헌안(발췌 개헌안)이 가결되었다. 

10  510 총선거와 사사오입 개헌 시기 사이의 사건

자료의  (가)는  1948년에  치러진  510  총선거이고,  (나)는 

1954년 사사오입 개헌에 대한 설명이다. 이승만은 1950년에 

구성된 제2대 국회에서 재선이 어렵다고 판단하여 정부의 대

통령 직선제 개헌안을 중심으로 하고 국회가 제출한 내각 책

⑵   모범 답안  이승만 정부의 소극적인 태도와 친일 세력의 방

해 등으로 반민 특위의 활동은 큰 성과를 거두지 못하였다.  

주요 내용  이승만 정부의 소극적 태도, 친일 세력의 방해, 

반민 특위의 활동이 큰 성과를 거두지 못함       

채점 기준

주요 내용 중 세 가지를 모두 넣어 바르게 서술한 경우

주요 내용 중 두 가지만 넣어 바르게 서술한 경우

주요 내용 중 한 가지만 넣어 바르게 서술한 경우

14  정전 협정

⑴  답  정전 협정 

⑵   모범 답안   1951년  7월에  시작된  정전  협상은  군사  분계선 

설정, 정전 감시 체제, 포로 교환 등을 둘러싸고 이견을 

좁히지 못해 2년이나 이어졌다.      

주요 내용  군사 분계선 설정, 정전 감시 체제, 포로 교환 등

을 둘러싼 이견

채점 기준

주요 내용 중 세 가지를 모두 넣어 바르게 서술한 경우

주요 내용 중 두 가지만 넣어 바르게 서술한 경우

주요 내용 중 한 가지만 넣어 바르게 서술한 경우

배점







배점







정답과 해설 53

고난도 문제로 
내신 완성하기

01 ③  02 ⑤

189쪽

03  419 혁명의 전개 과정

01  510 총선거와 제헌 국회

자료는  1948년  510  총선거를  홍보하는  포스터이다.  510 

총선거는  직접평등비밀·보통의  원칙에  따라  21세  이상의 

모든 국민에게 투표권이 부여된 우리나라 최초의 민주 선거

였다. 510 총선거를 통해 구성된 제헌 국회는 민주 공화제

를 핵심으로 하는 헌법을 공포하였다.



오답 풀이  ① 625 전쟁은 1950년부터 1953년까지 일어났다. ② 사사

오입 개헌은 1954년에 단행되었다. ④ 제주 43 사건의 여파로 제주

도 2개 선거구에서 선거가 치러지지 않아 총 198명의 국회 의원을 선

출하였다. ⑤ 510 총선거는 직선제 방식으로 실시되었다.

02  625 전쟁의 과정

자료는 625 전쟁을 기록한 책이다. 북한을 돕기 위해 참전

한 중국군의 공세로 국군과 유엔군은 또다시 서울을 빼앗기

고 평택 인근까지 후퇴하였다.

3

4·19 혁명과 민주화를 위한 노력

기본 문제로 
내신 다지기

01 ②  02 ②  03 ⑤  04 ⑤  05 ③  06 ③  07 ②
08 ①  09 ④  10 ②  11 ①  12 ⑤  13 ⑴ 브라운
14 ⑴ 유신 헌법 ⑵ 해설 참조

각서 ⑵ 해설 참조

3월 15일 선거 당일에는 마산을 비롯한 여러 도시에서 부정 

선거를 규탄하는 시위가 전개되었다. 시위 도중 최루탄을 맞

고 숨진 고등학생 김주열의 시신이 4월 11일 마산 앞바다에

서 발견되자, 시민들의 분노는 절정에 달하였다.

04  419 혁명 이후 구성된 국회

419 혁명으로 315 부정 선거는 무효화되었고, 국회는 내각 

책임제와 양원제 의회를 주요 내용으로 하는 개헌안을 통과

시켰다. 새 헌법에 따라 민의원과 참의원을 동시에 선출하는 

총선거가 실시되었다. 이 선거로 구성된 국회는 대통령에 윤

보선을 선출하고, 윤보선이 지명한 장면이 국회의 동의를 얻

어 국무총리에 취임하였다.

05  516 군사 정변 세력의 활동

자료는 516 군사 정변 세력이 발표한 ‘혁명 공약’이다. 1961

년 5월 16일 박정희를 비롯한 일부 군인 세력이 쿠데타를 일

으켜 권력을 장악하였다. ③ 1980년에 전두환을 중심으로 하

는 신군부 세력이 사회를 정화한다는 구실로 삼청 교육대를 

설치하고 가혹 행위를 자행하였다.

06  박정희 정부와 3선 개헌

1968년에 발생한 북한의 푸에블로호 나포 사건을 계기로 박

정희 정부는 국가 안보를 강화하고 경제 개발을 지속하려면 

대통령의 3선이 가능해야 한다고 주장하며 1969년 국회 별관

07  한일 협정의 체결 과정

자료는 1965년에 체결된 한·일 협정이다. 1962년 한일 회

담이  본격화되자,  이에  저항하는  63  시위가  전개되었다

(1964). 박정희 정부는 이를 무력으로 진압하고 한·일 국교

192~195쪽

에 모여 3선 개헌안을 통과시켰다. 

01  419 혁명의 배경

를 정상화하였다.

‘315 부정 선거를 규탄하는 피켓’ 등을 통해 제시된 자료가 

419 혁명(1960)에 참여한 초등학생들의 시위를 표현한 그림

08  박정희 정부의 3선 개헌

일기임을 알 수 있다. 

02  315 부정 선거

자료는 1969년 3선 개헌에 대한 것이다. 재선에 성공한 박정

희 정부는 국가 안보 강화와 지속적인 경제 개발을 위해 대통

령의 3선이 가능해야 한다고 주장하였고, 여당 의원들은 학

자료는 315 부정 선거에 대한 설명이다. 이승만 정부와 자

생 시위와 야당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편법으로 이를 통과시

유당은  부통령에  이기붕을  당선시키기  위해  3~9인조  공개 

켰다.

투표, 4할 사전 투표 등 각종 부정을 자행하였다.



오답 풀이  ㄴ. 1948년에 치러진 510 총선거에 대한 설명이다. ㄹ. 31

09  74 남북 공동 성명

민주 구국 선언은 유신 반대 운동과 관련 있다.

자료는 1972년 남북의 당국자들이 비밀리에 상호 방문한 끝

54 정답과 해설

에 통일의 3대 원칙을 명시한 74 남북 공동 성명이다. 1970

년을 전후로 박정희 정부는 안팎의 정세 변화에 따라 북한에 

남북 대화를 제안하고 이산가족 찾기를 위한 남북 적십자 회

담을 추진하기도 하였다. ④ 남북 정상 회담은 2000년 6월에 

처음으로 이루어졌다. 

채점 기준

주요 내용 중 세 가지 이상 넣어 바르게 서술한 경우

주요 내용 중 두 가지만 넣어 바르게 서술한 경우

주요 내용 중 한 가지만 넣어 바르게 서술한 경우

10  유신 헌법 제정과 1026 사태 사이의 사건

(가)는 유신 헌법(1972), (나)는 1026 사태(1979)에 대한 설

명이다. (가)와 (나) 사이 시기에 개헌 청원 1백만 인 서명 운

동(1973), 인민 혁명당 재건 위원회 사건(1974), 31 민주 구

국 선언(1976), YH 무역 사건(1979) 등이 일어났다. ② 629 

민주화 선언은 1987년 6월 민주 항쟁의 결과 발표되었다.

11  1026 사태부터 518 민주화 운동 직전의 상황

14  유신 헌법

⑴  답  유신 헌법 

⑵   모범 답안  국회 의원 1/3 추천권, 긴급 조치권, 국회 해산

권, 법원 인사 개입 등 입법, 사법, 행정에 대한 모든 권한

을 대통령에게 부여하였다.

주요 내용  국회 의원 1/3 추천권, 긴급 조치권, 국회 해산

권, 법원 인사 개입, 입법, 사법, 행정에 대한 모든 권한을 

대통령에게 부여

자료는 박정희 대통령의 사망부터 518 민주화 운동이 일어

채점 기준

나기 직전까지 상황이다. 박정희 대통령이 피살되고 최규하 

주요 내용 중 세 가지 이상 넣어 바르게 서술한 경우

대통령이 당선되었지만, 전두환을 중심으로 하는 신군부는 

주요 내용 중 두 가지만 넣어 바르게 서술한 경우

1212 군사 반란을 통해 군권을 장악하였다. 이에 1980년 5

주요 내용 중 한 가지만 넣어 바르게 서술한 경우

월 15일 10만여 명의 학생과 시민들이 모여 민주화를 요구하

배점







배점







195쪽

는 시위를 전개하였다. 

12  518 민주화 운동

자료는 2011년 5월 25일 유네스코 세계 기록 유산에 등재된  

‘광주여고 주소연 학생의 일기’ 중 일부이다. 1980년 518 민

주화 운동 당시 광주여고에 재학 중이던 주소연 학생은 광주

에서 있었던 참상과 시민들이 총을 들 수밖에 없었던 이유를 

일기로 남겼다.

고난도 문제로 
내신 완성하기

01 ⑤  02 ③

01  긴급 조치 제9호

자료는 긴급 조치 제9호(1975)이다. 긴급 조치 제9호는 임시 

조치였지만 5년이나 지속되었다. 박정희는 유신 체제를 유지

하기 위하여 긴급 조치 발동권을 통해 각종 법률의 효력을 정

지하고 국민의 자유를 마음대로 제약하였다. 이에 많은 학생

과 민주 인사들이 민주화를 요구하며 유신 반대 운동을 전개

13  브라운 각서

⑴  답  브라운 각서

⑵   모범 답안  미국과 한국은 베트남 파병에 대한 대가로 브라

하였다. 

운 각서를 체결하였다. 브라운 각서에 따라 한국은 베트



오답 풀이  ① 63 시위는 1964년에 일어났다. ② 3선 개헌안은 1969

남에 대한 수출을 늘릴 수 있었고, 미국으로부터 차관을 

년에 통과되었다. ③ 중앙정보부는 1961년에 설치되었다. ④ 74 남

제공받았으며, 관세 인하 등 미국 시장에 상품을 수출하

북 공동 성명은 1972년에 발표되었다.

는 데 유리한 혜택을 누렸다. 

주요 내용  베트남 파병에 대한 대가, 한국은 베트남에 대한 

02  518 민주화 운동

수출을 늘릴 수 있었음, 미국으로부터 차관 제공 받음, 관

자료의 ‘민주 수호 범시민 궐기 대회’를 통해 1980년 518 민

세 인하 등 미국 시장에 상품을 수출하는 데 유리한 혜택 

주화 운동에 대한 설명임을 알 수 있다. 

누림



오답 풀이  ㄱ, ㄹ. 6월 민주 항쟁(1987)과 관련된 내용이다.

정답과 해설 55

4

경제 성장과 사회·문화의 변화

06  경제 성장에 따른 문제점

산업화와 도시화로 많은 사람들이 도시로 몰려들면서 대도시

198~201쪽

의 변두리와 높은 지대에는 ‘달동네’, ‘판자촌’이라고 불리는 

기본 문제로 
내신 다지기

01 ⑤  02 ②  03 ②  04 ③  05 ④  06 ②  07 ③
08 ⑤  09 ⑤  10 ⑤  11 ④  12 ⑤  13 ⑴ 독일(서

독) ⑵ 해설 참조

14 ⑴ 전태일 ⑵ 해설 참조

01  제2차 경제 개발 5개년 계획의 추진

자료는 제2차 경제 개발 5개년 계획(1967~1971) 시기에 해

당한다. 제12차 경제 개발 5개년 계획의 추진 결과, 섬유, 

가발 등 노동 집약적 경공업이 성장하였다. 

02  1970년대의 경제 상황

(가) 경부 고속 국도는 1970년에 개통되었고, (나) 수출 100

억 달러는 1977년에 달성하였다. 1973년에 제1차 석유 파동

이 찾아왔지만, 기업들이 중동 건설에서 막대한 외화를 벌어

들이면서 위기를 극복할 수 있었다.



오답 풀이  ① 1962년부터 제1차 경제 개발 5개년 계획이 추진되었다.

③ 3저 호황은 1980년대 중후반이다. ④ 제2차 석유 파동은 1978년에

일어났다. ⑤ 삼백 산업은 1950년대에 발달하였다.

03  경부 고속 국도의 개통 시기

자료는 1970년에 서울과 부산을 연결하는 경부 고속 국도 개

통 모습이다. 제2차 경제 개발 5개년 계획은 1967년에 시작

되었고, 제1차 석유 파동은 1973년에 일어났다.

빈민촌이 형성되었다. 또한 서울 강남 지역 개발이 본격화되

면서 땅값 상승과 부동산 투기 붐이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오답 풀이  ㄴ. 1950년대 원조 경제의 문제점이다. ㄹ. 정부의 졸속적

인 도시 정책에 반발하여 일어난 사건은 광주 대단지 사건이다.

07  새마을 운동

산업화로 도시와 농촌 간의 소득 격차가 더욱 벌어지고 농촌

의 인구도 감소하였다. 이에 박정희 정부는 1970년부터 농가

의 소득 증대와 농촌의 환경 개선에 역점을 둔 새마을 운동을 

추진하였다. 근면, 자조, 협동 정신을 강조한 새마을 운동은 

도로 정비, 주택 개량 등 농촌의 생활 환경 개선에 기여하였

다. 이후 새마을 운동은 도시와 직장으로 확대되면서 전국적

인 의식 개혁 운동으로 이어졌다.



오답 풀이  ㄱ. 새마을 운동은 1970년에 시작되었다. ㄹ. 농가의 소득

증대와 농촌의 환경 개선을 목적으로 추진되었다.

08  전태일의 탄원서가 작성된 배경

정부와 기업은 수출 중심의 경제 정책의 성과를 이루기 위해 

노동자들의 권리를 제한하고 저임금 정책을 고수하였다. 그 

결과 당시 노동자들은 저임금과 열악한 작업 환경 속에서 장

시간 노동에 시달릴 수밖에 없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전태일

은 노동청에 진정서를 보내는 등 항의하였다. 그러나 그 이

후에도 노동 환경이 나아지지 않자, 자기 몸을 불살라 노동 

현실을 개선하고자 하였다.

04  박정희 정부의 경제 개발 자금 조달 방식

09  광주 대단지 사건의 배경

박정희 정부는 외국에서의 차관 도입, 한·일 협정으로 확보

한 자금, 베트남 전쟁에 따른 외화 수입 등 경제 개발에 필요

한 자금을 국외에서 확보하였다. 

광주  대단지  사건(1971)은  광주  대단지(지금의  경기도  성남

시)의 주민 수만여 명이 무분별한 정부의 철거민 대책과 졸속

적인 도시 정책에 반발하여 발생하였다.

05  1980년대 중후반의 경제 상황

10  시기별 대중문화의 발달 모습

1980년대 중반부터 본격화된 저금리, 저유가, 저달러의 세계

서울 아시안 게임은 1986년에, 서울 올림픽은 1988년에 개최

적인 3저 호황으로 한국 경제는 자동차, 반도체 등 기술 집약 

하였다.

산업이  성장하였고,  수출이  크게  늘어나  무역  수지  흑자를 

기록하는 등 지속적인 경제 성장을 이어갔다.

11  박정희 정부의 대중문화 통제와 언론 탄압



오답 풀이  ① 1977년 말에 수출 100억 달러를 달성하였다. ② 1962년

사진은 1974년 12월 26일에 발생한 『동아일보』 백지 광고 사

부터 제1차 경제 개발 5개년 계획이 추진되었다. ③ 한국은 1964년부

태이다. 1970년대에는 장발과 미니스커트 단속 등 일상의 문

터 1973년까지 베트남에 군대를 파병하였다. ⑤ 1960년대에 대한 설

화가 통제되었으며, 정부의 탄압으로 언론의 비판 기능이 약

화되었다.

명이다.

56 정답과 해설



오답 풀이  ㄱ. 텔레비전 방속국은 1961년에 개국하였다. ㄷ. 서울 아시

201쪽

13  독일로 파견된 광부와 간호사들

⑴  답  독일(서독) 

⑵   모범 답안  박정희 정부는 외화를 벌어들여 경제 개발에 필



오답 풀이  ① 노사정 위원회는 1998년에 설치되었다. ② 전국 농민회

요한 자금을 마련하기 위해 많은 광부와 간호사를 독일로 

총연맹은 1990년에 조직되었다. ③ 전국 민주 노동조합 총연맹(민주

파견하였다. 

노총)은 1995년에 결성되었다. ⑤ 우루과이 라운드 협상은 1993년 타

주요 내용  외화 벌이, 경제 개발에 필요한 자금 마련

결되어 농업 분야 시장 개방이 시작되었다.

안 게임은 1986년에 치러졌다.

12  박정희 정부의 대중문화 탄압

1970년대 박정희 정부는 사회 질서를 문란하게 한다는 이유

로 대중가요와 영화 등을 통제하여, 「아침 이슬」, 「거짓말이

야」와 같은 대중가요가 금지되기도 하였다. 또한 박정희 정부

는 1973년 경범죄 처벌법을 개정하여 귀를 덮을 정도로 머리

가 긴 장발을 경찰이 단속할 수 있게 하였다.



오답 풀이  ① 1970년대 청바지, 통기타 등이 청년 문화의 상징이었다.

② 1980년대  프로 스포츠의  출범으로  대중문화가  다양해졌다.  ③

1970년대 이후 각 가정에 텔레비전이 보급되면서 ‘안방극장’이라는

말이 생겨났다. ④ 1980년대 탈춤, 사물놀이 등 우리 전통에 토대를

둔 민중 문화 운동이 활발하였다.

채점 기준

주요 내용 중 두 가지를 모두 넣어 바르게 서술한 경우

주요 내용 중 한 가지만 넣어 바르게 서술한 경우

단순히 경제 개발을 위해 파견하였다고 서술한 경우

14  전태일과 박정희 정부 시기의 노동 환경

⑴  답  전태일  

⑵   모범 답안  당시 박정희 정부는 낮은 수출 상품 가격 유지를 

위해 저임금 정책을 고수하였다. 이에 따라 노동자들은 저

임금과 열악한 노동 환경 속에서 장시간 노동에 시달렸다. 

주요 내용  낮은 수출 상품 가격 유지를 위해 저임금 정책 고

수, 노동자들이 저임금과 열악한 노동 환경 속에 장시간 

노동에 시달림

채점 기준

주요 내용 중 두 가지를 모두 넣어 바르게 서술한 경우

주요 내용 중 한 가지만 넣어 바르게 서술한 경우

단순히 노동자들의 상황이 어려웠다고만 서술한 경우

배점







배점







고난도 문제로 
내신 완성하기

01 ②  02 ④

01  수출 100억 달러를 달성한 시기의 경제

1977년에 수출 100억 달러를 달성하여 정부는 이를 기념하

는 아치를 광화문 네거리에 설치하였다. 1970년대 박정희 정

부는 기업들에 각종 특혜 및 금융 지원을 제공하는 방식으로 

많은 자본이 필요한 중화학 공업을 육성하였다. 



오답 풀이     ① 1960년대에 대한 설명이다. ③ 경제 협력 개발 기구

(OECD)는 1996년에 가입하였다. ④ 1962년에 제1차 경제 개발 5개년

계획이 추진되었다. ⑤ 3저 호황은 전두환 정부 시기인 1980년대 중

반 이후의 상황이다.

02  1960~1970년대의 노동 환경

「열세 살, 여공의 삶」은 열세 살에 평화 시장 노동자로 살았

던 경험을 쓴 자서전이다. 1960~1970년대 노동자들은 경제 

발전의 주역이었지만, 저임금과 열악한 노동 환경 속에서 근

무해야만 하였다.

5

6월 민주 항쟁과 민주주의의 발전

기본 문제로 
내신 다지기

204~207쪽

01 ①  02 ③  03 ④  04 ③  05 ②  06 ④  07 ⑤
08 ④  09 ④  10 ②  11 ④  12 ①  13 ⑴ 629 민
14 ⑴ 촛불 집

주화 선언 ⑵ 해설 참조 ⑶ 해설 참조

회 ⑵ 해설 참조

01  신군부와 전두환 정부의 통치 정책

신군부는  사회를  정화한다는  구실로  삼청  교육대를  설치하

고, 언론사를 대규모로 통폐합하여 언론을 장악하였다. 1981

년 제12대 대통령에 취임한 전두환은 민심을 달래기 위해 과

외 금지, 야간 통행금지 해제, 해외여행 자율화, 학생의 두발

과 교복의 자율화 등의 유화 조치를 취하였다.

정답과 해설 57

02  6월 민주 항쟁



오답 풀이  ① 박정희 정부, ② 김대중 정부, ③, ⑤ 김영삼 정부 시기에

자료는 1987년 6월 민주 항쟁의 도화선이 된 연세대학교 이

있었던 일이다.

한열 학생에 대한 내용이다. 시위 도중 경찰이 쏜 최루탄에 

맞아 쓰러진 이한열 학생 소식이 전해지면서 많은 시민이 시

07  김영삼 정부 시기에 있었던 사실

위에 참여하게 되었다.

03  610 국민 대회 선언문과 6월 민주 항쟁

자료는 1987년 6월 민주 항쟁의 610 국민 대회 선언문이다. 

6월 민주 항쟁은 호헌 철폐, 독재 타도, 직선제 개헌 쟁취를 

요구하며 전국 18개 도시에서 시위가 전개되었다. 



오답 풀이  ①, ② 박정희 정부 시기의 일이다. ③ 1960년 419 혁명으

로 이승만 대통령이 하야하였다. ⑤ 1980년 518 민주화 운동에 대한

설명이다.

04  6월 민주 항쟁의 결과

1987년 6월 민주 항쟁을 나타낸 사진이다. 전두환 정부는 강

력한 민주화 요구에 굴복하여 629 민주화 선언을 통해 직선

제 개헌안을 약속하였다.  



오답 풀이  ① 유신 체제는 박정희 대통령이 피살된 1026 사태로 붕

괴되었다(1979). ② 2000년 김대중 대통령과 김정일 국방 위원장이

처음으로 남북 정상 회담을 가졌다. ④ 1976년 재야인사들은 긴급 조

치 철폐와 박정희 정권 퇴진을 주장하는 31 민주 구국 선언을 발표

하였다. ⑤ 1997년 대통령 선거에서 야당 후보 김대중이 당선되어 처

음으로 선거를 통한 평화적인 여야 정권 교체가 이루어졌다.

05  629 민주화 선언의 배경

자료는 1987년 6월 민주 항쟁의 결과 민주 정의당 대통령 후

보였던 노태우가 발표한 629 민주화 선언으로, 대통령 직선

제 개헌 등이 담겨 있다. 6월 민주 항쟁 당시 연세대학교 학

생 이한열이 시위 도중 경찰이 쏜 최루탄에 맞아 의식 불명 

상태에 빠지는 사건이 발생하였고, 이를 계기로 범국민적인 

민주화 운동이 일어났다. 



오답 풀이  ① 419 혁명의 배경을 알아보기 위한 탐구 활동이다. ③

박정희 정부 시기의 일로, 63 시위의 배경을 알아보기 위한 탐구 활

동이다. ④ 이승만이 독재를 강화하면서 발생한 일이다. ⑤ 1946년

북한에서 있었던 일이다.

자료는 김영삼 정부 시기에 추진된 정책들이다. 김영삼 정부

는 1212 군사 반란과 부정 축재의 책임을 물어 전두환과 노

태우 두 전직 대통령을 구속하였다.



오답 풀이  ①, ②, ③ 박정희 정부 시기의 일이다. ④ 신군부 집권 시기

의 일이다.

08  김대중 정부 시기에 있었던 사실

자료는 김대중 대통령 취임사이다. 김대중 대통령은 2000년 

평양을 방문하여 북한의 김정일 국방 위원장과 정상 회담을 



오답 풀이  ① 김영삼 정부, ② 전두환 정부, ③ 박정희 정부, ⑤ 이명박

열었다. 

정부 시기의 일이다.

09  노무현 정부의 주요 정책

자료의 ‘제2차 남북 정상 회담 개최’, ‘개성 공단 가동’ 등을 

통해 노무현 정부에 대한 설명임을 알 수 있다. 노무현 정부

는 저소득층을 위한 복지 정책을 강화하고 진실·화해를 위한 

과거사 정리 위원회를 발족하여 친일·독재와 관련된 과거사 

정리를 위해 노력하였다.

10  6월 민주 항쟁 이후의 노동 운동과 농민 운동

6월 민주 항쟁 이후 노동 운동과 농민 운동이 활성화되었다. 

1990년에는 전국의 100여 개 농민 단체들이 연합한 전국 농

민회 총연맹이 조직되었다. 1995년에는 전국 민주 노동조합 

총연맹(민주노총)이 결성되었다. 



오답 풀이  ㄴ. 2000년에 제정된 의문사법에 따라 의문사 진상 규명

위원회가 조직되었다. ㄹ. 반민족 행위 특별 조사 위원회는 1948년에

구성되었다.

11  국가 인권 위원회

민주화 이후 개인의 기본권 신장에 대한 공감대가 확대되었

다. 국가 인권 위원회는 인권을 보호증진하여 인간으로서의 

존엄과 가치를 구현하고 민주적 기본 질서를 확립하는 것을 

목표로 2001년에 출범하였다. 

06  노태우 정부 시기에 있었던 사실

자료는 노태우 정부의 수립과 관련된 내용이다. 노태우 정부

12  노사정 위원회

는  남북  관계  개선을  시도하면서  북방  외교를  추진하여  소

1998년에 노동 정책 등에 대한 사회적 합의를 이끌어 내기 

련, 중국 등 사회주의 국가들과 수교하였다. 

위해 노사정 위원회가 설치되었다.  

58 정답과 해설

13  6월 민주 항쟁

⑴  답  629 민주화 선언

⑵   모범 답안  대통령 직선제 개헌과 국민 기본권의 보장 

주요 내용  대통령 직선제 개헌, 국민 기본권의 보장

채점 기준

주요 내용 중 두 가지를 모두 넣어 바르게 서술한 경우

주요 내용 중 한 가지만 넣어 바르게 서술한 경우

단순히 민주화가 이루어졌다고 서술한 경우

⑶   모범 답안  6월 민주 항쟁은 각계각층이 참여하여 오랜 독재 

정치를 끝내고 우리 사회의 민주화가 진전되는 토대가 되

었다.   

주요 내용  각계각층 참여, 오랜 독재 정치를 끝냄, 우리 사

회의 민주화가 진전되는 토대

채점 기준

주요 내용 중 세 가지를 모두 넣어 바르게 서술한 경우

주요 내용 중 두 가지만 넣어 바르게 서술한 경우

주요 내용 중 한 가지만 넣어 바르게 서술한 경우

14  촛불 집회

⑴  답  촛불 집회      

⑵   모범 답안  시민들이 촛불을 들고 거리에 나서 자신들의 정

치적 의사를 자발적으로 표출하는 한국의 대표적인 시위 

문화로 자리 잡았다.    

주요 내용  시민들이 촛불을 들고 거리에 나섬, 자신들의 정

치적 의사를 자발적으로 표출, 한국의 대표적인 시위 문

화로 자리 잡음

채점 기준

주요 내용 중 세 가지를 모두 넣어 바르게 서술한 경우

주요 내용 중 두 가지만 넣어 바르게 서술한 경우

주요 내용 중 한 가지만 넣어 바르게 서술한 경우

배점







배점







배점







고난도 문제로 
내신 완성하기

01 ⑤  02 ②

207쪽

01  6월 민주 항쟁 시기의 요구

1987년 6월 민주 항쟁은 호헌 철폐, 독재 타도, 직선제 개헌

을 요구하며 일어난 민주화 운동이다. 

02  김대중 정부 시기의 통일 정책

2000년 김대중 대통령은 평양에 방문하여 북한의 김정일 국

방 위원장과 남북 정상 회담을 열었다.  



오답 풀이  ① 1985년 처음으로 이산가족 상봉이 이루어졌다. ③, ④

1991년 남북한이 유엔에 동시 가입하고, 남북 기본 합의서를 발표하

였다. ⑤ 1972년 74 남북 공동 성명을 발표하였다.

6

7

외환위기와 사회·경제적 변화 ~  
남북 화해와 동아시아 평화를 위한 노력

기본 문제로 
내신 다지기

211~214쪽

01 ⑤  02 ⑤  03 ②  04 ①  05 ③  06 ①  07 ①
08 ①  09 ③  10 ②  11 ②  12 ③  13 ①  14 ⑤
15 ⑴ 615 남북 공동 선언 ⑵ (가) 연합제, (나) 연방제
16 ⑴ (가) 수요 집회(수요 시위), (나) 평화의 소녀상 ⑵ 해

설 참조

01  세계화와 경제 개발 협력 기구(OECD)

김영삼 정부는 세계화 현상을 수용하고 1996년 ‘선진국 클럽’

이라고 불리는 경제 협력 개발 기구(OECD)에 가입하였다.



오답 풀이  ① 국제 연합(UN)은 제2차 세계 대전 후에 항구적인 국제

평화와 안전 보장을 목적으로 결성된 범세계적인 국제기구이다. ②

국제 통화 기금(IMF)은 세계 각국의 경제적 번영을 가져오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1947년에 설립되었다. ③ 자유 무역 협정(FTA)은 국가

간 무역 장벽을 없애 상품과 서비스의 자유로운 이동을 보장하는 협

정이다. ④ 북대서양 조약 기구(NATO)는 반공 세력에 대한 서유럽

국가들의 집단 방위 기구이다.

02  외환위기와 ‘금 모으기 운동’

원화의 환율이 치솟고 외환 보유고가 바닥을 드러내자, 정부

는 1997년 11월 국제 통화 기금(IMF)에 구제 금융 지원을 요

청하였다. 이에 국민들은 ‘금 모으기 운동’에 자발적으로 참

여하여 외채를 줄이고 경제를 정상화하자는 데 힘을 보탰다.



오답 풀이  ① 제1차 석유 파동은 1973년에 일어났다. ② 미국발 금융

위기는 2008년에 일어났다. ③ 2000년대 들어서 본격적으로 여러

정답과 해설 59

나라와 자유 무역 협정(FTA)을 체결하였다. ④ 1960년 이후의 일이다.

북한이 동시에 유엔에 가입하였다. 그 직후 남북 기본 합의

03  사회 양극화 해소 노력

자료는 복지와 사회 안전망을 강화하여 정부의 소득 재분배 

기능이  정상화되어야  양극화와  불평등을  해소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기초 연금 제도, 근로 장려 세제 도입, 최저 임금

제 확대 적용, 국민 기초 생활 보장법 제정은 모두 복지와 사

회  안전망  강화를  통해  양극화를  해소하려는  정책이다.  ② 

사외 이사 제도는 외부의 전문가를 이사회의 구성원으로 임

명하는 제도로, 대주주의 경영 횡포를 방지하려는 데 목적이 

있다. 

04  북한의 주체사상

주체사상은 사상, 정치, 경제, 군사 부문에서 주체성을 확보

해야  생존이  가능하다는  북한의  정치  이론이다.  이  이론은 

김일성 개인숭배와 반대파 숙청에 이용되었다.

05  북한의 정치 변화 과정

김정은은  아버지  김정일의  공식적인  후계자로  지명을  받았

다. 2011년 김정일이 사망하자 이듬해 국방 위원회 제1 위원

장에 올라 북한의 최고 권력자가 되었다.

06  71 경제 관리 개선 조치

자료는 2002년 북한이 발표한 71 경제 관리 개선 조치로, 

시장 경제 요소를 제한적으로 도입하는 내용이 담겨 있다.



오답 풀이  ② 1980년대 말 사회주의권의 붕괴를 계기로 북한의 고립

이 심화되었다. 이러한 가운데 자연재해가 연이어 발생하면서 ‘고난

의 대행군’이라 불리는 기근 사태가 벌어졌다. ③ 북한은 2009년 화

폐 개혁을 단행하였다. ④ 북한은 1960년대 소련의 원조 중단과 군사

비 부담의 증가 등으로 경제 활력이 조금씩 떨어졌다. ⑤ 합영법은

북한이 외국의 자본과 기술을 도입하기 위해 1984년에 제정하였다.

07  노태우 정부 시기의 남북 관계

(가)는 노태우 정부이다. 중국과 수교하고 남북 유엔 동시 가

입을 이루었다는 내용을 통해 알 수 있다. 노태우 정부 시기

에 남북 유엔 동시 가입, 남북 기본 합의서 채택, 한반도 비

핵화 공동 선언 등이 이루어졌다.



오답 풀이  ㄷ. 김대중 정부 시기에 추진되었다. ㄹ. 74 남북 공동 성

명(1972)에 대한 설명이다.

08  남북 기본 합의서

60 정답과 해설

서와 한반도 비핵화 공동 선언에 합의하였다. 

09  남북 화해를 위한 노력

(가)는 남북 기본 합의서(1991)이고, (나)는 427 판문점 선언

(2018)이다. 김대중 정부 시기 615 남북 공동 선언이 발표되

었으며, 금강산 관광 사업이 시작되었다. 노무현 정부 시기 

104 남북 정상 선언이 채택되었으며, 개성 공단이 조성되기 

시작하였다. ③ 74 남북 공동 성명은 1972년에 발표되었다.

10  615 남북 공동 선언

자료는 김대중 정부 시기인 2000년 남북 정상 회담에서 발표

한 615 남북 공동 선언이다. 이 선언에서 남북은 이산가족 

문제의 조속한 해결, 경제 협력, 통일 문제의 자주적 해결에 

합의하였다.

11  427 판문점 선언

2018년 문재인 대통령은 4월 27일 판문점에서 남북 정상 회

담을  개최하고  한반도의  평화와  번영,  통일을  위한  판문점 

선언(427 판문점 선언)을 발표하였다. 



오답 풀이  ① 남북 기본 합의서는 1991년에 합의하였다. ③ 1993년 북

한이 핵 확산 금지 조약(NPT) 탈퇴를 선언하자, 미국과 북한 사이에

고위급 회담이 열려 제네바 기본 합의서를 채택하였다(1994). ④ 1972

년에 74 남북 공동 성명을 채택하여 분단 이후 처음으로 통일 원칙

에 합의하였다. ⑤ 2000년 6월 김대중 대통령이 평양을 방문하여 남

북 정상 회담을 갖고 615 남북 공동 선언을 발표하였다.

12  독도에 대한 이해

고구려 역사에 대한 중국의 입장은 중국의 역사 왜곡 문제이

며, 독도와 관련이 없다. 중국은 2002년 동북공정을 실시하

여 고조선, 부여, 고구려와 발해의 역사를 모두 중국사의 일

부로  편입하고,  고구려와  발해를  중국의  소수  민족이  세운 

지방 정권으로 평가하였다.

13  독도에 대한 이해

밑줄 친 ‘이 섬’은 독도이다. ① 일본이 연합국과 체결한 샌프

란시스코 강화 조약(1951)에는 한국의 독립을 승인한다는 것

과 제주도, 거문도, 울릉도를 포함한 한반도와 부속 도서에 

대한 권리를 포기하겠다는 내용이 있다. 

자료는 1991년에 합의한 남북 기본 합의서 내용이다. 1990년 

14  평화의 소녀상을 세운 목적

여러 차례 남북 고위급 회담이 개최되었으며, 1991년에는 남

자료는  일본군  ‘위안부’  문제의  해결을  위해  세워진  평화의 

소녀상이다. 일본군 ‘위안부’ 문제의 해결을 위해 1992년부터 

유연화라는 명목으로 비정규직 노동자가 많이 생겨났다. 또

수요 집회가 열리고 있으며, 2007년 미국 하원 의회와 유럽 

한  높아진  금리로  중소기업과  자영업자들이  사업을  접거나 

연합 의회는 일본군 ‘위안부’ 문제에 대해 일본 정부의 공식 

운영에  어려움을  겪기도  하였다.  그  결과  재벌에  경제력이 

사과를 요구하는 결의안을 채택하였다. 

집중되고 소득의 양극화로 빈부 격차가 심화되는 등 사회 문



오답 풀이  ㄱ. 일본의 대표적인 역사 왜곡 문제이다. ㄴ. 중국이 2002

제가 확산되었다. ① 1970년대 두 차례의 석유 파동으로 경

년부터 동북공정을 실시하여 한국의 고조선, 부여, 고구려, 발해의 역

제 위기를 겪었다.

사를 왜곡하였다. 한국 학계와 정부가 이에 반발하자, 2004년 양국은

이 문제를 정치 문제로 확대하지 않고 학술 교류로 극복한다는 구두

02  김정일 집권 시기에 있었던 사실

양해 각서를 체결하였다.

15  615 남북 공동 선언

⑴  답  615 남북 공동 선언 

⑵  답  (가) 연합제, (나) 연방제  

16  일본군 ‘위안부’ 문제

⑴  답  (가) 수요 집회(수요 시위), (나) 평화의 소녀상    

⑵   모범 답안  2000년 일본군 성 노예 전범 여성 국제 법정이 

었다.

개최되어  일본군  ‘위안부’  문제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졌

다. 또한 2007년에는 미국 하원 의회와 유럽 연합 의회가 

일본군 ‘위안부’ 문제에 대해 일본 정부의 공식 사과를 요

구하는 결의안을 채택하기도 하였다.     

주요 내용  일본군 성 노예 전범 여성 국제 법정이 개최되어 

일본군 ‘위안부’ 문제 논의, 미국 하원 의회와 유럽 연합 

의회가 일본군 ‘위안부’ 문제에 대해 일본 정부의 공식 사

과를 요구하는 결의안 채택

채점 기준

주요 내용 중 두 가지를 모두 넣어 바르게 서술한 경우

주요 내용 중 한 가지만 넣어 바르게 서술한 경우

단순히 국제 사회의 노력이 있었다고만 서술한 경우

배점







215쪽

고난도 문제로 
내신 완성하기

01 ①  02 ④  03 ④  04 ②

01  외환위기 극복 이후에 나타난 문제점

외환위기를  극복하는  과정에서  기업의  파산이나  구조  조정 

등으로  대량  해고  사태가  벌어져  실업자가  늘어나고,  노동 

자료의 ‘3대 혁명 소조 운동을 주도’, ‘아버지의 뒤를 이어 권

력을 장악한 후 선군 정치를 표방’ 등의 내용을 통해 (가)는 

김정일임을 알 수 있다. 김정일은 2000년에는 김대중 대통

령, 2007년에는 노무현 대통령과 남북 정상 회담을 가졌다.



오답 풀이  ①, ②, ③, ⑤ 김일성이 집권하던 시기의 일이다.

03  남북 정상 회담과 615 남북 공동 선언

2000년 6월 김대중 대통령이 평양을 방문하여 북한의 김정

일 국방 위원장과 남북 정상 회담을 갖고 615 남북 공동 선

언을 발표하였다. 615 남북 공동 선언은 제네바 기본 합의

서(1994)와 104 남북 정상 선언(2007) 사이 시기에 발표되

04  남북 화해를 위한 노력

(가)는 2000년에 발표되었고, (나)는 2018년에 발표되었다. 

그 사이 시기인 2007년에 노무현 대통령은 김대중 정부의 대

북 정책을 계승하여 북한의 김정일 국방 위원장과 남북 정상 

회담을 갖고 104 남북 정상 선언을 채택하였다.



오답 풀이  ① 박정희 정부 시기인 1972년에 채택되었다. ③, ④ 1991년

에 있었던 일이다. ⑤ 김영삼 정부 시기에 제안되었다.

대단원 

마무리하기

216~223쪽

01 ③  02 ③  03 ③  04 ①  05 ①  06 ⑤  07 ④
08 ④  09 ⑤  10 ②  11 ③  12 ④  13 ⑤  14 ⑤
15 ②  16 ③  17 ③  18 ②  19 ②  20 ⑤  21 ②
22 ④  23 ⑤  24 ②  25 ①  26 ⑤  27 ⑤  28 ④
29 ⑴ 모스크바 3국 외상 회의 ⑵ 해설 참조
30 ⑴ (가) 경공업, (나) 중화학 공업 ⑵ 해설 참조
31 ⑴ 6월 민주 항쟁 ⑵ 해설 참조
32 ⑴ 71 경제 관리 개선 조치 ⑵ 해설 참조

정답과 해설 61

01  조선 건국 준비 위원회의 활동

조적인 태도 때문에 어려움을 겪었다. 1949년 6월에는 경찰

조선 건국 준비 위원회는 전국 각지에 지부를 설치하고 치안 

이 반민 특위 사무실을 습격하는 일까지 발생하였으며, 이후 

유지와 행정 업무를 담당하였다. 미군의 진주를 앞둔 1945년 

반민 특위가 해체되고 반민법 효력이 중지되면서 실형을 선

9월  6일,  미국으로부터  대표성을  인정받기  위해  조선  인민 

고받았던 친일파들이 모두 풀려났다.

공화국 수립을 선포하였다. 



오답 풀이  ㄱ, ㄷ. 반민 특위는 이승만 정부의 소극적인 태도와 친일

세력의 방해 등으로 큰 성과를 거두지 못하였다.

02  모스크바 3국 외상 회의

1945년 12월 모스크바에서 미국, 영국, 소련의 외무 장관들

08  625 전쟁의 전개 과정 

이 모여 한국의 독립 문제를 논의하였다. 이 회의에서 미소 

(나) 1950년 6월 25일 전면적인 남침을 감행한 북한은 3일 

공동 위원회 설치, 조선 임시 정부 수립, 최장 5년간의 신탁 

만에 서울을 점령하고 7월 말 낙동강까지 진출하였다. (라) 

통치 등이 결정되었다. ③ 38도선 분할은 제2차 세계 대전 

국군과 유엔군은 인천 상륙 작전의 성공으로 전세를 역전하

중 일본의 항복이 눈앞으로 다가오자, 미국이 소련에 제안하

고 9월 28일 서울을 수복하였으며, (가) 10월 말에는 압록강

까지 진출하였다. 그러나 (다) 북한을 돕기 위해 참전한 중국

군의 공세에 밀려 또다시 서울을 빼앗기고 평택 인근까지 후

퇴하였다(14 후퇴).

여 동의를 얻어 냈다.

03  좌우 합작 운동

04  김구의 활동

05  제헌 국회의 활동

중도  성향의  여운형과  김규식은  좌우  합작  운동에  나섰다. 

이들은 좌우 합작을 통해 민족적 단결을 도모하고 미·소 공

09  419 혁명

동  위원회를  재개하고자  하였다.  또한  남북을  통합한  임시 

1960년 315 부정 선거를 계기로 발생한 419 혁명은 학생과 

정부를 수립함으로써 분단을 막고자 하였다.

시민들은 물론 대학교수들도 시국 선언에 나서 부정 선거를 

규탄하고 이승만 퇴진을 요구하였다.

김구는 남한 단독 선거가 결정되자 김규식과 함께 통일 정부 

10  516 군사 정변 세력의 활동

수립을 위한 남북 협상을 추진하였다. 

1961년 516 군사 정변으로 권력을 장악한 박정희를 비롯한 



오답 풀이  ② 여운형, 김규식 등에 대한 설명이다. ③ 여운형, 안재홍

일부 군인 세력은 국가 재건 최고 회의를 통해 군정을 실시하

등에 대한 설명이다. ④, ⑤ 이승만에 대한 설명이다.

였다. 정변 당시 민정 이양을 약속하였던 박정희는 전역 후 

대통령 선거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오답 풀이  ① 한국군의 베트남 파병은 1964년부터 1973년까지 이루어

자료는 510 총선거를 통해 구성된 초대 국회인 제헌 국회에 

졌다. ③ 1965년의 일이다. ④ 1972년의 일이다. ⑤ 1979년 부마 민

대한 설명이다. 우리나라 초대 국회는 헌법을 만드는 임무를 

주화 운동이다.

갖고 구성되었기 때문에 제헌 국회라고 불린다. ① 양원제 의

회는 1960년에 통과된 개헌안의 내용이다.  

11  유신 헌법과 유신 체제

06  농지 개혁 전후의 변화

줄어들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자료는 농지 개혁 실시 전후 경작 형태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

유신 헌법을 만들었다. 이후 통일 주체 국민 회의에서 대통

프이다. ⑤ 1950년 농지 개혁 실시 이전부터 소작지 면적이 

령을 선출하였고, 긴급 조치권을 발동하여 국민들의 기본권

1972년 10월 비상계엄을 선포하고 대통령 특별 선언을 통해 

국회를 해산하고 정치 활동을 금지한 후 비상 국무 회의에서 

을 제한하였다. 이에 맞서 재야인사들이 31 민주 구국 선언

을 하고, 부산과 마산에서 유신 체제에 저항하는 시위가 발

생하였다. ③ 1960년 419 혁명 과정에서 발생한 사건이다.

07  반민족 행위 특별 조사 위원회의 활동

자료는 반민족 행위 처벌법(1948. 9.)의 일부로, 이 법에 따

라 같은 해 10월 반민족 행위 특별 조사 위원회(반민 특위)가 

12  518 민주화 운동

구성되었다. 이 위원회는 일제 강점기 반민족 행위를 일삼았

자료는 1980년 광주에서 일어난 518 민주화 운동에 대한 설

던 사람들을 광범위하게 조사하였으나, 이승만 정부의 비협

명이다. 

62 정답과 해설



오답 풀이  ① 63 시위는 1964년에 일어났다. ② 419 혁명은 1960년

대통령 파면을 결정하면서 헌정 사상 처음으로 현직 대통령

에 일어났다. ③ 6월 민주 항쟁은 1987년에 일어났다. ⑤ 부마 민주

이 합법적 절차에 따라 물러나게 되었다. 2017년 대통령 선

화 운동은 1979년에 일어났다.

거가 치러져 여야 정권 교체가 이루어졌다.

13  1960년대의 경제 상황

19  419 혁명과 6월 민주 항쟁의 공통점

1960년대 외화를 벌어들이기 위해 많은 광부와 간호사들이 

(가)는 419 혁명, (나)는 6월 민주 항쟁이다. (가) 419 혁명

독일로 파견되었다. 이 시기 제1차 경제 개발 5개년 계획이 

은 시위 도중 최루탄에 맞고 숨진 고등학생 김주열의 시신이 

추진되어 섬유, 가발 등 노동 집약적 경공업이 성장하였다.

마산 앞바다에서 발견되자, 시민들의 분노가 절정에 달하였

14  1970년대 한국 경제의 이해

다. 419 혁명 이후 국회는 내각 책임제와 양원제 의회를 주

요 내용으로 하는 개헌안을 통과시켰다. (나) 6월 민주 항쟁

1970년대는  제34차  경제  개발  5개년  계획을  통해  중화학 

은 연세대 학생 이한열이 시위 도중 경찰이 쏜 최루탄에 맞아 

공업이  성장하였다.  1973년에  제1차  석유  파동이  찾아왔지

의식 불명 상태에 빠지면서 시민들의 분노가 더욱 확산되었

만, 기업들이 중동 건설에서 막대한 외화를 벌어들이면서 위

다. 6월 민주 항쟁으로 5년 단임의 대통령 직선제를 골자로 

기를 극복할 수 있었다.

하는 개헌이 이루어졌다.



오답 풀이  ㄴ. 419 혁명에 대한 설명이다. ㄹ. 518 민주화 운동에 대

15  전태일 분신 사건과 박정희 정부 시기에 있었던 일

한 설명이다.

전태일 노동자의 분신 사건은 1970년 박정희 정부 시절에 일

어났다. 1970년에 서울과 부산을 연결하는 경부 고속 국도가 

20  김대중 정부 시기에 일어난 일

개통되었다. 

(가)는 김대중 정부이다. 1997년 11월 국제 통화 기금(IMF)으

로부터 빌린 구제 금융을 김대중 정부 시기인 2001년 모두 

16  박정희 정부의 일상생활 탄압

상환하였다.

박정희 정부는 1973년 경범죄 처벌법을 개정하여 귀를 덮을 



오답 풀이  ①, ③ 박정희 정부 시기, ② 김영삼 정부 시기의 일이다. ④

정도로 머리가 긴 장발과 무릎 위 17cm 이상인 미니스커트

전두환을 비롯한 신군부 세력이 삼청 교육대를 설치하였다.



오답 풀이  ㄱ. 1980년대 초 프로 야구 등 프로 스포츠가 등장하였다.

21  외환위기 극복 과정에서 나타난 문제점

를 입은 사람을 경찰이 단속할 수 있게 하였다. 

ㄹ. 1988년에 서울 올림픽을 성공적으로 개최하였다.

외환위기 이후 구조 조정 과정에서 대량 해고 사태가 벌어져 

실업자가 늘어나고, 노동 유연화라는 명목으로 비정규직 노

동자가 많이 생겨났다. 또한 높아진 금리로 중소기업과 자영

17  6월 민주 항쟁의 전개 과정

1987년 1월 박종철 고문치사 사건이 발생하였다. 직선제 개

업자들이 사업을 접거나 운영에 어려움을 겪기도 하였다. 그 

헌  요구가  거세지고  있었지만,  전두환  정부는  같은  해  4월 

결과 소득의 양극화로 빈부 격차가 심화되었다. ② 사외 이

413 호헌 조치를 발표하였다. 이 무렵 박종철 고문치사 사

사  제도는  외부의  전문가를  이사회의  구성원으로  임명하는 

건을 축소은폐하려던 전두환 정부의 음모가 드러나면서 시

제도로, 대주주의 경영 횡포를 방지하려는 데 목적이 있다.

민들의 분노가 폭발하였다. 민주화 시위가 전국으로 퍼지는 

가운데, 6월 9일 연세대학교 학생 이한열이 시위 도중 경찰

22  ‘금 모으기 운동’의 배경

이 쏜 최루탄에 맞아 의식 불명 상태에 빠지는 사건이 발생하

원화의 환율이 치솟고 외환 보유고가 바닥을 드러내자, 정부

였다. 이후 민주화 시위는 더욱 확대되었고, 결국 전두환 정

는 1997년 11월 국제 통화 기금(IMF)에 구제 금융 지원을 요

부가 굴복하면서 노태우가 629 민주화 선언을 발표하였다.

청하였다. 이에 국민들은 ‘금 모으기 운동’에 자발적으로 참

여하여 외채를 줄이고 경제를 정상화하자는 데 힘을 보탰다.

18  박근혜 대통령 탄핵 이후의 사건

자료는 박근혜 대통령 탄핵 판결문이다. 국정 농단 의혹 폭

23  김정일 시기의 북한 사회

로 이후 시민들은 촛불 집회에 참여하여 박근혜 정부를 규탄

김정일은 군대가 정치, 경제 등 모든 분야를 이끈다는 ‘선군 

하였다.  이후  국회가  대통령을  탄핵하였고,  헌법  재판소가 

정치’를  표방하였고,  2002년  시장  경제  요소를  제한적으로 

정답과 해설 63

도입하는 71 경제 관리 개선 조치를 발표하였다. 

⑵   모범 답안  모스크바 3국 외상 회의의 결정을 지지하는 좌익 



오답 풀이  ㄱ. 사회주의 헌법 채택(1972)과 ㄴ. 합작 회사 경영법(합영

세력과 신탁 통치를 반대하는 우익 세력의 대립이 격렬하

법, 1984)은 김일성 집권 시기의 일이다.

게 일어났다. 

주요 내용  좌익 세력의 모스크바 3국 외상 회의 결정 지지, 

2000년 6월 김대중 대통령이 평양을 방문하여 남북 정상 회

주요 내용 중 한 가지만 넣어 바르게 서술한 경우

24  427 판문점 선언

자료는 판문점에 대한 설명이다. 2018년 문재인 대통령은 4

월 27일 판문점에서 북한의 김정은 국무 위원장과 남북 정상 

회담을 갖고 427 판문점 선언을 발표하였다. 



오답 풀이  ① 1991년에 발표되었다. ③ 1972년에 채택되었다. ④ 2000

년에 발표되었다. ⑤ 2007년에 채택되었다.

25  남북 화해를 위한 노력

(가)는 남북 기본 합의서(1991), (나)는 615 남북 공동 선언

(2000)이다. 남북 기본 합의서를 통해 남과 북은 서로 상대

방의  체제를  인정하고  존중한다는  약속을  하였다.  2000년 

김대중  대통령이  평양을  방문하여  남북  정상  회담을  갖고 

615 남북 공동 선언을 발표하였다. 금강산 관광은 1998년에 

시작되었다. 

26  615 남북 공동 선언

담을 갖고 615 남북 공동 선언을 발표하였다. 



오답 풀이  ①, ② 2018년, ③ 1994년, ④ 1972년이다.

27  제네바 기본 합의서 작성 배경

북한은 1993년 핵 확산 금지 조약(NPT) 탈퇴를 선언하였다. 

이에 한반도에서 군사적 긴장감이 고조되자, 미국과 북한 사

이에 고위급 회담이 열리고 제네바 기본 합의서(1994)가 채

택되면서 긴장이 완화되는 분위기가 조성되었다.

28  독도가 우리 땅인 근거

일본은 2005년 ‘다케시마의 날’을 제정하고, 2008년 이후에

29  모스크바 3국 외상 회의를 둘러싼 갈등 

⑴  답  모스크바 3국 외상 회의 

64 정답과 해설

우익 세력의 신탁 통치 반대  

채점 기준

주요 내용 중 두 가지를 모두 넣어 바르게 서술한 경우

주요 내용 중 한 가지만 넣어 바르게 서술한 경우

단순히 좌우 대립이 격렬했다고만 서술한 경우

30  수출 중심의 경제 정책

⑴  답  (가) 경공업, (나) 중화학 공업     

⑵   모범 답안  외국에서 원료와 자본을 들여와 국내의 값싼 노

동력을 활용하여 가공·수출하는 경제 정책이다.  

주요 내용  외국에서 원료와 자본 들여옴, 국내의 값싼 노동

력 활용, 가공·수출하는 경제 정책

채점 기준

주요 내용 중 세 가지를 모두 넣어 바르게 서술한 경우

주요 내용 중 두 가지만 넣어 바르게 서술한 경우

31  6월 민주 항쟁

⑴  답  6월 민주 항쟁 

⑵  모범 답안  호헌 철폐, 독재 타도, 직선제 개헌 쟁취를 외쳤다.  

주요 내용  호헌 철폐, 독재 타도, 직선제 개헌 쟁취

채점 기준

주요 내용 중 세 가지를 모두 넣어 바르게 서술한 경우

주요 내용 중 두 가지만 넣어 바르게 서술한 경우

주요 내용 중 한 가지만 넣어 바르게 서술한 경우

⑵   모범 답안  북한에 시장 경제 요소(자본주의 요소)를 제한적

주요 내용  북한에 시장 경제 요소(자본주의 요소), 제한적으

으로 도입하였다.  

로 도입

채점 기준

주요 내용 중 두 가지를 모두 넣어 바르게 서술한 경우

주요 내용 중 한 가지만 넣어 바르게 서술한 경우

배점







배점







배점







배점





는 자국의 검인정 교과서에 독도가 일본 영토임을 명시하도

32  71 경제 관리 개선 조치와 북한의 경제 변화

록 하는 등 영토 왜곡을 자행하고 있다.

⑴  답  71 경제 관리 개선 조치       

반응형

공유하기

게시글 관리

구독하기답지저장소

  • 카카오스토리
  • 트위터
  • 페이스북

'천재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0년 천재교육 교과서 다품 고등 수학 기하 답지  (0)2020.06.162020년 천재교육 고등 화법과 작문(박영목) 평가문제집 (15개정) 답지  (0)2020.06.162020년 천재교육 고등 평가문제 언어와 매체 (민현식) (15개정) 답지  (0)2020.06.162020년 천재교육 고등 평가문제 국어 (박영목) 하 (15개정) 답지  (0)2020.06.162020년 천재교육 고등 평가문제 국어 (박영목) 상 (15개정) 답지  (0)2020.06.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