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ment 복수형 - Comment bogsuhyeong

Lecture 09: 명사의 가산성
point 1: 보이는 명사 중 셀 수 있는 것과 셀 수 없는 것
사람을 지칭하는 모든 명사는 셀 수 있지만, 개인과 집합을 구분해야한다.
 - 집합(class, staff)에 속한 개인을 말할 때는 a classmate, a staff member 등으로 표현한다.
 - 집합체의 규모가 큰 것을 말할 때는 large나 big으로 수식하여 표현한다.
  ex) a large class

 - 집합명사는 다른 명사들처럼 단수형은 단수, 복수형은 복수로 취급한다.
 - 하지만 단체 속에 있는 개인들을 말할 때 단수형의 집합명사를 복수로 취급할 수 있다.
  ex) The orchestra consists of eighty-six musicians.
  ex) My family are early riser.

  - 고체, 액체, 기체, 가루는 양으로 파악하는 불가산명사이다.
  ex) gold, silver, milk, rain, smoke, fog, salt, sugar
  - 단, 물질을 담는 단위명사를 통해 셀 수 있다.
  ex) a glass of champagne

  - 비슷한 종류의 물건을 총칭해서 부르는 명사는 양으로 취급한다.
  ex) furniture, clothing, luggage, jewelry, stationery

point 2: 규칙적 복수형과 불규칙적 복수형
 - fish(salmon, tuna)나 sheep 처럼 떼 지어다니는 물고기나 일부 동물들은 단, 복수 동형이다.
 - Chinese, Japanese처럼 마찰음으로 끝나는 국민 이름도 단, 복수 동형이다.
 - craft로 끝나는 운송수단도 단, 복수 동형이다.
  ex) Chinese are good at bargaining.
  ex) Examples of foods that contain beneficial fats are oily fish such as salmon, tuna and mackerel.

  - 경찰들을 뜻하는 police와 소들을 뜻하는 cattle은 항상 복수이다.

point 3: 보이지 않는 명사 중에 셀 수 있는 것과 셀 수 없는 것
 - 구체적인 정보는 셀 수 있다. 
 ex) tip, suggestion, clue, dream, fact, story, rumor, study, idea, solution
 - 포괄적인 정보는 양으로 취급한다.
 ex) advice, evidence, information, news, research, input, knowledge
 - 감정과 상태, 행위, 스포츠나 과목의 이름도 대체로 세지 않는다.

point 4: 의미에 따라 가산과 불가산으로 쓰이는 명사
 - apple: 과일을 말할 때는 가산, 음식의 재료일 때는 불가산
 - car: 물건일 때는 가산, 이동수단일 때는 불가산
 - school: 장소로 말할 때는 가산, 고유한 목적으로 갈 때는 불가산
 - cheese: 음식이나 물질일 때는 불가산, 종류로 구분할 때는 가산
 - beer: 단위명사를 생략하고(bottle of) 가산명사로 사용
 - light: 빛을 뜻할 때는 불가산, 등을 뜻할 때는 가산

 - 추상적인 명사들이 형용사의 수식을 받으면 a(n)를 쓰곤 한다.
 ex) education /  a good education

 - work: 일을 뜻하면 불가산, 작품일 때는 가산
 - disorder: 장애를 뜻하면 가산, 혼란을 뜻하면 불가산

앞으로 명사 보면서 가산인지 불가산인지 따져봐야겠네요.

오늘도 좋은 하루 보내세요.

단수 명사와 복수 명사, 그리고 복수형 만들기 규칙! [영어문법풀이 #86]

  • 2021.08.12 20:46
  • 문법풀이

Comment 복수형 - Comment bogsuhyeong
Comment 복수형 - Comment bogsuhyeong
Comment 복수형 - Comment bogsuhyeong

지난 시간엔 명사와 관사에 대한 내용을 다뤘습니다.

Comment 복수형 - Comment bogsuhyeong

관사에는 부정 관사 a와 정관사 the가 있다고 했는데요
부정 관사는 명사가 하나일 때 사용할 수 있고
두 개 이상일 때는 사용할 수 없다고 했습니다.

이때 명사가 하나일 때 그 명사를 단수 명사라고 부르고
명사가 두 개 이상일 때는 복수 명사라고 부릅니다.

이번 시간에 이 단수 명사와 복수 명사에 대해 알아볼 건데요.
각 개념은 그냥 이게 끝이에요.

한 개 또는 두 개 이상으로 단수와 복수가 결정이 되는 겁니다.

예를 들어서 핸드폰이 있어요.
하나죠. 그러면 단수 명사입니다.

Comment 복수형 - Comment bogsuhyeong

문장으로 보면
I have a phone.
또는 I have the phone.
이렇게 표현할 수 있습니다.
단수 명사에 관사를 붙이는 내용은 #84를 참고하시면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반면에 핸드폰이 두 개라면, 복수 명사입니다.
이때는 부정 관사 a를 붙일 수 없습니다. 한 개가 아니니까요.

문장으로 보면
I have phones.
또는 I have the phones.
이렇게 표현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복수 명사로 사용된 핸드폰을 보면 단어에 s가 붙어있습니다.
동사 파트에서 수일치에 대한 내용을 다룰 때 주어가 3인칭 단수라면 동사에 s, es, ies를 붙이는 규칙이 있었죠. 그리고 어떤 단어들은 불규칙적으로 다른 모습으로 변형도 됐었습니다.

Comment 복수형 - Comment bogsuhyeong

명사도 비슷합니다.
명사가 여러 개일 때 s를 붙이는데 단어에 따라서 s, es 등을 붙이게 돼요.
s, es, ies, ves 또는 불규칙적으로 명사를 복수형으로 만들게 됩니다.

이 복수 명사를 만드는 규칙은 어떻게 구분하냐에 따라서 다를텐데요
저는 일단 대략 13개로 분류를 해볼게요.
하나씩 볼 건데요, 이걸 다 외우는 건 불가능합니다.
그래서 대충 이런 느낌이구나 하고 보시는 걸 추천합니다.

1. 일반적으로 명사에는 다 s를 붙이면 됩니다.

phone → phones
dog → dogs
house → houses
boy → boys
girl → girls

등등 명사에 그냥 s를 붙이면 복수 명사로 만들 수 있습니다.

Comment 복수형 - Comment bogsuhyeong

2. 명사에 es 붙이기
s, ss, sh, ch, x, z 로 끝나는 단어엔 es 붙이면 됩니다.
6개 정도 되는데요
공통적으로 바람 빠지는 소리가 나는 철자들로 끝나는 단어들이에요
스 / 쉬 / 취/ 즈
이런 발음에 s의 [스]를 더하면 단수인지 복수인지 구별하기 힘들어져서
es를 붙이면서 [이스] 느낌의 발음으로 됩니다.

예를 들어서

bus → buses
fox → foxes
dish → dishes
glass → glasses
Bush → Bushes

등등 이렇게 es를 붙이면서 복수 명사로 만듭니다.

그리고 예외로 어떤 단어들은 마지막 자음 하나 더 쓰고 es 붙이곤 합니다.
gas → gasses
이런 식으로 말이죠.

Comment 복수형 - Comment bogsuhyeong

3. o로 끝나는 단어에도 es를 붙이기도 합니다

Hero → Heroes
Potato → Potatoes
Mango  → Mangoes
Echo → Echoes
Mosquito → Mosquitoes

예외도 있습니다.
O로 끝나지만 그냥 s를 붙이는 상황도 있습니다.
Photo → Photos
Solo → Solos
Piano → Pianos
Macho → Machos

그리고 이 중에서 photo는 photograph의 축약형입니다.
photograph의 복수형은 그냥 s를 붙이는데요
그래서 축약형에도 그냥 s를 붙이게 된 겁니다.

또 예외가 하나 더 있는데요
volcano 이 단어는 s를 붙여도 되고 es를 붙여도 됩니다.

Comment 복수형 - Comment bogsuhyeong

4. y로 끝나는 단어는 y빼고 ies 붙이기
baby → babies
city → cities
spy → spies

이런 식으로 y를 빼고 ies를 붙이기도 합니다

Comment 복수형 - Comment bogsuhyeong

5. 모음 발음 (a, e, I, o, u)로 끝나면 s 붙이기
o로 끝나는 단어에 es를 붙이는 규칙도 있는데요
그 단어들은 자음+오 발음이어서 그냥 [오]가 아니라서 es를 붙인 겁니다.

그래서 [오] 발음으로 끝나는 단어
Video → Videos
Radio → Radios
Stereo → Stereos
Studio → Studios

이렇게 자음 발음 없이 모음 발음일 때 그냥 s를 붙이게 됩니다.

또 y로 끝나는 단어는 ies로 바꾸기도 하지만
자음 발음 없이 모음 발음으로 끝나는 y에는 s만 붙입니다
ray → rays
boy → boys
이런 식으로 말이죠

또 우 발음으로 끝나는 단어도 s만 붙입니다.
bamboo → Bamboos

Comment 복수형 - Comment bogsuhyeong

6. f, fe로 끝나면 f, fe대신에 ves로 바꾸기
Wife → Wives
Shelf → Shelves
Loaf → Loaves
Self → Selves
Life → Lives

이런 식으로 f, fe를 빼고 ves로 바꾸기도 합니다.

그런데 또 예외로
그냥 s를 붙이는 경우도 있어요

Proof → Proofs
Belief → Beliefs
Strife → Strifes
Dwarf → Dwarfs
Roof → Roofs

그리고 아예 불규칙 단어들도 있습니다.

Comment 복수형 - Comment bogsuhyeong

7. 모음을 아예 바꿔서 복수형을 만들기도 합니다.
모음을 바꿔버리기

Man → Men
Woman → Women
Tooth → Teeth
Foot → Feet
Louse → Lice
Mouse → Mice

Comment 복수형 - Comment bogsuhyeong

8. 단수형과 복수형의 모습이 똑같은 경우
Deer → Deer
Gross → Gross
Sheep → Sheep
Pair → Pair
Salmon → Salmon
Score → Score

단수 명사인지 복수 명사인지 구별을 어떻게 할까?
뒤에 있는 동사의 모습을 보고 판단 가능
is / was / has 라면 단수 명사
are / have /were / are 이 오면 복수 명사

Comment 복수형 - Comment bogsuhyeong

9. 항상 복수형 모습인 경우도 있습니다
항상 복수형태로만 쓰이는 명사도 있습니다.
Spectacles
Scissors
Trousers
Tongs
Pincers
Thanks
Proceeds
Nuptials
Odds
Vegetables
Drawers
Troops, etc.

Comment 복수형 - Comment bogsuhyeong

10. 생긴 건 복수형이지만 단수로 쓰이는 단어도 있습니다.
Innings
Mathematics
News
Civics
Rickets
Measles
Mumps
Tuberculosis
Economics
Politics
Physics
Ethics
Singles
Billiards, etc.

Comment 복수형 - Comment bogsuhyeong

11. 추상 명사에는 일반적으로 복수형이 없다
Kindness
Happiness
Hope
Love
Hatred
Charity
Lust
Compassion, etc.

12. s가 아니라 en을 붙이는 경우
Ox → Oxen
Child → Children

Comment 복수형 - Comment bogsuhyeong

13. 복합 명사의 복수형, 메인 명사에 s 붙이기
Father-in-law → Fathers-in-law
Brother-in-law → Brothers-in-law
Stepdaughter → Stepdaughters
Looker-on → Lookers-on
Man-of-war → Men-of-war
Commander-in-chief → Commanders-in-chief

14. 다른 언어에서 가져온 단어를 복수형으로 만들 때는 또 특이합니다.
아예 모습이 바뀌기도 해요.

Datum → Data
Referendum → Referenda
Agendum → Agenda
Memorandum → Memoranda
Oasis → Oases
Thesis → Theses
Analysis → Analyses
Index → Indices
Criterion → Criteria
Medium → Media
Phenomenon → Phenomena

단어 철자 끝 단어 변형

on → a

um → a
is → es
ex → ices

이런 식으로 규칙적인 것도 있지만 불규칙적인 단어도 있어서
다 외우는 것은 불가능할 겁니다.
대충 이런 느낌이구나 하고 s 붙이는 규칙만 좀 자세히 보고 넘어가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이번 시간엔 이렇게 단수 명사와 복수 명사에 대한 내용을 알아봤습니다.
다음 시간엔 집합 명사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해보겠습니다.
그러면 다음 시간에 봬요.




[문법풀이 교재 #86] 다운로드
 (이전 글) [문법풀이 #85] 12-4. 셀 수 있는 명사와 셀 수 없는 명사(다음 글) [문법풀이 #87] 12-6. 집합 명사 

후원해주신 여러분, 감사합니다

후원하기 네이버 후원 (클릭) 직접 후원 (카카오뱅크 한재완)  (3333-02-3093050) * 닉네임/이름 공개 원하시면 이메일 남겨주세요! 감사합니다!

hanpuri.com

Comment 복수형 - Comment bogsuhyeong
 
Comment 복수형 - Comment bogsuhye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