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2용접 전류전압 - co2yongjeob jeonlyujeon-ab

CO2 전류 전압 맞추는 거에 대해서 물어볼것이 있습니다.

작성자멋진반항아는쉽게폭발하지않는다|작성시간06.09.05|조회수3,582 목록 댓글 6

요즘 CO2를 배우고 있는 학생입니다.

그런데 제가 초보라서 그런지 전류 전압 맞추는 것이 너무 힘드네요~ ㅠㅠ

선배님들의 노하우를 가르쳐 주세요 ㅠㅠ

알기 쉽게요 ㅠ_ㅠ

부탁 드립니다.^^:;

다음검색

댓글

  • 댓글 6
  • 댓글쓰기
  • 답글쓰기

댓글 리스트

  • 작성자한계단 작성시간 06.09.10 전압 올려두고 아크 생성된다음 전류를 올려보세여~자주 하면은 용접기에 안좋습니다 초보때 가끔 욕얻어먹어가며 하는 짓..ㅋㅋ

  • 작성자나모아래 작성시간 06.09.12 첨엔 좀 어렵게 느껴질수도 있습니다만 와이어의 길이를 12mm~15mm로 용접하면서 와이어의 길이가 일정하도록 해야합니다 비드가 잘 퍼지도록 전압을 올려놓고 용접중에 와이어가 밀리거나 튀는듯하면 전류가 쎈거니 좀 낮추시고 물방울이 크게 맺혀 떨어지면 전압이 높은거니 전압을 약간 낮춰보시면 됩니다

  • 작성자나모아래 작성시간 06.09.12 많이 해보시면 감이 잘잡히고요 와이어가 잘 녹는데 비해서 빽비드가 안날경우에는 위빙의 폭이 너무 넓거나 용접속도가 너무 빠르기 때문이라 보면 됩니다. 많이 해보는것이 왕도 입니다.

  • 작성자나모아래 작성시간 06.09.12 전압전류가 둘다 높을때는 스패터가 덩어리로 튀고요 둘다 낮을때는 비드가 좁고 불룩하게 된다는것을 참고 하시면 될겁니다

  • 작성자메롱 작성시간 06.09.16 200A 이하시 (0.04 X 사용전류 + 15.5 ±1.5) 이공식 사용해 보세요~~ 예를 들어 100A전류를 사용해서 전압을 맞추고 싶다 하면 위 공식에 100을 대입하면 18~21까지 나올꺼예요...그럼 전압을 18, 19, 20, 21 맞추고 제일 잘되는 전압을 선택하믄 됩니다.. 200A이상시 사용하는 공식은 (0.04 X 사용전류 + 20.0 ±2.0) 사용한다면 된다고 울학교 교수가 그랬어요 아무쪼록 도움이 되었음~~

댓글 전체보기

안녕하세요 <우애의 정보> 기술편입니다.

용접 조건이란 주어진 용접 홈의 모양에 대한 와이어의 지름, 용접전류, 아크 전압, 용접속도 등을 말하는데 알맞게 값을 선정하는것이 중요한 일입니다. 그러나 같은 치수의 홈 용접일지라도 전류, 전압, 용접속도는 어느 특정한 값만이 있는것이 아니며 경우에 따라 전류를 낮추어 용접속도를 느리게 하여도 좋은 결과를 얻을수 잇습니다.

1) 용접 전류

 용접 전류는 용입을 결정하는 가장 큰 요인입니다. CO2 가스 아크용접에 사용되는 정전압 특성의 전원은 토치 선단에서 송급된 아이어를 용융시켜 아크도 유지할 수 있는 필요 전류를 자동적으로 공급하는 특성을 갖게 됩니다. 따라서 이 경우의 전류 조정은 와이어 송급 속도를 변화하는 거세 의해 제어됩니다.

 와이어 굵기가 지름이 1.2 일 때 약 200A 이하로 외관이 아름다운 비드가 얻어지며 약 200A 이상에서는 입상 이행으로 되어 깊은 용입을 얻을수 있어 후판용접에 주로 사용됩니다

                          용접 적성 전류표

 와이어 지름 mm

1.2

1.6 

용접 전류 A 

아래보기 

120~300 

200~450 

수      평 

120~250 

180~280 

수      직 

120~300 

200~450 

전류를 높게 하면 와이어의 녹아내림이 빠르고 용착률과 용입이 증가합니다.

지나치게 높은 전류는 볼록한 비드를 형성하여 용착금속의 낭비와 외관이 좋지 못한 결과를 초래하므로 적당한 값을 선택해야 하며, 일반적으로 전류값을 높이면 아크 전압도 함께 높여 주어야 좋은 용접 결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2) 아크 전압

 아크전압은 비드 형상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입니다. 아크 전압을 높이면 비드가 넓어지고 납작해지며, 지나치게 아크전압을 높이면 기포가 발생합니다. 또한 너무낮은 아크 전압은 볼록하고 좁은 비드를 형성하며, 와이어가 녹지 않고 모재 바닥을 부딪치고 토치를 들고 일어나는 현상이 생깁니다.

낮은 전압일수록 아크가 집중되기 때문에 용입은 약간 깊어집니다. 반대로 높은 전압의 경우는 아크가 길어지므로 비드 폭은 넓어지고 높이는 납작해지며 용입은 약간 낮아집니다.

 피복아크용접의 경우 아크길이 조정은 작업자의 눈짐작으로 조정할수 있있으나 CO2 가스 아크용접의 경우는 전압 조절 장치에 의하여 용접 전원의 특성을 변화시킬수 밖에 업습니다. 적정한 아크 전압값은 아크 특유의 "치-" 하는 연속음을 내며 아크전압이 낮은 경우 불연속 단절음으로 들립니다. 용입은 전류, 전압, 속도에 따라 크게 좌우되나 용접 홈의 모양, 와이어 굵기 등에도 크게 영향을 받습니다.

3) 용접 속도

 용접 속도는 용접 전류, 아크 전압과 함께 용입 깊이, 비드형상, 용착 금속량 등의 결정되는 중요한 요인이 됩니다. 용접속도가 빠르면 재의 입열이 감소되어 용입이 얕고 비드 폭이 좁으며, 반대로 늦으면 아크의 바로 밑으로 용융금속이 흘러들어 아크의 힘을 약화시켜서 용입이 얕으며, 비드 폭이 넓은 편탄한 비드를 형성합니다.

4) 와이어 돌출 길이

 돌출 길이는 팁의 끈에서 모재면과의 거리로 생각하면 됩니다.

팁 끝에서 아크 길이를 제외한 첨단까지의 길이로서, 와이어를 이용하는 법에서는 중요한 요인중의 하나입니다.

 팁과 모재간 거리는 저전류 영역 (약 200A 미만) 에서는 10~15mm 정도가 적당하고 일반적으로 용접 작업에서의 거리는 10~15mm를 가장 많이 적용 합니다.

이상으로 CO2 가스 아크용접의 용접 조건에 대하여 알아보았습니다.

찾으시는 정보에 도움이 되었으면합니다.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co2용접을(솔리드) 하시는 많은 용접사 분들을 위해서 팁을 드리려고 합니다.

많은 분들이 전류(용접속도),전압(전기)에 대해서 잘못된 상식이 전파 되어 알고 있는것 같아 안타까운 마음에 글을 올려 봅니다.

우선 아름 다운 용접은 위에 제시한 두가지의 변수 조정으로 만들어 낼수 있겠지요....

대부분 전압을 일정 위치에 고정하고 용접 속도를 조정하면서 비드를 만드려고 노력하고 있는줄 압니다.

결론 부터 이야기 하자면 잘못된 상식 입니다.

반대로 한번 시도해 보시면 빠른 결과를 얻을수 있을것입니다.

전류(속도)를 먼저 맞추시고, 다음으로 전압(전기)조정으로 비드의 폭을 조정한다면 작업 조건을 맞추시는데 훨씬 수월 하실 겁니다.

믿고 한번 시도 해 보세요....

근거.....

co2 용접은 기본적으로 정전압 구동이므로 전압 변화에 정밀한 대응을 한답니다.

따라서 전압 조정은 미세 조정이 되는 반면,,,,

전류 조정은 변화 폭이 크답니다. 

여러분 무조건 아니라고만 생각 마시고,  한번 곰곰히 생각 해 보시고 시도해 보시기 바랍니다,

용접 조건 잡는데 훨씬 수월 할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