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 임용고시 가산점 - chodeung im-yong-gosi gasanjeom

교육 전문 블로거 차알리입니다.

매년 초등 임용고시와 관련된 포스팅들을 올리고 있는데요.

두달 전 올린 【2019 초등임용(15학번) 경쟁률&합격 추정 커트라인】 포스팅도 많은 분들로부터 아주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ㅎ

혹시 아직도 【2019 초등임용 경쟁률&합격 추정 커트라인】 안 보신 교대생 분들이 계시다면?

//blog.naver.com/parkhc1992/221463099340

적어둔 링크를 통해 먼저 보고 오시구요.

오늘은 많은 교대생과 임고생분들이 궁금해하는 또 다른 주제.

바로 <내신과 지가점 과연 중요한가?>에 대해 아주 꼼꼼히 살펴볼 예정입니다.

우선 제가 일전에 정리해둔 <2019 초등임용고시(15학번) 지역별 합격 추정 커트라인>부터 살펴보도록 하죠!

최근 초등임용의 뚜렷한 특징 중 하나가 광역시와 도지역 간의 편차가 꽤 심하다는 점인데요.

서울을 비롯하여 세종·광역시는 커트라인이 상당히 높은 반면, 일부 도지역 중엔 실질적으로 미달인 지역도 있었습니다.

어차피 이 글을 보실 분들은 서울·광역시처럼 경쟁률이 치열한 지역을 한번이라도 염두해둔 분들이지 않을까 생각하고 작성해볼게요.

<2019 초등임용고시(15학번) 전국 경쟁률&합격 추정 커트라인> 세부자료를 살펴보면요.

1차 1배수를 교육과정+논술=100점 만점으로 기준 잡고 커트라인 추정 점수를 산출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즉, 위 자료는 1차시험을 무조건 붙었다고 가정하고 계산한 셈이지요.

그런데 말입니다.

누구나 한번쯤 그런 생각 하지 않습니까.

"임용고시 1차시험부터 떨어지면 어떡하나요...?"

사실 1차시험은 필기 100점(교육과정80점/논술20점)+내신 20점+지가점(지역가산점) 6점=총 126점 만점으로 구성됩니다.

물론 1차 합격한 이후, 2차시험부터는 내신과 지가점(지역가산점)이 완전히 빠집니다.

따라서 내신과 지가점은 1차시험에서만 변별력이 있다고 할 수 있지요.

그렇다면 내신점수는 과연 얼마나 편차가 있을까?

내신은 고등학교 때처럼 교대 학점에 따라 1등급~10등급까지 구분하는데요.

실질적으로 15.5점(10등급)~20점(1등급)까지, 각 등급별로 0.5점씩 차입니다.

단, 서울만 예외적으로 17.3점(10등급)~20점(1등급)까지, 각 등급별로 0.3점 차라는 것.

반면 지가점(지역가산점)은 0~6점으로, 교대 현역을 포함해 원서접수 마감일 기준 정규 교원경력(기간제 제외)이 없는 자만 부여 받는데요.

각 지역별로 지가점(지역가산점) 기준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교원대의 경우 대전·세종·충북 지역을 제외한 타지역 지가점 6점을 완전히 다 받기 위해선 그 지역 소재 고등학교를 나와야 함.)

♣서울

▶6점: 현역 서울교대, 이화여대, 교원대(서울시 교육감 추천 입학)

▶3점: 현역 타교대, 교원대(타시도 교육감 추천 입학), 제주대 초교

▶0점: 정규발령난 현직(기간제 제외)/서울교대나 이화여대 졸업자여도 타시도로 이미 발령난 상황이면 0점

♣부산

▶6점: 현역 부산교대, 교원대(부산교육감 추천 입학)

▶3점: 현역 타교대, 교원대(타시도 교육감 추천 입학), 이화여대, 제주대 초교

▶0점: 정규발령난 현직(기간제 제외)/부산교대 졸업자여도 타시도로 이미 발령난 상황이면 0점

♣대전

▶6점: 현역 공주교대, 청주교대, 교원대

▶3점: 현역 타교대, 이화여대, 제주대 초교

▶0점: 정규발령난 현직(기간제 제외)/공주교대, 청주교대, 교원대 졸업자여도 타시도로 이미 발령난 상황이면 0점

♣세종

▶6점: 현역 공주교대, 청주교대, 교원대

▶3점: 현역 타교대, 이화여대, 제주대 초교

▶0점: 정규발령난 현직(기간제 제외)/공주교대, 청주교대, 교원대 졸업자여도 타시도로 이미 발령난 상황이면 0점

♣광주

▶6점: 현역 광주교대, 교원대(광주교육감 추천 입학)

▶3점: 현역 타교대, 교원대(타시도 교육감 추천 입학), 이화여대, 제주대 초교

▶0점: 정규발령난 현직(기간제 제외)/광주교대 졸업자여도 타시도로 이미 발령난 상황이면 0점

♣대구

▶6점: 현역 대구교대, 교원대(대구교육감 추천 입학)

▶3점: 현역 타교대, 교원대(타시도 교육감 추천 입학), 이화여대, 제주대 초교

▶0점: 정규발령난 현직(기간제 제외)/대구교대 졸업자여도 타시도로 이미 발령난 상황이면 0점

♣울산

▶6점: 현역 부산교대, 대구교대, 진주교대, 교원대(울산교육감 추천 입학)

▶3점: 현역 타교대, 교원대(타시도 교육감 추천 입학), 이화여대, 제주대 초교

▶0점: 정규발령난 현직(기간제 제외)/부산교대, 대구교대, 진주교대 졸업자여도 타시도로 이미 발령난 상황이면 0점

♣인천

▶6점: 현역 경인교대, 교원대(인천시 교육감 추천 입학)

▶3점: 현역 타교대, 교원대(타시도 교육감 추천 입학), 이화여대, 제주대 초교

▶0점: 정규발령난 현직(기간제 제외)/경인교대 졸업자여도 타시도로 이미 발령난 상황이면 0점

♣제주

▶6점: 제주대 초교, 교원대(제주도 교육감 추천 입학)

▶3점: 현역 타교대, 교원대(타시도 교육감 추천 입학), 이화여대

▶0점: 정규발령난 현직(기간제 제외)/제주대 초교 졸업자여도 타시도로 이미 발령난 상황이면 0점

♣경기

▶6점: 현역 경인교대, 교원대(경기도 교육감 추천 입학)

▶3점: 현역 타교대, 교원대(타시도 교육감 추천 입학), 이화여대, 제주대 초교

▶0점: 정규발령난 현직(기간제 제외)/경인교대 졸업자여도 타시도로 이미 발령난 상황이면 0점

♣경남

▶6점: 현역 진주교대, 교원대(경남교육감 추천 입학)

▶3점: 현역 타교대, 교원대(타시도 교육감 추천 입학), 이화여대, 제주대 초교

▶0점: 정규발령난 현직(기간제 제외)/진주교대 졸업자여도 타시도로 이미 발령난 상황이면 0점

♣전북

▶6점: 현역 전주교대, 교원대(전북교육감 추천 입학)

▶3점: 현역 타교대, 교원대(타시도 교육감 추천 입학), 이화여대, 제주대 초교

▶0점: 정규발령난 현직(기간제 제외)/전주교대 졸업자여도 타시도로 이미 발령난 상황이면 0점

♣강원

▶6점: 현역 춘천교대, 교원대(강원도교육감 추천 입학)

▶3점: 현역 타교대, 교원대(타시도 교육감 추천 입학), 이화여대, 제주대 초교

▶0점: 정규발령난 현직(기간제 제외)/춘천교대 졸업자여도 타시도로 이미 발령난 상황이면 0점

♣충남

▶6점: 현역 공주교대, 교원대(충남교육감 추천 입학)

▶3점: 현역 타교대, 교원대(타시도 교육감 추천 입학), 이화여대, 제주대 초교

▶0점: 정규발령난 현직(기간제 제외)/공주교대 졸업자여도 타시도로 이미 발령난 상황이면 0점

♣충북

▶6점: 현역 청주교대, 교원대

▶3점: 현역 타교대, 이화여대, 제주대 초교

▶0점: 정규발령난 현직(기간제 제외)/청주교대나 교원대 졸업자여도 타시도로 이미 발령난 상황이면 0점

♣경북

▶6점: 현역 대구교대, 교원대(경북교육감 추천 입학)

▶3점: 현역 타교대, 교원대(타시도 교육감 추천 입학), 이화여대, 제주대 초교

▶0점: 정규발령난 현직(기간제 제외)/대구교대 졸업자여도 타시도로 이미 발령난 상황이면 0점

♣전남

▶6점: 현역 광주교대, 교원대(전남교육감 추천 입학)

▶3점: 현역 타교대, 교원대(타시도 교육감 추천 입학), 이화여대, 제주대 초교

▶0점: 정규발령난 현직(기간제 제외)/광주교대 졸업자여도 타시도로 이미 발령난 상황이면 0점

이를 토대로 26점(내신 20점+지가점 6점) 만점 중 내신과 지가점이 최악인 경우는 15.5점(서울은 17.3점)으로 계산됩니다.

그럼 이걸 고대로 <2019 초등임용고시(15학번) 전국 1차 1.5배수 커트라인>에 적용시켜볼까요?

내신과 지가점이 최악인 수험생이 초등임용 1차 시험을 통과하려면 최소 몇 점을 맞아야하는지 역추적해봤습니다.

임용고시 경쟁률이 애당초 1.5:1을 넘지 않는 지역은 내신과 지가점의 의미가 없어서 따로 작성하지 않았구요.

본인이 경기·전북 등 도지역 응시자라면 내신, 지가점 정말 거의 의미 없어요!

도지역은 모집인원이 워낙 많은 만큼 꼬리 점수대가 길거든요.

도지역은 1배수랑 1.5배수 점수 격차가 꽤 있습니다.

하지만 서울, 세종 등 일부 광역시는 내신 최저&지가점 최저일 경우 1차 필기시험에서 1배수보다 최대 3~4점까지 더 맞아야 할 수도 있어요.

그러나 아무리 못해도 보통 광역시 지원자들은 내신 8등급 이상(간혹 9등급 이하도 있긴 함)이구요.

현실적으로 내신&지가점 둘 다 최저인 사람은 진짜 아주 드뭅니다!

지가점은 사실 지방교대생의 서울·광역시 러쉬를 막을 목적으로 만들었다기보다, 현직들이 또 다시 재시험 치르는 걸 막는 용도가 더 큰 것 같아요.

그러니 현역 중에서 내신이나 지가점 상황이 좋지 못한데 서울·광역시를 고민하는 수험생이 있다면, 현실적으로 내신·지가점 걱정은 크게 안 하셔도 되구요.

(물론 서울처럼 상위권 성적대에선 1~2점도 소중해서 영향이 아예 없다곤 말 못 하나, 광역시 전반적으론 충분히 노력으로 뒤집을 수 있는 정도임)

사실 고3 정시도 수능 한방이듯이 임용고시도 한방입니다.

반대로 생각하면, 현직도 1차만 통과하면 1배수 부근 혹은 그 이상 남들보다 앞선 위치를 선점하고 있는 셈이거든요.

끝으로 하나 더!

본인이 국가유공자 등 가산점 지원 대상자다?

소신지원하셔도 됩니다.

국가유공자 가산점은 필기시험, 내신, 지가점, 2차시험과는 별개로 +α로 들어가는 점수거든요.

한마디로 보너스 점수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물론 국가유공자 가산점을 받는 인원은 선발 예정인원의 30%를 초과할 수 없기에, 요새 광주처럼 한자리수 뽑으면 큰 의미 없을 수도 있어요.ㅋ

그래도 없는 것보단 훨씬 남들보다 앞서 나간 상태에서 출발하는 것이므로, 가산점 해당되시는 분들은 참고하십시오!

Toplist

최신 우편물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