침투탐상검사 장단점 - chimtutamsang-geomsa jangdanjeom

I am ACE! 에이스항공에서 여러분들의 꿈을
펼칠 수 있도록 함께 하겠습니다.

  • 메인으로
  • 학교생활
  • 항공정비전공공지사항ACE뉴스 채용정보성공스토리고교위탁항공정비전공서비스과입시

항공기 가스터빈엔진 10.1 구조 검사(Structural Inspection)

페이지 정보

작성자 GT허리케인 댓글 0건 조회 1,597회 작성일 19-08-30 09:43

본문

10. 엔진 정비 및 작동 (Engine Maintenance and Operation)

10.1 구조 검사(Structural Inspection) 

 육안검사 결과를 확인하는 최선의 방법으로 자분탐상검사, 형광침투탐상검사, 와전류검사, 초음파검사, 그리고 엑스레이검사와 같은 비파괴검사를 활용 한다. 알루미늄 부품과 같은 비(非)자성체에 대해서는 자분탐상검사를 제외하고 자성체에 대해 적용 가능한 모든 검사 방법을 활용할 수 있다. 

10.1.1 염색침투탐상검사(Dye Penetrant Inspection)

 염색침투탐상검사는 비(非)다공성 재질의 부품 표면에 나타나는 결함을 검출하기 위한 비파괴시험의 한 가지 방법으로 알루미늄, 마그네슘, 황동, 구리, 주철, 스테인리스강, 그리고 티타늄과 같은 금속에서 신뢰성 있는 검사 방법으로 사용된다. 이는 부품 표면의 갈라진 공간에 유입되어 잔류하는 침투액을 사용하는 검사 방법으로 검사 결과를 명확하게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다. 염색침투탐상검사는 침투 재료로 염색제를 사용하며, 형광침투탐상 검사는 침투 재료로 형광염료를 사용하여 가시도를 증대시킬 수 있다. 형광염료 사용 시, 자외선원, 즉 블랙라이트를 사용하여 검사한다. 

침투탐상검사의 절차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금속 표면을 철저하게 세척한다. 

(2) 침투 검사액를 도포한다. 

(3) 제거유화제 또는 세척제를 이용하여 여분의 침투 검사액을 제거한다. 

(4) 부품을 건조시킨다. 

(5) 현상액을 균일하게 도포한다. 

(6) 검사 진행 과정 및 검사 결과를 해석한다. 

(7) 검사 완료 후 검사물 부위에 남아 있는 검사액 및 현상액을 세척한다.

10.1.2 와전류검사(Eddy Current Inspection)

 코일에 교류전류를 흘려 주면 자기장이 발생하게 되는데, 코일을 도체에 가까이 가져갈 때 전자유도에 의해 도체 내부에 생기는 맴돌이 전류를 와전류라 한다. 와전류탐상검사는 시험체에 접촉하지 않는 비접촉식 검사법으로 다른 비파괴검사법에 비해 자동 및 고속 탐상이 가능하며 각종 도체의 물리적 성질을 측정하고 표면 결함을 검출한다. 와류탐상검사는 프라이머, 페인트, 그리고 아노다이징 필름과 같은 표면 처리가 된 부품 표면을 제거하지 않고도 수행할 수 있어 부품 판정에 대해 신속하고 빠른 의사 결정을 하는데 효과적이다.

10.1.3 초음파검사(Ultrasonic Inspection)

 초음파검사는 모든 종류의 재료에 적용이 가능하며 소모품이 거의 없으므로 경제적인 검사 방법이다. 부품 내부로 초음파펄스를 송신하여, 내부나 저면에서의 반사파를 탐지하는 방법으로 내부의 결함이나 재질 등을 조사하는 검사 방법이다. 이를 위해서 검사 표준 시험편이 필요하며 검사 대상물의 한쪽 면만 노출되면 검사가 가능하며 판독이 객관적이다.

10.1.4 자분탐상검사(Magnetic Particle Inspection)

 자분탐상검사는 강자성체로 된 시험체의 표면 및 표면 바로 밑의 불연속을 검출하기 위하여 시험체에 자장을 걸어 자화시킨 후 자분을 적용하고, 누설자장으로 인해 형성된 자분의 배열 상태를 관찰하여 불연속의 크기, 위치 및 형상 등을 검사하는 방법이다. 부품 표면에 존재하는 결함을 검출하는 방법으로, 침투탐상검사와 더불어 자분탐상검사가 널리 적용되며 강자성체의 표면 결함 탐상에는 일반적으로 침투탐상검사보다 감도가 우수하다. 자속이 누설된 부분에서는 N극과 S극이 생겨서 국부적인 자석이 형성되고 여기에 강자성체의 분말을 산포하면 자분은 결함 부분에 흡착되며 흡착된 자분 모양을 관찰하여 결함을 검출한다.

10.1.5 엑스레이검사(X-ray)

 엔진 구성 부분의 구조적 짜임새에 대한 판단이 필 요할 때 활용되는 검사 방법으로, 사용되는 엑스레이는 금속 또는 비금속에 대해 불연속점을 검출하여 

결함을 판단한다. 투과성방사선을 검사하고자 하는 부품에 투영시켜 필름에 잠상을 생기게 하여 물체의 방사선사진, 또는 엑스레이사진을 생성한다. 운반이 자유로운 장점이 있으며, 엔진 구성 부분의 거의 모든 결함의 검출에 활용되고, 빠르고 신뢰도 있는 검사 방법으로 활용된다. 그러나 이 검사 방법은 검사 비용이 비싸며 방사선 안전 등의 해결해야 할 문제 점도 있다.

    • 목록
    • 이전글10.2 재조립(Reassembly) 19.08.31
    • 다음글9.7 APU 화재 감지 및 소화시스템(APU Fire Detection and Extinguishing System) 19.08.28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gtag('config', 'AW-826985596');

    침투탐상검사 장단점 - chimtutamsang-geomsa jangdanjeom

    각종 비파괴검사법의 특징과 장단점을 조사하시오

    • 상세정보
    • 자료후기 (2)
    • 자료문의 (0)
    • 판매자정보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침투탐상검사
    2. 자분탐상검사
    3. 와전류 탐상검사
    4. 초음파 탐상검사
    5. 방사선 탐상검사

    Ⅲ. 결론

    Ⅳ. 참고자료

    본문내용

    Ⅰ. 서론
    비파괴시험(Non-Destructive Testing)이란 시험체를 파괴시키지 않고서 건전성, 성능, 결함의 존재 상태 등을 조사하기 위한 결함 검출기법을 말하고, 비파괴 검사(Non-Destructive Inspection)란 비파괴 시험을 한 뒤 그 결과와 기능 및 건전성의 판정 기준에 근거해 그 시험 대상물이 사용 가능한지 합부의 판정을 내리는 것을 말한다. 그러나 NDT와 NDI는 따로 구분하여 사용 할 필요가 없다.
    이러한 비파괴 검사의 종류에는 여러 가지가 있는데 지금부터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비파괴 검사의 종류와 특징에 대해서 간단하게 알아볼 것이다.

    Ⅱ. 본론
    1. 침투탐상검사
    침투탐상검사는 용접품, 단조품, 주강품, 플라스틱 및 세라믹 등과 같은 금속 및 비금속의 여러 가지 제품들의 표면 불연속부를 검출하는데 우수해 많이 사용되는 비파괴 검사법 중의 하나이다. 침투탐상검사는 표면이 열린 결함에만 검사가 가능하다는 단점이 있지만 거의 모든 재질에 적용이 가능하다는 큰 장점이 있다.
    침투탐상검사의 기본 원리는 모세관현상이라는 것인데, 모세관 현상이란 액체가 잠겨 있는 유리컵 속에 유리관을 넣었을 때 유리관 속 액체가 상승하거나 낮아지는 현상으로 모세관 현상을 결정하는 요인은 응집력, 점착력, 표면장력 및 점성 등에 좌우된다.

    침투탐상검사의 기본 절차는
    ➀ 전처리 → ➁ 침투처리 → ➂ 유화처리 → ➃ 세척 → ➄ 현상처리 → ➅ 관찰 → ➆ 후처리 의 순서로 이루어지게 된다.
    검사 방법에 따라서 건조처리, 유화처리가 행해지거나 생략될 수 있으며 이는 시험방법에 따라 절차에 맞게 행해야 한다.

    ➀ 전처리
    전처리란 침투제를 적용하기 전에 침투액이 불연속으로 진행하는 것을 방해하는 유지류, 녹, 도료 등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것을 말한다.

    ➁ 침투처리
    시험체에 불연속부가 존재할 경우에 불연속부로 침투액이 충분히 침추하여 들어가도록 하는 과정을 침투처리라고 한다.

    참고 자료

    비파괴검사개론(노명수 저, 원창출판사, 2014.07.25.출판)

    태그

    이 자료와 함께 구매한 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