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립종 제거 연고 - bilibjong jegeo yeongo

모또2021. 11. 8. 8:09

안녕하세요~

왕초보 강의 전문

메이크업 아티스트

뷰스타 모또입니다.

좁쌀 여드름과 비슷하게 생겼으면서도, 생기는 원인이나 제거 방법이 다른게 바로 이것이랍니다.

얼굴 어디든 생길 수 있지만, 특히나 눈을 중심으로 눈가, 눈밑, 눈 두덩이에 많이 생기게 되면서 결을 오돌토돌 지저분하게 만든답니다.

저는 눈밑에는 아주 자글자글하게 작은 것들이 있어서, 확대 사진이 아니면 크게 드러나지 않지만! 눈꺼풀에 유독 큰 것들이 도드라지게 생기면서 섀도우 사진 등을 찍을 때 여간 거슬리는 게 아니더라고요.

그렇다면 이렇게 생겨버린 것들은 어떻게 없앨 수 있을까요?

제거법을 한 번쯤 찾아보신 분이라면 가장 흔하게 접할 수 있는 방법이 바로 크림이랍니다.

기초화장품에 특정한 성분이 들어가면서 오돌 하게 만져지는 눈 비립종을 제거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하는데요.

주로 순수 비타민 A라고도 불리는 레티놀 성분이 들어 있어요. 이 성분은 여러 가지 복합적인 고민을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되면서, 피부 안티에이징 효과에도 탁월해 주름개선 화장품에 많이 사용되기도 한답니다.

이 성분이 눈가 비립종 제거 크림으로도 많이 사용되기도 하는데요. 그 이유 중 하나가 각질 제거에 도움이 될 수 있기 때문이에요.

생기는 원인 중 하나가 모공 입구를 막고 있는 각질이기 때문에, 그러한 것을 케어해주기 좋은 크림이기 때문에 제거 크림으로 쓰이기도 하는 거랍니다.

하지만 저 역시도 이러한 크림을 쓰는 것이 있지만, 쓰는 목적은 제거보다는 차후 더 올라오는 것들을 방지하는 목적이 더 크답니다.

효과면으로 본다면 레티놀 성분의 원료적 특징으로 각질제거가 있다고 하지만, 이미 도드라질 정도로 생겨버린 상태라면 안에 단단하게 자리 잡힌 피지나 노폐물 덩어리를 제거하기에는 매우 어려울 수밖에 없어요.

그래서 이미 눈에 띨 정도로 확 도드라진 경우라면, 이러한 크림 효과를 기대하기보다는 좀 더 현실적인 찐 제거 방법으로 케어하는 것이 좋답니다.

이미 도드라지게 생긴 것들을 없애기 위해서는 안에 단단하게 자리 잡아버린 아주 작은 알갱이를 빼내는 것이 포인트에요.

그래서 비립종 제거 크림 등보다도 물리적인 방법으로 직접 제거를 해줘야 한답니다.

크게 2가지 방법이 있어요.

첫 번째는 바로 피부과 레이저.

점을 빼는 것과 비슷한 방법으로 생긴 부위에 레이저를 조사해서 제거해 주는 거랍니다.

제 개인적인 생각으로 이 레이저 제거법의 장점은 다른 제거 방법에 비해서는 통증이 적고 시간 소요가 적다는 것. 단점은 한 번에 제거가 되지 않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는 것이랍니다.

두 번째 현실적인 방법은 바로 압출.

하지만 우리가 흔히 하는 여드름 압출과는 차원이 다른 세상의 방법이라고 할 수 있어요.

조금 참고 면봉 등으로 툭~ 누른다고 나오는 것이 절대 아니기 때문에, 집에서 셀프로는 거의 불가능에 가깝답니다.

압출을 할 수 있는 곳을 방문해서 직접 하나하나 바늘 등으로 한 알 한 알 구멍을 내어 뽑아내야 하는 거예요. 모두 빼내고 난 후에는 어떤 것들이 내 피부에 있었는지 눈으로 볼 수 있을 만큼 속에 있는 것을 속 시원하게 빼낼 수 있답니다.

개인적인 생각으로 이 방법의 장점은 한 번만의 압출로 바로 뽑혀 나오기 때문에 속이 시원할 수 있다는 것과 단점은 매우 큰 통증으로... 힘들 수도 있다는 것이랍니다.

저는 언제 한 번은 집에서 종종 직접 압출하는 방법으로 뽑아내 보기도 했는데요.

물론 혼자 해서 더 심했겠지만, 정말 너무 아팠답니다... 대신 오돌토돌이 바로 쏙 가라앉으니까 속은 시원하더라고요. (붉은자국, 자극으로 부품 등은 며칠 가더라고요.)

이렇게 얼굴 비립종 제거 크림의 효과와 찐으로 현실적인 제거법 두 가지를 알아보았어요.

크림 자체의 효과가 없는 것은 아니지만, 이미 도드라지게 보이는 경우라면 화장품보다는 물리적인 방법으로 없애는 것이 더 효과적이라는 것! 알아두세요~

반복적으로 생긴다면

습관적 원인 알기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 댓글, 이웃추가는

Toplist

최신 우편물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