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둑 프로기사 연봉 - badug peulogisa yeonbong

바둑에서 배운 마인드로 성장하는 삶을 살아가는 서프로입니다!

오늘은 ‘한국 바둑랭킹과 프로기사 연봉’에 대한 이야기를 해보려고 합니다.

(많은 분들께서 바둑 프로기사의 수입이 얼마나 되냐고 물어보시더라고요^^;)

우선 2019년 한국 바둑 프로기사 연봉을 알아볼게요!

2019년 12월 누적 상금 현황

작년 12월 까지의 누적 상금 으로는 단연코 ‘박정환’프로입니다. 총 10억의 상금을 벌었습니다.

3위에 오른 ‘최정’프로는 ‘여자프로기사’ 최고 수입으로 4억 5천만원을 벌었네요.

바둑 프로기사 연봉 - badug peulogisa yeonbong

올해 7월 상금 랭킹 현황

작년에 2위였던 ‘신진서’프로가 올해 중순까지 5억 4천만원을 벌었네요.

그 뒤를 박정환 프로가 3억 2천만원으로 바짝 쫓고 있습니다.

얼마 전에 끝난 농심배 상금이 적용된다면 박정환 프로의 누적 상금이 더 올라갈 것으로 보입니다.

한국 바둑 랭킹 10위권 내의 기사는 거의 다 억대의 연봉을 받습니다. 대단하죠?(저는 한참 아래 있다는 사실^_^;)

2020년 현재 한국 바둑 랭킹 1위는 ‘신진서’프로입니다. 랭킹 점수 10185점으로 2위인 박정환 프로보다 약 150점 앞서있습니다.

바둑 프로기사 연봉 - badug peulogisa yeonbong

2020년 현재 한국바둑랭킹

결론을 말하면 ‘아니다’입니다. 프로기사는 1인 스포츠선수입니다.

대회 성적과 상금으로 스스로의 연봉을 버는 직업이죠.

하지만 몇몇 대회에서는 팀에 소속되어 경기를 하기도 합니다.

삼성화재에서 후원하는 세계대회

위 대회는 개인전으로 우승 상금이 3억원입니다. 이세돌 전 프로와 같은 슈퍼스타들이 이런 대회를 자주 우승했죠.

한국바둑의 전설 이창호 프로9단

바둑 프로기사 연봉 - badug peulogisa yeonbong

작년 연봉 1위 박정환 프로9단

오늘은 '한국 바둑 랭킹과 프로기사 연봉'을 알아봤습니다!

많은 바둑 꿈나무들이 이세돌과 같은 선수가 되기 위해서 부단히 공부합니다. 하지만 어떤 스포츠나 마찬가지로 1인자가 되기는 쉽지 않은 현실입니다.

그래도 저는 그런 사람들을 열렬히 응원합니다.

또 다른 멋진 스타가 탄생해서 바둑을 즐기고 또 상금도 많이 받아서 국민들에게 좋은 이미지를 심어주길 바랍니다.

#바둑 #연봉 #한국바둑랭킹 #프로기사 #상금 #돈 #서프로 #서건우 #이세돌 #박정환 #신진서 #최정 #기업 #스포츠 #삼성 #삼성화재 #바둑레슨 #바둑강의 #바둑강좌 #취미 #집중력 #창의력 #기억력 #10억 #프로기사연봉 #프로기사수입 #바둑기사

프로 바둑기사 연봉, 수입은 얼마나 될까?

‘1%의 완생’ 꿈꾸는 132인 미생들

고독한 한국기원 바둑연구생

http://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160315011008

입단해도 생계 보장 안 돼 부업…데뷔 못하면 학원·편의점 알바

고1 때부터 3년간 바둑 연구생을 지냈던 김대권(26·개인 바둑강사)씨는 “프로기사가 못 되면 대부분 월 120만~150만원을 받으며 바둑학원에서 지도를 하거나 편의점 아르바이트 등을 전전하게 된다”

프로기사가 돼도 가시밭길이다. 현재 등록된 320명의 프로기사 중 연간 1억원 넘게 상금을 받는 정상급 기사는 20명 남짓이다. 30~40위권이 연 5000만원 정도를 번다. 나머지는 고정 수입을 확보하기 위해 바둑학원에서 지도사범직을 맡거나 일반 회사에 다니면서 바둑을 병행한다. 한 프로기사는 “프로기사 수가 300명을 넘어서면서 요즘에는 바둑도장에서 사범 자리 하나 구하는 것조차 어려워졌다”고 말했다.

=========================================================

http://news.mt.co.kr/mtview.php?no=2014020314203819246

◇ '상위 10걸' 제외하면 연간 상금 평균 300만원도 안 돼

한국기원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에서 진행된 17개 기전의 우승·준우승 상금 총액은 12억4800만원. 이 가운데 상금 상위 10걸이 차지한 금액이 5억4700만원에 이른다. 지난해말 기준 국내 프로기사 총 284명 가운데 10명을 제외한 274명이 나머지 상금 7억100만원을 나눠 가진 셈이다. 1인당 평균 260만원도 채 되지 않는 금액이다.

프로기사 320명 중에 그래도 괜찮게 버는 기사는 50명 가량 된다.

바둑리그만 들어가도 먹고살만하다고 한다.

100위 넘어가면 대국으로만 먹고사는 것은 힘들다.

결국 보급 쪽으로 갈 수밖에 없는데 수요는 없고 공급은 많아서 그 길도 쉽지 않다.

2016/03/19 - [바둑] - 한국기원 연구생의 바둑 실력은 어느 정도일까?

2016/03/18 - [바둑] - 프로와 아마의 기력 차이, 연구생, 일반인 타이젬 기력 비교

2016/03/04 - [바둑] - 정상급 바둑기사들의 누적 상금 현황

2016/03/02 - [바둑] - 프로 바둑기사 상금 현황 1995년 ~ 2004년

2016/03/03 - [바둑] - 프로 바둑기사 상금 현황 2005년 ~ 2014년

2016/02/29 - [바둑] - 프로 바둑대회 상금 목록

2016/03/08 - [바둑] - 프로 바둑기사들의 입단 연령과 공부 기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