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적연구방법 중 유계체제로서 연구자가 알고자하는 변수들이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

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글의 문제의식은 연구자가 질적 연구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겪는 문제 상황을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에 있다. 여기서 문제 상황은 연구자와 연구 참여자를 둘러싼 문제를 말한다. 이 문제는 인터뷰나 현장조사가 연구자와 연구 참여자 간의 상호작용에 의해 성립되는 이상 필연적으로 일어나는 문제이기도 하다. 다시 말해 질적 연구과정에서의 문제 상황을 어떻게 설명할 것인가 하는 질문은 연구자와 연구 참여자 간의 상호작용을 어떻게 연구할 것인가 하는 질문의 성격을 갖기도 한다. 이 글에서는 연구자와 연구 참여자 간의 상호작용에 대해 어떻게 접근해나갈 것인가 하는 연구 방법론에 관해 논의하기로 한다. 특히 이 글에서는 상호작용을 드러내는 다양한 접근 가운데에서 민간방법론적 질적 연구에 대해 소개하기로 한다. 이 글은 질적 연구에서의 상호작용의 측면에 대해 우리의 이해를 보다 심화시키면서, 아울러 이러한 관점이 연구자와 연구 참여자의 관계성 및 연구자와 연구 참여자의 대화 속에 구축되는 권력 작용에 대한 우리의 이해에 기여할 수 있는 바가 무엇인지 탐색하고자 하는 의도에서 출발하였다.

The issue of this article is about how a researcher should understand problematic situations he/she experiences during qualitative research process. The issue here is the problem that the researcher and the participants of the research may experience. This problem is inevitable as long as the interviews or the field investigations are based on interaction between the researcher and the participants. In other words, the question on how to explain a problematic situation during a qualitative research process is also a question on how to study interaction between the researcher and the participants. This article discusses the study methodology regarding how to approach the interaction between the researcher and the participants. Especially ethnomethodological qualitative research, of various types of approach that shows interaction, will be introduced. This article further improves our understanding of the aspect of interaction in qualitative research and seeks the significance of such aspect in terms of contribution to the relationship of the researcher and the participants and our understanding of the power mechanism in conversation between the researcher and the participants.


키워드열기/닫기 버튼

,

,

,

Ethnomethodology, Positivism, Power Mechanism, Interaction

피인용 횟수

  • KCI 1회

  • 175 회 열람
  • KCI 원문 내려받기
  • 논문 인용하기
  • 서지정보 내보내기

    • txt
    • RefWorks
    • Endnote
    • XML

  • 현재 페이지 인쇄

인용현황

13장 질적연구

1. 질적 연구의 정의

질적 연구는 체험을 통한 학습(learning by doing)’으로 자연적 상황에서 질적 자료에 의존한 연구이다. 양적인 자료에 의존하는 연구가 계속적으로 발전하면서 연구가 기계적이라는 비판과 더불어 후기 실증주의에 기반을 둔 질적 연구가 출현하게 되었다. 연구내용, 연구대상, 연구시기에 따라서 연구가 다양하게 진행된다. 연구방법, 연구절차, 자료수집 등이 주관적이기 때문에 연구자의 주관적인 판단이 연구결과에 영향을 줄 수 있다. 그래서 질적 연구를 주관적 접근, 예술적 접근, 문화 기술적 접근 이라고도 부른다.

2. 질적연구의 과정

질적연구의 과정은 양적연구와 같이 엄격하게 규정된 절차에 따라 진행되지는 않는다. 그러나 이것이 질적연구에 진행과정의 절차에 논리나 형식이 존재하지 않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단지 질적연구에서는 수집하는 자료의 특성상 분석하는 절차에서 엄격한 형식이 효율적이지 못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질적연구에서는 논리적인 연구의 절차를 신축적으로 반복사용하며, 연구의 절차보다는 연구의 내용에 더 큰 비중을 두고 있다는 점이 다르다. 일반적으로 질적분석에서는 GlaserStrausse가 제시한 경험에 근거한 이론(ground theory)의 형성방법을 많이 사용하고 있다. 이들의 연구과정은 문제의 구성과 이론의 탐색, 자료의 수집 및 분석, 그리고 가설과 이론의 구축으로 요약될 수 있다. 또한 자료의 수집과 동시에 수행되는 분석의 과정은 표집, 관찰, 정리, 부호화, 목록부호화, 분석적 메모, 추상화의 단계로 수행된다. 이러한 질적연구과정의 특징은 양적연구에서와 같이 문제의 구성에서 가설검증에 이르는 단계가 한번 수행되면 다시 거슬러 올라갈 수 없는 것과는 대조적으로 언제든지 모든 단계를 다시 반복적으로 수행하게 되고(feedback), 이러한 과정을 거쳐 점점 정교한 연구의 과정으로 새로 태어나게 된다는 점에 있다.

3. 질적연구방법의 종류

1) 문헌분석

문헌 자료에 대한 분석과 해석 과정이며 개인 편지, 일기장, 기타 개인 기록의 분석이다.

2) 참여관찰

모든 사회적 조사의 기초. 양적, 질적 조사에 모두 사용. 본조사의 선행조사//본조사 1회적 조사는 곤란. 장기 관찰이 필요함. 개입 정도에 따라 조사의 결과가 일정한 차이를 보인다.

참여관찰의 종류

비참여은 연구 대상인 사람들과 활동에 전혀 개입하지 않고 관찰 여부를 알리지도 않은 채, 완전히 관찰만 하는 유형

수동적 참여은 행동의 현장에 있기는 하되, 다른 사람들과 서로 깊이 관련을 맺거나 참여하지는 않는 유형; 구경꾼, 방관자, 배회자; 현지 조사의 초기 유형으로 다른 유형으로 바뀔 수 있다.

보통참여은 완전 관찰자와 완전 참가자로서의 균형을 이룰 때, 개입 여부는 허용되지만 참가하지 않은 채 관찰만 하는 유형

능동적 참여은 입장을 허락 받을 뿐만 아니라 다른 사람들이 하고 있는 바를 그대로 행하면서행태의 문화적 규칙을 보다 충실히 배우는 유형; 이런 경우에도 처음에는 앞의 유형을 거친다.

완전참여은 조사자가 이미 일상적 참가자로서 연구하는 유형(Spradley, 1988: 81-85).

3) 심층면접, 질적 면접

1)심층면접의 중요성으로는 다음과 같다.

모든 질적 연구자는 어떤 조사에서건 질적 면접을 수행함.

질적 면접 방법은 다른 조사방법에서도 적용됨

질적 면접은 관찰, 문서의 창출과 활용에도 적용됨.

2)심층면접의 특성으로는 다음과 같다.

상대적으로 비공식적 형태의 대화, 면접이 가능하다.

주제가 화제 중심적이고 전기적, 이야기식의 접근방식을 취함. 주제가 있는 대화가능하다.

자료가 상호작용을 통해서 창출한다.

4. 질적연구의 방법

사회학에서 사용하는 질적연구의 방법들은 크게 현지 연구법, 민속방법론, 불개입/무반응법의 세가지로 대분되며, 가장 많이 쓰이는 현지연구법은 참여관찰, 심층면접 및 생활사 연구의 방법으로 구분된다.

1) 현지연구법(field study)

실재적인 삶의 상황 혹은 자연스러운 일상적인 삶의 현장에서 행위자들이 하는 행동과 활동이 일어나고 있는 모습을 있는 그대로 관찰하고 분석하는 방법이다. 연구의 대상은 물리적, 공간적으로 제한을 받기 때문에 일정지역에서 활동하는 소수의 개인들, 소규모 집단, 조직체 및 지역공동체들이다. 현지연구법의 주요내용은 사건과 역사, 분포와 빈도, 또는 규범 규준 및 자위 등에 대하여 단위행위, 활동, 의미, 참여, 관계, 상황 등을 분석한다.

2) 민속방법론(ethnomethodology)

현상학적 인식론과 상징적 상호작용론의 존재론을 뿌리를 두고, 또한 부분적으로는 언어분석의 철학에도 영향을 받은 사회학의 한 지류로서 일상적인 삶의 세계를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관찰하여 그 속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이 수포로 사회라는 것을 꾸려가는 방법들을 알아내는 것 자체를 이론으로 하기 때문에 이론과 방법이 동일한 이름으로 사용된다. 이 방법은 사회적 상호작용에 참여하고 있는 보통사람들이 그 상호과정의 과정을 통하여 사회라는 것을 형성, 유지, 변용시키고 있다는 점을 착안하여, 사회현상을 당연시하지 말 것을 강조하고, 그 상호작용의 과정 자체의 본성에 주목해야 된다는 입장을 견지하고 있다. 따라서 자연스러운 대화를 관찰하기 위하여 정체를 감춘 참여관찰과 문헌연구 등을 이용하여 상호작용과 활동에 참여하는 사람들이 사용하는 여러가지의 가정들과 관행 및 기법 등을 분석한다.

3) 불개입/무반응법(unobtrusive/nonreactive method)

사회연구의 모든 연구기법들, 즉 면접, 질문지 및 참여관찰의 방법들이 하나의 사회적 상징적 상호작용이기 때문에 조사연구 상황의 반작용성을 극복할 수 없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한 방법이다. 이 방법은 기존의 조사방법들이 관찰하고자 하는 사회적 상황에 하나의 침입자, 방해자로 작용할 뿐 아니라 존재하지 않았던 내용들을 창출하기 까지 한다는 전제하에 연구자의 개입으로 발생하는 편기와 반작용을 제거하는 기법으로 연구자가 연구대상자의 눈에 띄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이들의 구체적 방법으로는 사람들이 어떤 행동을 하고 나서 남기는 물리적인 자취, 흔적, 행적 등의 물리적 자취를 분석하는 방법과 공공 또는 개인이 보존하고 있는 자료를 분석하는 방법, 그리고 개인이나 집단 등의 외현적 물리적 상징, 표출적 동작, 신체적 위치, 언어행동, 시간표집 등에 대한 단순관찰방법 및 숨긴 기구들을 활용하는 계략적 관찰 등을 제시하고 있다.

5. 양적연구와 질적연구의 비교

아래 표 그림을 정리하여 비교해 본다.

⟨〈23〉⟩양적연구. 질적 연구방법의 비교

기준

양적연구 방법

질적연구 방법

시작연대

1820~30년대

1910~20년대

대표인물

Comte, Mill, Durkheim

Weber, Mead, Benedict

기본적 시각

전통적, 실증주의적, 경험적 시각

구성주의적, 자연주의적, 해석주의적, 포스트모더니즘적 시각

존재론(인식론)

연구자와 연구대상은 분리

연구자와 연구대상은 상호작용

가치론

가치중립적

가치지향적

방법론

연역적 방법 주로 사용

귀납적 방법 주로 사용

연구문제 성격

기존연구·이론 이용, 알고 있는 변수 사용,

탐색적 연구, 변수가 알려져 있지 않음, 이론적 기반 부족

자료수집 및 분석방법

실험적 방법, 서베이, 통계적분석

참여관찰, 직접관찰, 비구조화 면접, 심층(집중)면접, 민족지학, 현상학

1)양적방법론

양적 연구는 논리 실증주의에 근거하여 객관적 실재를 가정하고 있다. 외부자적관점으로 사전에 미시적으로 설계된 절차에 따라 연역적으로 이론을 검증하는데 초점을 두고 있다. 연구자는 피험자와 분리되어 객관적 입장에서 검사 등의 측정 도구를 활용하여 양적으로 자료를 분석하여 가설을 검증하고 통계적 방법으로 보고서를 작성하게 된다.

연역법이란 이미 알고 있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명제를 전제로 하여 명확히 규정된 논리적형식들에 근거해 새로운 명제를 결론으로 이끌어내는 추리의 방법이다. 연역을 일반적인 사실이나 원리에서 개별적이고 특수한 사실이나 원리를 이끌어내는 것으로 정의하기도 한다. 하지만 전제와 결론이 모두 특수 명제인 경우도 있으므로 이는 지나치게 협소한 이해라고 할 수 있다.  

연역은 결론의 내용이 이미 전제 속에 포함되어 있다는 점에서 진리보존적 성격을 지닌다. 연역은 전제에 없었던 새로운 사실적 지식의 확장을 가져다 주지는 못하며, 이미 전제 속에 포함되어 있는 정보를 명확하고 새롭게 도출해낼 뿐이다.  

2) 질적 방법론

직관(insight)을 강조하는 질적연구는 현상학과 해석학에 근거하여 객관적 실재가 아닌 구성된 실재를 전제로 한다. 내부자적 관점으로 인간의 의도를 중시하며 거시적 측면에서 귀납적으로 이론을 개발하거나 참여자의 관점을 이해하는데 초점을 둔다. 소수를 대상으로 문화 기술적 면접과 참여 관찰을 통해 자료를 수집, 분석하고 결과를 해석하여 이야기체로 보고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귀납은 연역과는 달리 사실적 지식을 확장해 준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지만, 전제가 결론의 필연성을 논리적으로 확립해 주지 못한다는 한계를 지닌다. 귀납적 추리는 근본적으로 관찰과 실험에서 얻은 부분적이고 특수한 사례를 근거로 전체에 적용시키는 이른바 귀납적 비약을 통해 이루어진다.

귀납에서 얻어진 결론은 필연적인 것이 아니라 단지 일정한 개연성을 지닌 일반적 명제 내지는 가설에 지나지 않는다귀납은 그 결과의 성격에 따라 일차적 귀납과 이차적 귀납으로 나뉜다. 개별 사실들에 대한 관찰과 실험 등으로부터 일반적인 가설이나 법칙을 추론하는 것을 일차적 귀납이라고 한다. 그리고 여러 일반 명제들로부터 하나의 이론을 추론하는 것을 이차적 귀납이라고 한다

3) 양적연구와 질적연구의 유형

다른 연구와 마찬가지로 양적 연구와 질적 연구도 각기 서로 다른 유형들로 구분된다. 양적 연구와 질적 연구의 대표적인 유형은 <24>와 같다.

<24> 양적 연구와 질적 연구의 유형 비교

양적 연구

질적 연구

비 실험

실험

자연주의적

분석적

기술(조사 및 발달)

진 실험

현상학

문화기술

상향이론

사례 연구 등

역사적 연구

상관

준 실험

법률적 연구

인과-비교

단일 피험자

정책적 연구

(Johnson & Christensen, 2000; Goodwin & Goodwin, 1996).

(1) 양적연구의 유형과 기본 절차

양적 연구는 비실험 연구와 실험 연구로 구분된다.

비실험 연구는 기술, 상관, 인과-비교 연구가 있다. 기술 연구(조사 연구와 발달 연구)는 특정 현상을 기술하는 지식을 산출하는데 목적이 있다(: 초등교사들의 컴퓨터 활용 실태, 대구지역 초등학생들의 신체 발달 수준). 상관 연구는 두 개 이상 변인들 간의 관계를 확인하는데 초점을 둔다(: 동기와 학업성취도의 상관). 인과-비교 연구는 실험이 불가능한 상황에서 변인들 간의 인과 관계를 확인하는데 목적이 있다(: 기대수준이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 간의 성취도 비교).

실험 연구는 진실험과 준실험 그리고 단일 피험자 연구로 구분된다. 진실험 설계는 피험자의 무선 배치를 전제로 하는 반면(: 무선 배치를 통한 TV 프로그램의 유형이 아동의 공격성과 친사회적 행동과 미치는 효과), 준실험 설계는 피험자의 비무선 할당을 전제로 한다(: 비무선 사전-사후검사 통제집단 설계를 통한 문학과 수학 통합 교과 수업의 효과). 단일 피험자 연구는 단일 피험자를 대상으로 하는 특징이 있다(: 즉흥 연기시 특정 아동의 언어 수행 분석 연구).

(2)질적연구의 유형과 기본 절차

질적 연구의 주요 유형을 현상학, 문화기술, 사례 연구, 상향이론 등으로 다양하게 구분하는 관점이 있는 반면(Gay & Airasian, 2000, Patton, 1990 ), 문화기술 연구를 자연주의적, 해석학적, 사례 연구, 참여 관찰, 현상학적 연구 등으로 다양하게 별칭하고 있는 경우도 있다(Goodwin & Goodwin, 1996). 물론, 이들 간에는 약간의 차이가 있긴 하지만, 많은 공통점을 지니고 있다. 이들 간의 공통적인 특징으로 총체적 관점, 자연주의적 지향, 비처치, 비조작, 맥락 지향성, 참여자의 관점 강조, 과정과 변화 지향, 직접 자료 수집, 풍부한 기술적 자료, 일차적 도구로서의 연구자, 감정 이입적 중립성을 지니고 개인적 접촉, 융통성있는 설계, 귀납적 분석, 의미와 이해의 발견, 장기간의 현장 활동을 들 수 있다. 한편, 역사적 연구는 과거에 일어난 사건들을 체계적으로 조사하는 과정 또는 사건들을 결합하여 과거에 일어난 현상들을 설명하는 연구로 질적연구와 구분되기도 한다 (Berg, 1998; Johnson & Christensen, 2000 재인용).

양적연구와 질적연구의 기본절차를 정리해 보면 아래와 같다.

연구 주제 영역 개념화 - 주제와 관련된 문헌 고찰 - 연구 절차 설계 - 자료 수집 - 자료 분석 - 자료 분석 결과 해석 - 결과 보고 - 연구의 반복의 절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