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패드 블루투스 키보드 한영키 안됨 - aipaedeu beullutuseu kibodeu han-yeongki andoem

아이패드 에어5에 타이핑할 때 사용하는 블루투스키보드 K380의 한영전환 및 핫키를 모아보았다.

로지텍 K380 키보드의 아이패드 단축키는 ⌘(alt) + 조합

단축키란 특정 명령어를 정해진 키 조합으로 하는 걸 말한다. 핫키라고도한다. 복사하고 붙여 넣을때 컨트롤 C, 컨트롤 V가 대표적인 단축키이다.

단축키는 컨트롤키나 기능키 fn 을 누른채 다른 키를 누른다. 아이패드나 맥의 키보드에 윈도우 키보드 처럼 컨트롤키가 있지만 이걸 사용하지 않고 코멘드(command ⌘) 키를 사용한다.

k380 키보드는 아이패드, 맥, 안드로이드, 윈도우즈에서 사용할 수 있다. 아이패드에 연결해서는 iOS와 맥의 키보드 단축키가 동작한다. 컨트롤키 대신 코멘드(⌘)키를 사용하거나 fn 키를 사용할 수 있다.

  • 아이패드 블루투스 키보드 한영키 안됨 - aipaedeu beullutuseu kibodeu han-yeongki andoem

    로지텍 K380 블루투스 키보드

윈도우 사용하다가 맥이나 아이패드 키보드 사용할때 가장 익숙해지지 않은게 바로 컨트롤키 대신이 코멘드키를 왼쪽 엄지로 누르는 것이다. 오래사용해야 익숙해진다.

한영전환

왼쪽 캡스락을 누르거나 컨트롤+스페이스바를 눌러서 한영을 전환할 수 있다.

  • ctrl + space bar
  • 좌측 caps lock

영어 소대문자 바꾸기

키보드에서 영어 소대문자를 바꿀 수 있는 방법이 있다. caps lock으로 한영전환 하는 기능을 막으면 이 키로 소대문자 전환이 된다.

1.로지텍 키보드가 아이패드에 연결된 상태에서 아이패드에서 설정 > 일반 > 키보드 > 하드웨어 키보드를 연다

2. ‘caps lock을 사용하여 언어전환’ 을 끈다.

이렇게 하면 caps lock으로 소대문자를 전환할 수 있다.

즉, 한영 전환은 컨트롤 + 스페이스바로 하고, 캡스락은 소대문자를 바꾸는 키로 사용한다.

아이패드에서 복사하기 잘래내기 붙여넣기

복사하기, 잘라내기, 붙여넣기는 가장 많이 사용하는 단축키이다. 아이패드에서 사용할 때에는 ⌘(alt) + c로 하면 된다. fn+c도 가능하다.

  • 복사하기: ⌘(alt) + c , fn + c
  • 잘라내기: ⌘(alt) + x, fn + x
  • 붙여넣기: ⌘(alt) + c , fn + c

맥을 사용한다면 코멘트키를 엄지로 사용하는게 자연스럽다. PC를 사용한다면 새끼 손가락으로 누르던 컨트를 키 대신 fn키를 누르면 된다.

컨트를 키를 새끼 손가락으로 누를 때에는 손가락 위치를 바꾼다. 엄지로 코멘트키를 누르면 키보드에서 손가락 위치를 바꾸지 않고 바로 누를 수 있다. 대신 엄지손가락 관절이 아프다 ㅠㅠ

커서 이동 단축키

  • alt+cmd + A = 전체선택
  • fn + 좌우키 = 글자선택
  • ctrl + 좌우,상하 키 = 커서 이동
  • ctrl + A = 커서 맨앞으로
  • F5 = 커서 글 시작하는 곳​
  • shift + enter: 줄 바꿈

페이지 업/다운

  • 맨위/아래로 바로 가기: cmd + 화살표 위/아래
  • 페이지 이동하기: alt opt + 화살표 위/아래

홈 화면, 키보드 이동

  • 홈 화면으로 이동: F4 또는 cmd + H

F4 : 홈화면 이동/ 실행중인 모든앱 표시/시리

  • 한번 누르기: 홈화면
  • 두번 누르기: 지금 실행 중인 모든 앱 보기
  • 꾸욱 누르기: 시리

앱 전환

  • 앱 전환: cmd + tab을 누른 뒤 원하는 앱 선택, 윈도우즈의 alt+tab 과 같음

사파리 단축키

  • 사파리 새 창 열기: cmd + T
  • 사파리 새 창 닫기: cmd + W
  • 사파리 분할하여 새로 열기: cmd + N
  • 사파리 창 전환하기: cmd + 원하는 창 번호(왼쪽부터 1, 2, 3…)

화면캡처 단축키

  • 화면전체 캡처: cmd + shift + 3 또는 fn + tab
  • 화면캡처후 바로수정하기: cmd + shift + 4

기타 단축키 모음

단축키를 외우면 편할때가 많지만 다 외울 수는 없다. 사용할 수 있는 단축키를 모아 보았다. 이 중 내가 자주 사용하는 기능은 단축키를 외우면 된다.

  • cmd + 스페이스 바: 검색 필드를 표시하거나 숨긴다.
  • cmd + tab: 열려 있는 앱 중에서 다음으로 최근에 사용한 앱으로 전환한다.
  • F6 = 키보드 화면에 나타남/사라짐​
  • F7 = 아이패드 바탕화면으로 이동
  • F8, F9, F10 = 동영상 빨리감기 정지 재생 뒤로감기
  • F11 , F12 = 음소거, 볼륨조절

어플별 단축키 표시

어플별로  cmd 키를 꾹 누르고 있으면 화면에 자동으로 어떤 단축키가 있는지 표시된다.

관련 아이템

  • 아이패드 블루투스 키보드 한영키 안됨 - aipaedeu beullutuseu kibodeu han-yeongki andoem

    로지텍 K380 블루투스 키보드

  • 아이패드 블루투스 키보드 한영키 안됨 - aipaedeu beullutuseu kibodeu han-yeongki andoem

    아이패드 에어5

아이패드 블루투스 키보드 한영키 안됨 - aipaedeu beullutuseu kibodeu han-yeongki andoem

최근 애플 기기끼리 키보드와 마우스 조작을 공유할 수 있는 유니버설 컨트롤 기능이 맥북과 아이패드에 탑재되었다.

아이패드 블루투스 키보드 한영키 안됨 - aipaedeu beullutuseu kibodeu han-yeongki andoem
맥북에 마우스 커서를 아이패드로 보내서 조작하고 맥북의 볼륨 버튼으로 아이패드 볼륨을 조절할 수 있다.

이미 애플 제품간 호환성이 굉장히 좋다고 평가 받아왔는데 거기서 한단계 더 발전한 것이다. 안그래도 맥북과 아이패드를 써왔던 필자 입장에서 최근 굉장히 잘 쓰고 있는 기능 중 하나이다.

유니버설 컨트롤 사용 조건

아이패드 블루투스 키보드 한영키 안됨 - aipaedeu beullutuseu kibodeu han-yeongki andoem
아이패드 블루투스 키보드 한영키 안됨 - aipaedeu beullutuseu kibodeu han-yeongki andoem

이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맥북과 아이패드에 OS를 최신 OS로 업데이트해야하는데 맥OS는 12.3 버전 이상부터, 아이패드 OS 같은 경우 15.4 이상부터 사용이 가능하다.

다만 모든 애플기기에서 사용 가능한것은 아니며 아래 목록의 기기들만 사용이 가능하다.

유니버설 컨트롤 지원 기기 목록

  • 2016년형 이후의 Macbook & Macbook Pro
  • 2018년형 이후의 Macbook Air
  • 2017년형 이후의 iMac
  • 2015년형 하반기 이후의 5K iMac iMac Pro
  • 2018년형 이후의 Mac mini
  • 2019년형 이후의 Mac pro
  • 3세대 이후의 iPad Pro & iPad Air
  • 6세대 이후의 iPad
  • 5세대 이후의 iPad mini

맥 유니버설 컨트롤 설정

아이패드 블루투스 키보드 한영키 안됨 - aipaedeu beullutuseu kibodeu han-yeongki andoem
아이패드 블루투스 키보드 한영키 안됨 - aipaedeu beullutuseu kibodeu han-yeongki andoem

아이패드 블루투스 키보드 한영키 안됨 - aipaedeu beullutuseu kibodeu han-yeongki andoem
아이패드 블루투스 키보드 한영키 안됨 - aipaedeu beullutuseu kibodeu han-yeongki andoem

맥에 유니버설 컨트롤을 사용하길 원한다면 왼쪽 상단에 애플 로고를 클릭 후 '시스템 환경설정-디스플레이-유니버설 컨트롤'를 누른다음 '커서 및 키보드가 근처의 Mac 또는 iPad 간에 이동하도록 허용' 을 비롯하여 3개다 체크해주면 된다.

한/영 전환 오류

아이패드 블루투스 키보드 한영키 안됨 - aipaedeu beullutuseu kibodeu han-yeongki andoem

유니버설 컨트롤이 아직 베타 기능이다보니 조금씩 오류가 있는데 일단 먼저 맥북 키보드에 달린 한/A 전환키를 통해 영어로 설정 후 타이핑을 하면 한글과 영문이 번갈아가며 입력된다.

아이패드 블루투스 키보드 한영키 안됨 - aipaedeu beullutuseu kibodeu han-yeongki andoem

그럴때는 당황하지 말고 왼쪽 하단에 한영 전환 버튼을 터치해준 후 '키보드 설정'을 눌러준다.

아이패드 블루투스 키보드 한영키 안됨 - aipaedeu beullutuseu kibodeu han-yeongki andoem

키보드 설정으로 들어왔다면 '하드웨어 키보드'를 눌러준 후

아이패드 블루투스 키보드 한영키 안됨 - aipaedeu beullutuseu kibodeu han-yeongki andoem

하드웨어 키보드에서 'Caps Lock을 사용하여 언어 전환'을 꺼주면 된다.

"그럼 맥북 키보드로 아이패드에 글을 입력할 때 한영전환을 못하는가?"


그건 아니다 손으로 아이패드 한영 전환 버튼을 터치해줘도 되고 아니면 키보드에 '컨트롤+스페이스바'를 눌러서 한/영 전환하는 것은 오류가 없기 때문에 해당 오류가 패치될 때까지는 '컨트롤+스페이스바"를 사용해주면 된다.

나의 즐거운 Mac 라이프 즐기기

아이패드 블루투스 키보드 한영키 안됨 - aipaedeu beullutuseu kibodeu han-yeongki andoem

파이널컷을 통해 영상편집이 취미라서 예전부터 맥을 써왔고 태블릿도 루마퓨전 통해 간단한 컷편집을 하기 때문에 아이패드만 써왔다. 그러나 얼마전까지만 해도 폰은 안드로이드 폰만 사용해왔는데 최근 아이폰으로 폰을 바꿨다. 바꾼 이유는 아무래도 호환성 때문이다. 맥북이나 아이패드로 작업을 하거나 업무 중 걸려온 전화를 바로 맥북이나 아이패드로 받고 문자에 답변도 가능하다. 물론 이런 기능은 이제 윈도우와 안드로이드도 지원하기는 하지만 애플은 이제 유니버설 컨트롤로 그 단계를 한단계 발전시켰다.

아직은 베타라서 조금씩 오류도 보이기는 하지만 조금씩 안정화되면서 유니버설 컨트롤로 인해 나의 Mac 라이프는 한단계 더 편리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맥북프로 사서 응원하기

Apple 2021 맥북프로 14

COUPANG

www.coupang.com

아이패드 블루투스 키보드 한영키 안됨 - aipaedeu beullutuseu kibodeu han-yeongki andoem
아무거나 사서 응원하기

"이 배너는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