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두 이노 우노 핀맵 - adu ino uno pinmaeb

아두이노 우노 R3 (arduino uno r3 핀맵 / Pinout / pinmap /블럭도)

아두 이노 우노 핀맵 - adu ino uno pinmaeb

2017. 11. 22. 9:50

아두이노 우노 R3 핀맵을 잘 정리가 되어있는 것을 찾아서 올려봅니다. 
우노 보드의 핀맵이 한눈에 들어오는 블럭도 입니다. 
자주 사용하신다면 컬러프린트하셔서 책상에 걸어 두셔서도 좋을 같네요. 아님 바탕화면?

아두 이노 우노 핀맵 - adu ino uno pinmaeb

출처 : https://coolcomponents.co.uk/products/arduino-uno-revision-3



아래는 실물 사진입니다. 
DIP 타입이고 정품이라서 아두이노 호환 SMT 타입하고는 사진이 조금 다릅니다. 
SMT 타입은 아래 사진에서 ATmega16u2가 없습니다. ch340g  대체 해서 사용합니다.
그리고 Atmega328p가 SMT 으로 되어있습니다.

아두 이노 우노 핀맵 - adu ino uno pinmaeb

https://www.robomart.com/arduino-uno-online-india

아두 이노 우노 핀맵 - adu ino uno pinmaeb

https://www.ntu.edu.sg/home/ehchua/programming/arduino/Arduino.html



다음에는 아두이노 보드 종류에 대해서 정리해보고, 아두이노 우노 R3 회로도에서 대해서 분석을 해보록 하겠습니다. 

오늘도 행복한 하루 되시길...

Mechanic 공방

아두이노 (Arduino)

3. 아두이노 우노 Pin Map (Arduino Uno Pin Map)

H-Mechanic 2020. 7. 9. 20:20

저번 포스팅에서는 여러 종류의 아두이노 보드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그중 '아두이노 우노' 보드의 Pin Map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아두이노에는 다양한 기능을 하는 핀들이 존재한다.

각 핀들에 부여된 기능들이 제각각이기 때문에 사용자는 목적에 맞는 핀을 찾아 회로도를 구성해야 원하는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아두이노 Pin Map은 각 핀들에 부여된 기능들을 한눈에 보기 좋게 적어 놓은 지도라고 생각하면 되며, 다양한 사이트에서 구할 수 있다.

필자는 아래의 사이트에서 꽤 자세하게 적혀있는 아두이노 Pin Map을 찾아냈고, 이를 공유하고자 한다.

https://sites.google.com/site/ardunitydoc/getting-started/basic-knowledge/arduino-pin-map

아두 이노 우노 핀맵 - adu ino uno pinmaeb
아두이노 우노 Pin Map

위 사진에서 볼 수 있듯이 제일 기본 모델이라고 부를 수 있는 아두이노 우노 보드에도 정말 다양한 기능을 하는 핀들이 장착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중 기본적으로 알고 있으면 좋은 핀들에 대하여 간략하게 설명해보도록 하겠다.

[3V3]

 보드로부터 3.3V의 전압을 출력할 수 있는 핀이다.

 센서들 중 3.3V를 사용하는 센서의 전원을 이 핀에서 끌어낼 수 있다.

[5V]

 보드로부터 5V의 전압을 출력할 수 있는 핀이다.

 마찬가지로 센서들 중 5V를 사용하는 센서의 전원을 이 핀에서 끌어낼 수 있다.

[Vin]

 아두이노에 전원을 공급할 때 사용할 수 있는 핀이다.

 기본적으로 아두이노 IDE를 사용하여 보드에 업로드 할 때는 컴퓨터에 연결된 데이터 케이블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지만, 업로드 이후에 보드를 단독으로 사용할 시에는 별도의 외부 전원이 필요하다.

 이때, 보드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방법은 두 가지가 존재하는데, 첫 번째는 보드의 데이터 포트 옆에 위치한 원형 전원 포트를 사용하는 방법이다.

 하지만 이 부분으로 전원을 공급받기 위해서는 별도의 원형 전원 선이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다.

 두번째 방법은 'Vin' 핀으로 전원을 공급받는 방법이다.

 주의할 점은, 아두이노 보드의 경우 7~12V의 전원 제한이 있기 때문에 반드시 해당 전압 범위 내의 전원만 공급해야 한다.

만일 더 높은 전원을 보드에 연결하게 되면, 높은 확률로 보드가 망가질 수 있다.

[GND]

 보드의 접지 핀이다.

 모든 회로는 하나의 접지선에 맞물려야 제대로 구동된다.

 회로 구성 시 반드시 확인해야 할 부분이기도 하다.

[A0~A5]

아날로그 신호를 입,출력할 수 있는 핀이다.

[D0~D13]

 디지털 신호를 입,출력할 수 있는 핀이다.

 각 디지털 핀에는 아래와 같이 추가 기능들이 존재한다.

 D0 -> RX 핀의 기능을 가지고 있다.

          'Receive 핀'으로, 통신 수행 시 수신 핀으로 사용될 수 있는 핀이다.

 D1 -> TX핀의 기능을 가지고 있다.

          'Transmit 핀'으로, 통신 수행 시 발신 핀으로 사용될 수 있는 핀이다.

 D2/D3 -> 인터럽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핀이다.

               각각 INT0 와 INT1 으로 정의되어 있다.

               (※ 인터럽트에 대해서는 추후 포스팅에서 자세히 다룰 예정이다.)

 D3/D5/D6/D9/D10/D11 -> PWM 신호를 출력할 수 있는 핀이다.

                                      보드 상에서는 핀 번호 앞에 '~' 무늬가 붙어 있는 것으로 구별이 가능하다.

                                      (※ PWM에 대해서는 추후 포스팅에서 자세히 다룰 예정이다.)

이로써 가장 기본적인 핀들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위에서 설명한 핀들 외에도 여러 가지 기능들을 수행하는 핀들이 많기 때문에, 아두이노를 사용한 프로젝트 혹은 메이킹을 할 때 목적에 맞는 핀을 잘 찾아서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