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장안 폐지 정조 몇 년

[세계닷컴] 한국인의 평균 수명은 78세며 남성은 75세, 여성은 82세다. 우리와 100년의 차이를 갖는 조선시대 사람들의 평균 수명은 과연 몇 세였을까?

조선시대 사람들의 평균 수명은 약 44세로 우리의 절반 수준이다. 평균 수명이 짧았던 주요 원인은 의료수준이나 혜택이 낮았기 때문. 반면 조선시대 왕들은 평균 수명이 47세로 평민보다 조금 더 길었다.

드라마 ‘이산’에서 손자인 정조(이서진 분)와 함께 조선을 통치하는 조선 21대 왕 영조(이순재 분)는 83세까지 살아 조선시대 최장수 왕으로 꼽힌다. 이는 당시 평균 수명에 거의 2배에 가까운 나이이자 현대 한국 남성의 평균 수명보다도 5세가 더 많으니 대단한 장수를 누렸다고 할 수 있다.

조선시대 왕들은 우수한 귀족 혈통으로 태어나 최고의 의식주와 의료혜택을 받았음에도 정신적 스트레스와 육체적 질병에 시달린 경우가 많았다. 대부분의 왕들은 세수하는 것 조차 궁녀들이 대신 해 줄 정도로 운동량은 극히 적었지만 하루 5번의 수라를 먹어 고칼로리를 섭취하면서도 열량소비는 적어 질병에 시달리기 일쑤였다.

특히 눈병과 종기는 3대 태종 때부터 대물림 되며 조선왕조를 괴롭혔다. 사약을 받고 17세에 죽은 단종을 제외하더라도 예종은 20세, 헌종은 22세에 단명했다. 25명의 조선왕조 중에서도 60세를 넘긴 왕은 영조를 포함 단 5명뿐이며 40세를 넘기지 못한 왕도 5명이나 된다.

당시의 평균 수명은 물론 심지어 현대 남성들의 평균수명보다 더 오래 산 영조의 장수 비결은 무엇일까? 영조는 선천적으로 건강한 체질이기도 했지만 다른 왕들과 차별된 식습관을 갖고 있었다.

첫째는 소식(小食)이다. 영조는 하루 다섯 번 먹던 수라를 세 번으로 줄였다고 한다. 수라는 왕 또는 왕비, 대왕대비, 대비에게 올리는 상차림을 일컫는데, 보통 12첩 반상이라고는 하지만 첩 수에 들지 않는 국, 김치, 장 등을 합치면 실제 그릇의 수 30여 개가 넘을 정도로 다양한 음식이 오른다. 육류를 재료로 하는 음식이 많을 뿐 아니라 탕, 전 등의 고칼로리 조리방법이 많아 하루에 다섯 번의 수라상을 먹으면 성인 남성의 하루 섭취 권장 칼로리 2,300~2,500㎉을 쉽게 넘길 수 밖에 없다. 영조는 수라를 세 번으로 줄이고 반찬 수도 또한 반으로 줄여 평생 큰 질병 없이 건강할 수 있었다.

둘째, 끼니를 거르지 않았다. 영조는 회의를 하다가도 수라를 챙겨 먹을 정도로 끼니를 거르지 않았다. 머리를 많이 쓰는 직업일수록 열량 보충이 중요한데 영조는 끼니를 거르지 않고 챙겨 먹음으로써 열량보충과 건강을 동시에 챙길 수 있었던 것이다. 건강한과 몸과 정신을 바탕으로 영조는 51년 7개월이란 조선 왕 중 가장 오랜 기간 왕의 자리에 있었으며 경제∙정치 등 여러 방면에 걸쳐 부흥기를 마련할 수 있었다.

셋째, 현미∙잡곡 등 거친 음식을 즐겼다. 수라상은 백성들에게 거둬들인 재료들로 만들어졌기 때문에 풍년, 흉년, 전쟁 등을 파악할 수 있는 백성들의 생활 지표가 되기도 했다. 조선시대 왕 중 백성에 대한 사랑이 특히 남달랐던 영조는 애민정책을 펼쳤는데 수라에도 애민의 철학이 반영되어 백성들이 먹는 것처럼 현미나 잡곡을 섞은 밥을 먹었다고 한다. 쌀이 귀하던 조선시대기 때문에 왕이라면 당연히 백미를 먹어야 했지만 영조는 백성을 사랑하는 마음으로 백성과 같은 잡곡밥을 먹음으로써 결과적으로 장수할 수 있었다. 특히, 영조가 거친 음식으로 즐겼던 현미는 비타민 B, 이노시톨, 가바(GABA) 등의 성분함유로 당뇨∙고혈압과 같은 성인병의 묘약이라 불릴 만큼 우리 몸에 이로운 음식이다.

가정의학과 조영신 원장은 “매일 먹는 밥만 잘 먹어도 특별한 보약 없이 건강할 수 있다”며 “영조의 식습관은 현대인들이 본받아야 할 만큼 건강하게 장수하는 비결이 담긴 이상적인 식습관”이라 전했다. 특히 “성인병이 걱정되는 남성이나 다이어트 중인 여성에게 영조의 소식∙현미식∙하루 3식은 반드시 본받아야 할 생활습관”이라고 설명했다.

/ 두정아 기자

팀블로그 //comm.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사기장이란 여러 가지 흙을 혼합하여 1,300℃이상의 높은 온도에서 사기그릇을 구워내는 기능을 가진 사람을 말한다.

사기장 보유자였던 故 김윤태는 문경사람으로, 문경은 도자기의 원료가 되는 적토, 백토, 사질점토, 도석 등이 널리 분포되어 있고 계곡의 물이 좋아 1700년경 영․정조시대의 공장안 폐지에 따라 문경새재를 넘어온 장인들이 정착하면서 처음으로 가마가 만들어졌으며, 찻잔과 반상기를 주로 제작하였다. 문경의 갈전요(葛田窯)는 김윤태의 조부가 운영했던 가마로 해방 후 한국전쟁기까지 몇 년의 공백이 있었으나 김윤태의 숙부 김종성이 계승하였다.

우리나라의 전통적인 도자기 생산은 관에서 운영하던 분원자기(分院磁器)와 조선 후기 전국 각처에서 자생적으로 생겨난 민영자기(民營磁器)로 크게 나눌 수 있다. 이 중 민영자기는 임진왜란 당시 숙련된 사기장이 일본으로 납치된 지역(낙동강 연안 및 전라도 연해안 지방)과 납치를 모면한 지역으로 나눌 수 있는데, 김윤태는 납치를 모면한 민수용도자기의 대표적 산지인 경북 북부 지방의 가마전통을 계승하였다.

김윤태는 조부 김일배와 숙부 김종성으로부터 조선 말기 가마를 완전히 계승하여 평생 도자만을 제작하였다. 특히 생활자기 분야 중 식기류(사발류)는 대접, 사발, 바라기, 입기(立器), 탕기(湯器), 발탕기(鉢湯器), 보시기, 합보시기(合甫兒器), 차종(茶鐘), 종지(鍾子), 종발(鐘鉢), 접시 등이 뛰어났다.

이들은 기형상으로 조선 말기 지방 가마의 특성을 온전히 지니고 있고, 굽도 규석받침․태토비짐받침 등 전통기법을 계승하고 있다. 아울러 질흙 채취, 톳물 받기(水飛), 그릇 모양 짓기(成形), 굽깎기, 끌목, 잿물구이, 고사 등의 모든 제작 과정이 조선 후기의 전통적인 생산양식을 따르고 있다.

김윤태는 질흙을 파오는 일, 수비, 수비된 질흙 반죽과 기포 빼는 일, 물레에 올릴 질흙뭉치인 꼬박 만들기, 성형된 그릇의 흠을 닦아 보완하는 물메질, 유약 바르는 일 등 백자 제작의 모든 허드렛일을 하는 수중군의 역할은 물론, 사발대정(造器匠), 굽대정(磨造匠), 잿물대정(着水匠), 불대정(覽火匠), 도화장(畵靑匠) 일까지 전 과정을 혼자서 담당하였다.

전국에서 백자 제작의 전 과정을 혼자 할 수 있는 사람이 극히 미미한 실정에서 김윤태는 이를 모두 소화하였고, 특히 망뎅이(또는 망생이)로 만드는 전통 가마제작 기술은 우리나라에서 가장 뛰어나다는 평가를 받았다.

김윤태의 장남인 김영길은 어릴 때부터 부친의 전통기법 뿐만 아니라 망생이를 이용한 가마 축조 및 물레 제작 등 가업을 잘 계승하였고, 전통 백자 제작의 모든 과정을 능숙하게 혼자서 처리하는 등 기능이 뛰어나 2015년 3월 사기장 보유자로 인정되었다.

사형폐지국가선포식 준비위원회는 `세계 사형폐지의 날'인 10일 오후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사형폐지국가 선포식'을 갖는다.
한국은 지난 1997년 12월30일 사형수 23명에 대한 사형을 끝으로 사형을 집행한 적이 없어 마지막 사형 집행으로부터 10주년이 되는 올해 12월29일에 `실질적 사형폐지국(Abolitionist in practice)'으로 분류될 예정이다.
이날 행사에는 김대중 전 대통령과 안경환 국가인권위원장, 김수환 추기경, 민주노동당 권영길 대통령 후보 등이 참여한다.
이들은 미리 배포한 자료에서 "사형제도는 인간의 생명권을 국가가 직접 침해하는 반인권적 형벌이고 현대 형벌이 지닌 `교화'의 기능을 전면 부정하는 것이며 범죄발생에 큰 영향을 미치는 사회의 불완전 요소에 대한 책임을 전적으로 범죄자에게 전가하는 비겁한 행위"라고 비판했다.
이들은 사형제도 존치론자들의 `범죄억지력' 주장은 이미 1988년 유엔이 `사형제도의 존치여부가 살인율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고 결론 내려 설득력이 사라졌으며, 최근 재심에서 무죄판결을 받은 `인혁당 사건'처럼 사법살인과 오판을 되돌릴 수 없기때문에 사형제도를 폐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우리나라가 유엔 인권이사회의 이사국이며 유엔 사무총장을 배출한 국가인 만큼 62차 유엔 총회에서 논의 중인 `사형제도 폐지 글로벌 모라토리엄 결의안'에 찬성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 “12월29일 사형집행 중단된 지 만 10년”
    • 입력 2007-10-10 10:48:59
    연합뉴스

사형폐지국가선포식 준비위원회는 `세계 사형폐지의 날'인 10일 오후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사형폐지국가 선포식'을 갖는다.
한국은 지난 1997년 12월30일 사형수 23명에 대한 사형을 끝으로 사형을 집행한 적이 없어 마지막 사형 집행으로부터 10주년이 되는 올해 12월29일에 `실질적 사형폐지국(Abolitionist in practice)'으로 분류될 예정이다.
이날 행사에는 김대중 전 대통령과 안경환 국가인권위원장, 김수환 추기경, 민주노동당 권영길 대통령 후보 등이 참여한다.
이들은 미리 배포한 자료에서 "사형제도는 인간의 생명권을 국가가 직접 침해하는 반인권적 형벌이고 현대 형벌이 지닌 `교화'의 기능을 전면 부정하는 것이며 범죄발생에 큰 영향을 미치는 사회의 불완전 요소에 대한 책임을 전적으로 범죄자에게 전가하는 비겁한 행위"라고 비판했다.
이들은 사형제도 존치론자들의 `범죄억지력' 주장은 이미 1988년 유엔이 `사형제도의 존치여부가 살인율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고 결론 내려 설득력이 사라졌으며, 최근 재심에서 무죄판결을 받은 `인혁당 사건'처럼 사법살인과 오판을 되돌릴 수 없기때문에 사형제도를 폐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우리나라가 유엔 인권이사회의 이사국이며 유엔 사무총장을 배출한 국가인 만큼 62차 유엔 총회에서 논의 중인 `사형제도 폐지 글로벌 모라토리엄 결의안'에 찬성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Toplist

최신 우편물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