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학 약품 보관 방법 4 가지

화학 약품 보관 방법 4 가지
화학 약품 보관 방법 4 가지
화학 약품 보관 방법 4 가지

연구실안전관리시스템은 정보의 정확성과 효율성을 위해 아래 전산시스템과 연동을 통해 주기적으로 최신정보로 업데이트 되도록 설계되었습니다.
- 학사정보시스템 : 연구활동종사자 정보
- 공간관리시스템 : 연구실정보, 상시연구활동종사자 정보, 관리대상기자재 정보

연구실정보나 관리대상기자재 정보를 자동으로 업데이트 되지 않게 하기 위해서는 Lock기능을 설정해야 합니다.

화학 약품 보관 방법 4 가지

  • 소개
    • 안전관리조직
  • 안전교육
    • 안전교육안내
    • 연구실안전교육
    • 소방안전교육
    • 집합교육과정
    • 이수증명서
  • Safety Education
    • About Education
    • Lab Safety Education
    • Fire Education
    • Collective Training
    • Certificate Inquiry
  • 실험실안전교재
    • 실전가이드
    • 안전동영상
  • 안전관리
    • 전기안전
    • 소방안전
    • 연구실안전
    • 화공안전
    • 생물안전
    • 가스안전
    • 폐기물처리
    • 기계/기구
  • 안전공제보험
    • 안내
    • 지급절차
    • 청구시필요서류
  • MSDS
    • 안내
    • MSDS내용
    • MSDS검색
  • 자료실
    • 전체
    • 공지사항
    • Q&A
    • 안전교재
    • 방사선
    • LMO(생물안전)
    • 폐기물처리
    • 사고사례
    • 동영상자료
    • 법규 및 규정
    • 문서양식
    • 일반자료

화학 약품 보관 방법 4 가지

  • 화학물질 안전관리
  • 위험물 밎 지정수량
  • 화학물질 성상별 보관방법
  • 공존할수 없는 물질

화학 약품 보관 방법 4 가지
화학물질안전관리

  • 화학 약품 보관 방법 4 가지
    목적

    본 화학물질 안전가이드의 목적은 연구에 전념하는 모든 구성원들에게 화학물질의 안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위해한
    약품에 대한 건강의 위험에서 보호할 수 있는 최상의 연구실 환경과 그 절차를 추천하고 실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 - 실험자의 건강, 안전, 주위환경에 관련된 정책들을 작성하여 문서화한다.
    • - 안전에 대한 예산을 배정한다.
    • - 신입생을 위한 건강, 안전, 환경에 대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교육한다.
    • - 모든 구성원이 항상 자신과 동료의 건강, 안전, 주위 환경에 대한 관심을 갖도록 정기적으로 논의하는 위원회를 구성하여 운영한다.
    • - 모든 구성원이 일정 부분 안전 프로그램에 참여하게 하고 특정책임을 부여한다.
    • - 모든 구성원은 건강, 안전에 대한 정책과 매뉴얼을 숙지하여야 하며, 그 내용의 이해했고 준수한다는 서명을 받아서 그 서약서를 보관한다.
    • - 위험 상황과 비안전 행위를 미연에 방지하고 시정하기 위해 정기적 및 비정기적 연구실 안전점검을 수행한다.
    • - 모든 안전사고는 토의하고 재발하지 않도록 각별히 유념한다.
    • - 안전 관련 도서관를 운영한다. (자유로이 관람할 수 있는 관련 서적 및 비디오를 구입하여 제공한다.)
    • - 연구자의 연구활동 및 생활에 있어서 안전이 필수적이고 중요한 것임을 항시 상기한다.
    • - 실험전에 실험상의 절차와 도구등 안전상의 문제점들을 충분하게 의논한다.
    • - 실제적인 위험이나 잠재적인 위험이 있는 실험을 수행 할 때 몇 가지 상황을 고려한다.
      • 위험요소가 무엇인가?
      • 잘못될 경우 일어날 수 있는 최악의 상황은 무엇인가?
      • 나는 그 문제를 어떻게 처리할 것인가?
      • 위험물에 대한 노출을 최소화 하기 위한 요구되는 보호 장비/시설/ 신중한 대처는 무엇인가?
    • - 위험 화학물질의 사용시 반드시 환기 후드에서 수행하며, 개별적인실험에 대한 특정 작업 절차를 개발한다.
    • - 연구실에서 나 홀로 실험은 하지 않는다. (혼자 실험하는 경우 동료에게 알리고 연락가능한 전화번호를 알고 있어야 한다)
    • - 연구실에서 이루어지는 실험은 방치하지 말자. (수행되고 있는 실험은 항상 관심을 갖고 지켜보는 습관을 갖는다.
    • - 연구실내에서는 담배 피우거나 음식물을 먹거나 마시거나 하는 행위를 금지한다.
    • - 아래와 같은 긴급상황에 대처할 수 있는 계획과 훈련을 실시한다. 화재, 폭발, 약물중독, 화학물질 누출/ 가스 방출, 전기 합선/감전, 출혈, 개인적인 감염
    • - 소화기, 안전 샤워 장치, 눈 세척용기, 긴급약품, 화재용 담요, 후드등은 월별로 주기점검(또는 테스트) 한다.
    • - 비상시를 대비하여 소방서, 캠퍼스 폴리스, 앰뷸러스의 긴급 연락망을 확보한다.
    • - 응급조치를 할 수 있는 장비와 사용지침서를 제공한다.
    • - 화학물질의 불필요한 구매를 피하기 위해 자세한 화학물질의 구비 목록을 만든다.
    • - 특정한 위험 요소에 대한 경고표시를 한다.
    • - 연구실의 항상 정리정돈/청결을 통하여 유지 및 관리를 한다.
    • - 연구실내에서는 항상 눈 보호장비를 비치하여 만일의 상황에 대비한다.
    • - 실험자에게 적절한 개인용 보호 장비를 제공하고 사용한다. 안전 장치, 가글, 장갑, 실험복, 안면보호대
    • - 화학물질의 보관/ 폐기 관련 프로그램을 개발한다.
    • - 모든 화학물질에는 물질의 이름, 특성, 위험도, 주의사항 및 관리자 이름을 표시한다.
    • - 각 연구실에 휘발성의 액체는 최소량을 비치한다.
    • - 산(acids)과 염기(bases)는 각각 따로 보관한다. 가연성 액체와 산화제 (oxidizer)는 분리하여 보관한다.
    • - 화학물질은 안전하고 환기가 잘 이루어지는 적절한 공간을 확보하여 저장하고 보관한다.
    • - 불 붙기 쉬운 화학물질의 저장은 방열 캐비넷에 저장한다.
    • - 전기제품에 대한 사용은 항상 주의한다.
  • 화학 약품 보관 방법 4 가지
    화학물질을 다루는 5가지 기본 단계
    • - 지정된 시간, 지정된 실험외에는 하지 말 것
    • - 실험중에는 자리를 이석하지 말 것
    • - 실험은 지도교수의 책임하에 실시할 것
    • - 연구실 출입문에는 실험과 관련된 위험성, 사고발생시 응급조 치요령, 실험책임자의 비상연락처등이 들어 있는 표지를 부착 할 것
    • - 인체에 해로운 시약을 취급할 때는 반드시 후드에서 할 것
    • - 실험을 할 때는 반드시 실험복(까운), 보호장갑 등 적절한 보호구를 착용할 것
    • - 안전장치(소화기, 비상샤워시설등)의 위치 및 사용방법 등을 숙지하고 실험에 임할 것
    • - 실험종료후 시약은 항상 시약보관함에 시건하여 보관하고 실험기구, 실험대 및 주위를 깨끗이 청소할 것
    • - 연구실 출입문 주위는 항상 개방할 것(장애물 설치 금지)
    • - 연구실내에서 흡연, 숙면 및 음식물 섭취를 금할 것

실험실의 시약은 정확하게 사용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안전하게 ‘관리’하는 것 또한 중요하다. 실험실 시약 관리는 실험실의 안전과 직결되기 때문이다.
연구자들이 시약 사용 후 실험대 위에 시약을 그대로 놓아두거나, 뚜껑을 열어놓는 경우가 있는데, 시약은 ‘사용-관리-폐기’까지 어느 것 하나 부주의해서는 안 된다. 그 중에서도 연구자들이 무심코 지나칠 수 있는 시약 관리법에 대해서 알아본다.

분리 보관의 원칙
시약류는 적절한 장소에 보관해야 하며, 「유해화학물질 관리법」에서 독극물로 분류된 물질은 다른 시약과 별도로 잠금장치가 되어 있는 보관함에 보관한다. 또한 종류가 다른 유독물이나 화학물질을 같은 보관시설 안에 보관하는 경우에는 칸막이나 바닥의 구획선 등으로 구분하되, 서로 적절한 간격을 두어 보관해야 한다.

밀봉 저장의 원칙
보관 및 저장시설 내에서 유독물이 누출·혼합되어 위해성이 증가할 우려가 있는 경우에는 함께 보관하거나 저장하지 않는다. 특히 강산성 용액은 공기 중의 수분과 반응해 치명적인 증기를 생성하므로 사용하지 않을 때는 뚜껑을 닫아 놓는다. 사용한 시약은 용기의 뚜껑을 확실히 밀봉해 누출되지 않도록 한다.

관리와 책임의 원칙
시약류의 관리는 관리책임자 및 담당자를 지정해 안전사고에 대비한다. 시약보관함은 시약마다 식별 표시를 해 관리하며, 입고하거나 사용할 때 시약관리대장에 기록·관리한다. 관리담당자는 저장·보관시설의 유해화학물질의사용량을 정확히 파악해 재고량과 대장에 기록된 잔여량이 일치하도록 한다.

출처: 실험실 안전 실전 가이드
http://www.msip.go.kr/cms/www/open/go30/info/info_4/info_41/__icsFiles/afieldfile/2014/11/19/%EC%8B%A4%ED%97%98%EC%8B%A4%EC%95%88%EC%A0%84%20%EC%B1%85%EC%9E%90(%EB%AF%B8%EB%9E%98%EC%B0%BD%EC%A1%B0%EA%B3%BC%ED%95%99%EB%B6%80).pdf